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머리뼈우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뒤머리뼈우묵은 나비뼈, 관자뼈, 뒤통수뼈로 이루어진 해부학적 구조이다. 앞쪽, 가쪽, 뒤쪽 경계로 구분되며, 큰구멍, 속귓구멍, 목정맥구멍, 혀밑신경관과 같은 주요 구조물을 포함한다. 뇌에서 정맥 순환계로 혈액을 되돌려주는 정맥굴이 존재하며, 발달이 덜 된 경우 소뇌가 척추관으로 탈출하는 아놀드-키아리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머리뼈 - 안와
안와는 얼굴 중앙에 위치하여 눈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공간으로, 7개의 뼈로 구성되며, 눈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근육과 혈관, 신경을 포함하고, 종양, 염증, 외상 등으로 인해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머리뼈 - 미간중간점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뒤머리뼈우묵 | |
|---|---|
| 개요 | |
| 라틴어 명칭 | fossa cranii posterior | 
| 위치 | 머리뼈 내부 | 
| 포함 구조물 | 뇌줄기 소뇌  | 
2. 해부학적 구조
뒤머리뼈우묵(후두개와)은 나비뼈, 관자뼈, 뒤통수뼈로 이루어져 있다.[1] 이는 머리뼈 바닥을 이루는 세 개의 우묵 중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며, 소뇌, 숨뇌, 뇌교와 같은 중요한 뇌 구조물을 담고 있다.[2]
2. 1. 경계
뒤머리뼈우묵의 경계는 다음과 같다.- 앞쪽 경계: 안장등, 나비뼈 몸통의 뒤쪽 면, 그리고 뒤통수뼈 바닥 부분/벼슬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2]
 - 가쪽 경계: 관자뼈 암석 부분과 관자뼈 꼭지 부분 및 뒤통수뼈 가쪽 부분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2]
 - 뒤쪽 경계: 뒤통수뼈 비늘 부분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2]
 
2. 2. 주요 구조물
뒤머리뼈우묵에는 뇌와 연결되는 중요한 신경 및 혈관들이 지나가는 여러 구멍과 통로가 존재한다. 주요 구조물로는 큰구멍, 속귓구멍, 목정맥구멍, 혀밑신경관 등이 있으며, 각 구조물은 특정 신경이나 혈관의 통로 역할을 한다.2. 2. 1. 큰구멍 (Foramen magnum)
큰구멍은 뒤머리뼈우묵의 바닥에서 가장 눈에 띄는 큰 구멍이다. 숨뇌, 더부신경(CN XI)의 오름부분, 척추동맥이 큰구멍을 통해 지나간다.2. 2. 2. 속귓구멍 (Internal acoustic meatus)
속귓구멍(internal acoustic meatus)은 뒤머리뼈우묵의 앞쪽 벽에 위치한다. 얼굴신경(CN VII), 속귀신경(CN VIII)이 속귓구멍을 통해 들어가 관자뼈 바위부분의 관을 통해 이동한다.2. 2. 3. 목정맥구멍 (Jugular foramen)
목정맥구멍은 관자뼈 바위부분의 아래쪽 가장자리와 인접한 뒤통수뼈 사이에 위치한다. 이 구멍을 통해 속목정맥(이곳에서 시작됨), 혀인두신경(CN IX), 미주신경(CN X), 더부신경(CN XI)이 지나간다.2. 2. 4. 혀밑신경관 (Hypoglossal canal)
혀밑신경관(hypoglossal canal, anterior condylar canal)은 큰구멍의 앞쪽 가장자리(앞가쪽 모서리)에 위치하며, 혀밑신경 (CN XII)이 이 관을 통과한다.2. 3. 정맥굴 (Venous sinuses)
뒤머리뼈우묵에서 보이는 움푹 들어간 곳들은 뇌의 혈액을 정맥 순환계로 되돌려 보내는 정맥굴에 의해 만들어진다. 주요 정맥굴과 그 경로는 다음과 같다.정맥굴합류는 오른쪽과 왼쪽의 가로정맥굴이 만나는 지점으로, 속뒤통수뼈융기를 기준으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가로정맥굴은 뒤통수 부위의 가장 뒤쪽 지점에서 수평으로 주행한다.
관자뼈 바위부분의 꼭대기가 관자뼈 비늘부분과 만나는 지점에서 가로정맥굴은 구불정맥굴로 이어진다. 구불정맥굴은 관자뼈 바위부분 뒤쪽 가장자리와 뒤통수뼈 앞쪽 가장자리가 만나는 선을 따라 주행하여 목정맥구멍으로 들어가며, 여기에서 속목정맥으로 연결된다. 이 주행 경로 동안 구불정맥굴은 구불정맥굴고랑에 위치한다.[3]
또한, 위바위정맥굴은 가로정맥굴과 구불정맥굴이 만나는 지점으로 들어가고, 아래바위정맥굴은 목정맥구멍 근처에서 구불정맥굴로 합류한다.
3. 관련 질환
뒤머리뼈우묵의 발달이 부족하면 신경학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아놀드-키아리 기형을 들 수 있으며, 이는 선천적으로 발생하거나 후천적인 원인에 의해 나타날 수도 있다.
3. 1. 아놀드-키아리 증후군 (Arnold-Chiari malformation)
뒤머리뼈우묵의 발달이 부족하면 아놀드-키아리 증후군(Arnold-Chiari syndrome) 또는 아놀드-키아리 기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소뇌의 일부가 척추관으로 밀려 내려오는 질환으로, 선천적으로 발생하거나 후천적인 원인에 의해 나타날 수도 있다. 한국인에게서도 드물지 않게 발견되는 질환이다.4. 추가 이미지


참조
[1] 
서적
 
Essential Clinically Applied Anatomy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in the Head and Neck
 
Academic Press
 
[2] 
서적
 
Essential Clinically Applied Anatomy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in the Head and Neck
 
Academic Press
 
[3] 
웹인용
 
groove for sigmoid sinus
 
https://medical-dict[...] 
2022-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