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나가트 제도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나가트 제도주는 필리핀의 주로, 디나가트 섬을 포함한 여러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대에는 부투안 라자국의 영향을 받았으며, 스페인 식민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역사를 겪었다. 2006년 주 승격 이후 대법원의 결정으로 주 지위가 확정되었다. 면적은 1,036.34km²이며, 7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다. 세부아노어가 주로 사용되며, 다양한 종교가 공존한다. 농업, 어업, 광업이 경제의 기반이며, 빈곤율이 높은 편이다. 동굴, 해변, 리조트 등 관광 명소가 있으며, 디나가트 붓꼬리구름쥐 등 고유종이 서식하는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군도 - 비사야 제도
    비사야 제도는 필리핀 중부에 위치한 섬들의 집합으로, 12세기 중국 기록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7개의 큰 섬과 수백 개의 작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고, 약 2천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며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가진 지역이다.
  • 필리핀의 군도 - 칼라미안 제도
    칼라미안 제도는 필리핀 팔라완 주 북부의 군도로, 과거 여러 국가의 영향을 받았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 군사적 요충지였으며, 현재는 독특한 자연환경과 난파선 다이빙 명소로 알려져 있다.
  • 2006년 설치 - 서귀포시
    서귀포시는 제주도 남부에 위치하며, 천혜의 자연경관과 다양한 관광 명소를 자랑하고, 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연고지이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2006년 설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는 대한민국 최남단에 위치한 특별자치도로, 광범위한 자치권을 행사하며 국제자유도시를 지향하고,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독특한 문화를 지닌 관광 산업이 주요 경제 기반인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디나가트 제도주 - [지명]에 관한 문서

2. 역사

필리핀에서 가장 새로운 주 중 하나이지만, 디나가트 제도에는 이미 스페인 통치 시대에 인근 보홀과 레이테 주에서 온 사람들의 이주로 인해 정착지가 존재했다.

수리가오 주의 현재 영토가 역사적인 수리가오 주의 일부로 표시된 오래된 지도
수리가오 주 1918년 지도


1855년에 섬 전체를 아우르는 자치구가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1890년부터 1990년까지 그 경계가 점차 축소되어 로레토, 카그디아나오, 리브호, 바실리사, 투바존 및 산호세 등 6개의 자치구가 생겨났다.

미 육군 레인저 6대대가 1944년 10월 18일 디나가트 섬의 마을을 통과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역사적인 수리가오 해협 해전이 이 지역에서 벌어졌다. 1944년 10월 17일, 미국 해방군은 로레토 자치구에 진입했다. 미 육군 제6 레인저 대대 6부대가 로레토의 바랑가이 파나마온 시티오 캄핀탁 해안에 상륙했으며, 1941년 일본 침공 이후 필리핀 땅에 처음으로 미국 국기가 게양된 것도 바로 이 상륙 작전 때였다.[1] 미국인들은 이곳을 "블랙 비치 No. 2"라고 불렀다. 섬 북쪽은 미군 병사들의 피난처로 사용되었고, 서쪽 경계는 일본군이 점령했다.[1] 오늘날 바실리사 해역에서는 전복된 선박 구조물이 발견되기도 한다.

1959년 12월 23일 카그디아나오가, 1960년 2월 29일에는 리브호가 자치구로 지정되었다.[4][5] 1967년 6월 17일에는 바실리사가, 1969년 6월 21일에는 투바존이 자치구로 지정되었다.[6] 1965년에는 루벤 에데라 에클레오 시니어가 산호세에서 필리핀 자선 선교사 협회(PBMA)를 설립했다. 1989년 11월 15일, 산호세는 마지막으로 자치구로 설립되었다.[8]

2006년 12월 2일, 주민투표를 통해 수리가오델노르테 주 제1지구에서 분리되어 주가 되었다.[9] 2010년 필리핀 대법원은 디나가트 제도주 창설을 무효로 선언했다가,[10][11][12] 2011년 4월 12일 판결을 번복하여[15] 디나가트 제도주의 주 지위를 최종적으로 확정했다.[16]

2. 1. 초기 역사

고대 시대에 이 지역은 현재의 북아구산에 자리 잡았던 부투안 라자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또한 현재의 인도네시아 몰루카스 제도인 테르나테 술탄국이 부투안 라자국, 세부 라자국, 보홀 안다 반도의 원주민 정착지, 그리고 원래의 다피탄 왕국이 파괴된 후 북부 삼보앙가로 옮겨가 같은 이름으로 세운 또 다른 정착지를 공격하기 위한 진입 지점으로도 사용되었다.

2. 2. 스페인 식민 시대

필리핀에서 가장 새로운 주 중 하나이지만, 디나가트 제도에는 이미 스페인 통치 시대에 인근 보홀과 레이테 주에서 온 사람들의 이주로 인해 정착지가 존재했다.

이 자치구는 1855년에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이는 섬 전체의 영토 경계를 차지했다. 1890년부터 1990년까지 그 경계가 점차 축소되어 로레토, 카그디아나오, 리브호, 바실리사, 투바존 및 산호세 등 6개의 자치구가 생겨났다.

로레토는 1890년 9월 4일, 마누엘 산체스 총독의 지시 아래 ''Direccion General No. 30''에 의해 스페인 푸에블로가 되었다. 원래는 지역 사회 중심부로 흘러드는 끊임없이 거품이 이는 강 때문에 ''마부아''라고 불렸다. 1881년 수리가오 주의 ''알칼데 마요르''의 아내를 기리기 위해 마을을 자주 방문하는 스페인 신부에 의해 ''로레토''로 이름이 바뀌었다.

2. 3. 일본 점령 시대

이 주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역사적인 수리가오 해협 해전의 현장이었다. 1944년 10월 17일, 미국 해방군은 로레토 자치구에 진입했다. 무치 대령이 지휘하는 미 육군 제6 레인저 대대 6부대가 로레토의 바랑가이 파나마온 시티오 캄핀탁 해안에 상륙했으며, 1941년 일본 침공 이후 필리핀 땅에 처음으로 미국 국기가 게양된 것도 바로 이 상륙 작전 때였다.[1] 미국인들은 이곳을 "블랙 비치 No. 2"라고 불렀다.

섬 북쪽은 미군 병사들의 피난처로 사용되었고, 서쪽 경계는 일본군이 점령했다.[1] 오늘날 바실리사 해역에서는 전복된 선박 구조물이 발견되기도 한다.

2. 4. 필리핀 독립 이후

1959년 12월 23일, 카그디아나오는 ''행정 명령 제367호''에 따라 자치구로 지정되었다.[4] 1960년 2월 29일에는 리브호가 ''행정 명령 제381호''에 따라 ''알보르''라는 이름으로 자치구가 되었다.[5] 1967년 6월 17일에는 바실리사가 ''공화국 법 제4986호''에 따라 자치구가 되었다.[6] 1969년 6월 21일에는 투바존이 ''공화국 법 제5643호''에 따라 자치구가 되었다. 1965년, 루벤 에데라 에클레오 시니어는 산호세에서 필리핀 자선 선교사 협회(PBMA)를 설립했다. 1989년 11월 15일, 산호세는 ''공화국 법 제6769호''에 따라 마지막으로 자치구로 설립되었다.[8]

2. 5. 주 승격과 법적 분쟁

2006년 12월 2일, 디나가트 제도주 헌장이 주민투표를 통해 승인되면서 수리가오델노르테 주 제1지구에서 분리되어 주가 되었다.[9]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필리핀 대통령은 2007년 1월 26일, 이 주의 첫 번째 관료들을 임명했다.[14] 2007년 5월 14일 선거에서 주 관료들이 처음 선출되었고, 이들은 2007년 7월 1일에 취임했다.[14]

2010년 2월 11일, 필리핀 대법원은 지방 정부 단위 창설에 필요한 토지 면적과 인구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디나가트 제도주 창설을 무효로 선언했다.[10][11][12] 이 결정은 2010년 5월 10일 선거 전에 최종적이고 집행 가능하게 판결되지 않았으므로, 필리핀 선거 관리 위원회는 여전히 주의 별도 국회의원 및 주 관료 선거를 조직했다.[13] 원래 결정은 2010년 5월 18일에 최종적이고 집행 가능하게 되었고, 디나가트 제도주를 수리가오델노르테 주로 다시 귀속시켰지만, 2010년에 선출된 관료들은 그 이후의 법정 공방 동안에도 계속 주를 섬겼고, 결국 대법원은 그 입장을 번복했다.[14]

2011년 4월 12일, 대법원은 이전 판결을 번복하여[15] 공화국법 제9355호의 합헌성을 유지하고 디나가트 제도주의 주로서의 창설을 유효화했다. 2012년 10월 24일 판결 진술은 주의 지위에 대한 법정 공방을 종결하고, 디나가트 제도주의 수리가오델노르테 주로부터의 분리를 확정했다.[16]

3. 지리

디나가트 제도는 민다나오섬 본토의 북수리가오주 북동쪽에 위치하며, 폭 15km인 가보크 해협을 사이에 두고 북수리가오 주와 분리되어 있다.[17] 총면적은 1036.34km2로 필리핀에서 가장 작은 섬 지방 중 하나이다.

3. 1. 위치

민다나오섬 본토의 북수리가오주 북동쪽에 위치하며, 폭 15km인 가보크 해협을 사이에 두고 북수리가오 주와 분리되어 있다.[17] 수리가오 시 항구에서 산호세 항구까지 펌프 보트를 이용하면 약 75분 정도 걸린다.

남쪽으로는 민다나오섬 본토의 수리가오델노르테주, 동쪽으로는 수리가오 해협을 사이에 두고 동 비사야 지방의 남레이테주, 북쪽으로는 레이테 만을 사이에 두고 동사마르주와 해상으로 접한다.

3. 2. 주요 섬 및 지형

주요 섬인 디나가트섬은 남북 길이가 60km이며, 레이테 만과 필리핀해(태평양)를 남쪽에서 구분하고 있다. 디나가트의 카빌란섬, 바실리사의 라 이슬라 아가와 라라킹 부키드, 리브호의 키세스 군도, 그리고 로레토의 히부손섬, 스팅레이 군도, 푸요섬을 포함한 주변 섬 및 작은 섬들로 구성되어 있다.[17]

디나가트섬에 있는 레돈도산은 해발 939m로, 이 주의 최고봉이다.

3. 3. 기후 변화

필리핀의 기후 변화에 가장 취약한 20개 주 중 하나이다.[18]

4. 행정 구역

디나가트 제도주의 행정 구역


디나가트 제도주는 7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단일 선거구에 포함된다.[10] 주도는 산호세이다.[10]

디나가트 제도주에는 기초 자치 단체인 지방 자치체(Municipality)만 7개가 있으며, 시(Independent cities, Component cities)는 없다.

4. 1. 지방 자치체 목록

디나가트 제도주의 지방 자치체
지방 자치체인구 (2020년)면적 (km²)인구 밀도 (명/km²)바랑가이 수
바실리사36,91192.68km2398PD/km227
카그디아나오18,350249.48km273PD/km214
디나가트10,621139.94km276PD/km212
리브조18,051180.57km2100PD/km216
로레토9,690255.87km238PD/km210
산호세26,37527.8km2949PD/km212
투바존8,11990km290PD/km29


5.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디나가트 제도주의 인구는 128,117명이며, 인구 밀도는 120PD/km2이다.[14] 이 지역의 원주민은 "루마드"라고 불리며, 디나가트 제도 주민은 "디나가트논"이라고 불린다.

디나가트 제도주 인구 조사
연도인구±% p.a.
19035,243
19188,272+3.09%
193916,659+3.40%
194818,716+1.28%
196022,761+1.63%
197032,227+3.54%
197542,535+5.71%
198053,363+4.63%
199086,505+4.93%
199598,865+2.53%
2000106,951+1.71%
2007120,813+1.67%
2010127,152+1.88%
2015128,117+0.15%
2020128,117+0.00%
출처: 필리핀 통계청[14][15][16]


5. 1. 언어

주로 세부아노어를 사용한다. 그러나 수리가오델노르테주 해상 경계와 마주한 마을, 특히 디나가트와 카그디아노는 수리가오논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수리가오델노르테 주와 가깝기 때문이다. 로레토의 바랑가이 파나마온과 역사적인 히부손 섬에서는 와라이와라이어를 사용한다. 세부아노어와 볼라냐어의 영향, 그리고 타우수그어 억양도 찾아볼 수 있다. 대부분은 또한 다양한 수준의 타갈로그어필리핀 영어를 구사할 수 있다.

5. 2. 종교

몇몇 종교 분쟁이 이 지역에서 기록되었다. 하지만 현재 디나가트 제도주 대부분 지역에서는 종교적 화합이 비교적 잘 지켜지고 있다.

디나가트 제도주의 종교 분포는 가톨릭이 53%로 다수를 차지하고, 필리핀 독립 교회(아글리파얀)이 23%로 상당한 소수 종교를 이루고 있다. 최근 이 지역의 문화적, 종교적, 사회 경제적 변화로 가톨릭 신자(그리고 어느 정도 아글리파얀 신자)가 증가했으며, 그 수는 꾸준히 증가했다. 이 지역은 1960년대 필리핀 자선 선교사 협회 회원들의 이주로 인해 1970년대~2000년대 초까지 수십 년 동안 가톨릭 신자가 감소했었다. 1990년대에서 2000년대까지 수십 년 동안 가톨릭 신자는 인구의 37%로 소수가 되기도 했다.

기타 종교로는 그리스도의 몸 교회-필리피니스타 (12%), 필리핀 연합 그리스도 교회 (4%), 이글레시아 니 크리스토 (4%) 및 기타 소규모 기독교 단체들이 있다(디나가트 제도 사회 경제 팩트북, 2007).

6. 경제

디나가트 제도 주의 경제는 농업, 어업, 광업 등에 기반하고 있다. 2015년 기준 빈곤율은 필리핀 통계청 자료[26]에 따르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경제적 불평등 해소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6. 1. 빈곤율

2015년 기준 디나가트 제도주의 빈곤율은 필리핀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26] 이는 경제적 불평등 해소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지역임을 시사한다.

7. 관광

네펜테스 벨리, 필리핀의 민다나오섬과 디나가트 제도에 자생하는 열대 벌레잡이 식물로, 해발 0~800m에서 자생한다


디나가트 제도는 민다나오섬 북쪽 끝에 위치한 젊은 섬-주로, 카라가 지방 XIII의 숨겨진 보석이라고 불린다. 이 섬들은 훌륭한 생물 다양성과 풍부한 자연 경관을 자랑한다. 디나가트 제도에는 거대한 암석 지형이 늘어선 매혹적인 흰 모래 해변이 많이 있으며, 섬과 작은 섬의 지형만큼이나 다양한 장소와 명소가 있다.[1]

7. 1. 주요 관광 명소

이 주는 동굴, 리조트 및 해변으로 유명하다. 주요 관광 명소는 다음과 같다.

위치관광 명소
로레토비타우그 해변, Campintac 검은 해변 2번, 리나오 스프링 리조트, 산 후안 동굴
바실리사바바부 호수, 푸에르토 프린세사 해변 및 하가하크 동굴
(불명)Tagberayan 해변, Sayaw 해변, 레가스피 폭포
카그디아나오히나비안 및 레안드로 해변 리조트
투바존탈리사이 해변
리브호콰노 블루 라군 및 콰노 동굴
디나가트벤 파즈 산악 리조트 및 오아시스 작은 섬 리조트, 캡-일란 해변 및 캡-일란 가마이 해변



2024년에 지어진 지방 인민 회관 건물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수리가오 해협 해전에서 일본 야마토급 전함에서 영감을 받았다. 하얀 모래 해변과 암벽 등반 명소인 바위산, 동굴, 호수 등으로 유명하며, 모험 여행을 목적으로 관광객을 끌어모으고 있다.

8. 환경 및 야생 동물

디나가트 제도주는 필리핀에서 환경적으로 가장 중요한 지역 중 하나이며, 독특한 고유종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이 지역의 고유종 동물로는 디나가트 붓꼬리구름쥐, 디나가트털꼬리쥐, 디나가트짐뉴라, 필리핀안경원숭이 아종 등이 있다.

8. 1. 고유종

디나가트 제도주는 필리핀에서 환경적으로 중요한 지역 중 하나이며, 이 지역 동물군에는 고유종이 많다. 멸종 위기종인 디나가트 붓꼬리구름쥐는 수십 년간 사라졌다가 2012년에 재발견되었고, 디나가트털꼬리쥐와 런던 동물학회의 EDGE 종 프로그램에 의해 세계에서 가장 진화적으로 독특하고 전 세계적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100대 종 중 하나로 선정된 디나가트짐뉴라도 이 지역 고유종이다.[1] 일반적인 필리핀 안경원숭이보다 크고 색깔이 어두운 필리핀안경원숭이의 아종도 발견된다.[1]

디나가트 주는 숲이 우거져 있으며, 독특한 동물군과 식물군, 그리고 식민지 시대 이전부터 완전히 파괴된 적이 없는 원시림으로 분류되는 울창한 열대우림 덕분에 하리본 재단과 필리핀 환경자원부에 의해 핵심 생물 다양성 지역으로 간주된다.[1]

UPLB 자연사 박물관의 에드위노 S. 페르난도 교수와 호주 식물 과학 연구소의 피터 고든 윌슨 박사는 레돈도 산, 디나가트 섬에서만 발견되는 새로운 종인 'Tristaniopsis flexuosa' Tristaniopsis를 발견했다.[2] 이 식물은 Tristaniopsis elliptica와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2]

8. 2. 보전 노력

디나가트 제도주는 필리핀에서 환경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 중 하나이며, 이 지역의 동물군은 고유종이 독특하다. 이 지역의 고유종 동물로는 수십 년간 사라졌다가 2012년에 재발견된 멸종 위기종인 디나가트 붓꼬리구름쥐, 멸종 위기종인 디나가트털꼬리쥐, 그리고 런던 동물학회의 EDGE 종 프로그램에 의해 세계에서 가장 진화적으로 독특하고 전 세계적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100대 종 중 하나로 선언된 디나가트짐뉴라, 그리고 일반적인 필리핀 안경원숭이보다 크고 색깔이 어두운 기이한 필리핀안경원숭이의 아종이 있다. 이 주는 숲이 우거져 있으며, 독특한 동물군과 식물군, 그리고 식민지 시대 이전부터 완전히 파괴된 적이 없는 원시림으로 분류되는 울창한 열대우림 때문에 하리본 재단과 필리핀 환경자원부에 의해 핵심 생물 다양성 지역으로 간주된다.

UPLB 자연사 박물관의 에드위노 S. 페르난도 교수와 호주 식물 과학 연구소의 피터 고든 윌슨 박사는 레돈도 산, 디나가트 섬에서만 발견되는 새로운 종인 'Tristaniopsis flexuosa' Tristaniopsis를 발견했다. 이는 Tristaniopsis elliptica와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3-03-27
[2] 웹사이트 Mapa ng mga Wika (Rehiyon) - CARAGA https://kwf.gov.ph/m[...] Commission on the Filipino Language 2021-09-23
[3] 논문 Philippine Studies. 1. Place-Names 1900-01-11
[4]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No. 367; Creating the Municipality of Cagdianao in the Province of Surigao https://www.official[...] 2015-12-19
[5]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No. 381; Creating the Municipality of Albor in the Province of Surigao https://www.official[...] 2015-12-19
[6]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4986 - An Act Creating the Municipality of Rizal in the Province of Surigao del Norte http://laws.chanrobl[...] 2015-12-19
[7]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5775 - An Act Creating the Municipality of Basilisa in the Province of Surigao del Norte http://www.chanroble[...] 2015-12-19
[8]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6769; An Act Creating the Municipality of San Jose in the Province of Surigao del Norte http://www.lawphil.n[...] 2015-12-19
[9]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9355. An Act Creating the Province of Dinagat Islands https://www.senate.g[...] 2015-12-19
[10] 뉴스 SC Voids Creation of the Province of Dinagat Islands http://sc.judiciary.[...] Supreme Court of the Philippines 2015-12-19
[11] 뉴스 SC says Dinagat Islands no longer a province http://news.abs-cbn.[...] ABS-CBN Corporation News 2015-12-19
[12] 웹사이트 G.R. No. 180050, Promulgated: February 11, 2010 http://sc.judiciary.[...] Philippine Government Supreme Court Judiciary 2013-08-29
[13] 웹사이트 COMELEC Resolution No. 8790 https://comelec.file[...] 2010-03-09
[14] 웹사이트 DILG-13 Opinion No. 003-2014 http://downloads.car[...] Department of the Interior and Local Government - Region XIII 2014-03-05
[15] 웹사이트 G.R. No. 180050, Promulgated: April 12, 2011 http://sc.judiciary.[...] Supreme Court of the Philippines 2011-04-12
[16] 웹사이트 IRA Shares for LGUs Jump by 37.5% in 2013 https://www.offici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13-01-09
[17] 웹사이트 Surigao (topographic map) http://legacy.lib.ut[...]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1954-01-01
[18] 웹사이트 About Caraga https://nro13.neda.g[...] 2022-05-13
[19] 웹사이트 Two-foot-long cloud rat rediscovered after missing for forty years in the Philippines https://news.mongaba[...] 2022-05-13
[20] 뉴스 Newly discovered tree species related to makopa, guava can only be found on Dinagat Island https://lifestyle.in[...] Philippine Daily Inquirer 2021-11-11
[21]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2] 문서 2000-01-01
[23] 문서 2003-01-01
[24] 문서 2006-01-01
[25] 문서 2012-01-01
[26] 문서 2015-01-01
[27] 문서 2018-01-01
[28] 문서 2021-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