락박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락박스는 2001년 말에 시작된 오픈 소스 펌웨어 프로젝트로, MP3 플레이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기능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기에는 Archos 시리즈의 하드 디스크 기반 MP3 플레이어에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아이리버, 아이팟, 샌디스크 등 다양한 제조사의 기기를 지원하도록 확장되었다. 락박스는 갭리스 재생, 크로스페이딩, 플러그인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 정의 테마를 지원한다. 2024년 현재, 새로운 기기에 대한 포트는 출시되지 않고 있으며, 스마트폰 및 태블릿 컴퓨터의 보급으로 인해 락박스의 미래는 미디어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진화를 예상하고 있다. Rockbox Utility라는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락박스를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팟 소프트웨어 - 아이튠즈
아이튠즈는 애플이 개발한 멀티미디어 플랫폼이자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소프트웨어로, 초기에는 음악 재생 및 관리에 집중했으나 이후 기능이 확장되어 macOS Catalina부터는 개별 앱으로 기능이 분리되었고 윈도우에서는 'Apple 기기' 앱에 관련 기능이 통합되었다. - 아이팟 소프트웨어 - 밴시 (미디어 플레이어)
밴시는 플러그인을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으며, Mac OS X, 리눅스, 윈도우를 지원하는 미디어 플레이어이다. -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자유 소프트웨어 - VirtualDub
VirtualDub은 윈도우 운영 체제에서 실행되는 무료 오픈 소스 비디오 캡처 및 처리 유틸리티이며, AVI 파일을 주로 처리하고 플러그인을 통해 다른 파일 형식도 지원하며, 동영상 캡처, 편집, 비디오 처리 및 필터 기능을 제공한다. -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자유 소프트웨어 - X264
x264는 H.264/MPEG-4 AVC 비디오 코덱의 오픈 소스 인코더로, 높은 화질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분산 인코딩을 지원한다. - 커스텀 펌웨어 - DD-WRT
DD-WRT는 리눅스 기반의 임베디드 운영체제로, 무선 라우터에 설치되어 접근 제어, 대역폭 관리, VPN 설정, 무선 네트워크 확장 등 다양한 고급 기능을 제공하고, OpenVPN, WireGuard와 같은 VPN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오래된 라우터를 활용하여 서버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 커스텀 펌웨어 - OpenWrt
OpenWrt는 무선 라우터와 같은 임베디드 장치용 리눅스 기반 자유 소프트웨어 펌웨어로, opkg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통한 기능 확장과 사용자 정의가 가능하며 LEDE 포크 프로젝트와의 재통합을 거쳐 발전해왔다.
락박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개발자 | Rockbox 프로젝트 |
최초 출시일 | 2002년 6월 2일 |
최신 안정 버전 | 3.15 |
최신 안정 버전 출시일 | 2019년 11월 15일 |
최신 미리보기 버전 | 데일리 빌드 |
마케팅 대상 |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용 펌웨어 대체 |
작성 언어 | C, 어셈블리어 |
라이선스 | GNU GPLv2 또는 그 이후 버전 |
웹사이트 | Rockbox 공식 웹사이트 |
기술 정보 | |
작동 상태 | 작동 중 |
소스 모델 | 오픈 소스 |
커널 유형 | 해당 없음 |
사용자 영역 | 해당 없음 |
사용자 인터페이스 | GUI |
프로그래밍 언어 | 해당 없음 |
업데이트 모델 | 해당 없음 |
패키지 관리자 | 해당 없음 |
지원 플랫폼 |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기타 |
2. 역사
락박스 프로젝트는 2001년 말,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기기 작동의 심각한 제약에 대한 사용자들의 불만으로 인해 초창기 아치오스 시리즈의 하드 디스크 기반 MP3 플레이어/레코더에서 처음 구현되었다.[6] 초기에는 하드웨어 MP3 디코딩 칩(MAS)에 의존하는 아치오스 기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하고 플러그인 기능을 제공하는 데 집중했다. 이후 소프트웨어 오디오 디코딩을 사용하는 기기로 확장되면서 더 많은 음악 형식을 지원하게 되었다.[7]
2004년 말 콜드파이어 기반 아이리버 H1xx 시리즈를 시작으로, H3xx 시리즈,[6] ARM 기반 애플 아이팟 등 다양한 기기로 포팅되었다. 2007년부터는 샌디스크, 도시바, 올림푸스, 필립스 등 다양한 제조사의 ARM 기반 플레이어로 확장되었다. 2008년에는 MIPS 아키텍처 프로세서, 2010년에는 운영 체제 내 애플리케이션으로 실행되는 "호스팅" 아키텍처로의 포팅이 시작되었다.
락박스는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소스 변경 시마다 새로운 Git 빌드가 출시되고, 충분히 성숙한 것으로 간주되는 타겟에 대해 4개월마다 안정적인 릴리스가 이루어진다.[8] 지원되지 않는 타겟의 개발자에게도 빌드가 자주 제공되지만, 기능 미비 또는 불안정성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9]
2024년 현재, 새로운 포트는 출시되지 않았다.[36]
2. 1. 개발 배경 및 초기
락박스 프로젝트는 2001년 말, 제조사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기기 작동 방식에 대한 심각한 제약에 불만을 가진 사용자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최초의 대상 기기는 아치오스 시리즈 MP3 플레이어/레코더(플래시 전용 모델 Ondio 포함)였다.[6] 이 기기들은 낮은 성능의 중앙 처리 장치(CPU)를 가졌지만, 전용 하드웨어 MP3 디코딩 칩(MAS)을 통해 음악을 재생했다.[6] 락박스는 이 칩 때문에 재생 능력을 크게 변경할 수는 없었지만, 향상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플러그인 기능을 제공하여 공장 펌웨어에 없는 기능을 추가했다. 락박스는 아치오스 기기의 플래시 메모리에 영구적으로 설치되어 펌웨어를 대체할 수 있었다.이후 락박스는 더 정교한 기기들을 위해 여러 버전으로 제작되었다. 이 기기들은 컴퓨터 소프트웨어에서 오디오 디코딩을 수행하여,[7] 락박스가 원래 펌웨어보다 훨씬 다양한 음악 형식을 지원하고, 확장성과 향상된 기능을 추가할 수 있게 했다. 락박스는 사용자 정의 부트 로더로 시작하여 하드 드라이브나 플래시 메모리에서 실행되므로, 락박스를 업그레이드하려면 파일을 플레이어에 복사하고 다시 시작하기만 하면 되었다. 부트 로더를 변경할 때만 다시 플래싱이 필요했으며, 일부 플랫폼에서는 이마저도 필요하지 않았다.
2004년 말, 콜드파이어 기반 아이리버 기기, 특히 H1xx 시리즈 하드 드라이브 플레이어(H110/H120/H140)를 대상으로 한 첫 번째 포트가 시작되었다. 약 1년 후, H3xx 시리즈 포트가 작동하여 비슷한 기능을 제공했다.[6] 2005년 말에는 ARM Ltd. CPU 기반 PortalPlayer 시스템 온 칩에 통합된 애플 아이팟 휴대용 플레이어를 위한 락박스 포트 작업이 시작되었다.
2024년 현재까지 모든 락박스는 제조사의 도움을 거의 받지 않고 리버스 엔지니어링만으로 이식을 완료해 왔다. 그러나 자유 소프트웨어이긴 하지만, 개발자와 지원자는 이식된 락박스에 제조사의 공식 지원 또는 신제품으로의 이식에 비공식적인 도움을 얻기를 바라고 있다. 지금도 소수의 기업만이 락박스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개발 프로젝트에 공식적인 코드 제공이나 제품에 탑재를 하는 기업은 없다. Sansa로의 이식은 제조사의 요청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개발팀에 샘플 제품이 제공되었다.[40]
2. 2. 플랫폼 확장
락박스 프로젝트는 2001년 말, 아치오스 MP3 플레이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기능 제한에 대한 불만에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하드웨어 MP3 디코딩 칩(MAS)에 의존하는 아치오스 기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선과 플러그인 기능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6] 이후 소프트웨어 오디오 디코딩을 사용하는 기기로 확장되면서 더 많은 음악 형식을 지원하게 되었다.[7]2004년 말 콜드파이어 기반 아이리버 H1xx 시리즈를 시작으로, H3xx 시리즈,[6] ARM 기반 애플 아이팟 등 다양한 기기로 포팅되었다. 2007년부터는 샌디스크, 도시바, 올림푸스, 필립스 등 다양한 제조사의 ARM 기반 플레이어로 확장되었다. 2008년에는 MIPS 아키텍처 프로세서, 2010년에는 안드로이드 기기와 같이 운영 체제 내 애플리케이션으로 실행되는 "호스팅" 아키텍처로의 포팅이 시작되었다.
락박스가 포팅된 주요 기기 및 연도는 다음과 같다.
제조사 | 기기 | 연도 |
---|---|---|
아치오스 | MP3 플레이어/레코더 (Ondio 포함) | 2001 |
아이리버 | H1xx 시리즈 (H110/H120/H140) | 2004 |
아이리버 | H3xx 시리즈 | 2005 |
애플 | 아이팟 (다양한 모델) | 2006 |
코원 | iAUDIO X5 | 2006 |
아이리버 | H10 | 2007 |
도시바 | gigabeat F 및 X 시리즈 | 2007 |
코원 | iAUDIO M5 | 2007 |
샌디스크 | Sansa e200 시리즈 | 2007 |
애플 | 아이팟 5.5세대 80GB | 2007 |
애플 | 아이팟 1G 및 2G | 2007 |
샌디스크 | Sansa c200 시리즈 | 2007 |
올림푸스 | m:robe MR-100 | 2008 |
코원 | iAudio M3 | 2008 |
도시바 | gigabeat S | 2008 |
올림푸스 | m:robe MR-500i | 2009 |
(기타) | 안드로이드 기기 | 2010 |
락박스의 모든 포트는 제조사의 지원 없이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통해 이루어졌다.[40] Sansa e200v1 포트는 제조사의 요청으로 시작되어 샘플 기기를 제공받은 예외적인 경우이다.[40] 락박스는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Git 빌드와 안정적인 릴리스가 제공된다.[8]
2. 3. 대한민국 내 Rockbox의 역사와 의의
락박스는 대한민국에서 MP3 플레이어의 기능을 확장하고 사용자 맞춤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펌웨어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락박스의 한국 내 역사나 의의에 대한 정보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대신, 락박스가 지원하는 오디오 코덱 및 컨테이너 목록이 나열되어 있다.따라서 주어진 자료만으로는 "대한민국 내 Rockbox의 역사와 의의" 섹션을 작성할 수 없다.
2. 4. 현재와 미래
락박스는 2001년 말부터 시작된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제조사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기능에 대한 사용자들의 불만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초기에는 아치오스 MP3 플레이어의 하드웨어 제약을 극복하고, 향상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플러그인 기능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6]이후 락박스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에서 오디오 디코딩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발전하여,[7] 더 많은 음악 형식을 지원하고 확장성을 높였다. 아이리버 H1xx/H3xx 시리즈,[6] 애플 아이팟 시리즈, 샌디스크, 도시바, 올림푸스 등 다양한 기기에 포팅되었다.
락박스 개발은 제조사의 지원 없이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지속적인 개발과 안정적인 릴리스가 이루어지고 있다.[8]
2010년부터는 안드로이드와 같은 모바일 운영 체제에서 실행되는 미디어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진화가 예상되었다. 락박스 프로젝트 창립자 다니엘 스텐베르그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에 초점을 맞춰 이러한 작업을 시작하는 것을 선호했다.[11]
구글의 2010년 Summer of Code를 통해 락박스를 애플리케이션으로 실행되도록 포팅하는 프로젝트가 완료되었다.[12][13] 현재 락박스는 안드로이드 기반 플레이어에서 실행되며, 안드로이드와의 통합 및 터치 기반 장치와의 호환을 위한 변환이 진행 중이다.[14] 익명의 중국 개발자에 의해 팜의 웹OS로 비공식적으로 포팅되기도 했다.[15]
2024년 현재, 새로운 포트는 출시되지 않고 있다. 락박스는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를 주 대상으로 하며, 일부 관계자들은 스마트폰과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범용 장치가 향후 몇 년 안에 락박스를 대체할 것으로 예상한다.[10]
3. 특징
락박스는 오디오 파일 재생 및 녹음 기능 외에 다른 펌웨어에서 구현되지 않은 다양한 재생 기능을 제공한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갭리스 재생 (모든 무손실, 가역 코덱과 Vorbis, Speex, Opus, Musepack, MP3(LAME 방식 및 아이튠즈 방식), AAC(아이튠즈 방식 및 Nero Digital 방식)에 대응)[47]
- 리플레이 게인[47]
- 5 밴드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47]
- 크로스피드
- OTF ("on the fly") 플레이리스트
- True random 셔플 (매번 새로 무작위로 셔플된 목록)
- 사용자 정의 UI 테마
- 스테레오 녹음: WAV/AIFF/WavPack (무손실)/MP3[48] (장치 지원)
- FM 라디오 및 녹음 (장치 지원)
- 원격 조작 (장치 지원)
- 디지털 S/PDIF 입출력 (장치 지원)
- Last.fm 지원 (단, 내부 시계가 없으면 지원하지 않음)
- Cue 시트 지원
- 메뉴 선택 막대 색상 및 외관 변경 가능
- 앨범 아트 (MP3ID3v2 내장 태그 지원) [49]
- 다중 글꼴 지원
- 가사를 음성에 맞춰 표시
3. 1. 주요 기능
락박스는 오디오 파일 재생 및 녹음 기능 외에도 다른 펌웨어 패키지에서 아직 구현되지 않았을 수 있는 많은 재생 향상 기능을 제공한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갭리스 재생 (모든 무손실, 가역 코덱과 Vorbis, Speex, Opus, Musepack, MP3(LAME 방식 및 아이튠즈 방식), AAC(아이튠즈 방식 및 Nero Digital 방식)에 대응)[47]
- 크로스페이딩
- 리플레이게인[47]
- 10 밴드 완전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 피치 보정을 사용한 가변 속도 디코딩
- 크로스피드
- OTF("on the fly") 재생 목록
- 진정한 무작위 셔플 (매번 새로 무작위로 셔플된 목록)
- 사용자 정의 UI 테마
- 동적 재생 목록 (다음에 재생할 파일 또는 동적 재생 목록의 다른 부분에 대기열)
- WAV/AIFF/WavPack (무손실) 및 MP3로의 스테레오 음성/MIC 및 FM 라디오 녹음 (모델/장치/대상 지원 제한)[48]
- 원격 제어 (지원 장치)
- 디지털 S/PDIF 입력/출력 (지원 장치)
- Last.fm 지원 (RTC가 없는 플레이어에서도)
- 큐 시트 지원
- 앨범 아트 (MP3ID3v2 내장 태그 지원) [49]
- 취침 타이머
- 메뉴 선택 막대 색상 및 외관 변경 가능
- 다중 글꼴 지원
- 가사를 음성에 맞춰 표시
3. 2. 지원 코덱
락박스는 다양한 오디오 코덱을 지원한다. 락박스에서 지원하는 코덱은 다음과 같다.
Monkey's Audio의 일부 프로필은 CPU 요구 사항이 매우 높아 일부 기기에서는 실시간 처리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락박스는 디지털 권리 관리(DRM)가 적용된 파일은 재생할 수 없다.
3. 3. 플러그인
록박스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여러 플러그인을 지원한다. 다음은 그중 일부이다.- JPEG 뷰어 (16비트 컬러/129 음영 회색조)[30]
- 록보이 게임보이 에뮬레이터 (Gnuboy 포트)[31]
- ZXBox ZX 스펙트럼 에뮬레이터 (Spectemu 포트)[32]
- ''둠'' (PrBoom 엔진 포트)
- ''듀크 뉴켐 3D'', ''퀘이크'', ''울펜슈타인 3D'' (Simple DirectMedia Layer 런타임 버전을 기반)
- XWorld (어나더 월드 클론)[33]
- WAV to MP3 및 Wavpack 인코더
- MPEG 비디오 플레이어[34]
- 픽쳐플로우(PictureFlow) (애플의 커버 플로우와 유사한 앨범 아트 뷰어)
- 악기 디지털 인터페이스(MIDI) 플레이어 (일부 기기에서 실시간 지원)
- 여러 모듈 파일 형식을 재생하는 MikMod[35]
- 2048, 스도쿠, 솔리테어, 체스, 지뢰 찾기, 퐁 등 다양한 게임
전체 플러그인 목록은 록박스 위키의 [https://www.rockbox.org/wiki/PluginIndex PluginIndex]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4. 지원하지 않는 기능
-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 앞으로도 지원하지 않을 예정이다.[58]
- USB 호스트 기능 [USB OTG(On The Go)]
- FireWire
- DRM (고의적 미구현)[53]
- FAT32 이외의 파일 시스템 구현 (고의적 미구현)[53]
4. 지원 기기
Rockbox 프로젝트는 2001년 후반, Archos 시리즈 하드 디스크 내장형 MP3 플레이어와 플래시 메모리형 Ondio를 대상으로 시작되었다.[40][4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기기 사용 방법에 대한 불만으로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제한된 처리 능력에도 불구하고 향상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플러그인 기능을 제공하였다. Rockbox는 플래시 메모리의 부팅 영역을 덮어쓰고 원래 펌웨어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었다.
이후 Rockbox는 다양한 기기로 이식되었으며, 소프트웨어 디코딩을 통해 오리지널 펌웨어가 지원하지 않는 오디오 포맷도 재생 가능하게 되었다.
Rockbox 이식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내용 |
---|---|
2004년 후반 | 아이리버 H100 시리즈 (H110/H120/H140) 이식 시작. |
2005년 후반 | 애플 아이팟 이식 시작. |
2006년 | 코원 iAUDIO X5 시리즈 및 다양한 아이팟 모델 지원. |
2007년 | 아이리버 H10 및 도시바 gigabeat F 및 X 시리즈 지원. |
3월 5일: 코원 iAUDIO M5 지원. | |
3월 11일: 샌디스크 Sansa e200 시리즈 지원. | |
5월 23일: 아이팟 5.5세대 80GB 모델 지원. | |
7월 27일: 아이팟 1G 및 2G 지원, 9월 23일: Sansa c200 시리즈 지원. | |
2008년 | 3월 18일: 올림푸스 m:robe MR-100 지원. |
3월 23일: 코원 iAudio M3 지원. | |
5월 3일: 도시바 gigabeat S 지원. | |
2009년 3월 10일 | 올림푸스 m:robe MR-500i 지원. |
2010년 | 안드로이드 이식 시작. |
Rockbox는 제조사의 도움 없이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통해 이식이 완료되었다.[52] Sansa 이식은 제조사의 요청으로 시작되었고, 개발팀에 샘플 제품이 제공되었다. 또한, AustriaMicrosystems는 데이터 시트를 제공하여 개발에 협력하였다. 러시아 포럼에서 HiFiMAN HM-801 이식 요청이 있었고, 개발자에게 HM-801이 제공되어 이식이 이루어졌다.
Rockbox는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소스 코드 변경 시마다 SVN 빌드가 릴리스된다.
4. 1. 안정적인 지원
락박스는 원래 펌웨어에서 지원하는 기능 외에도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많은 경우 제한 사항이 있다. "안정적"으로 분류되고 지원되는 플랫폼에서는 장치를 디지털 음악 플레이어로 사용할 수 있지만, 일부 플랫폼에서는 락박스가 충전 또는 USB를 지원하지 않아, 파일을 전송하거나 충전을 하려면 원래 펌웨어로 듀얼 부팅해야 한다.[18]다음은 안정적으로 지원되는 기기 목록이다.[37]
제조사 | 제품 |
---|---|
아치오스(Archos) | Jukebox 6000 |
Jukebox Player/Studio | |
Jukebox Recorder | |
FM Recorder | |
Recorder v2 | |
Ondio FM | |
Ondio SP | |
아이오디오(iAUDIO) | M3, M3L |
M5, M5L | |
X5, X5L | |
X5V | |
D2 (정식 지원 X) | |
애플 | 아이팟 1세대 |
아이팟 2세대 | |
아이팟 3세대 | |
아이팟 4세대 (흑백) | |
아이팟 4세대 (컬러/포토) | |
아이팟 5세대/5.5세대 (비디오) | |
아이팟 미니 1세대 | |
아이팟 미니 2세대 | |
아이팟 나노 1세대 | |
아이리버 | H10 (H10 5/6/20GB) |
H100 (H100/H110/H115/H120/H140, iHP-100/110/115/120/140) | |
H300 (H320/H340) | |
MPIO | HD300 |
팩커드 벨 | 바이브 500 |
샌디스크 | Sansa e200 시리즈 (v1/v2) |
Sansa e200r 시리즈 | |
Sansa c200 시리즈 (v1/v2) | |
Sansa Fuze 시리즈 (v1/v2) | |
Sansa Clip 시리즈 (v1/v2/Clip+) | |
Sansa Clip Zip | |
도시바 기가비트 | 기가비트 F 시리즈 (F10/F11/F20/F21/F30/F31/F40/F41/F60) |
기가비트 X 시리즈 |
4. 2. 불안정한 지원
락박스는 원래 펌웨어에서 지원하는 기능 외에도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많은 경우 제한 사항이 있다. "안정적"으로 분류되고 지원되는 플랫폼에서는 장치를 디지털 음악 플레이어로 사용할 수 있지만, 일부 플랫폼에서는 락박스가 충전 또는 USB를 지원하지 않아, 파일을 전송하거나 충전을 하려면 원래 펌웨어로 듀얼 부팅해야 한다.[18] "불안정"으로 분류되지만 지원되는 플랫폼도 있고, "사용 불가"로 간주되는 플랫폼은 지원되지 않으므로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 일부 이식 프로젝트는 코드가 작성되지 않은 사전 개발 탐색 및 수집 단계에 있다.[18]다음은 락박스 위키 장치 차트에서 "지원" 또는 "사용 가능"으로 표기된 기기 목록이다.
제조사 | 제품명 |
---|---|
아치오스(Archos) | Jukebox 6000 |
Jukebox Player/Studio | |
Jukebox Recorder | |
FM Recorder | |
Recorder v2 | |
아이리버 | H100 시리즈 (H100/H110/H115/H120/H140, 별칭 iHP-100/110/115/120/140) |
H300 시리즈 (H320/H340) | |
H10 시리즈 (H10 5GB/6GB/20GB) | |
애플 | 아이팟 1세대 |
아이팟 2세대 | |
아이팟 3세대 | |
아이팟 4세대 (흑백) | |
아이팟 4세대 (컬러/포토) | |
아이팟 5세대/5.5세대 (비디오) | |
아이팟 6세대/6.5세대/7세대 | |
애플 | 아이팟 나노 2세대 |
Sansa | e200 시리즈 |
e200r 시리즈 | |
c200 시리즈 | |
도시바 | 기가비트 F 시리즈 (F10/F11/F20/F21/F30/F31/F40/F41/F60) |
삼성 | YP-R0 |
삼성 | YH-820 |
YH-920 | |
YH-925 |
5. 사용자 정의
각 플랫폼의 제한 사항에 따라 락박스의 외관은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 정의가 가능하다. 글꼴, 전경 및 배경 색상을 추가하거나 선택할 수 있으며, 간단한 마크업 언어를 사용하여 메뉴 및 재생 화면에 대한 테마를 만들 수 있다.[16] 이러한 테마에는 배경 및 기타 이미지(아이콘 등)와 파일 이름, ID3 태그, 앨범 아트, 파일 진행률, 시간 및 시스템 정보에 대한 다양한 형식이 포함될 수 있다.
락박스는 본질적으로 파일 트리를 기반으로 하는 플레이어였으며, 폴더를 드래그 앤 드롭하여 폴더 구조로 탐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 버전에는 파일의 ID3 태그에서 정보를 컴파일할 수 있는 보완적인 데이터베이스 기능이 포함되었다.[17] 그러면 사용자는 파일 구조에 관계없이 파일을 탐색할 수 있다.
6. 아키텍처
Rockbox는 플랫 메모리 모델과 단일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단순한 커널[39]을 사용하여 메모리 관리 유닛이 없는 플랫폼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씬 스레드는 협동적으로 실행되며, 오디오 스레드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스케줄러로 제어 권한을 반환한다. 유일한 형태의 선점은 인터럽트를 통해서이다. 운영 체제와 플러그인은 C로 작성되었으며, 장치 및 플랫폼 관련 코드와 성능에 민감한 코드에는 어셈블리가 사용된다. 이 단순하고 가벼운 아키텍처를 통해 Rockbox는 1MB에서 64MB에 이르는 메모리, 12MHz에서 532MHz에 이르는 CPU 속도를 가진 다양한 대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Rockbox는 또한 ARM, ColdFire, MIPS 및 SH 기반의 멀티코어 및 비대칭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을 지원한다. 여러 코덱을 2개의 CPU 코어에서 병렬 처리하여 전력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HWCODEC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용 오디오 디코더 DSP를 사용할 수 있다.[54]
7. Rockbox Utility
Rockbox Utility는 리눅스, Mac OS X,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료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이다. Digia Qt 플랫폼을 사용하여 구축되었으며, DAP에 Rockbox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 Rockbox Utility는 사용자의 최소한의 조작만으로 Rockbox, 테마 및 음성 파일을 DAP에 직접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Rockbox Utility는 새로운 기기에 대한 지원이 추가됨에 따라 자주 업데이트된다.
참조
[1]
웹사이트
ReleaseNotes315
https://www.rockbox.[...]
Rockbox
2019-11-15
[2]
웹사이트
RockboxKernel < Main < Wiki
https://www.rockbox.[...]
[3]
웹사이트
Rockbox | Linux Journal
http://www.linuxjour[...]
[4]
웹사이트
BlindFAQ < Main < Wiki
https://www.rockbox.[...]
2016-05-14
[5]
서적
Computers Helping People with Special Needs: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ICCHP 2008, Linz, Austria, July 9-11, 2008, Proceeding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8-07-04
[6]
웹사이트
rockbox history
https://github.com/R[...]
[7]
웹사이트
rockbox software decode
https://www.rockbox.[...]
[8]
웹사이트
buildsys
https://www.rockbox.[...]
[9]
웹사이트
unstable
https://www.rockbox.[...]
[10]
웹사이트
Rockbox 3.6 and Beyond
https://lwn.net/Arti[...]
LWN.net
2010-06-16
[11]
웹사이트
The Rockbox future is an app
http://daniel.haxx.s[...]
2010-02-15
[12]
웹사이트
RockboxAsAnApplication2010 < Main < Wiki
https://www.rockbox.[...]
Rockbox.org
2011-03-12
[13]
웹사이트
mail archive
https://www.rockbox.[...]
Rockbox
2011-03-12
[14]
웹사이트
TouchscreenInterface < Main < Wiki
https://www.rockbox.[...]
Rockbox.org
2011-03-12
[15]
웹사이트
万能播放器ROCKBOX for palm pre,新软支持下,绝对不会失望~~ – Palm Pre/+, Pixi/+, webOS – Pre, Pixi, webOS, Treo – Powered by Discuz!
http://www.treo8.com[...]
Treo8.com
2011-03-12
[16]
웹사이트
Customising the User Interface
http://download.rock[...]
2011-05-22
[17]
웹사이트
Database
http://download.rock[...]
2011-05-22
[18]
문서
Rockbox Target Status
https://www.rockbox.[...]
[19]
웹사이트
Rockbox Supported audio formats
http://download.rock[...]
[20]
웹사이트
Codec performance comparison – Hydrogenaudio Forums
http://www.hydrogena[...]
Hydrogenaudio
2011-03-12
[21]
웹사이트
Other Codecs
http://download.rock[...]
2011-05-22
[22]
웹사이트
Codec Featureset
http://download.rock[...]
2011-05-22
[23]
웹사이트
Crossfade
http://download.rock[...]
2011-05-22
[24]
문서
Software decoding targets only
[25]
웹사이트
Pitch
http://download.rock[...]
2011-05-22
[26]
웹사이트
Rockbox themes
http://themes.rockbo[...]
2012-04-19
[27]
문서
MP3
[28]
웹사이트
Recording
http://download.rock[...]
2011-05-22
[29]
웹사이트
Some limitations. Details at Rockbox Wiki
https://www.rockbox.[...]
Rockbox.org
2011-03-12
[30]
문서
129 shade greyscale is achieved on 1 bit and 2 bit (4 shade) greyscale targets due to exploitation of the slow passive Liquid crystal display LCD refresh rate
[31]
문서
Rockboy supports original Game Boy and Game Boy Color ROMs
[32]
문서
ZXBox emulates ZX Spectrum 48. The original site of Spectemu
http://www.inf.bme.h[...]
[33]
웹사이트
'[TESTERS NEEDED] Another World'
http://forums.rockbo[...]
[34]
문서
The mpegplayer plug-in supports MPEG-1 and MPEG-2 video streams with MPEG audio (layer II/III) multiplexed into .mpg files with no hard limits on frame rate or bit rate. Files must be encoded at Native mode native screen Image resolution. Seeking is now implemented.
[35]
문서
FS#8806 - MikMod MOD, S3M, IT, XM player
https://www.rockbox.[...]
[36]
웹사이트
WebHome < Main < Wiki
https://www.rockbox.[...]
2024-11-30
[37]
웹사이트
WebHome < Main < Wiki
https://www.rockbox.[...]
2024-11-30
[38]
웹사이트
WebHome < Main < Wiki
https://www.rockbox.[...]
2024-11-30
[39]
웹사이트
About the Rockbox kernel
https://www.rockbox.[...]
Rockbox.org
2011-03-12
[40]
URL
http://daniel.haxx.s[...]
[41]
URL
daniel.haxx.se » AMS Replied with the AS3525 Data Sheet
http://daniel.haxx.s[...]
[42]
문서
ただし、ソースツリーのアクセスは、[[Git]] (正確には、git-svn) を用いることが推奨されている。
[43]
문서
3.6 以降でサポート。
[44]
문서
Monkey's Audioの対応は初期の段階であり、ほとんどデバイスにおいてリアルタイムに再生できるのは低圧縮の設定のみである。
[45]
문서
3.6 以降でサポート。ただし、一部の機種ではリアルタイムに再生することはできない。
[46]
문서
3.6 以降でサポート。ただし、音源が [[パルス符号変調|PCM]] または [[適応的差分パルス符号変調|ADPCM]] であるものだけが再生可能。MIDI 音源は非対応。
[47]
문서
ソフトウェアデコードのターゲットのみ
[48]
문서
MP3 と WavPack と AIFF はArchos以外で利用可能。マルチサンプルレートとビットレートは利用可能。(ただし、ハードウェアに依存).
[49]
문서
ある程度制限があります。詳細はRockbox ウィキ [http://www.rockbox.org/wiki/AlbumArt] をご覧ください。
[50]
문서
RockboyはゲームボーイとゲームボーイカラーのROMに対応している。
[51]
문서
ZXBoxはZX Spectrum 48をエミュレートする。Spectemuの元サイト:
http://www.inf.bme.h[...]
[52]
문서
mpegplayerプラグインは [[MPEG-1]] もしくは [[MPEG-2]] 形式のビデオで[[MPEG]]オーディオ (レイヤーII/III)(音声部はMP2とMP3にのみ対応)を多重化した.mpgファイル形式に対応。ハードウェアによるフレームレートとビットレートの制約はない。ファイルはおのおのの機器に応じた解像度である必要がある。早送りと巻き戻しにも対応。
http://www.rockbox.o[...]
[53]
URL
NoDo
http://www.rockbox.o[...]
[54]
URL
Rockboxのカーネルについて
http://www.rockbox.o[...]
[55]
URL
http://www.rockbox.o[...]
[56]
문서
Rockboy는 오리지널 [[게임보이]](.gb)와 [[게임보이 칼라]](.gbc)의 롬을 지원한다.
[57]
문서
현재 mpegplayer 플러그인은 mpg파일을 지원하며, 기기의 LCD 해상도에 맞게 변환을 해야한다. 코드는 작업이 진행 중이기 때문에, 아직 넓은 범위의 사용은 지원하지 않는다.
[58]
URL
Will Rockbox be able to play songs I've bought from on-line music stores?
http://www.rockbox.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