맨위로가기

동부 솔로몬 해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부 솔로몬 해전은 1942년 8월 23일부터 25일까지 솔로몬 제도에서 벌어진 해전으로, 과달카날 전투를 지원하기 위해 미군과 일본군이 격돌했다. 미군은 3개의 항공모함 기동 부대를 투입하여 일본군의 공격을 방어하고, 헨더슨 비행장으로의 병력 및 물자 수송을 지원했다. 일본군은 미 해군 항공모함 격멸을 목표로 했으나, 경항공모함 류조를 잃고 수송선단의 피해를 입었다. 이 해전에서 미국은 전략적 승리를 거두었지만, 일본군의 숙련된 조종사 손실과 이후의 수송 방식 변화를 초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솔로몬 제도에서 벌어진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와 작전 - 이호 작전
    이호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이 1943년 4월 초에 남태평양의 연합군 진격을 늦추기 위해 야마모토 이소로쿠 제독의 지휘 하에 솔로몬 제도와 뉴기니 지역의 연합군 기지를 공습한 공세 작전이다.
  • 솔로몬 제도에서 벌어진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와 작전 - 남태평양 해전
    남태평양 해전은 1942년 10월 과달카날 전역의 일환으로 미국과 일본 간에 벌어진 항공모함 중심의 전투로, 미군은 헨더슨 비행장을 사수하고 일본은 항공 승무원 손실로 장기적으로 불리한 상황에 놓였다.
  • 과달카날 전역 - 씬 레드 라인
    씬 레드 라인은 1942년 과달카날 섬 전투를 배경으로 미군 병사들의 고뇌와 전쟁의 참혹함을 그린 영화로, 테렌스 맬릭이 감독하고 짐 커비즐, 숀 펜 등이 출연했으며 1998년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황금곰상을 수상했다.
  • 과달카날 전역 - 사보섬 해전
    1942년 8월 9일 과달카날 전역 초기에 사보섬 인근 해역에서 벌어진 사보섬 해전은 야간 전투에 특화된 일본 해군이 연합군 함대를 기습하여 큰 피해를 입혔으나 과달카날 점령을 저지하지 못하고 전술적 승리에 그친 해전으로, 해전에서의 레이더 중요성, 야간 전투 능력, 지휘관 리더십 등 다양한 요소의 영향을 보여준다.
  • 오스트레일리아가 참가한 제2차 세계 대전의 해전 - 산호해 해전
    산호해 해전은 1942년 5월 미국과 일본 해군이 산호해에서 벌인 해전으로, 일본의 MO 작전은 실패하고 연합군의 전략적 승리로 끝났으며, 항공모함 중심 해전의 시작을 알렸다.
  • 오스트레일리아가 참가한 제2차 세계 대전의 해전 - 이호 작전
    이호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이 1943년 4월 초에 남태평양의 연합군 진격을 늦추기 위해 야마모토 이소로쿠 제독의 지휘 하에 솔로몬 제도와 뉴기니 지역의 연합군 기지를 공습한 공세 작전이다.
동부 솔로몬 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1942년 8월 24일 동부 솔로몬 해전 중 공격받아 불타는 USS 엔터프라이즈 (CV-6) (NH 97778)
1942년 8월 24일 동부 솔로몬 해전 중 미 해군의 USS 엔터프라이즈 (CV-6)가 공중 공격을 받아 화염에 휩싸인 채 기동하고 있다. 대공포탄이 항공 모함 위로 터지고 있다.
교전 세력
교전국 1미국
교전국 2일본 제국
지휘관
미국프랭크 잭 플레처
토머스 C. 킨케이드
일본 제국곤도 노부다케
나구모 주이치
아베 히로아키
하라 주이치
미카와 군이치
병력
미국항공 모함 2척
전함 1척
중순양함 3척
경순양함 1척
구축함 11척
항공기 176대
일본 제국정규 항공모함 2척
경항공모함 1척
전함 3척
중순양함 13척
경순양함 3척
구축함 30척
수상기 모함 1척
초계정 4척
수송선 3척
항공기 171–177대
피해 규모
미국항공 모함 1척 심각한 손상
항공기 20대 파괴
90명 사망
일본 제국경항공모함 1척 침몰
구축함 1척 침몰
수송선 1척 침몰
수상기 모함 1척 심각한 손상
경순양함 1척 손상
항공기 75대 파괴
290명 이상 사망

2. 배경

1942년 8월 7일, 미군을 주축으로 한 연합군은 솔로몬 제도 남쪽의 과달카날섬, 툴라기섬, 플로리다 제도에 상륙했다. 이는 일본 제국이 이 섬들을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 사이의 보급로를 차단하는 데 사용하는 것을 막고, 뉴기니와 뉴브리튼 전역의 연합군을 지원하면서 라바울에 있는 일본군의 중요 거점을 제거하기 위해서였다. 이 상륙은 6개월간 벌어진 과달카날 전투의 시작이었다.[60]

연합군의 상륙은 사라토가가 속한 11함대, 엔터프라이즈호가 속한 16기동 함대, 와스프호가 속한 18기동 함대 등 세 척의 미국 항공모함 기동 함대의 지원을 받았다.[60] 세 항공모함 기동 함대의 총사령관은 사라토가에 타고 있었던 프랭크 잭 플레처 중장이었다.

8월 15일20일 사이, 미국 항공모함들은 과달카날에 새로 개장한 핸더슨 비행장으로 전투기와 폭격기들을 호위했다. 핸더슨 비행장은 솔로몬 제도에서 일본군과 일본 공군의 움직임을 드러내주었으며, 과달카날 전투 전체에서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야마모토 이소로쿠 제독 휘하의 일본 해군과 육군은 연합군을 과달카날과 툴라기에서 몰아내기 위해 반격을 준비했다. 이 반격은 “카 작전”(Operation Ka)으로 명명되었고, 해군은 남태평양 지역의 연합군 함대, 특히 미 해군 항공모함을 격퇴시킨다는 추가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6]

3. 전투

1942년 8월 16일, 다나카 레이조 중장이 지휘하는 경순양함 진츠와 구축함 8척, 정찰선 4척이 추크 제도를 출발하여 과달카날로 향했다. 이들은 일본군 1,500명을 태운 느린 수송선 3척을 호위했다. 미카와 구이치 중장이 지휘하는 중순양함 4척으로 이루어진 "근접 호위 부대"도 라바울에서 출전하여 수송선단을 보호했다.

일본 해군 중장 나구모 주이치


8월 21일, 나머지 일본 해군은 남솔로몬으로 향하기 위해 추크 제도를 떠났다. 일본 해군은 다음과 같이 세 그룹으로 나뉘었다.

  • 주력 부대: 나구모 주이치 중장 지휘 하에 항공모함 쇼카쿠(Shōkaku), 즈이카쿠(Zuikaku), 경항공모함 류조(Ryūjō) 등으로 구성.
  • 선봉대: 아베 하로아키 소장 지휘 하에 전함 2척, 중순양함 3척, 경순양함 1척, 구축함 3척으로 구성.
  • 진격대: 곤도 나부타케 중장 지휘 하에 중순양함 5척, 경순양함 1척, 구축함 6척, 수상정 수송기로 구성.


일본 해군의 계획은 미군 항공모함의 위치가 확인되면 나구모의 항공모함이 즉시 공격하고, 미군 항공모함이 파괴되면 아베와 곤도의 함대가 연합군 함대를 격파한 뒤 헨더슨 비행장을 폭격하고 과달카날섬과 툴라기섬을 재탈환하는 것이었다.

8월 19일과 20일에 있었던 테나루 전투로 인해, 미국 항공모함 기동 함대는 8월 21일에 과달카날로부터 400nmi 떨어진 곳에서 다시 과달카날로 돌아가게 되었다.

8월 22일, 연합군과 일본 해군은 서로를 향해 전진했지만, 양측 모두 정찰을 펼쳤지만 서로의 위치를 알 수 없었다.[11] 8월 23일, 프랭크 잭 플레처는 연료가 부족했던 와스프를 함대에서 분리시켜 연료 재보급을 위해 북쪽의 이페이트로 보냈고, 이 때문에 와스프는 이후 전투에서 어떤 역할도 맡지 못했다.[12]

3. 1. 서막

1942년 8월 16일, 다나카 레이조 중장이 지휘하는 경순양함 진츠와 구축함 8척, 정찰선 4척이 추크 제도를 출발하여 과달카날로 향했다. 이들은 1,500명의 일본군을 태운 느린 수송선 3척을 호위했다. 미카와 구이치 중장이 지휘하는 중순양함 4척으로 이루어진 "근접 호위 부대"도 라바울에서 출전하여 수송선단을 보호했다. 이 순양함들은 사보섬 해전에서 연합군을 격퇴시킨 함선들이었다. 다나카는 8월 24일에 수송선단의 병력을 상륙시킬 계획이었다.

8월 21일, 나머지 일본 해군은 남솔로몬으로 향하기 위해 추크 제도를 떠났다. 이들은 세 그룹으로 나뉘었다.

  • 주력 부대: 나구모 주이치 중장 지휘 하에 항공모함 쇼카쿠(Shōkaku), 즈이카쿠(Zuikaku), 경항공모함 류조(Ryūjō), 중순양함 1척, 경순양함 1척, 구축함 8척으로 구성.
  • 선봉대: 아베 하로아키 소장 지휘 하에 전함 2척, 중순양함 3척, 경순양함 1척, 구축함 3척으로 구성.
  • 진격대: 곤도 나부타케 중장 지휘 하에 중순양함 5척, 경순양함 1척, 구축함 6척, 수상정 수송기로 구성.


라바울에 있는 100여 척의 일본 제국 해군 폭격기, 전투기, 정찰기 등이 지원을 맡았다. 나구모의 주력 부대는 선봉과 진격대의 후방에 위치하여 미국 정찰기로부터 은폐를 시도했다.

일본 해군의 계획은 다음과 같았다.

# 미국 항공모함의 위치를 정찰기나 함대가 발견하면 나구모의 항공모함은 즉시 미군 항공모함을 파괴하기 위해 출진한다.

# 미국 항공모함이 파괴되거나 이동 불능 상태가 되면, 아베의 선봉대와 곤도의 진격대가 접근하여 연합군의 마지막 해군을 파괴한다.

# 일본 해군은 헨더슨 비행장에 대한 폭격을 자유롭게 실시하고, 일본군의 상륙을 엄호하여 과달카날섬과 툴라기섬을 재탈환한다.

8월 19일과 20일에 있었던 미국 해병대와 일본군 사이의 테나루 전투로 인해, 미국 항공모함 기동 함대는 8월 21일에 과달카날로부터 400nmi 떨어진 곳에서 다시 과달카날로 돌아가게 되었다. 미국 항공모함들은 헨더슨 비행장을 지키는 해병대를 지원하면서, 과달카날에 일본군이 상륙하도록 지원한 일본 함대, 특히 항공모함을 파괴하기 위해 과달카날로 돌아갔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전투에서 미 해병대가 일본군의 기습 공격을 격퇴하고 과달카날 방어의 교두보를 마련했다고 평가한다.)

8월 22일, 연합군과 일본 해군은 계속해서 서로를 향해 전진했다. 양측 모두 정찰을 펼쳤지만 서로의 위치를 알 수 없었다. 일본군은 정찰기 1기가 실종된 덕분에 미국 항공모함 기동 함대의 위치를 추측할 수 있었지만, 미국은 다가오는 일본 해군 함대의 전력과 위치를 알지 못했다.[11]

8월 23일 오후 9시 40분, 산타크루스 제도에서 출격한 미국의 PBY 카탈리나 항공기가 다나카의 수송선단을 발견했다. 다나카는 함대가 목격된 후 공격이 있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고, 카탈리나 항공기가 떠난 지점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했다. 그는 상관들에게 연합군의 공습을 피하기 위해 북쪽으로 선회하여 상륙 시간이 8월 25일로 연기되었다고 보고했다. 8월 23일 오후 6시 23분, 어떤 일본 항공모함도 발견되지 않았고 이 지역에 대한 정보도 없었다. 프랭크 잭 플레처는 연료가 부족했던 와스프를 함대에서 분리시켜 연료 재보급을 위해 북쪽의 이페이트로 2일간의 항해를 떠나게 했다. 이 때문에 와스프와 그 호위함들은 이후 전투에서 어떤 역할도 맡지 못했다.[12]

3. 2. 8월 24일의 항공모함 전투

일본군은 경항공모함 류조를 미끼로 사용하여 미 해군 항공모함을 유인하고, 주력 항공모함으로 공격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8월 24일 새벽 1시 45분, 나구모 주이치 제독은 하라 주이치 소장에게 류조, 중순양함 토네, 구축함 아마츠카제, 토키츠카제를 이끌고 일본군 주력보다 먼저 가서 새벽에 핸더슨 비행장을 공격하라고 명령했다.[37] 류조의 임무는 핸더슨 비행장을 공격하여 미군의 주의를 끌고, 그동안 일본 주력 항공모함 (쇼카쿠, 즈이카쿠)이 미군에게 발견되지 않고 접근하도록 하는 것이었다.[39]

미 해군 사라토가와 엔터프라이즈는 류조를 공격하여 격침시켰다. 사라토가에서 출격한 38대의 항공기는 류조에 폭탄 4발과 어뢰 1발을 명중시켜 18시에 침몰시켰다.[34]

1942년 8월 24일 동부 솔로몬 해전에서 B-17 폭격기의 고고도 공격을 받는 움직일 수 없는 일본 항공모함 류조 (중심에서 약간 오른쪽). 구축함 ''아마츠카제'' (중앙 하단)는 전속력으로 ''류조''에서 멀어지고 있으며, ''도키쓰카제'' (희미하게 보임, 중앙 오른쪽)는 떨어지는 폭탄을 피하기 위해 ''류조''의 선수에서 후퇴하고 있다.


일본군 항공모함 쇼카쿠즈이카쿠는 엔터프라이즈를 공격하여 큰 피해를 입혔으나, 격침시키지는 못했다. 오후 2시 28분, 일본군 제1차 공격대(99식 함상 폭격기 27기, 0식 함상 전투기 10기)가 엔터프라이즈에 폭탄 3발을 명중시켰다.[46]

''엔터프라이즈'' 바로 위에서 대공포화로 격추된 일본 D3A 급강하 폭격기 (이이다 요시히로가 조종한 것으로 추정).


세 번째이자 마지막 폭탄으로, 공격 중 사망한 호리에 가즈미가 조종한 항공기가 ''엔터프라이즈''에 명중하여 경미한 피해를 입혔다. 첫 두 폭탄의 명중으로 인한 연기가 사진의 왼쪽 상단에 보인다.

3. 3. 8월 25일의 활동

미국 항공모함 2척이 심각한 손상을 입고 후퇴했다고 판단한 다나카의 증원 부대는 8월 25일 오전 8시, 과달카날에서 241km 떨어진 해상까지 접근했다.[17] 같은 날 오전 8시 5분, 헨더슨 비행장에서 출격한 미군 항공기 18대가 다나카의 수송선단을 공격, 진츠에 큰 피해를 입히고 승무원 24명을 사살했다. 이 공격으로 다나카는 의식을 잃었으며, 수송선 킨류마루도 피격되어 침몰했다. 일본 구축함 무츠키가 킨류마루의 승무원과 병력을 구조하던 중, 에스피리투산토에서 출격한 미군 B-17 폭격기 6대의 공격을 받고 침몰했다.[18] 의식을 회복한 다나카는 수송선단을 쇼트랜드 제도로 후퇴시켰다.

미국과 일본 양측은 함대를 해당 지역에서 철수시키기로 결정했다. 일본 해군은 북솔로몬 근해에 머물며 헨더슨 비행장의 미군 항공기 공격을 피했고, 9월 5일 추크 제도로 귀환했다.[18]

4. 전투의 여파

동부 솔로몬 해전은 전술적으로는 미국이 승리했지만, 전략적으로는 일본군 주력 항공모함들이 건재했기에 결정적인 승리는 아니었다. 역사학자 리처드 프랭크는 "솔로몬 해전은 의심할 여지없이 미국의 승리이지만, 일본 항공기 조종사들의 감소를 불러왔다는 점에서 장기적인 결과로 인한 승리이다."라고 평가했다.

미국은 이 전투에서 단 7명의 항공 승무원을 잃었지만, 일본은 61명의 베테랑 조종사를 잃었다. 이는 일본 해군 항공 승무원 훈련 프로그램의 제한된 능력과 예비군 부재로 인해 대체하기 어려운 손실이었다.

전투 후 촬영된 ''엔터프라이즈''의 불에 탄 함포


일본군은 수송선단을 통한 과달카날 증원 및 보급에 차질을 빚게 되었다. 다나카의 수송선단에 있던 병력은 대부분의 중화기를 남겨둔 채 쇼트랜드섬에서 구축함으로 옮겨 타 8월 29일부터 과달카날로 수송되었다.[19] 이후 일본군은 구축함이나 대발동정을 이용한 쥐 수송, 개미 수송 등으로 보급을 시도해야 했다.[52]

8월 28일에는 과달카날 북쪽 떨어진 뉴조지아 해협에서 일본 구축함 朝霧|아사기리일본어헨더슨 비행장에 주둔한 미국 항공기에 의해 격침되었고, 다른 두 척의 일본 구축함도 큰 피해를 입었다. 이는 헨더슨 비행장의 전략적 가치를 보여주는 사례였다.

피해를 입은 엔터프라이즈진주만으로 이동하여 10월 15일에 수리를 완료했다. 이후 10월 24일 남태평양으로 복귀하여 산타크루즈 제도 해전에서 쇼카쿠즈이카쿠와 다시 전투를 벌였다.

일본 해군은 산호해 해전에서 쇼호를 잃은 데 이어, 이 해전에서도 경항공모함 류조를 잃었다. 이는 태평양 전쟁 개전 이후 6번째 항공모함 손실이었으며, 적함 격침도 없어 전술적, 전략적 패배였다.

일본 육군 제17군은 해군이 함선 보전을 우선시하고, 적 수송선 공격에 소극적이라고 불만을 제기했다. 구사카 류노스케 참모장은 B-17 폭격기의 발진 기지인 에스피리투산토 섬, 누벨칼레도니 섬, 과달카날 섬의 헨더슨 비행장의 공습권을 "거미줄"로 표현하며, 나구모 기동부대로는 이 "거미줄"을 뚫을 수 없다고 평가했다.[54]

5. 참가 함정

1942년 8월, 과달카날 전투에는 일본 해군과 미국 해군이 참전했다.

일본 해군은 크게 세 그룹으로 나뉘었다. 나구모 주이치 중장이 지휘하는 "주력"에는 쇼카쿠즈이카쿠 등 항공모함이 포함되었고, 아베 히로아키 소장이 지휘하는 "선봉 부대"는 전함 2척, 중순양함 3척, 경순양함 1척, 구축함 6척으로 구성되었다. 곤도 노부타케 중장이 지휘하는 "선진 부대"에는 중순양함 5척, 경순양함 1척, 구축함 5척, 수상기 모함 지토세, 전함 무쓰, 구축함 3척으로 구성된 "엄호 부대"가 포함되었다.[7]

사보섬 해전에서 승리한 미카와 군이치 중장이 지휘하는 중순양함 4척으로 구성된 "근접 엄호 부대"와 라바울 및 인근 섬에 배치된 약 100대의 일본 해군 육상 기반 폭격기, 전투기, 정찰기도 일본 해군을 지원했다.[9]

8월 23일 산타크루스 제도에서 PBY 카탈리나 비행정이 다나카 라이조 소장의 선단을 발견했다. 다나카 소장은 공격을 예상하고 항로를 변경하여 공격을 피했고, 이로 인해 과달카날 상륙은 8월 25일로 연기되었다.[12]

한편, 프랭크 J. 플레처가 지휘하는 미국 항공모함 기동 부대는 8월 21일 남쪽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과달카날로 방향을 돌렸다. 미국 항공모함은 해병대를 지원하고 헨더슨 비행장을 보호하며, 과달카날 육상 전투에서 일본군을 지원하기 위해 도착한 적군과 교전하고 일본 해군을 파괴할 예정이었다.[12]

5. 1. 일본 해군

1942년 8월, 과달카날 전투에 투입된 일본 해군은 크게 세 부대로 나뉘어 있었다. 나구모 주이치 중장이 지휘하는 "주력 부대"는 쇼카쿠즈이카쿠를 포함한 항공모함 전력이 중심이었다. 아베 히로키 소장의 "선봉 부대"는 전함 2척과 중순양함 3척 등으로 구성되었고, 곤도 노부타케 중장의 "선진 부대"는 중순양함 5척과 수상기 모함 지토세 등을 포함했다.[7]

이들 함대는 사보섬 해전에서 승리한 미카와 군이치 중장의 중순양함 부대와 라바울 및 인근 섬에 배치된 100여 대의 육상 기반 항공기의 지원을 받았다.[9]

일본 해군의 ''Ka'' 작전 계획은 미국 항공모함을 발견하면 즉시 공격하여 파괴하고, 이후 남은 연합군 함대를 격멸하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헨더슨 비행장을 무력화하고 과달카날과 툴라기를 탈환하려 했다.[7]

8월 23일, 일본 해군은 산타크루스 제도에서 PBY 카탈리나 비행정에 의해 다나카 라이조 소장의 선단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공격을 예상하고 항로를 변경하여 공격을 피했다. 이로 인해 과달카날 상륙은 8월 25일로 연기되었다.[12]


5. 1. 1. 제2함대

곤도 노부타케 중장이 지휘하는 제2함대는 기함 아타고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1]

부대함종함명
제1전대전함무츠
제11항공전대수상기모함지토세
제2남견 함대 부속특설 수상기모함산요마루
제4전대
(곤도 중장 직솔)
중순양함아타고
다카오
마야
제5전대중순양함묘코
하구로
제4수뢰전대경순양함유라
제2구축대구축함무라사메
사미다레
하루사메
제9구축대구축함아사구모
나쓰구모
미네구모
제27구축대구축함시라츠유
시구레
아리아케
유구레


5. 1. 2. 제3함대


  • 사령장관 나구모 주이치 중장, 참모장 구사카 류노스케 중장
  • * 제1항공전대: 나구모 장관 직솔: 항공모함 쇼카쿠, 즈이카쿠
  • * 제11전대: 아베 히로키 소장: 전함 히에이, 기리시마
  • * 제8전대: 하라 주이치 소장: 중순양함 토네, 치쿠마
  • * 제7전대: 니시무라 쇼지 소장: 중순양함 구마노, 스즈야
  • * 제10전대: 기무라 스스무 소장: 경순양함 나가라
  • ** 제4구축대: 구축함 노와키, 마이카제[1]
  • ** 제10구축대: 구축함 아키구모, 유구모, 마키구모, 가제구모
  • ** 제16구축대: 구축함 하쓰카제, 도키쓰카제, 아마쓰카제
  • ** 제19구축대: 구축함 우라나미, 시키나미, 아야나미

  • 8월 24일의 항공전시 지대 (지휘관 하라 주이치 제8전대 사령관)
  • * 항공모함: 류조[2]
  • * 중순양함: 토네(하라 소장, 제8전대 기함)
  • * 제16구축대: 구축함 도키쓰카제, 아마쓰카제

5. 2. 미국 해군


  • 제11기동군
  • * 프랭크 J. 플레처 중장 직솔
  • * 항공모함: 사라토가
  • * 칼턴 H. 라이트 소장: 중순양함 뉴올리언스, 미네아폴리스, 구축함 4척
  • 제16기동군
  • * T. C. 킨케이드 소장
  • * 항공모함: 엔터프라이즈
  • * 말론 티스데일 소장: 전함 노스캐롤라이나
  • * 중순양함: 포틀랜드
  • * 경순양함: 애틀랜타
  • * 구축함: 벌치(선도), 귄, 그레이슨, 벤햄, 모리
  • 제18기동군
  • * 리 노이스 소장
  • * 항공모함: 와스프
  • * 노먼 스콧 소장: 중순양함 샌프란시스코, 솔트레이크시티, 경순양함 샌 후안, 구축함 7척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Pearl Harbor to Guadalcanal
[6] 서적 Shitō Gadarukanaru Gakushū Kenkyūsha (Gakken) 1995
[7] 서적
[8] 서적
[9] 웹사이트 Imperial Cruisers http://www.combinedf[...] Combinedfleet.com 2022-04-03
[10] 간행물 Battle of the Eastern Solomons Office of Naval Intelligence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문서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웹사이트 主要海空戰日米呼稱對照表 二一、五、六 史實調査部 https://www.jacar.ar[...] 防衛省防衛研究所 2024-08-01
[21] 문서 モリソンの太平洋海戦史
[22] 문서 戦藻録(九版)
[23] 문서 モリソンの太平洋海戦史
[24] 문서 戦藻録(九版)
[25] 문서 S1708外南洋増援部隊(1)
[26] 문서 戦藻録(九版)
[27] 문서 日本空母戦史
[28] 문서 戦藻録(九版)
[29] 문서 S1708外南洋増援部隊(1)
[30] 문서 S1708外南洋増援部隊(3)
[31] 문서 草鹿回想
[32] 문서 草鹿回想
[33] 문서 草鹿回想
[34] 문서 モリソンの太平洋海戦史
[35] 문서 草鹿回想
[36] 참조 戦藻録(九版)
[37] 참조 戦藻録(九版)
[38] 참조 S1707七戦隊日誌(4)
[39] 서적 連合艦隊参謀長の回想 光和堂
[40] 참조 戦藻録(九版)
[41] 참조 吉田比叡
[42] 참조 吉田比叡
[43] 참조 吉田比叡
[44] 참조 S1707七戦隊日誌(4)
[45] 참조 吉田比叡
[46] 참조 モリソンの太平洋海戦史
[47] 참조 モリソンの太平洋海戦史
[48] 참조 草鹿回想
[49] 참조 해군공죄
[50] 참조 일본공모전사
[51] 참조 戦藻録(九版)
[52] 참조 戦藻録(九版)
[53] 참조 モリソンの太平洋海戦史
[54] 참조 草鹿回想
[55] 참조 내령소화17년5월(2)
[56] 서적 Guadalcanal
[57] 서적 Guadalcanal
[58] 서적 Guadalcanal
[59] 서적 Guadalcanal
[60] 서적 Carrier Clas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