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류조 (철갑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조는 1864년 진수되어 1869년 스코틀랜드에서 준공된 일본 제국 해군의 철갑함이다. 원래 구마모토 번이 소유했으나, 1870년 메이지 신정부에 헌상되어 일본 해군의 기함으로 사용되었다. 류조는 1880년대 원양 항해 중 각기병 발생으로 식단 개선의 계기를 마련했으며, 1893년 퇴역 후 훈련함으로 사용되다 1908년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4년 선박 - 아즈마칸
    아즈마칸은 19세기 후반 건조된 철갑함으로 남부 연합 해군, 미국 해군을 거쳐 일본 제국 해군에서 활약했으며, 남북 전쟁, 보신 전쟁 등 다양한 역사적 사건을 거치며 이름이 변경되는 등 복잡한 역사를 지녔다.
  • 일본의 코르벳 - 가스가마루
    가스가마루는 청나라 해군을 위해 건조되었으나 사쓰마 번이 구입하여 운용한 목조 외륜 증기선으로, 아와 해전에 참전하고 일본 제국 해군에 배속되어 여러 사건에 참여하다가 1902년에 매각되었다.
  • 일본의 코르벳 - 후소 (철갑함)
    일본 제국 해군의 초기 철갑함인 후소는 영국에서 건조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 참전했고 순양함과 충돌하여 침몰 후 인양되기도 했으나 1908년 퇴역 후 해체되었다.
  • 일본 제국의 해군 함정 - 다카치호 (방호순양함)
    다카치호는 일본 제국 해군의 방호순양함으로, 자매함 나니와와 함께 당시 세계에서 가장 진보된 순양함으로 평가받았으며 청일전쟁, 러일전쟁,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나 칭다오 공략전 후 독일 해군의 어뢰 공격으로 침몰하여 일본 해군 군함 중 최초로 교전 중 격침된 함선이 되었다.
  • 일본 제국의 해군 함정 - 이쓰쿠시마 (방호순양함)
    이쓰쿠시마는 1891년 일본 제국 해군에 인도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며, 1912년 2등해방함으로 분류가 변경된 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다 1926년 해체되었다.
류조 (철갑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개요
류조 정박 중, 1871–1872년경
류조 정박 중, 1871–1872년경
함명류조 (龍驤, Prancing Dragon, 용이 날뛰는 모습)
함선 경력
국가일본 제국
함명 변천건조 당시: Jho Sho Maru
1870년 4월 12일: Ryusho
이후: 류조
건조알렉산더 홀 앤 선즈, 애버딘
기공알 수 없음
진수1869년 3월 27일
완공1869년 7월 26일
취역1870년 6월 6일
퇴역1893년 12월 2일
폐선1906년 9월
운명1908년 고철로 판매
비고알 수 없음
함선 특징 (건조 당시)
함 종류철갑함 코르벳함
길이(수선간)
추진1축, 2개의 직동 증기 엔진
돛 장착
동력4개의 직사각형 보일러
승무원275명 (1873년 10월)
무장2 × 100파운드 활강포 전장 장전포
8 × 64파운드 활강 전장 장전포
장갑수선대:
비고알 수 없음
일본어 정보
함명 (일본어)龍驤
이미지 설명 (일본어)메이지 초기 촬영으로 추정되는 류조
건조 회사영국 아바딘 소재 알렉산더 홀 앤 컴퍼니(Alexander Hall & Co. Ltd.#日本の戦艦(上)2001p.20)
추가 정보
구매 가격270,000양, 36만 달러
함 종류코르벳함
톤수2,530톤
길이또는 212척(64.24m)
추진축 회전수56rpm
스크류2엽 청동 스크류
주기관횡치 직동 2기통 왕복 기관 1기
보일러각관 4기
출력800마력
연료탄단 600,000근
항속 거리연료 소비: 50,000근/일
돛대3장 쉽 리깅
1873년 10월 정원275명
선체목조 철대
신호 부호GQBC
최종 속력8노트
최종 무장64파운드 크루프포 6문
7.5cm 크루프포 2문
4파운드 산포 2문
한국어 정보
건조 회사알렉산더 홀 앤 컴퍼니 (스코틀랜드 애버딘)
퇴역1893년 12월 2일
최종 운명1908년 매각 후 해체
무장6 × 64 lb 크루프 포, 등
장갑벨트 : 115mm

2. 역사적 배경

1864년 스코틀랜드 애버딘 조선소에서 건조되어 1869년 준공된 류조함은 원래 구마모토 번이 소유하고 있었으나, 1870년 메이지 신정부에 헌상되면서 일본 제국 해군의 소유가 되었다.[1]

1871년 초, 영어 교관 호스 중위와 함께 모인 ''류조''의 해군 사격 훈련생들


류조는 1870년 대일본 제국 해군으로 이관되었으며, 1878년 철갑함 후소가 완성될 때까지 해군의 기함 역할을 했다.[1] 1871년 메이지 천황이 요코스카 해군 공창을 방문했을 때 류조를 검사했으며, 1872년에는 순방 중 배에 머물렀다. 같은 해 도쿄만에서 훈련에 참여했고, 소에지마 타네오미 외무대신을 청나라로 호송하는 임무를 수행했다.[1] 사가의 난 때는 정부군을 수송했고, 오쿠보 도시미치 내무성 장관을 맞이하기도 했다.[1]

1875년 메이지 천황은 류조를 타고 세이키의 진수를 참관했다. 1876년에는 블라디보스토크조선을 방문했다. 1877년 사쓰마 반란 진압에 참여했고, 같은 해 가고시마만에서 좌초되었다가 1878년에 복구되어 1880년까지 수리되었다. 이후 제국 해군 사관학교의 훈련함이 되었다.[1]

1881년 오스트레일리아로 첫 훈련 항해를 했고, 1882년 요코하마로 이관되었다. 1883년에는 뉴질랜드, 칠레, 페루, 하와이를 방문하는 장거리 항해 훈련을 했다. 이 항해 중 각기병 환자가 발생하여 다카키 가네히로 해군 군의관이 식단 개선을 통해 각기병을 예방하는 연구를 수행했다.[1]

1884년 류조는 조선 해안을 항해했고, 1887년에는 오스트레일리아와 하와이로 훈련 항해를 했다.[1] 1888년 기계가 제거되었고, 1890년에는 3급 군함, 1893년에는 5급 군함(퇴역)으로 분류되어 사격 훈련함으로 사용되었다.[1] 청일 전쟁 때는 요코스카 항 입구에서 부유 포대로 사용되었다. 1906년까지 사격 훈련함으로 사용되다가 1908년 해체되어 자재 일부가 구마모토 성으로 보내졌다.[1]

1870년 구마모토 번으로부터 메이지 신정부에 헌상되어 장갑함 후소의 취역까지 일본 해군의 기함 역할을 수행했으며, 1872년에는 메이지 천황의 좌승함으로 서국 순행에 사용되었다. 사가의 난, 타이완 출병, 세이난 전쟁에 종군했다.

'''류조'''는 훈독으로 '''아가루'''라고 읽으며, '''류조'''는 "이 하늘로 승천하는 모습", 즉 "용이 하늘로 승천하는 듯한 기세"를 의미한다.

2. 1. 건조 배경

1860년대 일본은 근대화를 추진하면서 서구 열강으로부터 군함을 도입하거나 자체 건조를 시도하고 있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구마모토 번은 영국에 군함 건조를 발주했는데, 이 배가 바로 류조함이다. 영국의 상인 토마스 블레이크 글러버는 구마모토 번을 위해 스코틀랜드 애버딘의 알렉산더 홀 조선소에 장갑 코르벳을 주문했다.[1] 이 배는 1869년 3월 27일에 진수되었고,[1] 7월 24일에 완성되었다.[1] 8월 11일에 일본으로 출발하여[1] 1870년 1월에 나가사키에 도착했으며, 글러버는 4월 12일에 구마모토 번에 27만 금 에 매각했다. 구마모토 번은 배 이름을 '''료쇼'''(龍驤)로 지었다가 이후 '''류조'''(龍驤)로 개명했다.[1]

2. 2. 메이지 정부에 헌상

1870년 3월, 구마모토 번은 토마스 블레이크 글로버에게서 구입한 류조함을 메이지 정부에 헌납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17] 1870년 4월 12일(양력 5월 12일) 태정관은 이를 수락한다는 회신을 보냈으며,[18] 같은 해 5월 8일(양력 6월 6일) 시나가와 항 앞바다에서 류조함을 인수하여 병부성 관할로 하였다.[19] '해군성 보고서'에는 1870년 4월 12일에 구마모토 번으로부터 헌납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19] 이는 중앙집권화를 추진하던 메이지 정부와 재정적 부담을 줄이려는 구마모토 번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결과였다.

3. 제원

류조함은 목조 선체에 철제 장갑을 덧댄 구조의 기범선이었다. 3개의 돛대와 1개의 프로펠러를 가지고 있었으며, 증기기관을 함께 사용했다.[6] 수선간 길이는 64m, 선폭은 12.8m, 흘수는 6m였다. 배수량은 약 2570598.91kg였다.

무장으로는 100파운드 포 2문, 64파운드 포 8문, 그리고 나중에 추가된 6파운드 암스트롱 포 2문 등이 있었다.

3. 1. 구조



류조함은 나무로 된 선체에 연철제 장갑 벨트를 두른 형태로 건조되었다.[6] 수선간 길이는 약 64.01m, 선폭은 약 11.58m, 흘수는 만재 흘수에서 약 5.49m였다. 무어솜 시스템으로 측정한 총톤수는 추진 기계 공간을 제외하고 992톤이었다. 배수량은 약 2570598.91kg였으며, 선수에는 해군 래밍이 장착되었다. 1873년 10월에는 승무원 수가 275명이었다.

류조는 수평 직동 증기 기관 한 쌍을 장착했는데, 1.4atm의 작동 압력으로 4개의 직사각형 보일러에서 제공되는 증기를 사용하여 단일 프로펠러 샤프트를 구동했다. 이 엔진은 총 280 공칭 마력( )으로 평가되었으며, 배의 속도는 이었다. 최대 의 석탄을 실을 수 있었지만, 항속 거리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 코르벳은 3개의 돛대가 있는 범선으로 장비되었다.

류조는 처음에는 회전포에 100파운드 () 포 2문이 추격포로 장착되었고, 현측 포화는 64파운드 포 8문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포는 모두 평활포신 전장식 조시아 바바쇠르의 런던 병기 공장에서 제작되었다. 1870년 일본에 인도된 후, 무장은 6파운드 () 암스트롱 포 2문과 알려지지 않은 크기의 패럿 강선포신 전장식 소총 2문으로 보강되었다. 1872년까지 패럿 소총은 다른 64파운더 포 2문으로 교체되었다. 1887년까지 무장은 2문의 17 cm RK L/25 크루프 강선 후장포 (실제로는 )와 70파운더 바바쇠르 포 6문으로 구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1894년 이 배가 사격 훈련선으로 개조되었을 때, 크루프 17cm 포 1문과 강선 전장포 5문이 장착되었다.

이 배의 수선은 의 무게가 나가는 장갑 벨트 장갑으로 보호되었다. 이 장갑은 총 높이가 이고 두께가 인 2열의 연철판으로 구성되었다.

3. 2. 무장

''류조''는 초기에는 회전포에 100파운드(약 16.51cm) 포 2문을 선수 추격포로, 현측에는 64파운드(약 13.97cm) 포 8문을 장착했다. 이 포들은 모두 런던 병기 공장에서 제작된 조시아 바바쇠르의 평활포신 전장식 포였다. 1870년 일본에 인도된 후에는 6파운드(57mm) 암스트롱 포 2문과 알려지지 않은 크기의 패럿 강선포신 전장식 소총 2문이 추가되었다. 1872년까지 패럿 소총은 다른 64파운더 포 2문으로 교체되었다.

1887년까지 ''류조''의 무장은 2문의 17 cm RK L/25 크루프 강선 후장포(실제로는 17.26cm)와 70파운더 바바쇠르 포 6문으로 구성되었다. 1894년 훈련함으로 개조되면서 크루프 17cm 포 1문과 약 16.00cm 강선 전장포 5문이 장착되었다.

4. 운용

토마스 블레이크 글로버는 일본에서 광범위한 상업적 이익을 가진 영국의 상인이었다. 그는 스코틀랜드 애버딘의 알렉산더 홀 조선소에 42,032파운드에 장갑 코르벳을 주문했다. 이 배는 1869년 3월 27일에 진수되었고 7월 24일에 완성되었다.[1] 8월 11일에 일본으로 출발하여 1870년 1월에 나가사키에 도착했으며, 글로버는 4월 12일에 구마모토 번에 270,000금 에 매각했다. 구마모토 번은 배 이름을 龍驤|료쇼|일본어(이후 알려지지 않은 날짜에 龍驤|류조|일본어로 개명됨)로 변경했다.[1]

류조는 1870년 6월 6일에 새로운 대일본 제국 해군으로 이관되었으며, 1872년 해군성 발족으로 그대로 일본 해군의 군함이 되었다. 1878년 철갑함 후소|扶桑|일본어가 완성될 때까지 해군의 기함 (그리고 가장 강력한 배)이었다.[1] 1871년 11월 21일에는 요코스카 해군 공창을 방문한 메이지 천황의 검사를 받았으며, 1872년 5월 23일에는 순방 중 배에 머물렀다. 메이지 천황은 10월 26일 기동 중 함대를 사열했다.[1]

1873년 1월 19일, 류조는 도쿄 만의 사루시마 섬 인근에서 훈련에 참여했으며, 그 해 후반에 외무대신 소에지마 타네오미를 태워 1871년 타이완 원주민에 의한 일본인 선원 살인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는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청나라로 호송했다. 사가의 난 동안에는 1874년 3월에 정부 총사령관과 참모진을 인근 나가사키로 수송하는 작은 역할을 했다. 그 해 말에는 내무성 오쿠보 도시미치를 맞이했다.[1]

1875년 3월 5일, 메이지 천황은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건조된 코르벳 세이키|淸輝|일본어의 진수를 참관하기 위해 ''류조''를 방문했다. 1876년 4월 13일부터 7월 27일까지는 블라디보스토크, 러시아한국의 여러 항구를 방문했다. 1877년 2월 사쓰마 반란이 시작되었을 때 고베에 있었으며, 류조는 반란 진압에 작은 역할을 했다. 10월 26일 폭풍우 속에서 가고시마 만의 암초에 좌초되었고, 1878년 5월 15일까지 다시 부양되지 못했다. 슬루프 닛신|日進|일본어에 의해 7월 24~29일에 요코스카로 예인되었으며, 수리는 1880년에야 완료되었다. 10월 30일에는 제국 해군 사관학교의 훈련함이 되었다.[1]

1884년 12월 26일, 류조는 시나가와에서 조선 해안을 따라 항해를 시작했다.[1]

1890년 12월 23일에는 3급 군함으로 재분류되어 사격 학교의 훈련함이 되었고, 1893년 12월 2일 5급 군함(퇴역)으로 더 낮춰져 더 이상 영구적으로 운용되지 않았다.[1] 청일 전쟁 동안 1894년 9월 12일부터 1895년 2월 17일까지 요코스카 항 입구에서 부유 포대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이전 역할로 복귀했다. 1906년 9월에 새로운 육상 시설이 완공될 때까지 계속 사격 훈련함으로 사용되었다. 1908년 7월 31일, 일본 정부는 류조가 그 해 말에 고철로 매각되기 전에 활 장식과 이름판을 구마모토 성으로 보내 보존하도록 명령했다.

4. 1. 주요 활동

1870년 구마모토 번에서 메이지 신정부에 헌상되어 일본 제국 해군의 군함이 되었고, 1878년 철갑함 扶桑|후소|일본어가 취역할 때까지 일본 해군의 기함 역할을 수행했다.[1] 1872년에는 메이지 천황이 승선하여 서일본 지역을 순행하기도 했다.

사가의 난, 타이완 출병, 세이난 전쟁 등 일본 내 여러 사건에 참전했다.[1] 특히 세이난 전쟁 당시에는 가고시마에서 폭풍을 만나 좌초되기도 했으나, 이후 수리를 거쳐 1880년에 다시 임무에 복귀했다.[1]

1881년부터 1887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오스트레일리아, 남아메리카, 하와이 등지로 원양 항해 훈련을 실시했다.[1] 이 과정에서 승무원들이 각기병에 걸리는 사건이 발생하여, 일본 제국 해군의 식단 개선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1]

다음은 류조의 주요 활동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사건
1870년구마모토 번에서 메이지 신정부에 헌상, 일본 제국 해군의 기함이 됨.
1872년메이지 천황의 서일본 순행에 사용됨.
1874년사가의 난, 타이완 출병에 참전.
1877년세이난 전쟁 참전 중 가고시마에서 좌초.
1880년수리 완료 후 제국 해군 사관학교 훈련함이 됨.
1881년오스트레일리아로 첫 번째 원양 항해 훈련.
1882년도카이 해군 기지로 이관.
1883년남아메리카로 두 번째 원양 항해 훈련 (승무원 각기병 발생).
1884년조선 해안 항해.
1885년갑신정변으로 조선 수역 경비.
1887년오스트레일리아, 하와이로 세 번째 원양 항해 훈련.


4. 2. 각기병 사건

1882년 4월 7일, 류조는 도카이 해군 기지로 이관되었다.[1] 그해 12월 19일부터 1883년 10월 15일까지 류조는 뉴질랜드웰링턴, 칠레발파라이소, 페루의 칼라오, 하와이 왕국호놀룰루를 방문하며 두 번째 장거리 항해 훈련을 수행했다.[1]

이 항해는 류조의 첫 남아메리카 원양 항해였다. 류조가 호놀룰루에 도착했을 때, 전체 승무원 376명 중 169명이 각기병에 걸려 항해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1] 특히 칠레에서 호놀룰루까지 58일 동안 150명이 발병하여 그중 23명이 사망했다.[1] 류조는 "병자가 많아 항해가 불가능하다. 돈을 보내라"라는 전보를 일본에 보냈고, 각기병 환자가 회복될 때까지 약 한 달간 호놀룰루에 정박했다.[1] 또한, 선내의 모든 식료품을 폐기하고 빵, 신선한 조류와 짐승 고기, 채소를 실었다.[1] 그 결과, 일본으로 돌아가는 길에는 새로운 각기병 사망자를 내지 않고 귀항할 수 있었다.[1]

다카키 가네히로 해군 군의는 이전 몇 년 동안 각기병의 원인을 조사해 왔으며, 그것이 식단, 특히 단백질 부족 문제라는 이론을 세웠다.[1] 런던에서 역학적 방법을 익힌 다카키는 해군에 새로운 고단백 식단을 실험할 것을 건의했다. 변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류조와 동일한 항해 경로를 따르는 훈련함 쓰쿠바를 파견하여 실험하도록 설득했다.[1] 쓰쿠바함은 1884년 2월 3일에 일본을 출발하여 11월 16일에 돌아왔고, 333명의 승무원 중 14건의 각기병만 발생했다.[1] 조사 결과, 새로운 식단을 따르지 않은 승무원만이 각기병에 걸린 것으로 밝혀졌다.[1]

결과적으로 일본 제국 해군은 새로운 식단을 전면적으로 채택하여 몇 년 만에 각기병을 근절했다.[1]

4. 3. 퇴역

1893년 12월 2일, 류조는 제적되어 해군 포술 연습함으로 사용되었다.[3] 1908년에 해체되었으며, '류조'(龍驤|류조일본어)라는 함명은 이후 건조된 항공모함 류조에 계승되었다.

5. 의의 및 영향

메이지 신정부에 헌상된 1870년부터 장갑함 후소가 취역할 때까지 일본 해군의 기함 역할을 수행했으며, 1872년에는 메이지 천황의 좌승함으로 서국 순행에 사용되었다.[1] 사가의 난, 타이완 출병, 세이난 전쟁에 참전했다.[1]

참조

[1] 간행물 Kanehiro Takaki and the Control of Beriberi in the Japanese Navy 2013-07-29
[2] 문서 日本の戦艦(上)2001
[3] 문서 T6公文備考50/雑款(1)
[4] 문서 機関史(1975)
[5] 서적 明治維新とイギリス商人
[6] 문서 T6公文備考50/雑款(1)
[7] 문서 機関史(1975)
[8] 문서 M5公文類纂24/管轄艦船等の数並乗組人員共取調方他3件
[9] 문서 機関史(1975)
[10] 문서 機関史(1975)
[11] 문서 機関史(1975)
[12] 문서 M7公文類纂13/管轄(1)
[13] 문서 公文類聚10編33巻
[14] 문서 機関史(1975)
[15] 서적 明治維新とイギリス商人
[16] 서적 グラバー商会
[17] 문서 M3公文類纂10/細川藩より甲鉄艦献納の表
[18] 문서 M3公文類纂10/右被聞届旨細川藩へ御達
[19]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1870-04
[20] 문서 海軍制度沿革4-1(1971)
[21] 문서 機関史(1975)
[22]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1870-07
[23] 문서 M4公文類纂24/摂津艦品海着の件同船届
[24] 문서 M4公文類纂24/摂津艦海軍所湾中へ引入の件
[25] 문서 海軍制度沿革4-1(1971)
[26] 문서 M4公文類纂5/伊東中佐任叙等の件
[27] 문서 M4公文類纂48/7月9日烈風雨軍艦其他傷損調方
[28] 문서 M4公文類纂48/7月9日烈風雨軍艦其他傷損調方
[29] 문서 M4公文類纂25/龍驤艦修復の件工部省へ掛合
[30]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1871-10
[31] 문서 海軍制度沿革4-1(1971) 1872
[32]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1872-05
[33]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1872-07
[34] 문서 M5公文類纂24/龍驤艦2艦品海着艦の件
[35] 문서 M5公文類纂24/龍驤鳳翔の両国魯国皇子渡来に付横浜へ回艦の件他2件
[36] 문서 M5公文類纂24/龍驤鳳翔の両国魯国皇子渡来に付横浜へ回艦の件他2件
[37] 문서 M5公文類纂25/当艦水平線銘打替方の件
[38] 문서 M5公文類纂24/龍驤艦横浜抜錨横須賀入港の件
[39]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1873-02
[40] 문서 M6公文類纂15/竜驤筑波両艦清国廻航申付
[41] 문서 S9.12.31恩給叙勲年加算調査(下)/軍艦(3)
[42]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1873-02
[43] 문서 M6公文類纂15/諸届留 艦隊指揮届 副島種臣清国差遣に付軍艦2艘清国回艦御達の件
[44] 문서 M6公文類纂15/甲8套大日記 艦隊指揮届 副島種臣清国差遣に付軍艦2艘清国回艦御達の件
[45] 문서 M6公文類纂15/甲3套6番送達大日記 太政官え届 副島種臣清国差遣に付軍艦2艘清国回艦御達の件
[46] 문서 M6公文類纂15/甲8套1番大日記 副島種臣清国差遣に付軍艦2艘清国回艦御達の件
[47] 문서 M6公文類纂15/諸届留 兵学寮届 副島種臣清国差遣に付軍艦2艘清国回艦御達の件
[48] 문서 M6公文類纂15/甲3套送達大日記 太政官え届 副島種臣清国差遣に付軍艦2艘清国回艦御達の件
[49]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1873-07
[50] 문서 M6公文類纂15/癸3套秘事大日記 竜驤艦日進両艦横浜廻艦2
[51] 문서 M6公文類纂15/竜驤艦トック入の儀に付横須賀廻艦
[52] 문서 M6公文類纂16/諸届留 艦隊指揮届 伊太里国軍艦修理方及横須賀回艦
[53]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1874-02
[54]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1874-04
[55] 문서 M7公文類纂15/航泊出入(3)
[56]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1874-07
[57] 문서 M7公文類纂15/航泊出入(4)
[58] 문서 M7公文類纂15/航泊出入(6)
[59] 문서 M7公文類纂15/航泊出入(7)
[60] 서적 横須賀海軍船廠史(1973)
[61] 서적 海軍制度沿革4-1(1971) 1875
[62]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1875-10
[63]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1875-10
[64]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1876-03
[65] 문서 M9.7-M10.6海軍省報告書/沿革 1876-07
[66] 문서 M9.7-M10.6海軍省報告書/沿革 1877-01
[67] 문서 M9.7-M10.6海軍省報告書/沿革 1877-02
[68] 문서 M11.7-M12.6海軍省報告書
[69] 문서 M12.7-M13.6海軍省報告書
[70] 문서 M11布達/10月 1878-10-28
[71] 문서 M11.7-M12.6海軍省報告書
[72] 문서 M12.7-M13.6海軍省報告書
[73] 문서 M13.7-M14.6海軍省報告書
[74] 서적 横須賀海軍船廠史(1973)
[75] 문서 M13.7-M14.6海軍省報告書
[76] 문서 M13.7-M14.6海軍省報告書
[77] 서적 横須賀海軍船廠史(1973)
[78] 문서 M14.7-M15.6海軍省報告書
[79] 서적 戦史叢書第038巻 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1>昭和十七年五月まで https://www.nids.mod[...] 朝雲新聞社
[80] 문서 M14.7-M15.6海軍省報告書
[81] 문서 M15.7-12海軍省報告書
[82] 문서 M15達/丙第25号
[83] 문서 M14.7-M15.6海軍省報告書
[84] 문서 M15.7-12海軍省報告書
[85] 서적 海軍制度沿革4-1(1971)
[86] 문서 M15達/丙第84号
[87] 문서 M15.7-12海軍省報告書
[88] 문서 M15.7-12海軍省報告書
[89] 문서 M15達/丙第104号
[90] 문서 M16海軍省報告書
[91] 간행물 竜驤艦脚気病調査書 近代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URL|4005[...] 海軍省 1885-02
[92] 서적 海軍制度沿革4-1(1971)
[93] 문서 M16海軍省報告書
[94] 서적 海軍制度沿革4-1(1971)
[95] 서적 海軍制度沿革4-1(1971)
[96] 서적 海軍制度沿革4-1(1971)
[97] 문서 M26達(下)/12月(1)
[98] 문서 M26達(下)/12月(1)
[99] 문서 M27達(上)/3月
[100] 문서 M41公文備考15/売却其他諸処分(2)
[101] 문서 M41公文備考15/売却其他諸処分(2)
[102] 문서 M41公文備考15/売却其他諸処分(4)
[103] 문서 M3公文類纂4/牛島五一郎艦長被免并勤仕中勉励に付賞輿
[104]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105] 문서 M3公文類纂3/中島四郎外3名任官等達
[106]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1872-07-01
[107]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1873-03-01
[108] 간행물 官報 1885-11-10
[109] 간행물 官報 1887-10-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