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양안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양안충은 포유류의 눈에 기생하는 선충의 일종이다. 성충은 원통형이며, 다양한 포유류가 종숙주이고 초파리가 중간숙주 역할을 한다. 암컷은 눈 주변 조직에서 유충을 낳고, 파리를 통해 다른 숙주로 전파된다. 동양안충은 중국, 일본, 한국 등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되며, 인체 감염 시 결막염, 시력 저하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진단은 눈에서 성충을 발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치료는 기생충 제거 또는 약물 투여를 통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쌍선충강 - 회충
    회충은 사람 소장에 기생하는 대형 선충으로, 암수딴몸이며 분변-구강 경로를 통해 감염되어 복통, 설사 등을 유발하고, 약물 치료와 위생 개선으로 관리된다.
  • 쌍선충강 - 원선충아목
    원선충아목은 척추동물에 기생하며 소화기, 호흡기, 혈관계 감염을 일으키는 다양한 상과와 과를 포함하는 선형동물 분류군이다.
동양안충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수컷 동양안충
수컷
과학적 분류
동물계
선형동물문
쌍선충강
아강선미선충아강
선미선충목
아목선미선충아목
상과테라지아상과
안충과
아과테라지아아과
테라지아속
동양안충
학명Railliet & Henry, 1910

2. 형태

성충인 동양안충(''Thelazia callipaeda'')은 보통 길이가 5~20mm이고, 지름이 250~800μm이다. 수컷은 암컷보다 크기가 작은 경향이 있다. 다른 벌레와 이 종을 구별하는 특징은 독특한 구강 캡슐과 융기된 외관을 나타내는 간격이 있는 가로 줄무늬가 있는 큐티클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성체 암컷은 식도-장 접합부 앞쪽에 위치한 생식공의 위치로도 식별할 수 있다. 수컷은 5쌍의 항문후 유두를 가지고 있다는 점으로 구별할 수 있다.[18] 몸길이는 11~15mm, 몸폭은 0.33mm인 흰색 선충이다.[18]

3. 숙주

동양안충은 주로 인간, 개, 고양이를 종숙주로 하며, 이따금 늑대, 너구리, 붉은 여우, 토끼 등도 종숙주가 된다.[30]

동양안충의 중간숙주는 두 종의 초파리이다. 유럽에서는 Amiota (Phortica) variegatala 종이, 아시아에서는 Phortica okadaila 종이 중간숙주이다.[31] 일본에서는 큰얼룩눈파리, 얼룩눈파리, 캇파눈파리 등이 중간숙주 역할을 한다.[18]

연구에 따르면 동양안충은 중간숙주 초파리 중에서도 수컷 초파리를 통해서만 유충을 퍼뜨린다. 이는 피를 통해 유충을 감염시키고 피를 먹이로 하는 다른 기생충들이 보통 암컷을 중간숙주로 삼는 것과는 다른 특이한 경우이다.[32]

4. 생활사

''Thelazia callipaeda''의 알은 암컷이 최종 숙주의 눈 주변 조직에 있는 동안 자궁 내에서 1기 유충(L1)으로 발달한다.[11] 암컷은 이 유충들을 숙주의 눈물에 알 껍질에 싸인 채로 낳는다. 눈물을 먹는 파리(중간 숙주)가 먹이를 먹을 때, ''T. callipaeda'' 유충을 섭취한다. 파리 내에서 L1 유충은 알 껍질에서 "부화"하여 장벽을 관통한다. 그들은 2일 동안 혈강에 머물고, 그 후 파리의 지방체 또는 고환을 침입한다. 이 조직에서 유충은 3기 유충(L3)으로 발달한다. L3는 파리의 머리로 이동하여 파리가 다시 먹이를 먹을 때 새로운 숙주 포유류의 눈 안이나 근처로 방출된다. 포유류 숙주의 눈, 눈꺼풀, 눈물샘 또는 눈물관에 들어가면 L3 유충은 L4 유충 단계를 거쳐 약 1개월 만에 성충으로 발달한다. 이탈리아에서 자연적으로 감염된 개의 눈물 분비물에서 L1 및 L4 유충의 계절적 시기는 파리 매개체의 활동과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2]

5. 역학

동양안충은 주로 사람, 고양이, 개를 종숙주로 하며, 늑대, 너구리, 붉은여우, 토끼 등도 종숙주가 될 수 있다.[30]

중국, 프랑스, 독일, 인도, 인도네시아, 이탈리아, 일본, 대한민국, 네덜란드, 러시아, 스위스, 타이완, 태국, 크로아티아에서 발견되었으며,[5] 2021년에는 미국에서도 발견되었다.[6]

동양안충의 중간숙주는 초파리인데, 유럽에서는 *Amiota* (*Phortica*) *variegata* 종이, 아시아에서는 *Phortica okadai* 종이 중간숙주 역할을 한다.[31] 연구에 따르면 동양안충은 수컷 초파리를 통해서만 유충을 퍼뜨리는데, 이는 피를 통해 유충을 감염시키는 다른 기생충들이 보통 암컷을 중간숙주로 삼는 것과는 다른 특이한 경우이다.[32]

2000년 기준으로 인체 감염 사례는 250례 이상 보고되었고,[20] 2011년 기준 일본 내 인체 감염 사례는 160례 정도였으며, 서일본, 특히 규슈 지역에 많았다.[18]

6. 감염 증상

결막염, 과도한 눈물(유루증), 시력 저하, 각막 궤양 또는 흉터가 생길 수 있으며, 육안으로 눈에 기생하는 기생충을 확인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벌레가 숙주의 시야를 가리는 "비문증"과 같은 흐림이 생기는 것이 유일한 증상일 수 있다.[13][27]

개 눈 속의 ''Thelazia callipaeda''

7. 진단 및 치료

진단은 눈이나 주변 조직에서 성충을 발견하여 이루어진다. 사람의 경우에는 국소 마취 후 핀셋 등을 이용하여 눈에서 직접 기생충을 제거하여 치료한다.[13][27]

개의 경우 직접 잡아 빼는 것은 힘들고 위험하므로 이미다클로프리드와 목시덱틴을 병용하거나,[14][28] 밀베마이신 옥심을 외용하는 것이 권장된다.[15][29] 개의 동양안충증은 밀베마이신 옥심과 아폭솔라너의 조합을 매달 투여하여 예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16]

참조

[1] 논문 Systematic review on infection and disease caused by ''Thelazia callipaeda'' in Europe: 2001–2020
[2] 논문 Nouvelles observations sur les Thélazies, Nématodes parasites de l'oeil
[3] 논문 Five cases of thelaziasis 2000-04
[4] 논문 Zoonotic helminths affecting the human eye 2011-03-23
[5] 논문 Human thelaziasis, Europe https://www.cdc.gov/[...] 2008-04
[6] 논문 Autochthonous Thelazia callipaeda Infection in Dog, New York, USA, 2020 https://wwwnc.cdc.go[...] 2021-05-12
[7] 논문 Nematode biology and larval development of ''Thelazia callipaeda'' (Spirurida, Thelaziidae) in the drosophilid intermediate host in Europe and China 2005-12
[8] 논문 The zoophilic fruitfly Phortica variegata: morphology, ecology and biological niche 2006-12
[9] 논문 ''Phortica variegata'' as an intermediate host of ''Thelazia callipaeda'' under natural conditions: evidence for pathogen transmission by a male arthropod vector 2006-09
[10] 논문 Parasite transmission by insects: a female affair? 2008-03
[11] 서적 Nematode parasites of vertebrates: their development and transmission CAB International
[12] 논문 Biology of ''Thelazia callipaeda'' (Spirurida, Thelaziidae) eyeworms in naturally infected definitive hosts 2004-11
[13] 논문 Intraocular infestation with the worm, ''Thelazia callipaeda'' 1999-10
[14] 논문 Treatment of dog thelaziosis caused by ''Thelazia callipaeda'' (Spirurida, Thelaziidae) using a topical formulation of imidacloprid 10% and moxidectin 2.5% 2005-04
[15] 논문 Therapeutic and prophylactic efficacy of milbemycin oxime (Interceptor) against ''Thelazia callipaeda'' in naturally exposed dogs 2008-07
[16] 논문 Prevention of canine ocular thelaziosis (''Thelazia callipaeda'') with a combination of milbemycin oxime and afoxolaner (Nexgard Spectra®) in endemic areas in France and Spain
[17] 논문 Nouvelles observations sur les Thélazies, Nématodes parasites de l'oeil
[18] 서적 図説人体寄生虫学 南山堂
[19] 논문 Human Thelaziasis, Europe http://www.cdc.gov/e[...] 2008-04
[20] 논문 Five cases of thelaziasis
[21] 논문 Nematode biology and larval development of Thelazia callipaeda (Spirurida, Thelaziidae) in the drosophilid intermediate host in Europe and China
[22] 논문 The zoophilic fruitfly Phortica variegata: morphology, ecology and biological niche
[23] 논문 Phortica variegata as an intermediate host of Thelazia callipaeda under natural conditions: evidence for pathogen transmission by a male arthropod vector
[24] 논문 Parasite transmission by insects: a female affair?
[25] 서적 Nematode parasites of vertebrates: their development and transmission CAB International
[26] 논문 Biology of Thelazia callipaeda (Spirurida, Thelaziidae) eyeworms in naturally infected definitive hosts
[27] 논문 Intraocular infestation with the worm, Thelazia callipaeda
[28] 논문 Treatment of dog thelaziosis caused by Thelazia callipaeda (Spirurida, Thelaziidae) using a topical formulation of imidacloprid 10% and moxidectin 2.5%
[29] 논문 Therapeutic and prophylactic efficacy of milbemycin oxime (Interceptor) against Thelazia callipaeda in naturally exposed dogs
[30] 저널 Human Thelaziasis, Europe http://www.cdc.gov/e[...] 2014-11-08
[31] 저널 Nematode biology and larval development of Thelazia callipaeda (Spirurida, Thelaziidae) in the drosophilid intermediate host in Europe and China
[32] 저널 Parasite transmission by insects: a female affai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