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후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후족은 중국, 태국, 베트남 등지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중국에서는 56개 민족 중 하나로 약 72만 명이 윈난성 일대에 거주한다. 라후족은 '하늘로부터 은총을 끌어온다'는 의미의 중국어 명칭을 사용하며, 태국에서는 '무소에'라고 불리기도 한다. 라후족은 라후 나, 라후 니 등 여러 하위 집단으로 나뉘며, 각 집단의 이름은 전통 의복의 색깔을 나타낸다. 라후어는 로로어파에 속하며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르는 언어이다. 전통적으로 다신교를 믿었으나, 불교와 기독교의 영향도 받았다. 라후족은 화전 농업에서 정착 농업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일부는 도시에서 일하기도 한다. 중국에서 라후족은 이(李)씨 또는 장(張)씨 성을 주로 사용하며, 이름은 성별과 십이지를 기반으로 지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후족 - 라후어
    라후어는 중국, 미얀마, 태국 등지에서 사용되는 로로어군에 속하는 성조 언어로, 다양한 방언으로 나뉘며 티베트-버마어족 언어와 유사한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 라오스의 민족 - 라오스인
    라오스인은 라오스의 주민을 지칭하며, 라오스 정부는 라오룸, 라오틍, 라오쑹의 세 가지 주요 민족으로 분류하여 국민 통합을 추구한다.
  • 라오스의 민족 - 몽족
    몽족은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자유로운 사람'을 뜻하는 고유 명칭 '몽'을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는 '묘족'으로 불리며, 17세기 이후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전 세계에 디아스포라를 형성,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이다.
  • 태국의 민족 - 몽족
    몽족은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자유로운 사람'을 뜻하는 고유 명칭 '몽'을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는 '묘족'으로 불리며, 17세기 이후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전 세계에 디아스포라를 형성,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이다.
  • 태국의 민족 - 카렌족
    카렌족은 미얀마, 태국 등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언어, 문화, 종교가 다른 이질적인 민족 집단의 총칭으로, 지정학적 중요성과 자치권 확보를 위한 투쟁, 난민 문제, 디아스포라 형성 등의 특징을 지닌다.
라후족
기본 정보
라후족 소녀들
라후족 소녀들
인구약 1,000,000명
거주 지역중국
미얀마
태국
주요 거주 디아스포라: 720,000명
: 150,000명
: 100,000명
: 19,187명
: 10,000명
: 12,113명 (2019년)
언어라후어
쿠총어
종교애니미즘
불교
기독교
관련 민족아카족
카렌족
하니족
대표자하 시창 (Jaha Seechang)
언어별 표기
중국어(라후족)
베트남어(라후)

2. 명칭

라후족(Lahu)의 중국어 명칭은 문자 그대로 "하늘로부터 은총을 끌어온다"(拉, lā, "끌다"; 祜, hù, "축복, 은총")는 의미이다. 이 명칭은 라후족을 지칭하는 이전의 더 공격적인 명칭인 "뤄허이(Luohei, 猓黑)"를 공식 중국어 명칭으로 대체하였다.

3. 분포

태국 치앙마이 파야프 대학교에서 열린 사상 최초의 국제 라후족 설날 행사를 지원하는 국제 라후족 개발 재단 팀. 행사는 2024년 1월 11일부터 13일까지 진행되었다.


라후족은 중국이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56개 민족 중 하나로, 약 72만 명이 주로 윈난성 란창 라후족 자치현에 거주한다.[3] 태국에서는 산악부족으로 분류되는 6개 주요 부족 중 하나이며,[3] 타이어 사용자들은 종종 그들을 '사냥꾼'을 뜻하는 외래어 '''무소에'''(มูเซอth)로 부른다.

베트남에서는 54개 민족 중 하나로, 대부분 라이쩌우성 멍떼의 세 공동체에 거주한다.[6] 소수의 라후족은 라오스 내전 당시 미국의 중앙정보국에 의해 몬족, 미엔족, 라오족과 함께 공산주의 파텟라오에 맞서 싸우도록 모집되었다. 1975년 파텟라오가 라오스 정부를 장악하자, 이들은 보복을 우려하여 인접한 태국으로 망명했다.

이후 수천 명의 라후족이 캘리포니아주, 미네소타주, 노스캐롤라이나주, 텍사스주, 유타주 등 미국에 난민으로 재정착했다.[6]

3. 1. 중국 내 자치 지역

4. 하위 집단

라후족은 여러 하위 집단으로 나뉘는데, 라후 나(흑라후), 라후 니(적라후), 라후 후(백라후), 라후 시(황라후), 라후 셰흘레 등이 있다. 하위 집단 이름에 색깔이 언급되는 경우, 그것은 전통 의복의 색깔을 나타낸다. 이러한 집단은 부족이나 씨족으로 기능하지 않으며, 가족보다 상위의 친족 집단은 존재하지 않는다. 라후족은 혈통을 양계로 추적하며, 일반적으로 모계 거주를 실천한다.

브래들리(1979)는 다음과 같은 라후족 민족 하위 집단을 열거한다.

흑라후다른 라후 나 방언라후 니(적라후)셰흘레(적라후 이름)황라후기타분류되지 않음비라후족(일부는 "라후족이 됨")



라후족 깃발


1900년대 라후 나(흑라후)를 묘사한 버마 그림

5. 언어

라후족의 언어는 티베트-버마어족의 로로어파에 속하는 라후어이다. 라후어는 주어-목적어-동사 어순(SOV)을 따르며, 이는 한국어와 음성, 음운 체계, 형태론, 통사론적 특성에서 유사하다.[11] 라후어는 문법과 발음이 쉬워 여러 산악 민족 사이에서 널리 사용된다. 보편적인 문자는 없다고 알려져 왔으나, 선교사들이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문자를 제작했다는 주장도 있다.

라후 쉬(Lahu Shi)가 사용하는 언어는 다른 그룹의 언어와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태국에서는 라후 나(Lahu Na)가 여러 산악 부족 사이에서 교통어로 자주 사용된다. 라후어는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며, 기독교 마을에서는 성경 번역을 통해 영어, 라틴어, 그리스어 차용어가 풍부하고, 위생, 음악, 교육 분야에서 신조어가 생겨났다.[6]

6. 종교

전통적인 라후족의 종교는 다신교이다. 불교는 17세기 후반에 전래되어 널리 퍼졌다. 중국의 많은 라후족 사람들은 불교 신자이다.[5] 기독교는 19세기에 버마에 자리 잡았고 그 이후로 계속 확산되고 있다.

태국 난민촌의 노년 라후 여성


태국 북동부의 라후족은 1930년대에서 1940년대 사이에 상좌부 불교의 숲 스님(두동 스님)들과 만났다. 이러한 스님들의 지도자인 문 부리닷타는 라후족 지역에 머물렀다. 라후족은 그에게 "유령과 악마로부터 그들을 보호하는 게타"를 요청했다.[7]

7. 경제

전통적으로 화전 농업에 의존해 왔으나, 현대에는 정착 농업, 도시 노동 등 다양한 생계 방식을 택하고 있다. 독자적인 농업 학교를 설립하여 다음 세대에게 정착 농업을 가르치려는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1]

8. 이름

과거에는 이름만 사용했으나, 중국 정부에 의해 성이 부여되었다. 라후족의 약 90%는 중국에서 가장 흔한 성 두 개인 이(李)씨 또는 장(張)씨이다.[8] 라후족의 이름은 두 음절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는 성별을 나타내고 다른 하나는 십이지를 기반으로 한 출생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소 날에 태어난 사람은 남자라면 “자누(Zanu)”라고, 여자라면 “나누(Nanu)”라고 불린다.[8]

참조

[1] 서적 English-Lahu Lexic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 웹사이트 Lahu http://www.ethnic-ch[...] 2019-06-06
[3] 서적 Ancient Chiang Mai Volume 3 Cognoscenti Books
[4] 웹사이트 Results of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5 https://lao.unfpa.or[...] Lao Statistics Bureau 2020-05-01
[5] 웹사이트 The Lahu Ethnic Group http://www.china.org[...] 2018-08-17
[6] 웹사이트 https://www.latimes.[...]
[7] 서적 Forest Recollections
[8] 웹사이트 namepedia blog - All about names, without the gloves http://blog-en.namep[...] 2015-03-13
[9] 서적 中国雲南省少数民族民話選 木霊の精になったアシマ 冨山房インターナショナル
[10] 웹사이트 TDT Dan so 2019.pdf https://drive.google[...] 2020-07-06
[11] 저널 라후어(Lahu)의 언어학적 연구 -음성학 및 음운론적 분석- https://s-space.snu.[...]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아문화연구소 199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