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도 (성경 인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도는 헬라인으로, 바울의 동역자이자 비서관으로 활동한 신약성경 인물이다. 그는 바울에 의해 회심하여, 예루살렘 공회에 동행하고, 고린도 교회의 갈등을 중재하며, 예루살렘에 성금을 전달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바울에 의해 크레타 섬의 감독으로 임명되었으며, 이후 달마티아로 여행을 떠났다. 디도의 축일은 1월 26일이며, 동방 정교회에서는 8월 25일과 1월 4일에 기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7년 사망 - 유경 (청하효왕)
    장제의 아들 유경은 황태자에 책봉되었으나 폐위 후 청하왕으로 강등되었고, 화제를 보좌하며 두씨 세력 제거에 기여했으며, 사후 효덕황으로 추존되었다.
  • 70인 제자 - 마티아
    마티아는 신약성경 사도행전에 나오는 인물로, 가룟 유다를 대신하여 열두 사도 중 한 명으로 선택되었으며, 세례자 요한이 예수에게 세례를 베푼 순간부터 예수의 승천까지 함께 한 제자로서 제비뽑기를 통해 선출되었고,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70인 제자 - 루가
    루가는 신약성서의 루가복음서와 사도행전 저자이자 바울의 동료였으며, 예수의 삶과 초기 기독교 공동체 역사를 기록하고 최초로 성모 마리아를 그린 화가로도 전해진다.
  • 신약성경의 성인 - 사도 바울로
    사도 바울로는 1세기 로마 제국에서 활동하며 이방인 선교에 헌신하여 기독교를 보편적인 종교로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 기독교 선교가이자 신학자이다.
  • 신약성경의 성인 - 글레오파
    글레오파는 누가복음에 나오는 인물로, 엠마오로 가는 길에 부활한 예수를 알아보지 못했던 두 제자 중 한 명으로, 성경 외적으로는 글로바와 동일 인물로 여겨지며, 전승에서는 성 요셉의 형제로도 전해지고,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디도 (성경 인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주교 및 바울의 동반자
출생 년도서기 1세기
사망 년도96년 또는 107년
사망 장소로마 제국, 크레타 키레나이카, 고르틴
공경하는 교파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로마 가톨릭 교회
루터교
성공회
시성일공회 이전
주요 성지크레타, 이라클리오
축일정교회: 8월 25일
가톨릭: 1월 26일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거룩한 십자가 축일 후 다섯 번째 일요일 다음 목요일
수호 성인크레타
성 티투스 (코소보, 14세기. 페치 총대주교, 성 니콜라스 교회)
성 티투스 (코소보, 14세기. 페치 총대주교, 성 니콜라스 교회)
이름
그리스어Τίτος
로마자 표기Titos
라틴어Titus

2. 생애

디도는 헬라인이며 안티오키아 출신[28]으로 여겨지며, 젊은 나이에 그리스 철학과 시학을 배웠다고 전해진다.[29] 바울로에 의해 회심하여 그의 통역자이자 비서관으로 활동했다. 49년에는 예루살렘에서 열린 모세의 율법에 대한 공회에 바울로, 바르나바와 함께 동행했다.[30] 바울로는 이방인 개종자에게 할례가 필요하지 않다는 태도를 취했으므로 디도는 할례를 받지 않았다.[31][32]

56년경, 바울로는 디도를 에페소스에서 코린토스로 보내 디모테오의 고린도전서 전달[33]과 자신의 방문[34]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들을 해결하도록 했다. 이후 바울로는 코린토스에서 디도와 합류하여, 예루살렘에 성금을 전달하도록 했다.

초대 교회 전승에 따르면, 바울로는 첫 번째 로마 투옥에서 풀려난 뒤 크레타섬에 들려 복음을 전했다. 그러나 더 많은 교회들의 요청에 따라 디도를 크레타섬의 감독으로 임명(딛 1:5)하여 자신이 못다 한 일들을 마무리하도록 하고 떠났다.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는 바울로가 디도를 크게 신임했음을 알 수 있다고 말한다.[32] 이후 바울로는 이피로스 지역의 니코폴리스로 디도를 소환했으며(딛 3:12),[11] 디도는 달마티아로 여정을 떠났다(딤후 4:10).[36] 신약성경에는 디도의 죽음에 대한 기록은 없다.

디모테와 디도가 동일 인물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37]

2. 1. 초기 생애와 바울과의 만남

디도는 헬라인이며 안티오키아 출신[28]으로 여겨지는데, 젊은 나이에 그리스 철학과 시학을 배웠다고 전해진다.[29] 그는 바울로에 의해 회심한 것으로 보이며, 바울로의 통역자이자 비서관으로 활동했다. 49세에 예루살렘에서 열린 모세의 율법에 대한 공회에 바울로, 바르나바와 함께 동행했고,[30] 바울로가 비록 유대인에 대한 사역을 위해 디모테오의 할례에 동의했지만, 기본적으로 이방인 개종자에게 할례가 필요하지 않다는 태도를 취했으므로 디도는 할례를 받지 않았다.[31][32]

2. 2. 고린도 교회와의 갈등 중재

디도는 바울로에 의해 회심하여 그의 통역자이자 비서관으로 활동했다.[30] 56년경 바울로가 아시아를 떠날 때, 디도를 에페소스에서 코린토스로 보내 디모테오의 고린도전서 전달[33]과 바울로의 방문[34]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들을 해결하도록 했다. 이 과정에서 디도는 '엄중한 편지'(고후 7:8)를 전달했고, 코린토스 교회의 반응을 듣기 위해 트로아스(드로아)에서 그를 만났다.[35]

이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친 후, 디도는 북쪽으로 이동하여 마케도니아에서 바울로를 만났다. 바울로는 디도의 성공(고후 7:6-15)에 기뻐하며 고린도후서를 썼다. 이후 디도는 여러 동행자와 함께 고린도후서를 전달했고, 바울로는 나중에 코린토스에서 디도와 합류하여 예루살렘에 성금을 전달하도록 했다. 디도는 갈등 중재, 관리, 선교 활동에 뛰어난 자질을 보였다.

2. 3. 예루살렘 교회를 위한 헌금 모금

바울로는 후에 코린토스에 있는 디도와 합류하여, 디도를 통해 예루살렘에 성금을 전달하도록 하였다. 이처럼 디도는 갈등을 중재하고 관리하는 일과 선교 활동에 큰 자질을 보였다.[35]

2. 4. 크레타섬의 감독

바울은 첫 번째 로마 투옥에서 풀려난 뒤 크레타섬에 들려 복음을 전했다. 그러나 더 많은 교회들의 요청에 따라, 디도를 크레타섬의 감독으로 임명(딛 1:5)하여 자신이 못다 한 일들을 마무리하도록 하고 떠났다.[10]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는 이로써 바울이 디도를 크게 신임했음을 알 수 있다고 말한다.[32]

2. 5. 이후 행적과 죽음

디도는 안티오키아 출신[28] 헬라인으로[29], 바울로의 통역자이자 비서관으로 활동했다.[30] 초대 교회 전승에 따르면, 바울로는 첫 번째 로마 투옥에서 풀려난 뒤 크레타섬에 들려 복음을 전했다. 그러나 더 많은 교회들이 바울로의 방문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디도를 크레타섬의 감독으로 임명(딛 1:5)하여 자신이 못다 한 일들을 마저 하도록 하고 떠났다.[10]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는 이를 통해 바울로가 디도를 크게 신임했음을 알 수 있다고 말한다.[32]

바울로는 후에 이피로스 지역에 있는 니코폴리스로 디도를 소환한다(딛 3:12).[11] 이후 디도는 달마티아로 여정을 떠나는데(딤후 4:10),[36] 신약성경에는 디도의 죽음에 대한 기록이 없다.[12]

2. 6. 디모데와의 관계에 대한 논쟁

디모데와 디도가 동일 인물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두 사람 모두 바울로의 오랜 동역자였음에도 불구하고, 고린도후서와 갈라디아서에 함께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이 그 근거로 제시되었다.[37] 이 이론은 고린도전서 4장 17절, 16장 10절, 고린도후서 2장 13절, 7장 6절, 13-14절, 12장 18절, 사도행전 19장 22절에 나오는 여정이 디도이자 디모데인 한 사람의 여정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디모데후서 4장 10절은 디도가 달마티아로 떠났다고 기록하여 이 주장을 반박한다.[36] 또한, 바울로가 디모테오에게는 할례를 행했지만(행 16:3) 디도에게는 할례를 강요하지 않았다는 기록(갈 2:3) 역시 이 둘이 다른 사람이라는 증거가 될 수 있다. 다만, 마리우스 빅토리누스의 주석에 따르면 갈라디아서 2장 4절의 일부 사본은 디도가 할례를 받았다고 기록하고 있다.[38]

3. 시성 및 기념

디도의 축일은 트리덴티노 달력에는 없었지만, 1854년에 2월 6일로 지정되었다.[39] 1969년에 가톨릭 교회는 성 바오로 사도의 회심 축일 바로 다음 날인 1월 26일을 바울로의 두 제자인 디모테오와 디도의 축일로 지정했다.[40] 미국 복음주의 루터회는 디모테오, 디도와 더불어 실라 역시 같은 날에 기념한다. 동방 정교회는 8월 25일과 1월 4일을 축일로 삼는다.

그의 성물은 지금은 두개골밖에 남아있지 않은데, 터키 점령기 때 베네치아로 이송되었다가 1966년에 반환되어 지금까지 크레타 이라클리오의 성 디도 교회에 있다.[41] 성 디도는 미군 군종 장교의 성인이다. 그는 261년보다 더 일찍 성인으로 존경받았다.[15]

참조

[1] 서적 'Domar: the calendrical and liturgical cycle of the Armenian Apostolic Orthodox Church' Armenian Orthodox Theological Research Institute 2002
[2] 서적 "Smith's Bible Dictionary" Fleming H. Revel Company 1975-11
[3] 문서 Jerome, Letter 120: "Therefore Titus served as an interpreter, as Saint Mark used to serve Saint Peter, with whom he wrote his Gospel..."
[4] 웹사이트 "Timothy and Titus", Catholic News Agency, January 26, 2015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Butler, Alban. 'The Lives of the Saints', Vol. I, (1866) http://www.bartleby.[...] 2023-01-12
[6] 성경
[7] 성경
[8] 성경
[9] 성경
[10] 성경
[11] 성경
[12] 웹사이트 Pope Benedict XVI. "Timothy and Titus", 'L'Osservatore Romano', p. 11, December 27, 2006 http://www.ewtn.com/[...]
[13] 논문 "Was Titus Timothy?" 2001
[14] 서적 "Marius Victorinus' Commentary on Galatian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5] 뉴스 Archaeologists uncover earliest-known evidence of Christianity in North Alps at 'unusual' time https://www.foxnews.[...]
[16] 간행물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9
[17] 간행물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9
[18]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19] 웹사이트 Titus and Timothy, Companions of Saint Paul https://www.episcopa[...] 2022-07-19
[20] 웹사이트 The Orthodox Messenger, v. 8(7/8), July/Aug 1997 http://www.orthodoxc[...]
[21] 웹사이트 Titus Award https://www.army.mil[...] 2011-01-11
[22] 문서 ガラテヤ2:1
[23] 문서 2コリ8:23
[24] 문서 2コリ8:6
[25] 문서 2コリ8:18
[26] 문서 『テモテへの第二の手紙』4:10
[27] 서적 Smith’s Bible Dictionary Fleming H. Revel Company 1975-11
[28] 웹인용 Foley O.F.M., Leonard. 'Saint of the Day, Lives, Lessons, and Feast', (revised by Pat McCloskey O.F.M.), Franciscan Media https://web.archive.[...] 2019-09-04
[29] 웹인용 "Timothy and Titus", Catholic News Agency, January 26, 2015 https://web.archive.[...] 2019-09-04
[30] 문서 갈라디아서 2장
[31] 문서 갈 2:3-5
[32] 웹사이트 Butler, Alban. 'The Lives of the Saints', Vol. I, (1866) http://www.bartleby.[...]
[33] 문서 고린도전서 16장
[34] 문서 고린도후서 2장
[35] 문서 고후2:12-13
[36] 웹인용 Pope Benedict XVI. "Timothy and Titus", ''L'Osservatore Romano'', p. 11, December 27, 2006 https://web.archive.[...] 2019-09-04
[37] 논문 Was Titus Timothy?
[38] 서적 Marius Victorinus' Commentary on Galatians Oxford University Press
[39]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40]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41] 웹인용 The Orthodox Messenger, v. 8(7/8), July/Aug 1997 http://www.orthodoxc[...] 2019-09-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