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둘신은 1884년 독일에서 합성되어 1891년 상업적으로 생산된 인공 감미료이다. 제조 비용이 저렴하여 태평양 전쟁 후 일본에서 설탕 대체재로 대량 사용되었으나, 1951년 독성이 지적되고 1954년 미국에서 사용이 금지되었다. 일본에서는 1968년에 식품 첨가물 지정이 삭제되고 1969년에 전면 금지되었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둘신은 쥐에게 독성이 있으며, 사람에게는 간 기능 장애를 일으키거나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소 (화학) - 요소수
요소수는 디젤 엔진의 질소산화물을 줄이는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에 사용되는 표준 물질로, 보통 32.5% 요소 수용액 형태로 사용되며, 배기가스에 분사되어 질소산화물을 질소와 물로 환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 요소 (화학) - 트라조돈
트라조돈은 SARI 계열 항우울제로, 우울증, 불면증, 불안 장애 치료에 사용되며, 5-HT2A 수용체 길항제 및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 효과를 가진 mCPP 활성 대사체를 통해 약리학적 특성을 나타내고 다양한 제형으로 판매된다. - 감미료 - 당밀
당밀은 사탕수수나 사탕무에서 설탕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짙은 갈색의 시럽 부산물로, 끓이는 횟수에 따라 종류가 나뉘며 식품 및 산업 원료로 다양하게 활용된다. - 감미료 - 시럽
시럽은 설탕과 물을 섞어 만든 감미료로, 다양한 원료에서 추출하거나 농축하여 만들며, 요리, 음료, 제과 제빵 등에서 단맛과 풍미를 더하는 데 사용되지만, 최근 소비자 안전 관련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둘신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2. 역사
둘신은 1884년 독일에서 처음 합성되어[17] 1891년부터 상업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한 인공 감미료이다. 제조 비용이 저렴하여, 특히 태평양 전쟁 패전 후 설탕이 귀했던 일본 등지에서 널리 사용되었다[17][18]. 그러나 1950년대 초 독성이 보고되기 시작하면서[19][20], 1954년 미국을 시작으로 여러 선진국에서 사용이 금지되었다. 일본은 중독 사망 사례에도 불구하고[14] 상대적으로 늦은 1969년에야 사용을 전면 금지했다[21]. 이후에도 중화인민공화국 등 일부 국가에서의 사용 가능성이 제기되어, 수입 식품에 대한 검역소의 검사가 계속되고 있다[13][22].
2. 1. 발견과 초기 사용
둘신은 1884년 독일에서 요제프 베를리너바우(Joseph Berlinerbau)에 의해 처음 합성되었고, 1891년부터 상업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했다. 제조 비용이 낮아 저렴한 감미료로 주목받았는데, 특히 태평양 전쟁에서 패전한 일본에서는 설탕이 귀하고 비쌌기 때문에 둘신이 대량으로 사용되었다[17]. 일본 정부는 1946년 7월 4일에 둘신의 판매를 정식으로 허가하기도 했다[18].그러나 늦어도 1951년에는 피츠휴(Fitzhugh) 등에 의해 둘신의 독성이 지적되기 시작했다[19][20]. 미국에서는 동물 실험을 통해 만성 독성이 확인되자 1954년 사용을 금지했으며, 다른 선진국들도 뒤따라 사용 금지 조치를 취했다.
반면, 일본에서는 둘신 중독으로 인한 사망 사례까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14], 사용 금지 조치가 상당히 늦어졌다. 일본 정부가 둘신을 식품 첨가물 목록에서 삭제한 것은 1968년 7월 3일이었고[21], 식품에 첨가하는 것이 전면 금지된 것은 1969년 1월 1일부터였다.
이후에도 중화인민공화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값싼 감미료로 둘신을 식품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일본으로 수입된 식품에서 둘신이 검출되기도 했다[13]. 이 때문에 검역소 등에서는 수입 식품에 둘신이 사용되지 않았는지 지속적으로 검사하고 있다[13][22].
2. 2. 독성 문제와 사용 금지
둘신은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식이의 0.1% 이상 농도에서 독성을 나타냈다. 0.1% 농도에서는 성장 속도가 약간 둔화되었으며, 1.0% 농도에서는 사망률이 증가하고 간, 신장, 비장, 심장 등에서 뚜렷한 조직학적 변화가 관찰되었다.[30][11]둘신은 1884년 독일에서 요제프 베를리너바우(Joseph Berlinerbau)에 의해 처음 합성되었고, 1891년부터 상업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했다. 제조 비용이 저렴했기 때문에, 특히 태평양 전쟁 패전 후 일본에서는 비싼 설탕을 대신할 저렴한 감미료로 널리 사용되었다 일본에서는 1946년 7월 4일 둘신의 판매가 공식적으로 허가되기도 했다
그러나 1951년경 피츠휴(Fitzhugh) 등에 의해 둘신의 독성이 지적되기 시작했다[19] 미국에서는 동물 실험을 통해 만성 독성이 확인되자 1954년 사용을 금지했으며, 다른 여러 선진국들도 뒤이어 둘신 사용을 금지했다.
반면, 일본에서는 둘신 중독으로 인한 사망 사례까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즉각적인 사용 금지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일본 정부가 둘신을 식품 첨가물 지정 목록에서 삭제한 것은 1968년 7월 3일이었으며, 식품에 대한 첨가가 전면 금지된 것은 1969년 1월 1일부터였다.
이후에도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일본으로 수입된 식품에서 둘신이 검출되는 사례가 보고되는 등,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저렴한 감미료로 둘신이 사용될 가능성이 남아있다. 이 때문에 각국 검역소 등에서는 수입 식품에 둘신이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사하고 있다[13]
2. 3. 일본에서의 사용과 금지
1884년 독일에서 요제프 베를리너바우(Joseph Berlinerbau)가 처음 합성했고, 1891년부터 상업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했다. 둘신은 제조 비용이 낮았기 때문에, 태평양 전쟁에서 패전한 일본에서는 비싼 설탕을 대신할 값싼 감미료로 대량 사용되었다[17]. 일본 정부는 1946년 7월 4일에 둘신의 판매를 정식으로 허가하기도 했다[18].그러나 늦어도 1951년에는 피츠휴(Fitzhugh) 등에 의해 둘신의 독성이 지적되기 시작했다[19][20]. 미국에서는 동물 실험에서 만성 독성이 확인되자 1954년에 사용을 금지했고, 다른 선진국들도 뒤따라 둘신 사용을 금지했다.
반면, 일본에서는 둘신 중독으로 인한 사망 사례까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14] 즉각적인 사용 금지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일본 정부가 둘신을 식품 첨가물 지정 목록에서 삭제한 것은 1968년 7월 3일이었으며[21], 식품에 둘신 첨가를 전면 금지한 것은 1969년 1월 1일부터였다.
이후에도 중화인민공화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값싼 감미료로 둘신을 계속 사용하고 있어, 일본으로 수입된 식품에서 둘신이 검출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13]. 이 때문에 일본 검역소 등에서는 수입 식품에 둘신이 사용되지 않았는지 지속적으로 검사하고 있다[13][22].
2. 4. 전 세계적 금지 및 현재 상황
1884년 독일에서 요제프 베를리너바우(Joseph Berlinerbau)에 의해 합성되었고, 1891년부터 상업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했다. 제조 비용이 저렴했기 때문에, 태평양 전쟁에서 패전한 일본에서는 비싼 설탕을 대신하여 값싼 감미료로서 둘신이 널리 사용되었다[17]. 일본에서는 1946년 7월 4일에 둘신 판매가 정식으로 허가되기도 했다[18].그러나 1951년 무렵 피츠휴(Fitzhugh) 등에 의해 둘신의 독성이 지적되기 시작했다[19][20]. 미국은 동물 실험에서 만성 독성이 확인되자 1954년에 사용을 금지했으며, 다른 선진국들도 뒤따라 둘신 사용을 금지했다.
반면, 일본은 국내에서 둘신 중독으로 인한 사망 사례까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14], 사용 금지 조치를 즉각적으로 취하지 않았다. 일본 정부가 둘신을 식품 첨가물 목록에서 삭제한 것은 1968년 7월 3일이었고[21], 식품 첨가를 전면 금지한 것은 1969년 1월 1일부터였다.
둘신 사용 금지 조치 이후에도 중화인민공화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값싼 감미료로 둘신을 식품에 사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중국에서 일본으로 수입된 식품에서 둘신이 검출된 사례가 있었으며[13], 이 때문에 검역소 등에서는 수입 식품에 둘신이 사용되지 않았는지 지속적으로 검사하고 있다[13][22].
3. 제조 방법
둘신은 실온에서 수용액 상태의 염화물인 p-페네티딘에 시안산 칼륨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9]
둘신을 만드는 또 다른 방법은 요소와 염산과 빙초산 혼합물에 ''p''-페네티딘 염산염을 혼합하는 것이다.[10]
4. 구조와 물리화학적 성질
둘신은 화학식 C9H12N2O2로 나타낼 수 있는 유기 화합물이다. 분자 구조는 요소의 아미노기 중 하나에 4-에톡시페닐기(4번 위치의 수소가 에톡시기로 치환된 벤젠 고리)가 결합된 형태이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둘신 분자는 어느 정도의 극성을 가지지만, 물에는 거의 녹지 않는다.[13] 반면, 에탄올이나 아세톤과 같은 유기 용매에는 잘 녹는다.[13]
둘신은 상온 상압에서 무색 또는 백색의 고체 상태로 존재한다.
5. 감미
사람이 둘신을 맛보면, 흔히 '설탕'으로 알려진 수크로스보다 약 250배 강한 단맛을 느낀다. 또한, 인공 감미료인 사카린과 달리 쓴 뒷맛이 없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강한 단맛과 뒷맛 없는 특성 때문에, 과거에는 유아 등이 둘신을 치사량 이상 섭취하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6. 독성
둘신은 쥐에게 식이 0.1% 이상에서 독성을 나타낸다. 0.1% 농도에서는 성장 속도가 약간 둔화되며, 1.0% 농도에서는 사망률이 증가하고 간, 신장, 비장, 심장 등 주요 장기에서 뚜렷한 조직학적 변화가 관찰된다.[30][11] 사람에게도 명백한 독성이 있어, 섭취 시 급성 간 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14]
6. 1. 발암성
둘신은 쥐에게 식이 0.1% 이상에서 독성을 나타낸다. 0.1%에서는 성장 속도가 약간 둔화되며, 1.0%에서는 사망률 증가와 함께 간, 신장, 비장 및 심장에서 현저한 조직학적 변화가 나타난다.[11] 둘신은 명백한 독성이 있으며, 사람이 섭취할 경우 급성 간 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14]발암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확인된 바는 없다. IARC는 둘신을 '그룹 3'(사람에 대한 발암성을 분류할 수 없음)으로 분류하고 있다.[15][16]
7. 둘신 중독 사례 (일본)
다음은 일본에서의 둘신 중독 사례의 일부이다.
- 1947년 - 유아가 5g의 둘신을 핥아 사망했다.
- 1963년 - 부모가 부재중일 때 둘신을 대량으로 핥은 어린이 2명이 사망했다.
- 1966년 - 시마네현 야스기시의 농가가 대만 시로미테를 만들 때, 앙금떡에 감미료로 둘신을 대량으로 첨가한 결과, 그것을 먹은 가족 6명이 중독되어 73세 노인이 사망했다.
참조
[1]
논문
Ueber die Einwirkung von Chlorcyan auf Ortho- und auf Para-Amidophenetol
https://zenodo.org/r[...]
1884
[2]
서적
Über den Süßstoff Dulcin: seine Darstellung und Eigenschaften
https://books.google[...]
Springer Verlag
1921
[3]
논문
A tale of two sweeteners
[4]
논문
Józef Berlinerblau i Jan Prot-Berlinerblau – współtwórcy polskiego przemysłu Polski niepodległej
2013
[5]
웹사이트
15FR321 Title 21
https://s3.amazonaws[...]
FDA
1950-01-18
[6]
문서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itle 21 chapter 1 Federal Register Archive
https://s3.amazonaws[...]
[7]
웹사이트
ズルチン標準品-Dulcin Standard
http://www.siyaku.co[...]
[8]
서적
A Dictionary of Food and Nutr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9]
논문
Synthesis of sulofenur analogs as antitumour agents: Part II
2003
[10]
논문
ARYLUREAS II. UREA METHOD p-ETHOXYPHENYLUREA
1951
[11]
논문
Studies on Chronic Toxicity of Dulcin
1960
[12]
서적
終戦直後の日本p89
彩図社
2015-06-22
[13]
웹사이트
ズルチン標準品
http://www.siyaku.co[...]
[14]
논문
ズルチンによる食中毒事件
https://doi.org/10.3[...]
[15]
웹사이트
Agents Classified by the IARC Monographs, Volumes 1–130
https://monographs.i[...]
2022-02-09
[16]
웹사이트
Dulcin (IARC Summary & Evaluation, Volume 12, 1976)
https://inchem.org/d[...]
2022-07-10
[17]
서적
戦後生活文化史 尾崎秀樹・山田宗睦
[18]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第四版
岩波書店
[19]
논문
谷村 顕雄 『食品添加物の実際知識(第4版)』 p.14 東洋経済新報社 1992年4月16日発行 ISBN 4-492-08349-9 ・{{cite journal|author=妹尾 昇|year=1968|title=食品衛生研究|journal=食品衛生研究|volume=18|issue=9}}
[20]
논문
A Comparison of the Chronic Toxicities of Synthetic Sweetening Agents
American Pharmacists Association
[21]
서적
谷村 顕雄 『食品添加物の実際知識(第4版)』 p.13 東洋経済新報社 1992年4月16日発行 ISBN 4-492-08349-9
[22]
문서
参考までに、この日本でのズルチンの検査は、21世紀初頭においても続けられている。例えば、この検査のために、ズルチンの標準品が必要な場合もあり、日本国内でもズルチンの入手自体は可能である。
[23]
문서
島根県などにおいて、代満(しろみて)とは、[[田植え]]が終わった事を意味する言葉である。
[24]
문서
島根県における「餡つけ餅」とは、[[米粉]]を原料にした蒸し団子を、[[ソラマメ]]の[[餡]]で包んだ菓子である。
[25]
논문
Ueber die Einwirkung von Chlorcyan auf Ortho- und auf Para-Amidophenetol
https://babel.hathit[...]
1884
[26]
서적
Über den Süßstoff Dulcin: seine Darstellung und Eigenschaften
https://books.google[...]
Springer Verlag
1921
[27]
논문
A tale of two sweeteners
[28]
논문
Józef Berlinerblau i Jan Prot-Berlinerblau – współtwórcy polskiego przemysłu Polski niepodległej
2013
[29]
웹인용
15FR321 Title 21
https://s3.amazonaws[...]
FDA
1950-01-18
[30]
논문
Studies on Chronic Toxicity of Dulcin
196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