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트모티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이트모티프는 특정 인물, 사물, 또는 상황을 나타내기 위해 음악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짧은 선율이나 리듬 패턴을 의미한다. 18세기 오페라에서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으며, 1871년 독일 음악학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옌스에 의해 처음 용어가 사용되었다. 리하르트 바그너는 이 기법을 발전시키고 널리 사용하면서 라이트모티프는 그의 작품과 밀접하게 연관되었으며, 이후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등 많은 작곡가들에게 계승되었다. 라이트모티프는 음악뿐만 아니라 문학, 영화,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작품의 몰입도와 특정 요소의 강조에 기여한다. 하지만, 테오도어 아도르노는 라이트모티프가 감정 표현을 기계적인 과정으로 축소시킨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18세기에 이미 오페라에서 라이트모티프의 전신이 되는 기법이 사용되었다. 앙드레 그레트리(1741년 - 1813년)의 '사자왕 리샤르'(1784년)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1787년)가 그 예시이다. 이러한 용례에는 특정 명칭은 없었지만, 엑토르 베를리오즈는 환상 교향곡을 고정악상이라 칭하고, 속편인 '레리오, 혹은 생에의 복귀' 등에도 사용했다.
2. 용어의 기원과 역사
'라이트모티프'라는 용어는 1871년 독일의 음악학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옌스/Friedrich Wilhelm Jähnsde가 카를 마리아 폰 베버의 오페라 작품을 연구하면서 처음 사용했다.
1878년에는 독일의 한스 폰 볼초겐/Hans von Wolzogende이 친구 리하르트 바그너의 작품을 분석한 논문 '바그너의 "신들의 황혼"에 나타난 동기'에서 "라이트모티프"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하지만, 바그너 자신은 "라이트모티프" 대신 "기본 주제"(''Grundthema'') 또는 "예감 동기"(''Ahnungsmotiv'')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리하르트 바그너 이후,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를 비롯한 많은 작곡가들이 라이트모티프 기법을 계승해갔다. 음악에서 시작된 라이트모티프는 문학에도 도입되어, 토마스 만 등의 작품에 영향을 미쳤다. 존 윌리엄스의 『스타 워즈』(다스 베이더 테마 등)처럼 영화 등 사운드트랙에서도 이 기법은 널리 사용되었다.
2. 1. 초기 사용
18세기에 이미 오페라에서 라이트모티프의 전신이 되는 기법이 사용되었다. 앙드레 그레트리(1741년 - 1813년)의 '사자왕 리샤르'(1784년)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1787년)가 그 예시이다. 이러한 용례에는 특정 명칭은 없었지만, 엑토르 베를리오즈는 환상 교향곡을 고정악상이라 칭하고, 속편인 '레리오, 혹은 생에의 복귀' 등에도 사용했다.
2. 2. 바그너와 라이트모티프
리하르트 바그너는 라이트모티프 개념과 가장 직접적으로 연관된 초기 작곡가이다.[6][7] 바그너는 자신의 악극, 특히 4부작 오페라 ''니벨룽의 반지''(1853년에서 1869년 사이에 작곡)에서 수백 개의 라이트모티프를 광범위하게 사용하여, 이 기법을 발전시키고 대중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 라이트모티프들은 종종 특정 인물, 사물 또는 상황과 관련이 있으며, 일부는 오페라 중 하나에만 나타나지만, 많은 모티프는 전체 순환에서 반복된다.[6][7] 바그너는 에세이 ''오페라와 드라마''(1851)에서 음악이 어떻게 음악 드라마의 이질적인 요소를 가장 잘 통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고, 라이트모티프 기법은 이러한 이상에 부합한다.[8]
바그너는 leitmotivde(라이트모티프)라는 단어의 사용을 승인한 적이 없으며, Grundthemade(기본 아이디어) 또는 간단히 Motivde(모티프)와 같은 단어를 사용했다. 그가 선호하는 기술의 이름은 Hauptmotivde(주요 모티프)였으며, 1877년에 처음 사용했다.[2] 그가 Leitmotivde라는 단어를 사용한 유일한 시기에, 그는 "소위 라이트모티프"라고 언급했다.
이 단어는 1876년 ''반지''에 대한 ''Leitfaden''(가이드 또는 매뉴얼)을 출판한 한스 폰 볼초겐의 바그너 음악에 대한 지나치게 문자적인 해석으로 통용되었다. 그는 순환에서 반복되는 모든 모티프를 격리하고 이름을 지었다고 주장했다("종속" 모티프, "창" 또는 "조약" 모티프 등). 이는 종종 바그너의 실제 관행과 모순되거나 터무니없는 결과를 초래했다.[9] 그가 식별한 모티프 중 일부는 오페라의 출판된 악보에 나타나기 시작했고, 이는 바그너의 짜증을 불러일으켰다. 그의 아내 코지마 바그너는 그가 "사람들은 이 모든 터무니없는 일이 내 요청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인용했다.[10] 사실 바그너는 자신의 라이트모티프에 대해 대중적으로 이름을 붙인 적이 없으며, 그 연관성의 유연성, 음악 형식에서의 역할, 그리고 정서적 효과를 강조하는 것을 선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이트모티프에 이름을 붙이는 관행은 계속되었으며, 저명한 바그너 평론가 에르네스트 뉴먼, 데릭 쿠크, 로버트 도닝턴의 작품에 등장했다.[5]
이후,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를 비롯한 많은 작곡가들이 라이트모티프 기법을 계승했다. 결과적으로 라이트모티프 목록은 바그너 반대 평론가와 작곡가(예: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클로드 드뷔시,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조롱을 받았다. 그들은 모티프를 바그너 자신의 작곡 방식과 동일시하며, 이것이 만들어내는 음악적 "주소록" 또는 "외투 보관 번호" 목록의 인상을 조롱했다.
그러나 이후의 해설자들은 바그너의 라이트모티프 사용을 옹호했다. 피에르 불레즈에 따르면, "바그너는 형식이 문자 그대로 돌아오지 않고, 결코 반복되지 않는 최초의 음악을 만들었다. 음악이 진행됨에 따라 모든 주제적 요소를 함께 운반하여 새로운 방식으로 연결하고, 다른 요소와의 관계를 다르게 배치하며, 친숙하지 않은 빛으로 보여주고 예상치 못한 의미를 부여한다." 불레즈는 다음과 같이 덧붙인다. "''라이트모티프''는 사실 잘못 비교된 교통 신호와 전혀 다르지 않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시적이고 극적일 뿐만 아니라 형식적인 이중적인 미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들은 음악과 드라마의 구조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물과 상황에도 필수적이다. 그들의 진화는 일종의 '시간의 직조'이며, 과거와 현재를 통합한다. 또한 극적인 진전을 암시한다."[11]
2. 3. 다른 분야로의 확산
리하르트 바그너 이후,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를 비롯한 많은 작곡가들이 라이트모티프 기법을 계승해갔다. 음악에서 시작된 라이트모티프는 문학에도 도입되어, 토마스 만 등의 작품에 영향을 미쳤다. 존 윌리엄스의 『스타 워즈』(다스 베이더 테마 등)처럼 영화 등 사운드트랙에서도 이 기법은 널리 사용되었다.
3. 클래식 음악에서의 사용
3. 1. 초기 오페라
18세기 오페라에서 라이트모티프의 전신이 되는 수법이 이미 사용되었다. 앙드레 그레트리(1741년 - 1813년)의 '사자왕 리샤르'(1784년)와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1787년)가 그 예이다.[2] 이러한 용례에는 특정 명칭이 없었지만, 엑토르 베를리오즈는 환상 교향곡을 고정악상이라 칭하고, 속편인 '레리오, 혹은 생에의 복귀' 등에도 사용했다. 환상 교향곡에서는 '고정 악상'(idée fixe)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특정 주제를 반복적으로 제시하여 극적인 효과를 높였다. 17세기 초 몬테베르디의 ''오르페오''에서 오케스트라 음악에서 특징적이고 짧으며 반복되는 모티프 사용의 기원을 찾을 수 있다.[2] 18세기 후반 프랑스 오페라(글루크, 그레트리, 메율의 작품)에서는 "회상 모티프"를 식별할 수 있는데, 이는 플롯의 중요한 시점에서 반복되어 이전 사건과의 연관성을 설정한다.[2] 그러나 그 사용은 광범위하거나 체계적이지 않았다.[2]
3. 2. 19세기 이후
리하르트 바그너는 라이트모티프 개념과 가장 직접적으로 연관된 초기 작곡가이다. 1853년에서 1869년 사이에 작곡된 그의 4부작 오페라 ''니벨룽의 반지''는 수백 개의 라이트모티프를 사용하며, 이는 종종 특정 인물, 사물 또는 상황과 관련이 있다.[6][7] 바그너는 에세이 ''오페라와 드라마''(1851)에서 음악이 어떻게 음악 드라마의 이질적인 요소를 가장 잘 통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고, 라이트모티프 기법은 이러한 이상에 부합한다.[8] 바그너는 leitmotivde(라이트모티프)라는 단어의 사용을 승인한 적이 없으며, Grundthemade(기본 아이디어) 또는 간단히 Motivde(모티프)와 같은 단어를 사용했다.[2]
한스 폰 볼초겐은 1876년 ''반지''에 대한 ''Leitfaden''(가이드 또는 매뉴얼)을 출판하면서 라이트모티프라는 단어를 통용시켰다. 그는 순환에서 반복되는 모든 모티프를 격리하고 이름을 붙였는데, 이는 종종 바그너의 실제 관행과 모순되거나 터무니없는 결과를 초래했다.[9] 바그너는 자신의 라이트모티프에 대해 대중적으로 이름을 붙인 적이 없으며, 그 연관성의 유연성, 음악 형식에서의 역할, 그리고 정서적 효과를 강조하는 것을 선호했다.[10]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이트모티프에 이름을 붙이는 관행은 계속되었으며, 에르네스트 뉴먼, 데릭 쿠크, 로버트 도닝턴 등 저명한 바그너 평론가들의 작품에 등장했다.[5]
바그너 이후,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는 그의 많은 오페라와 여러 교향시에서 라이트모티프 기법을 사용했다. 클로드 드뷔시는 그의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상드''(1902)에서 라이트모티프를 활용했다. 아르놀트 쇤베르크는 그의 합창 작품 ''구레의 노래''(1911년 완성)에서 복잡한 라이트모티프 세트를 사용했으며, 알반 베르크의 오페라 ''보체크''(1914–1922) 또한 라이트모티프를 활용한다.[1] 칼 마리아 폰 베버는 낭만주의 오페라에서, 주세페 베르디는 운명의 힘, 일 트로바토레, 돈 카를로스 등의 오페라에서 라이트모티프와 유사한 주제 선율을 사용하여 등장인물의 감정이나 상황을 표현했다.
4. 대중문화에서의 사용
라이트모티프는 영화, 게임 등 대중문화에서도 널리 활용되어, 작품의 몰입도를 높이고, 특정 요소를 강조하는 데 기여한다.
; 영화 음악
존 윌리엄스는 스타워즈 시리즈에서 다스 베이더 테마[15], 죠스 시리즈에서 두 개의 E와 F가 반복되는 "상어" 테마[14], 해리 포터 시리즈의 "헤드위그의 테마"[18] 등 다양한 라이트모티프를 사용했다. 제임스 호너는 타이타닉에서 영화의 로맨스, 비극, 재난과 관련된 여러 라이트모티프를 사용했다.[17] 하워드 쇼어는 반지의 제왕 시리즈와 호빗 시리즈에서 반지원정대, 반지, 로스로리엔, 샤이어 등 특정 등장인물, 장소, 중간계의 전체적인 풍경을 뒷받침하는 아이디어를 전달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연결된 라이트모티프를 사용했다.[19][20]
한스 짐머, 클라우스 바델트, 제프 자넬리는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에서 주인공, 악당, 분위기와 관련된 여러 모티프와 테마를 사용했으며, 특히 "그는 해적이다"는 해적과 관련된 장면에 주로 사용되었다.[21] 한스 짐머와 제임스 뉴턴 하워드는 다크 나이트 시리즈에서 배트맨, 악당, 액션 장면을 위한 여러 테마와 모티프를 사용했다.[22]
이 외에도, M (1931)은 라이트모티프를 사용한 최초의 영화 중 하나로, 에드바르 그리그의 "산왕의 궁전에서"가 사용되었다.[13] 대니 엘프만은 1989년 영화 배트맨에서 타이틀 캐릭터를 위한 영웅적인 테마를 작곡했다.[16]
; 게임 음악
C418이 작곡한 마인크래프트의 오리지널 사운드트랙에는 여러 라이트모티프가 사용되었다.[23] 가장 두드러진 것은 사운드트랙의 타이틀 트랙 "Minecraft"에 등장하는 메인 멜로디로, 주로 오버월드를 나타낸다.[23] 이 멜로디는 "Door", "Mutation" 등의 트랙에서도 나타난다. "Sweden", "Wet Hands", "Haggstrom", "Subwoofer Lullaby", "Mice on Venus", "Danny" 등도 인기 있는 라이트모티프 트랙이다.[24]
토비 폭스의 비디오 게임 언더테일(2015)의 사운드트랙은 라이트모티프를 사용하여 테마 및 캐릭터 연결을 묘사했다는 점에서 비평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29] 특히, 게임의 마지막 보스 테마 중 두 곡인 "Hopes and Dreams"와 "SAVE the World"는 게임 전체에서 들었던 많은 중요한 라이트모티프를 다시 가져온다.[30] 폭스는 후속 게임 델타룬의 사운드트랙에서도 라이트모티프 사용을 이어갔다.
; 뮤지컬
린-마누엘 미란다는 해밀턴에서 라이트모티프를 사용하여 캐릭터를 소개하고, 극의 전개를 강화했다.[27][28] 거의 모든 캐릭터는 특징적인 라이트모티프를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알렉산더 해밀턴의 이름이 불리는 방식이 그러하다.
; 기타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는 상징적인 라이트모티프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지만,[25] 페이즈 3 말기에 앨런 실베스트리가 작곡한 어벤져스 팀 테마와 루드비히 고란손이 작곡한 와칸다 배경 테마가 등장한다.[26]
4. 1. 영화 음악
존 윌리엄스는 스타워즈 시리즈에서 다스 베이더 테마[15], 죠스 시리즈에서 두 개의 음표인 E와 F가 반복되는 "상어" 테마[14], 해리 포터 시리즈의 "헤드위그의 테마"[18] 등 다양한 라이트모티프를 사용했다. 제임스 호너는 타이타닉에서 영화의 로맨스, 비극, 재난과 관련된 여러 라이트모티프를 사용했다.[17] 하워드 쇼어는 반지의 제왕 시리즈와 호빗 시리즈에서 반지원정대, 반지, 로스로리엔, 샤이어 등 특정 등장인물, 장소, 중간계의 전체적인 풍경을 뒷받침하는 아이디어를 전달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연결된 라이트모티프를 사용했다.[19][20]한스 짐머, 클라우스 바델트, 제프 자넬리는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에서 주인공, 악당, 분위기와 관련된 여러 모티프와 테마를 사용했으며, 특히 "그는 해적이다"는 해적과 관련된 장면에 주로 사용되었다.[21] 한스 짐머와 제임스 뉴턴 하워드는 다크 나이트 시리즈에서 배트맨, 악당, 액션 장면을 위한 여러 테마와 모티프를 사용했다.[22]
이 외에도, M (1931)은 라이트모티프를 사용한 최초의 영화 중 하나로, 에드바르 그리그의 "산왕의 궁전에서"가 사용되었다.[13] 대니 엘프만은 1989년 영화 배트맨에서 타이틀 캐릭터를 위한 영웅적인 테마를 작곡했다.[16]
4. 2. 게임 음악
C418이 작곡한 마인크래프트의 오리지널 사운드트랙에는 여러 라이트모티프가 사용되었다.[23] 가장 두드러진 것은 사운드트랙의 타이틀 트랙 "Minecraft"에 등장하는 메인 멜로디로, 주로 오버월드를 나타낸다.[23] 이 멜로디는 "Door", "Mutation" 등의 트랙에서도 나타난다. "Sweden", "Wet Hands", "Haggstrom", "Subwoofer Lullaby", "Mice on Venus", "Danny" 등도 인기 있는 라이트모티프 트랙이다.[24]토비 폭스의 비디오 게임 언더테일(2015)의 사운드트랙은 라이트모티프를 사용하여 테마 및 캐릭터 연결을 묘사했다는 점에서 비평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29] 특히, 게임의 마지막 보스 테마 중 두 곡인 "Hopes and Dreams"와 "SAVE the World"는 게임 전체에서 들었던 많은 중요한 라이트모티프를 다시 가져온다.[30] 폭스는 후속 게임 델타룬의 사운드트랙에서도 라이트모티프 사용을 이어갔다.
4. 3. 뮤지컬
린-마누엘 미란다는 해밀턴에서 라이트모티프를 사용하여 캐릭터를 소개하고, 극의 전개를 강화했다.[27][28] 거의 모든 캐릭터는 특징적인 라이트모티프를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알렉산더 해밀턴의 이름이 불리는 방식이 그러하다.5. 비판과 논란
테오도어 아도르노는 1930년대에 저술한 저서 『바그너를 찾아서』에서 라이트모티프가 감정 표현을 기계적인 과정으로 축소시킨다고 비판했다.[12] 그는 "심지어 바그너 시대에도 대중은 라이트모티프와 그 특징을 나타내는 인물들을 조잡하게 연결했다"고 지적하며, 이는 사람들의 정신적 과정이 바그너의 의도와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12] 아도르노는 이러한 라이트모티프의 타락이 영화 음악으로 이어진다고 보았으며, 영화 음악에서 라이트모티프는 관객이 영웅이나 상황을 쉽게 인식하도록 돕는 기능만을 수행한다고 지적했다.[12]
참조
[1]
Grove
Leitmotif (from Ger. Leitmotiv: 'leading motif')
[2]
서적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Analysis of Music
Prentice-Hall
[4]
간행물
Berlioz and the Pathological Fantastic: Melancholy, Monomania, and Romantic Autobiography
https://www.research[...]
2006
[5]
서적
Wagner's 'Ring' and its Symbols
Faber and Faber Limited
[6]
서적
The Wagner Compendium: A Guide to Wagner's Life and Music
Thames & Hudson
[7]
서적
A Short History of Opera
Columbia University Press
[8]
서적
The Wagner Compan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Richard Wagner and His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
서적
Cosima Wagner's Diaries
Harcourt Brace Jovanovich
[11]
서적
Orientations: Collected Writings
Harva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In Search of Wagner
Verso
[13]
웹사이트
Leitmotif revisted
https://www.filmsoun[...]
2024-10-21
[14]
간행물
"Letter in response to 'A Study of ''Jaws''{{'}} Incisive Overture to Close Off the Century'"
http://www.filmscore[...]
1999-09-24
[15]
간행물
A Field Guide to the Musical Leitmotifs of ''Star Wars''
https://www.newyorke[...]
2021-08-11
[16]
간행물
Danny Elfman – The Agony & The Ecstasy of Scoring ''Batman''
https://books.google[...]
GPI Publications
2018-01-12
[17]
웹사이트
James Horner – Titanic
http://www.mfiles.co[...]
Mfiles
2016-01-01
[18]
웹사이트
Harry Potter soundtrack: 'Hedwig's Theme' and everything to know about the film franchise's magical score
https://www.classicf[...]
2021-08-04
[19]
웹사이트
Howard Shore in ''The Lord of the Rings'': How to use leitmotif technique to create a masterpiece?
https://taketones.co[...]
2021-08-11
[20]
웹사이트
"LOTR's Howard Shore Returns for ''The Rings of Power'', Alongside ''God of War'' Composer"
https://www.gamespot[...]
2022-07-25
[21]
간행물
Audio: On the Score with Hans Zimmer
http://www.filmmusic[...]
2011-08-07
[22]
웹사이트
Batman Vs. Hans Zimmer and James Newton Howard Part 2
http://www.ign.com/a[...]
2006-12-01
[23]
웹사이트
"The Lasting Power of ''Minecraft''{{'}}s Procedurally-Generated Music"
https://theboar.org/[...]
2022-09-20
[24]
뉴스
"Review: German musician known for ''Minecraft'' soundtrack C418's latest, 'Sweden'"
https://highschool.l[...]
2023-05-21
[25]
AV media
The Marvel Symphonic Universe
https://www.youtube.[...]
2024-04-25
[26]
뉴스
"Here's why the music in Marvel superhero movies is so forgettable"
https://www.post-gaz[...]
2021-07-26
[27]
웹사이트
"''Hamilton'' and Leitmotif"
https://thatiranianp[...]
2021-06-10
[28]
서적
Resonances: Engaging Music in Its Cultural Context
University of North Georgia Press
2020
[29]
웹사이트
"An Examination of Leitmotifs and Their Use to Shape Narrative in ''Undertale'' – Part 1 of 2"
https://www.gamedeve[...]
2022-12-23
[30]
웹사이트
"Note Block Beat Box: Listening to Hopes and Dreams from ''Undertale''"
http://www.usgamer.n[...]
2022-1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