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모테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모테오는 17년 리스트라에서 태어났으며, 사도 바울의 제자이자 동료로 활동하며 에페소 교회의 주교를 역임했다. 그는 유대인 어머니와 조모에게 성경을 배우며 성장했고, 바울의 두 번째 전도 여행부터 함께하며 복음을 전파했다. 바울이 순교한 후 에페소에서 디아나 여신을 비판하다 곤봉에 맞아 순교했다. 신약성경에는 디모데전서와 디모데후서, 두 편의 서신이 바울로부터 전해지며, 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 성공회 등에서 성인으로 추앙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0년 사망 - 필립보
필립보는 갈릴래아 베싸이다 출신으로 예수의 열두 사도 중 한 명이며, 본래 세례자 요한의 제자였으나 예수를 만나 그의 제자가 되었고, 나타나엘을 예수에게 인도하였으며, 오병이어 기적, 헬라인들과의 만남 주선, 아버지에 대한 질문 등으로 복음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외경과 유물, 그리고 여러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80년 사망 - 탈해 이사금
탈해 이사금은 알에서 태어났다는 설화가 전해지며, 남해 차차웅의 사위가 되어 대보를 지내다가 유리 이사금 사후 왕위에 올라 왜, 백제, 가야 등 주변 세력과 외교 및 군사적 갈등을 겪으며 영토 확장에 힘썼고, 김알지를 발견하여 신라 김씨 왕조의 기원을 마련했으며, 80년에 사망했다. - 에페소스 - 에페소인들에게 보낸 편지
에베소인들에게 보낸 편지는 그리스도의 희생을 통한 구원과 성도들의 연합 및 순결을 강조하며, 하나님의 사랑을 본받아 서로 사랑하고 하나됨을 유지하며 거룩한 삶을 살 것을 권면하는 신약성서의 서신이다. - 에페소스 - 에페소스 공의회
에페소스 공의회는 431년 테오도시우스 2세에 의해 소집되어 예수의 인성과 신성의 관계, 성모 마리아의 위상에 대한 교리적 입장을 정립하고 니케아 신조를 재확인하며 성모 마리아를 '테오토코스'로 칭하고 네스토리우스를 이단으로 단죄한 기독교 공의회이다.
| 디모테오 | |
|---|---|
| 기본 정보 | |
| 존칭 | 성 |
| 이름 | 티모테오 |
| 출생 | 기원후 30년경 |
| 출생지 | 루스트라, 갈라디아, 로마 제국 |
| 사망 | (티모테오 행전에 따르면 기원후 97년경 (79/80세)) |
| 사망지 | 에페소스, 아시아, 로마 제국 |
| 기념일 | 1월 22일 (동방 기독교) 1월 26일 (로마 가톨릭 교회, 루터교, 성공회) 1월 24일 (일부 지역 달력 및 1970년 이전 보편 로마력) 23 토비 (콥트 기독교) 27 토비 (유물 이전 – 콥트 기독교) 성 십자가 축일 후 다섯 번째 주일 다음 목요일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
| 숭배 대상 | 로마 가톨릭 교회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성공회 루터 교회 |
![]() | |
| 칭호 | 주교, 순교자 |
| 상징 | 목장 지팡이 |
| 수호 | 위장 및 장 질환에 대한 기원 |
| 인물 배경 | |
| 성경 정보 | |
| 출신 | 루스드라 더베 |
| 가족 관계 | 아버지는 그리스인, 어머니는 유대인 신자 |
| 스승 | 사도 바울로 |
| 추가 정보 | |
| 관련 정보 | 티모테오 전서 티모테오 후서 |
2. 일생
17년 소아시아 남부 지방 리스트라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린 시절 어머니 에우니케(유니게)와 할머니 로이스는 유대인이어서 십계명과 모세의 율법을 배웠다.[14]
디모테오는 바울의 제자가 되었고, 나중에는 그의 동반자이자 설교의 동역자가 되었다.[19] 서기 52년, 바울과 실라는 디모테오를 데리고 마케도니아로 여행을 떠났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디모테오가 즉시 자신의 나라, 집, 부모를 버리고 사도를 따라 가난과 고난에 참여한 열정과 사심 없음을 칭찬했다.[20] 디모테오는 건강이 좋지 않거나 "자주 앓는" 경향이 있었을 것이며, 바울은 그에게 "위장병 때문에 약간의 포도주를 사용하라"고 권했다.[21]
파울로스가 45년~46년 첫 번째 전도 여행 중 리스트라를 방문했을 때 그의 집에 묵은 것을 계기로 세례를 받았다. 파울로스는 디모테오를 매우 신임하여 두 번째 전도 여행에는 동반하고 세 번째 전도 여행에서도 선구자로서 예루살렘까지 같이 갔다. 그러나 예루살렘으로 간 파울로스가 체포되어 카이사리아 감옥에서 2년을 보내게 되면서 떨어져 에페소로 돌아왔다. 에페소 교회의 주교로 임명되었고 파울로스로부터 2개의 편지를 받아 더욱 복음 전파에 힘썼다.
바오로가 순교한 후 에페소에서 디아나 여신의 제사에서 그 여신이 우상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지적하자 이에 격분한 군중들에 의해 곤봉에 맞아 순교하였다고 전해진다. 디모테오는 아나톨리아의 리가오니아의 뤼스드라 또는 데르베 출신이었다.[13] 사도 바울과 바나바가 처음 뤼스드라를 방문했을 때 바울은 태어날 때부터 불구였던 사람을 고쳐 주었고, 이로 인해 많은 주민들이 그의 가르침을 받아들였다. 몇 년 후 실라와 함께 다시 돌아왔을 때, 디모테는 이미 그의 할머니 로이스와 어머니 유니게와 마찬가지로 존경받는 기독교 회원이었다. 디모테는 어린 시절부터 성경을 잘 알고 있었다고 한다. 고린도전서 16:10에는 그가 본성적으로 내성적이고 소심했다는 암시가 있다. "디모데가 오면 그를 편안하게 대해 주십시오. 그는 주님의 일을 하고 있습니다."[16]
디모테의 아버지는 그리스인 이방인이었다. 따라서 디모테는 할례를 받지 않았고, 바울은 디모테가 그들이 전도할 유대인들에게 받아들여지도록 하기 위해 사도행전 16:1-3에 따라 이를 시행했다.[17] 존 윌리엄 맥가비에 따르면,[18] "그러나 우리는 그 앞에서 디모데에게 자신의 손으로 할례를 행하는 것을 보게 되는데, '그 지역에 있던 어떤 유대인들 때문에' 그랬다." 이것은 예루살렘 공의회에서 내려진 결정, 즉 이방인 신자들에게 할례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결정을 훼손하지 않았다.[9]
3. 성서에서의 언급
바울이 아테네로 갔을 때, 실라와 디모테오는 잠시 베뢰아와 데살로니가에 머물다가 고린도에서 바울과 합류했다. 1 Thessalonians|데살로니가전서영어 3:1-6은 바울이 고린도에서 디모테오를 데살로니가로 보내 공동체의 지속적인 믿음을 묻고, 그것이 좋은 상태라고 보고했음을 시사한다. 디모테오는 에베소에서 바울이 머무는 동안(54-57) 사도행전에 처음 등장하며, 서기 56년 말 또는 57년 초에 바울은 그를 마케도니아로 보내 결국 고린도에 도착하게 했다. 디모테오는 바울의 편지 고린도전서가 그 도시에 도착한 직후 고린도에 도착했다.[22]
디모테오는 바울이 로마서를 보낸 57-58년 겨울 동안 고린도에 바울과 함께 있었다.[23] 사도행전 20:3-6에 따르면,[24] 디모테는 58년 유월절 직전에 마케도니아에 바울과 함께 있었고, 바울보다 먼저 그 도시를 떠나 드로아에서 바울을 기다렸다.[25] 레이몬드 브라운은 "그것이 사도행전에 나오는 디모테에 대한 마지막 언급"이라고 지적한다.[26] 서기 64년에 바울은 디모테오를 에베소에 남겨 그 교회를 다스리게 했다.
디모테오는 바울과 관계가 돈독했다. 디모테오의 이름은 고린도후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데살로니가전서, 데살로니가후서, 빌레몬서의 공동 저자로 등장한다. 바울은 빌립보인들에게 디모테오에 대해 "그와 같은 사람이 없다"고 썼다.[27] 바울이 감옥에 갇혀 순교를 기다리고 있을 때, 그는 그의 충실한 친구 디모테오를 불러 마지막 작별 인사를 했다.[19]
히브리서의 저자는 서신의 끝에서 디모테오의 석방을 언급함으로써, 신약성경이 쓰여지는 동안 디모테오가 적어도 한 번 투옥되었다는 것을 암시한다.[28]
신약 성경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른 자료에는 사도의 죽음에 대한 기록이 있다. 위경인 ''디모데행전''은 서기 97년에 80세의 주교가 여신 다이아나를 기리는 행렬을 복음을 설교함으로써 막으려 했다고 기록한다. 화가 난 이교도들은 그를 구타하고, 거리를 질질 끌고 다니며 돌로 쳐 죽였다.
3. 1. 할례 논쟁
사도행전 16장 1절과 바오로 서간에 따르면 디모테오는 예수를 믿는 유대인 에우니케와 그리스 사람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할머니 로이스도 예수를 믿는 유대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파울로스는 디모테오에게 보낸 서신에서 디모테오가 그리스도인 집안에서 자랐음을 언급하고 있다.
사도행전의 기록을 보면, 디모테오는 리스트라를 방문한 사도 파울로스의 눈에 들었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디모테오가 리스트라와 이코니온에 있는 교우들 사이에서 평판이 좋은 사람이었기 때문이었다.(사도행전 16:2) 파울로스는 디모테오를 데리고 떠나기 전에 할례를 베풀었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유대인들이 디모테오의 아버지가 그리스 사람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성서연구자들은 이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왜냐하면 파울로스는 갈라디아의 교우들에게 보낸 서간에서 자신은 할례를 결코 준 적이 없다고 말하는 반면(갈라디아 5:11-12), 사도행전의 파울로스는 유대인들을 의식해서 할례를 주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에 대한 설명으로 신학자들은 루카가 사도행전을 쓰기 위해 입수한 정보의 신빙성이 부족했기 때문으로 추정한다.[57] → 반론 : 갈라디아 5:11-12에서 바울로는 할례를 결코 준 적이 없다고 말하지 않았다. 단지 할례를 전파하지 않았다고 말했을 뿐이다.
디모테오는 아나톨리아의 리가오니아에 있는 뤼스드라 또는 데르베 출신이었다.[13] 사도 바울과 바나바가 처음 뤼스드라를 방문했을 때 바울은 태어날 때부터 불구였던 사람을 고쳐 주었고, 이로 인해 많은 주민들이 그의 가르침을 받아들였다. 몇 년 후 실라와 함께 다시 돌아왔을 때, 디모테오는 이미 그의 할머니 로이스와 어머니 유니게와 마찬가지로 존경받는 기독교 회원이었다. 두 사람 모두 유대인이었다. 디모데후서 1:5에서 그의 어머니와 할머니는 경건함과 믿음으로 유명하다고 언급되었다.[14] 디모테오는 어린 시절부터 성경을 잘 알고 있었다고 한다.
디모테오의 아버지는 그리스인 이방인이었다. 따라서 디모테오는 할례를 받지 않았고, 바울은 디모테오가 그들이 전도할 유대인들에게 받아들여지도록 하기 위해 사도행전 16:1-3에 따라 이를 시행했다.[17] 존 윌리엄 맥가비에 따르면,[18] "그러나 우리는 그 앞에서 디모데에게 자신의 손으로 할례를 행하는 것을 보게 되는데, '그 지역에 있던 어떤 유대인들 때문에' 그랬다." 이것은 예루살렘 공의회에서 내려진 결정, 즉 이방인 신자들에게 할례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결정을 훼손하지 않았다.[9]
4. 사역
45년 ~ 46년경 첫 번째 전도 여행 도중 파울로스가 리스트라를 방문했을 때 그의 집에 묵은 것을 인연으로 세례를 받았다. 두 번째 전도 여행에서는 파울로스의 동반자가 되었고, 세 번째 전도 여행에서도 선구자로서 예루살렘까지 같이 갔다. 그러나 예루살렘으로 간 파울로스가 체포되어 카이사리아 감옥에서 2년을 보내게 되면서 떨어져서 에페소로 돌아왔다. 에페소 교회의 주교로 임명되었고 파울로스로부터 2개의 편지를 받아 더욱 복음 전파에 힘썼다.[57]
디모데는 성 바울의 제자가 되었고, 나중에는 그의 끊임없는 동료이자 설교의 동역자가 되었다.[19] 서기 52년, 바울과 실라는 디모데를 데리고 마케도니아로 여행을 떠났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그가 즉시 자신의 나라, 집, 부모를 버리고 사도를 따라 그의 가난과 고난에 참여한 그의 열정과 사심 없음을 칭찬했다.[20] 디모데는 건강이 좋지 않거나 "자주 앓는" 경향이 있었을 것이며, 바울은 그에게 "위장병 때문에 약간의 포도주를 사용하라"고 권했다.[21]
바울이 아테네로 갔을 때, 실라와 디모데는 잠시 베뢰아와 데살로니가에 머물다가 고린도에서 바울과 합류했다. 바울이 고린도에서 디모데를 데살로니가로 보내 공동체의 지속적인 믿음을 묻고, 그것이 좋은 상태라고 보고했다. 디모데는 에베소에서 바울이 머무는 동안 (54–57) 사도행전에 처음 등장하며, 서기 56년 말 또는 57년 초에 바울은 그를 마케도니아로 보내 결국 고린도에 도착하게 했다. 디모데는 바울의 편지 고린도전서가 그 도시에 도착한 직후 고린도에 도착했다.[22]
디모데는 바울이 로마서를 보낸 57-58년 겨울 동안 고린도에 바울과 함께 있었다.[23] 사도행전 20:3–6에 따르면,[24] 디모데는 58년 유월절 직전에 마케도니아에 바울과 함께 있었고, 바울보다 먼저 그 도시를 떠나 드로아에서 바울을 기다렸다.[25] 레이몬드 브라운은 "그것이 사도행전에 나오는 디모데에 대한 마지막 언급"이라고 지적한다.[26] 서기 64년에 바울은 디모데를 에베소에 남겨 그 교회를 다스리게 했다.
그는 바울과의 관계가 돈독했다. 디모데의 이름은 고린도후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데살로니가전서, 데살로니가후서, 빌레몬서의 공동 저자로 등장한다. 바울은 빌립보인들에게 디모데에 대해 "그와 같은 사람이 없다"고 썼다.[27] 바울이 감옥에 갇혀 순교를 기다리고 있을 때, 그는 그의 충실한 친구 디모데를 불러 마지막 작별 인사를 했다.[19]
신약 성경이 쓰여지는 동안 디모데가 적어도 한 번 투옥되었다는 것은 히브리서의 저자가 서신의 끝에서 디모데의 석방을 언급함으로써 암시된다.[28]
5. 목회 서신
바울에게서 유래한 디모데전서와 디모데후서는 디도서와 함께 목회 서신이라고 불린다. 바트 D. 에르만, 레이먼드 콜린스(사제), 데이비드 오운을 포함한 일부 현대 학자들은 이 서신들을 위작으로 간주한다.[33][34][35]
이 서신들에서 저자는 교회 조직과 디모데 자신의 지도력에 관해 이야기하며, 율법 사용,[36] 거짓 교리(예: 금욕주의)에 대한 경고, 기도 지침,[37] 교회 내 여성의 역할, 지도자의 자격,[38] 과부, 장로 등에 대한 처우를 다룬다.[39]
바울은 디모데에게 "두려워하는 마음"을 갖지 말고 "우리 주님에 대해 증언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말라"고 권고하며,[40] 겨울 전에 자신에게 오고 마가를 데려오라고 한다. 그는 디모데후서 4장 6–8절의 고별사에서 자신의 죽음을 예상하며,[41] 디모데에게 거짓 가르침에 맞서 싸우고 박해 속에서 인내하며 직무를 충실히 수행하라고 권고한다.[42][43]
5. 1. 디모데전서 (c. 62-64)
바울에게서 유래한 두 통의 서신 중 하나인 디모데전서는 디모데후서, 디도서와 함께 목회 서신이라고 불린다. 바트 D. 에르만, 레이먼드 콜린스(사제), 데이비드 오운을 포함한 일부 현대 학자들은 위작으로 간주한다.[33][34][35]이 서신의 저자는 교회 조직과 디모테 자신의 지도력에 관해 디모테에게 편지를 썼다.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다.
- 율법 사용[36]
- 거짓 교리(예: 금욕주의)에 대한 경고
- 기도에 대한 지침[37]
- 교회 내 여성의 역할, 교회 지도자의 자격[38]
- 과부, 장로, 주인, 청년, 그리고 일반 신자들에 대한 처우[39]
5. 2. 디모데후서 (c. 62-64)
바울에게서 유래한 두 통의 서신 중 디모데후서가 있다. 이 서신은 디도서와 함께 목회 서신이라고 불리며, 바트 D. 에르만, 레이먼드 콜린스(사제), 데이비드 오운을 포함한 일부 현대 학자들은 위작으로 간주한다.[33][34][35]편지에 따르면, 바울은 디모데에게 "두려워하는 마음"을 갖지 말고 "우리 주님에 대해 증언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말라"고 권고한다.[40] 그는 또한 디모데에게 겨울이 오기 전에 자신에게 오고 마가를 데려오라고 간청한다. 바울은 디모데후서 4장 6–8절에 나오는 고별사에서 자신의 죽음과 그 이후의 현실을 분명히 예상하고 있다.[41] 그는 자신의 영적인 "아들" 디모데에게 거짓 가르침에 맞서 모든 부지런함과 굳건함을 다하라고 권하며, 과거의 가르침을 참조하여 그것들과 싸우는 방법에 대한 조언과 박해 속에서 인내하는 것에 대한 조언을 한다.[42] 또한, 그는 살아있는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실 심판관(하나님) 앞에 곧 나아가려는 사람의 엄숙함으로, 그의 직무의 모든 의무를 충실히 수행하라고 권고한다.[43]
6. 디모테오 행전
'''디모테오 행전'''(라틴어: Acta Timothei)은 신약 외경의 작품으로, 5세기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행전은 네로 황제 치세에 바울이 에페소스를 함께 방문했을 때 디모테오를 주교로 성성한 과정을 담고 있다. 그 후, 네르바 황제 시대에 디모테오는 이교도 축제 기간 중 순교한다.[44][45] 디모테오는 "난폭하고 격렬한 행위를 끝내려 했지만, 스스로 향락에 희생되었다."[46][47]
디모테오 행전에는 디모테오에 관한 내용만큼이나 요한 복음사가에 대한 내용이 많이 담겨 있는데, 그는 또한 에페소스에 거주했다.[48]
7. 기념과 존경
디모테오는 동방 정교회에서 사도, 성인, 순교자로 존경받으며, 축일은 1월 22일이다.[29] 로마 일반 전례력에서는 티토와 함께 1월 26일을 기념일로 지키는데, 이는 성 바오로 사도의 회심 축일 다음 날이다. 13세기부터 1969년까지는 1월 24일이 디모테오의 축일이었으며, 이는 성 바오로 사도의 회심 축일 전날이었다.[29]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에서는 티토, 실라와 함께 1월 26일에 디모테오를 기념한다. 루터교 미주리 시노드는 1월 24일에 디모테오 축일을 지킨다.
잉글랜드 성공회 성인 달력과 미국 성공회 성인 달력에서는 티토와 함께 1월 26일에 디모테오를 공경한다.[30][31]
4세기에는 디모테오의 유해가 에페소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옮겨져 안드레아와 루가의 무덤 근처 성 사도 교회에 안치되었다. 이후 13세기에 십자군 전쟁에서 돌아온 백작에 의해 이탈리아로 옮겨진 것으로 보이며, 1239년경 테르몰리 대성당에 매장되었다.[32] 이 유해는 1945년 복원 작업 중 재발견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Martyrdom of St. Timothy, the Apostle.", Coptic Orthodox Church Network
http://www.copticchu[...]
[2]
웹사이트
"The Relocation of the Relics of St. Timothy, the Apostle.", COCN
http://www.copticchu[...]
[3]
서적
Domar: the calendrical and liturgical cycle of the Armenian Apostolic Orthodox Church
Armenian Orthodox Theological Research Institute
2002
[4]
웹사이트
Saint Timothy
https://www.britanni[...]
2021-01-01
[5]
문서
'"Paul came also to Derbe and to Lystra. A disciple was there, named Timothy, the son of a Jewish woman who was a believer, but his father was a Greek. He was well spoken of by the brothers at Lystra and Iconium."'
[6]
웹사이트
Agasso, Domenico. "Saint Timothy, Bishop", Santi e Beati, February 1, 2001
http://www.santiebea[...]
[7]
웹사이트
Timothy
https://first-names.[...]
Zelo
2017-06-18
[8]
간행물
Historia Ecclesiastica
Penguin
[9]
웹사이트
Saint Timothy
https://www.britanni[...]
2021-01-01
[10]
웹사이트
2 Timothy 3 Barnes' Notes
https://biblehub.com[...]
2023-05-20
[11]
문서
'"Paul came also to Derbe and to Lystra. A disciple was there, named Timothy, the son of a Jewish woman who was a believer, but his father was a Greek. He was well spoken of by the brothers at Lystra and Iconium."'
[12]
Bibleverse
Acts
Acts 16:1–4
NIV
[13]
웹사이트
St. Timothy biography
http://www.sttimothy[...]
2017-06-18
[14]
Bibleverse
2 Timothy
2 Timothy 1:5
NIV
[15]
Bibleverse
1 Corinthians
1 Corinthians 16:10
NIV
[16]
웹사이트
Who Was Saint Timothy
http://www.fwepiscop[...]
St.Timothy's Episcopal Church
2014-01-17
[17]
Bibleverse
Acts
Acts 16:1–3
NIV
[18]
웹사이트
Commentary on Acts of the Apostles
http://www.ccel.org/[...]
2017-06-18
[19]
웹사이트
Apostle Timothy of the Seventy
http://oca.org/saint[...]
OCA
2017-06-18
[20]
서적
The Lives of the Saints
http://www.bartleby.[...]
Bartleby
2017-06-18
[21]
웹사이트
"Saints Timothy and Titus", Franciscan Media
https://www.francisc[...]
2019-03-25
[22]
웹사이트
1 Corinthians 4:17 - Paul Warns his Children
https://biblehub.com[...]
2023-07-19
[23]
Bibleverse
Romans
Romans 16:21
NIV
[24]
Bibleverse
Acts
Acts 20:3–6
NIV
[25]
Bibleverse
Acts
Acts 20:4–5
NIV
[26]
간행물
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Doubleday
[27]
Bibleverse
Philippians
Philippians 2:19–23
NIV
[28]
Bibleverse
Hebrews
Hebrews 13:23
NIV
[29]
문서
Calendarium Romanum
1969
[30]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31]
웹사이트
Titus and Timothy, Companions of Saint Paul
https://www.episcopa[...]
2022-07-19
[32]
웹사이트
Skull of apostle Timothy to travel to…
https://www.johnsani[...]
2011-09
[33]
문서
Ehrman, Bart. The New Testament: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Early Christian Writings.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p. 393
[34]
문서
Collins, Raymond F. 1 & 2 Timothy and Titus: A Commentar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4. p. 4
[35]
문서
David E. Aune, ed., The Blackwell Companion to the New Testament (Malden, MA: Wiley-Blackwell, 2010), 9
[36]
성경
[37]
성경
[38]
성경
[39]
성경
[40]
성경
[41]
성경
[42]
성경
[43]
성경
[44]
서적
1909
[45]
인용
1910
[46]
서적
2008
[47]
서적
1877
[48]
서적
1884
[49]
간행물
正教会暦
日本ハリストス正教会
2008
[50]
성경
[51]
성경
[52]
성경
[53]
성경
[54]
서적
테사로니케人への手紙
[55]
서적
新聖書辞典
いのちのことば社
1985
[56]
서적
聖書の概説
羊群社
[57]
저널
〈디모데의 할례 사건〉 ([[사도행전]] 16:1-5)
2005-1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