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이헤나우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이헤나우섬은 보덴 호수에 있는 섬으로,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에 사람이 거주했으나 로마 시대에는 버려졌다가 724년 성 피르민에 의해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건설되면서 다시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 카롤링거 왕조와 오토 왕조 시대에 번성하여, 9세기에는 십자형 바실리카 스타일로 재건된 수도원 교회가 건설되었고, 10세기 후반부터 11세기 후반에는 예술적 중심지로 발전했다. 라이헤나우 수도원은 11세기 중반 이후 쇠퇴하여 1540년 콘스탄츠 주교에게 수도원장 지위가 양도되었고, 1803년 세속화되었다. 현재는 채소 농업으로 유명하며, 2001년에는 베네딕토회 신앙 공동체가 재건되었다. 라이헤나우섬은 예술과 학문의 중심지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호중도 - 린다우
    독일 바이에른주 콘스탄스 호수에 위치한 린다우는 오스트리아, 스위스 국경과 인접한 물류 거점 도시로, 아름다운 호반 풍경과 역사적인 도심, 그리고 노벨상 수상자 회의 개최지로 유명한 관광 및 학술 도시이다.
  • 독일의 세계유산 - 바우하우스
    1919년 발터 그로피우스가 독일 바이마르에 설립한 바우하우스는 건축을 중심으로 예술 분야를 통합하고 기능주의와 기하학적 형태를 강조하는 디자인 양식을 추구한 예술 학교로, 나치 정권의 탄압으로 폐교되었으나 그 이념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쳤다.
  • 독일의 세계유산 - 뤼데스하임암라인
    뤼데스하임암라인은 독일 헤센주에 위치한 도시로, 라인강 우안과 라인가우 와인 산지, 니더발트 기념비 기슭에 자리 잡고 있으며, 포도 재배, 선박 운송,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 유럽의 세계유산 - 폼페이
    기원전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멸망한 폼페이는 로마 식민지로서 번영을 누렸으나 화산재에 묻혀 보존되면서 고대 로마 사회상을 보여주는 유적이 되었고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유럽의 세계유산 - 콜로세움
    콜로세움은 플라비우스 원형 경기장이라고도 불리는 고대 로마의 원형 경기장으로, 검투사 경기와 야수 사냥을 위해 플라비우스 왕조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네로 황제의 동상인 콜로서스 근처에 위치하여 현재는 로마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가 되었다.
라이헤나우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콘스탄츠 및 보덴제 지구(독일, 노란색) 및 투르가우 주(스위스, 녹색)와 함께 표시된 라이헤나우
라이헤나우, 콘스탄츠 및 보덴제 크라이제(노란색) 및 투르가우 칸톤(녹색)과 함께 표시됨
일반 정보
이름라이헤나우 섬
위치콘스탄스 호수
면적4.3 km²
지정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지정 종류문화유산
지정 기준(iii), (iv), (vi)
지정 번호974
지정 연도2000년
지역유럽 및 북미
공식 웹사이트www.reichenau.de
지리
길이4.5 km
너비1.5 km
해안선 길이11 km
최고 지점호흐바르트
해발 고도438.7 m
행정 구역
국가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프라이부르크 현
추가 정보
라이헤나우 섬의 항공 사진
라이헤나우 섬의 항공 사진

2. 역사

청동기 시대철기 시대에 라이헤나우섬에 사람들이 거주했지만, 로마 제국 시대에는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라이헤나우섬은 버려졌다.[3] 724년, 수도사 피르민이 카롤링거 왕조 통치자 카를 마르텔로부터 지원을 받아 섬에 베네딕토회 수도원인 라이헤나우 수도원을 건설하면서 다시 사람들이 살기 시작했다.[1]

카롤링거 왕조와 오토 왕조의 후원 아래 수도원은 크게 번성했다. 816년에는 십자형 바실리카 스타일로 재건된 수도원 교회가 성모 마리아와 성 마르코에게 봉헌되었고, 성 마르코의 유물이 수도원에 안치되었다.[1] 799년에는 성 베드로와 바울로에게, 896년에는 성 게오르기우스에게 봉헌된 교회가 섬에 추가로 건설되었다.[1]

수도원에서는 발라프리드 스트라보, 라이헤나우의 헤르만, 레긴베르트와 같은 학자들과 예술가들이 배출되었다.[1] 라이헤나우의 유명한 예술 작품으로는 성 게오르기우스 교회에 있는 10세기의 독특한 유물인 오토 시대 르네상스 시대의 그리스도의 기적 벽화가 있다.[1] 장크트갈렌 수도원 계획도 역시 이 섬에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1]

수도원은 독일 - 이탈리아 간 남북으로 뻗어 있는 간선도로를 따라 있었기 때문에, 신학교, 사본 필사실, 공방이 세워져 중요한 거점 역할을 했다. 신성 로마 제국에 속하는 이곳은 10세기 후반부터 11세기 후반에 걸쳐, 색색의 무늬와 장식 문자로 장식된 화려한 사본을 만들어내는 예술적 중심지가 되었다. '밤베르크 묵시록'과 하인리히 2세를 위한 '하인리히 2세의 복음서' 등 다수의 걸작이 제작되었다.[14]

1540년, 콘스탄츠 주교령에 마르쿠스 크뇌링겐이 수도원장 지위를 양도하면서 라이헤나우는 콘스탄츠 주교 관할하의 수도 분원(Priorat)이 되었고, 수도원의 영향력은 약화되었다.[1] 1757년 교황 베네딕토 14세는 수도 분원을 폐지했고, 1803년 주교령으로서의 라이헤나우는 세속화되었다.[16]

1757년부터 1803년까지 수도원의 토지는 세속화되었고, 나폴레옹의 침공으로 성직자들은 추방되었다. 라이헤나우 서고는 카를스루에 주립 도서관(Landesbibliothek Karlsruhe)으로 보존되었고, 《바이에른 지지》 등 주요 기록은 뮌헨의 바이에른 주립 도서관에서 발견되었다. 2001년부터 베네딕토회파 신앙 공동체가 니더첼에서 재건되었다.[1]

오늘날 이 섬은 채소 농장으로도 유명하다. 섬 옆의 볼마팅거 리트는 갈대 습지인 대규모 자연 보호 구역으로, 많은 새들이 연례 이동 중에 기착지로 사용한다.

2. 1. 초기 역사와 수도원 설립

청동기 시대철기 시대에 라이헤나우섬에 사람들이 거주했지만, 로마 제국 시대에는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라이헤나우섬은 버려졌다.[3] 724년, 수도사 피르민이 카롤링거 왕조 통치자 카를 마르텔로부터 지원을 받아 섬에 베네딕토회 수도원인 라이헤나우 수도원을 건설하면서 다시 사람들이 살기 시작했다.[1][7] 무어인의 침공을 받은 스페인을 탈출하여 여러 나라를 순회하던 성 필미니우스는 카를 마르텔, 아할로핑거 백작, 슈바벤 공작 등의 비호를 받았지만, 727년 카롤링거 왕조와 대립하는 인근 귀족의 반란으로 라이헤나우에서 쫓겨났다.[7]

첫 수도원은 미텔젤에 있었는데, 나무로 지어졌지만 746년에 석조 건물로 대체되었다.[4] 피르민의 뒤를 이은 하트는 호엔촐레른 백작의 친척이었기 때문에, 수도원은 풍족한 자금을 받아 화려한 지위를 획득했다. 736년경부터 782년까지 라이헤나우 수도원장과 콘스탄츠 주교를 겸임하는 기간이 이어진 후, 라이헤나우 수도원은 카를 대제 치하에서 황후 힐데가르트의 형제 게롤트 등의 후원을 받아 프랑크 왕국의 대수도원 중 하나가 되었다. 9세기 초, 카롤링거 왕조와 오토 왕조의 후원 아래 수도원 공동체는 번성했다. 816년에는 당시 수도원이었던 수도원 교회가 십자형 바실리카 스타일로 재건되었고, 성모 마리아와 성 마르코에게 봉헌된 교회가 헌당되었다.[1]

786년부터 806년까지 수도원장을 역임한 발도는 카를 대제의 유력한 측근이었고, 대제의 아들 이탈리아 왕 피핀(카를만, 810년 사망)의 스승을 맡았으며, 806년에는 파리 교외의 생 드니 수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발도의 제자 하이토(802년 이후 바젤 주교)가 그 후임자가 되었지만, 그의 왕실에 대한 영향력도 컸다. 하이토는 810년 또는 811년 랑고바르드 백작 아이오와 함께 카를의 황제 승인 교섭을 위해 비잔틴으로 파견되었다. 그는 또한 카를의 유언장에 서명했다.[8] 하이토는 824년 《베티의 환시》를 저술했다.[9] 이 시기에 50개 이상의 형제 수도원에 속하는 총 4만 명의 수도승 이름을 기록한 명부와 장크트 갈렌 수도원의 설계도가 작성되었다.[10]

성 마르코의 유물이 9세기 중반에 수도원에 도착했다. 830년에 베로나의 주교 라톨드가 수도원에 가져온 성유물은 성 마르코의 것이라고 콘스탄츠 주교가 승인하여, 성유물 숭배의 기운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성 베드로와 바울로 (799년) 그리고 성 게오르기우스 (896년)에게 봉헌된 두 개의 교회가 더 섬에 건설되었다.[1] 루트비히 1세 (경건왕)에 의해 수도원장으로 임명된 발라프리트 스트라보(임기: 838년-849년 중단 있음)는 수도원의 약초를 노래하는 시 등을 저술한 시인이자, 성경 주해와 성인전을 저술한 학자이기도 했다.[11] 896년경, 마인츠 대주교를 겸임하고 있던 수도원장 하트 3세는 성 게오르크 교회를 건립했는데, 이 교회의 벽에는 오토 왕조 시대에 '그리스도의 기적'이 그려졌다.[12]

9세기에 100명이 넘었던 수도승의 수는 (850년경 134명), 10세기 중에 감소했다 (940년경 96명). 이 무렵부터 귀족 자제에게만 수도원 입회가 허용되었기 때문이다.[13] 998년 수도원장 알라비히 2세는 시장 개설권을 획득했다.[13]

수도원의 집행관은 2층 석조 건물에 거주했으며, 14세기에 나무 골조로 된 2개 층이 추가되어 남부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 골조 건물 중 하나가 되었다. 현재는 지역 역사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1]

수도원 공동체는 발라프리드 스트라보 (수도원장 역임), 라이헤나우의 헤르만, 수도원장 레긴베르트와 같은 학자들, 그리고 예술가들을 포함하여 영향력 있는 시인과 작가들을 배출했다.[1] 라이헤나우의 유명한 예술 작품으로는 (성 게오르기우스 교회에 있는) 10세기의 독특한 유물인 오토 시대 르네상스 시대의 그리스도의 기적 벽화가 있다.[1] 중세 시대의 유일하게 남아 있는 건축 도면인 장크트갈렌 수도원 계획도 역시 이 섬에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1] 수도원의 광대한 토지 소유 중에는 스위스 그라우뷘덴 주의 타민스 자치시에 있는 상부 라인 강 유역의 마을인 라이헤나우가 있는데, 이는 수도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 2. 카롤링거 왕조와 오토 왕조 시대의 번영

724년 수도사 피르민이 카롤링거 왕조 통치자 카를 마르텔의 지원을 받아 라이헤나우섬에 수도원을 건설하면서, 섬은 다시 번영하기 시작했다.[1] 피르민은 무어인의 침공을 받은 스페인을 탈출하여 여러 나라를 순회하던 성자로, 카를 마르텔, 아할로핑거 백작, 슈바벤 공작 등의 비호를 받았다.[7]

9세기 초, 카롤링거 왕조와 오토 왕조의 후원 아래 수도원은 크게 번성했다. 816년에는 십자형 바실리카 스타일로 재건된 수도원 교회가 성모 마리아와 성 마르코에게 봉헌되었고, 성 마르코의 유물이 수도원에 안치되었다.[1] 786년부터 806년까지 수도원장을 역임한 발도(Waldo)는 카롤루스 대제의 유력한 측근이었고, 806년에는 파리 교외의 생 드니 수도원 원장으로 임명되었다. 발도의 제자 하이토(Heito)는 810년 또는 811년 랑고바르드 백작 아이오와 함께 카를의 황제 승인 교섭을 위해 비잔틴으로 파견되기도 했다.[8]

799년에는 성 베드로와 바울로에게, 896년에는 성 게오르기우스에게 봉헌된 교회가 섬에 추가로 건설되었다.[1] 896년경, 마인츠 대주교를 겸임하고 있던 수도원장 하트 3세는 성 게오르크 교회를 건립했는데, 이 교회 벽에는 오토 왕조 시대에 '그리스도의 기적'이 그려졌다.[12]

수도원에서는 발라프리드 스트라보 (수도원장 역임), 라이헤나우의 헤르만, 레긴베르트와 같은 학자들과 예술가들이 배출되었다.[1] 루트비히 1세에 의해 수도원장으로 임명된 '''발라프리트 스트라보'''는 수도원의 약초를 노래하는 시 등을 저술한 시인이자, 성경 주해와 성인전을 저술한 학자였다.[11] 라이헤나우의 유명한 예술 작품으로는 성 게오르기우스 교회에 있는 10세기의 독특한 유물인 오토 시대 르네상스 시대의 그리스도의 기적 벽화가 있다.[1] 중세 시대의 유일하게 남아 있는 건축 도면인 장크트갈렌 수도원 계획도 역시 이 섬에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1]

수도원은 독일 - 이탈리아 간 남북으로 뻗어 있는 간선도로를 따라 있었기 때문에, 신학교, 사본 필사실, 공방이 세워져 중요한 거점 역할을 했다. 신성 로마 제국에 속하는 이곳은 10세기 후반부터 11세기 후반에 걸쳐, 색색의 무늬와 장식 문자로 장식된 화려한 사본을 만들어내는 예술적 중심지가 되었다. '밤베르크의 묵시록'(Bamberger Apokalypse)과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2세를 위한 '하인리히 2세의 복음서'(das Evangeliar Heinrichs II.) 등 다수의 걸작이 제작되었다.[14]

998년 수도원장 알라비히 2세는 시장 개설권(Marktrecht)을 획득했다.[13] 수도원은 원장 베르노(1008년-1048년) 시대에 절정기를 맞이했고, 뛰어난 학자 헤르마누스 콘트라투스도 이 시기에 활동했다.

2. 3. 수도원의 쇠퇴와 세속화

1540년, 콘스탄츠 주교령에 마르쿠스 크뇌링겐이 수도원장 지위를 양도하면서 라이헤나우는 콘스탄츠 주교 관할하의 수도 분원(Priorat)이 되었고, 수도원의 영향력은 약화되었다.[1] 1757년 교황 베네딕토 14세는 수도 분원을 폐지했고, 1803년 주교령으로서의 라이헤나우는 세속화되었다.[16]

수도원 토지는 1757년부터 1803년까지 세속화되었고, 나폴레옹의 침공으로 성직자들은 추방되었다. 라이헤나우 서고는 카를스루에 주립 도서관(Landesbibliothek Karlsruhe)으로 보존되었고, 《바이에른 지지》(:en:Geographus Bavarus) 등 주요 기록은 뮌헨의 바이에른 주립 도서관에서 발견되었다. 2001년부터 베네딕토회파 신앙 공동체가 니더첼에서 재건되었다.[1]

수도원은 원장 베르노(1008년-1048년) 시대에 절정기를 맞이했고, 헤르마누스 콘트라투스도 이 곳에서 활동했다. 그러나 11세기 중반 이후, 로마 교황그레고리오 7세의 개혁과 장크트 갈렌 수도원의 부상으로 수도원의 중요성은 점차 감소했다.

2. 4. 현대

1540년, 마르쿠스 크뇌링겐은 수도원장 지위를 콘스탄츠 주교에게 양도했고, 라이헤나우는 콘스탄츠 주교 관할하의 수도 분원(Priorat)이 되었다.[16] 1757년 교황 베네딕토 14세는 수도 분원을 폐지했고, 1803년 주교령으로서의 라이헤나우는 세속화되었다.[16]

1757년부터 1803년까지 수도원의 토지는 세속화되었고, 침공한 나폴레옹에 의해 성직자들은 추방되었다. 라이헤나우의 서고는 카를스루에 주립 도서관(Landesbibliothek Karlsruhe)으로 보존되었다. 《바이에른 지지》(:en:Geographus Bavarus)와 기타 많은 중요한 기록은 뮌헨의 바이에른 주립 도서관에서 발견되었다. 2001년부터 베네딕토회파의 신앙 공동체가 니더첼에서 재건되었다.

16세기에 콘스탄츠 주교령의 영토가 라이헤나우를 포함하도록 확장되면서 수도원의 영향력은 약화되었다. 1803년 콘스탄츠 주교령의 세속화 과정에서 섬에 있던 작은 예배당들이 많이 철거되었다.[1] 수도원에 보관되어 있던 필사본과 기록 보관소는 칼스루에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도서관으로 넘겨졌고, 주변 농장은 분할되어 판매되었다.

오늘날 이 섬은 채소 농장으로도 유명하다. 섬 옆의 볼마팅거 리트는 갈대 습지인 대규모 자연 보호 구역으로, 많은 새들이 연례 이동 중에 기착지로 사용한다.

3. 주요 유적

724년 피르민이 카를 마르텔의 지원을 받아 섬에 수도원을 건설하면서 라이헤나우섬의 역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1] 초기 수도원은 나무로 지어졌으나 746년에 석조 건물로 대체되었다.[4] 9세기 초에는 카롤링거 왕조와 오토 왕조의 후원으로 수도원이 크게 번성하였다.

라이헤나우 수도원은 발라프리드 스트라보, 라이헤나우의 헤르만 등 영향력 있는 학자들을 배출했다.[1] 또한, 장크트갈렌 수도원 계획도가 이 섬에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으며,[1] 성 게오르기우스 교회에는 오토 왕조 르네상스 시대의 벽화가 남아있다.[1]

섬에는 성모 마리아와 성 마르코에게 봉헌된 수도원 교회,[1] 성 베드로와 바울로 교회(799년 건립),[1] 성 게오르기우스 교회(896년 건립)[1] 등 세 곳의 주요 교회가 건설되었다.

수도원 집행관이 거주하던 2층 석조 건물은 14세기에 나무 골조 2개 층이 추가되어 현재 남부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 골조 건물 중 하나로, 현재는 지역 역사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1]

16세기에 콘스탄츠 주교령에 포함되면서 수도원의 영향력은 약화되었고, 1803년 세속화 과정에서 섬의 여러 예배당이 철거되었다.[1] 수도원의 필사본과 기록 보관소는 카를스루에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도서관으로 옮겨졌고, 주변 농장은 분할되어 판매되었다.

오늘날 라이헤나우섬은 채소 농장으로 유명하며, 섬 옆의 볼마팅거 리트는 새들의 이동 경로에 있는 중요한 자연 보호 구역이다.

3. 1. 성 마리아와 마르코 수도원 교회

816년, 당시 수도원이었던 수도원 교회가 십자형 바실리카 양식으로 재건되었고, 성모 마리아와 성 마르코에게 봉헌되었다.[1] 9세기 중반에 성 마르코의 유물이 수도원에 도착했다.[1]

3. 2. 성 게오르기우스 교회

성 게오르게, 라이헤나우-오버첼


성 게오르크 교회를 배경으로 한 섬의 야채 농장 중 하나


성 게오르기우스 교회에 있는 오토 왕조 르네상스 시대 그리스도의 기적 벽화는 10세기의 독특한 유물이다.[1]

3. 3. 성 베드로와 바울로 교회

성 베드로와 바울로 교회는 799년에 섬에 건설되었다.[1]

3. 4. 중세 시대 건물



724년, 수도사 피르민이 카롤링거 왕조 통치자 카를 마르텔로부터 지원을 받아 섬에 수도원을 건설하기 전까지 섬은 무인도였다.[1] 첫 수도원은 미텔젤에 있었는데, 나무로 지어졌지만 746년에 석조 건물로 대체되었다.[4] 9세기 초, 카롤링거 왕조와 오토 왕조의 후원 아래 공동체는 번성했다. 816년에는 당시 수도원이었던 수도원 교회가 십자형 바실리카 스타일로 재건되었고, 성모 마리아와 성 마르코에게 봉헌된 교회가 헌당되었다.[1] 9세기 중반에 성 마르코의 유물이 수도원에 도착했다. 성 베드로와 바울로 (799년) 그리고 성 게오르기우스 (896년)에게 봉헌된 두 개의 교회가 더 섬에 건설되었다.[1]

수도원의 집행관은 2층 석조 건물에 거주했으며, 14세기에 나무 골조로 된 2개 층이 추가되어 남부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 골조 건물 중 하나가 되었다. 현재는 지역 역사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1]

수도원 공동체는 발라프리드 스트라보 (수도원장 역임), 라이헤나우의 헤르만, 수도원장 레긴베르트와 같은 학자들과 예술가들을 포함하여 영향력 있는 시인과 작가들을 배출했다.[1] 라이헤나우의 유명한 예술 작품으로는 성 게오르기우스 교회에 있는 10세기의 독특한 유물인 오토 시대 르네상스 시대의 그리스도의 기적 벽화가 있다.[1] 중세 시대의 유일하게 남아 있는 건축 도면인 장크트갈렌 수도원 계획도 역시 이 섬에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1]

4. 문화적 의의

724년 수도사 피르민이 카롤링거 왕조 카를 마르텔의 지원을 받아 수도원을 건설하면서, 섬은 프랑크 왕국의 대수도원 중 하나로 발전하였다.[1][7] 카롤루스 대제 치하에서 황후 힐데가르트의 형제 게롤트 등의 후원을 받았다.[7] 9세기 중반 성 마르코의 유물이 수도원에 도착하면서 종교적으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1]

896년에는 마인츠 대주교를 겸임하던 수도원장 하트 3세가 성 게오르크 교회를 건립했는데, 이 교회 벽에는 오토 왕조 시대에 '그리스도의 기적'이 그려졌다.[12] 신성 로마 제국 시기(10세기 후반~11세기 후반)에는 신학교, 사본 필사실, 공방이 세워졌고, 색색의 무늬와 장식 문자로 장식된 화려한 사본을 만들어내는 예술적 중심지로 이름을 알렸다.[14] 장크트갈렌 수도원과 함께 고전 텍스트 보존에도 기여했다.[15]

1540년 수도원장 지위가 콘스탄츠 주교에게 양도되면서 수도원은 콘스탄츠 주교령 관할의 수도 분원이 되었고,[16] 1757년에는 교황 베네딕토 14세에 의해 수도 분원이 폐지되었다.[16] 1803년 주교령으로서의 라이헤나우는 세속화되었다.[16]

이러한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라이헤나우 수도원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등재 기준은 다음과 같다.

기준내용
(iii)독특하거나 희귀하거나 극히 아름다운 현상, 또는 뛰어난 보편적 중요성을 지닌 자연의 경관이나 아름다움을 포함하는 증거가 될 것.
(iv)인류 역사의 중요한 단계를 예증하는 건조물, 건축물, 기념물, 도시계획, 또는 경관의 뛰어난 유형의 보기일 것.
(vi)사건이나 현존하는 사상, 신념, 예술 및 문학 작품과 직접 또는 유형적으로 관련된 보편적 중요성이 탁월한 것(이 기준은 다른 기준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1. 예술과 학문의 중심지

724년, 수도사 피르민이 카롤링거 왕조 카를 마르텔의 지원을 받아 라이헤나우섬에 수도원을 건설하면서, 섬은 예술과 학문의 중심지로 발전하기 시작했다.[1] 9세기 중반 성 마르코의 유물이 수도원에 도착하면서 종교적으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1]

9세기 초, 카롤링거 왕조와 오토 왕조의 후원 아래 라이헤나우 수도원은 크게 번성했다. 816년에는 수도원 교회가 십자형 바실리카 스타일로 재건되었고, 성모 마리아와 성 마르코에게 봉헌되었다.[1] 이후 성 베드로와 바울로 (799년), 성 게오르기우스 (896년)에게 봉헌된 두 개의 교회가 섬에 추가로 건설되었다.[1]

수도원은 발라프리드 스트라보 (수도원장 역임), 라이헤나우의 헤르만, 레긴베르트와 같은 학자들과 예술가들을 배출하며 영향력 있는 시인과 작가들의 중심지가 되었다.[1] 장크트갈렌 수도원 계획도가 이 섬에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으며,[1] 성 게오르기우스 교회에 있는 10세기의 독특한 오토 시대 르네상스 시대의 그리스도의 기적 벽화는 라이헤나우의 유명한 예술 작품이다.[1]

896년경, 마인츠 대주교를 겸임하고 있던 수도원장 하트 3세는 성 게오르크 교회를 건립했는데, 이 교회 벽에는 오토 왕조 시대에 '그리스도의 기적'이 그려졌다.[12]

수도원은 독일과 이탈리아를 잇는 간선도로에 위치하여 신학교, 사본 필사실, 공방이 세워졌다. 10세기 후반부터 11세기 후반에 걸쳐, 색색의 무늬와 장식 문자로 장식된 화려한 사본을 만들어내는 예술적 중심지로 이름을 알렸다. '밤베르크의 묵시록'과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2세를 위한 '하인리히 2세의 복음서' 등 다수의 걸작이 제작되었다.[14] 라이헤나우 수도원은 장크트 갈렌 수도원과 함께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와 《연애술》, 실리우스 이탈리쿠스의 저작, 세네카의 《자연 연구》와 같은 희귀한 고전 텍스트를 보존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15]

수도원은 원장 베르노(1008년-1048년, 원장: 1030-1048) 시대에 절정기를 맞이했고, 뛰어난 학자 헤르마누스 콘트라투스도 이 시기에 라이헤나우에서 활동했다.

4. 2. 세계유산 등재

724년 수도사 피르민이 카롤링거 왕조 카를 마르텔의 지원을 받아 섬에 수도원을 건설한 후, 프랑크 왕국의 대수도원 중 하나로 발전하였다.[1][7] 카롤루스 대제 치하에서 황후 힐데가르트의 형제 게롤트 등의 후원을 받았다.[7] 896년에는 마인츠 대주교를 겸임하던 수도원장 하트 3세가 성 게오르크 교회를 건립했는데, 이 교회 벽에는 오토 왕조 시대에 '그리스도의 기적'이 그려졌다.[12]

신성 로마 제국 시기(10세기 후반~11세기 후반)에는 신학교, 사본 필사실, 공방이 세워졌고, 색색의 무늬와 장식 문자로 장식된 화려한 사본을 만들어내는 예술적 중심지가 되었다.[14] '밤베르크의 묵시록'과 하인리히 2세를 위한 '하인리히 2세의 복음서' 등 다수의 걸작이 제작되었다.[14] 장크트갈렌 수도원과 함께 고전 텍스트 보존에도 기여했다.[15]

1540년 수도원장 지위가 콘스탄츠 주교에게 양도되면서 수도원은 콘스탄츠 주교령 관할의 수도 분원이 되었고,[16] 1757년에는 교황 베네딕토 14세에 의해 수도 분원이 폐지되었다.[16] 1803년 주교령으로서의 라이헤나우는 세속화되었다.[16]

이러한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라이헤나우 수도원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등재 기준은 다음과 같다.

기준내용
(3)독특하거나 희귀하거나 극히 아름다운 현상, 또는 뛰어난 보편적 중요성을 지닌 자연의 경관이나 아름다움을 포함하는 증거가 될 것.
(4)인류 역사의 중요한 단계를 예증하는 건조물, 건축물, 기념물, 도시계획, 또는 경관의 뛰어난 유형의 보기일 것.
(6)사건이나 현존하는 사상, 신념, 예술 및 문학 작품과 직접 또는 유형적으로 관련된 보편적 중요성이 탁월한 것(이 기준은 다른 기준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갤러리



참조

[1] 보고서 Report on the Nomination of the Monastic Island of Reichenau for Inscription on the World Heritage List of UNESCO https://whc.unesco.o[...] Historisches Institut, Universitat Dortmund 1999-09-05
[2] 웹사이트 Monastic Island of Reichenau https://whc.unesco.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3] 보고서 Settlement and History of the Island of Reichenau From the Beginning Until Pre-Monastery Times https://whc.unesco.o[...] 1999
[4] 보고서 Reichenau (Germany) - No. 974 https://whc.unesco.o[...] ICOMOS 1999-06-28
[5] 서적 上智学院新カトリック大事典編纂委員会編『新カトリック大事典、4』研究社、2009,4、1194‐1195頁。
[6] 간행물 Pfarrer Th. Fehrenbach : ''Die Reichenau und ihre drei Kirchen''. Herausgegeben im Auftrag des Katholischen Münsterpfarramtes Mittelzell. 1968, S.3.
[7] 서적 ''Lexikon des Mittelalters''. Bd. VI. München: LexMA 1993 (ISBN 3-7608-8906-9), Sp. 2175.
[8] 서적 ''Lexikon des Mittelalters''. Bd. VII. München: LexMA 1995 (ISBN 3-7608-8907-7), Sp. 612.
[9] 서적 ''Lexikon des Mittelalters''. Bd. IX. München: LexMA Verlag 1998 (ISBN 3-89659-909-7), Sp. 49.
[10] 서적 'Lexikon des Mittelalters''. Bd. VII. München: LexMA 1995 (ISBN 3-7608-8907-7), Sp. 613.
[11] 서적 ''Lexikon des Mittelalters''. Bd. VIII. München: LexMA Verlag 1997 (ISBN 3-89659-908-9), Sp. 1937-1938.
[12] 서적 ''Lexikon des Mittelalters''. Bd. VII. München: LexMA 1995 (ISBN 3-7608-8907-7), Sp. 613. - Hermann Baumhauer :  ''Baden-Württemberg. Portät einer Kulturlandschaft''. Neubearbeitet und aktualisiert von Heinrich Domes mit Fotos von Joachim Feist. Stuttgart: Konrad Theiss 1998, S. 161.
[13] 서적 ''Lexikon des Mittelalters''. Bd. VII. München: LexMA 1995 (ISBN 3-7608-8907-7), Sp. 613.
[14] 서적 Hans Werner Hegemann: ''Die Reichenau''. Aufnahmen von Helga Schmidt-Glassner. Karl Robert Langewiesche Nachfolger Hans Köster. Königstein im Taunus, o. J., S. 5.
[15] 서적 L.D.レイノルズ/N.G.ウィルスン『古典の継承者たち―ギリシア・ラテン語テクストの伝承にみる文化史―』(西村賀子・吉武純夫訳)国文社、1996年3月 (ISBN 4-7720-0419-X)、155頁。
[16] 간행물 Pfarrer Th. Fehrenbach : ''Die Reichenau und ihre drei Kirchen''. Herausgegeben im Auftrag des Katholischen Münsterpfarramtes Mittelzell. 1968, S.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