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드 워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랜드 워리어는 1989년 제너럴 일렉트릭에 의해 개발된 미국 육군의 개인 전투 시스템으로, 병사의 치사율 향상, 생존성 증대, 지휘 및 통제 기능 제공을 목표로 했다. 2000년대 초반까지 여러 차례의 프로토타입 개발과 시연을 거쳤으며, 2003년에는 스트라이커 지상 차량 시스템 부대와의 통합을 위한 LW-SI 시스템 개발이 시작되었다. 2006년에는 제9보병 연대 제4대대가 LW-SI 시스템으로 훈련을 실시했으나, 2007년 자금 지원 중단 이후 2009년 최종 계약을 끝으로 추가 계약은 갱신되지 않았다. 2011년에는 넷 워리어(Nett Warrior)로 발전하며, 상용 스마트폰을 활용한 휴대용 솔루션으로 전환되었다. 랜드 워리어는 무기, 헬멧, 컴퓨터, 항법, 통신, 소프트웨어, 방호복 및 전투 조끼 등 7가지 하위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기능을 제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사 기술 - 무인 항공기
무인 항공기는 조종사 없이 자율 또는 원격 조종으로 비행하는 동력 비행체로,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되어 군사 및 민간용으로 활용되지만 안전 및 보안 위협, 사이버 공격, 악의적 사용 가능성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 군사 기술 - 레이더 흡수 물질
레이더 흡수 물질(RAM)은 레이더 신호 반사를 줄여 탐지를 어렵게 하는 물질로, 다양한 종류와 형태가 존재하며 나노 기술 발전으로 성능이 향상되었지만, 비용, 유지보수, 환경 요인 등의 문제점과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 극복 과제를 안고 스텔스 성능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 - 착용 컴퓨터 - 웨어 OS
웨어 OS는 구글이 개발한 스마트워치용 운영 체제로, 구글 서비스 통합, 음성 제어, 피트니스 추적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안드로이드 및 iOS 기기와 연동되고, 핏비트 인수 후 디자인 개선 및 피트니스 기능 통합, 삼성 갤럭시 워치 시리즈 탑재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 착용 컴퓨터 - 애플 비전 프로
애플 비전 프로는 애플이 개발한 혼합현실 헤드셋으로, AR/VR 기능을 지원하며 M2 및 R1 칩셋,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visionOS를 특징으로 하지만, 고가, 짧은 배터리, 시야각 제한, 디스플레이 문제 등으로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
| 랜드 워리어 | |
|---|---|
| 개요 | |
![]() | |
| 유형 | 취소된 미국 육군 프로그램 |
| 용도 | 보병 전투 효율성 향상 |
| 개발 | 개발자: 미국 육군 개발 시작: 1990년대 |
| 취소 | 2007년 |
| 상세 정보 | |
| 주요 목표 | 보병 전투 효율성 향상 |
| 구성 요소 | 통합 헬멧 무기 서브시스템 컴퓨터 라디오 |
| 기능 | 야간 투시 열화상 GPS 통신 |
| 개발 역사 | 초기 개념: 1980년대 후반 시범 프로그램: 1990년대 초반 정식 프로그램 시작: 1990년대 후반 |
| 문제점 | 높은 비용 무거운 무게 기술적 문제 |
| 대체 프로그램 | 미래 전투 시스템 (Future Combat Systems) |
| 참고 | 유사한 프로그램으로 영국의 FIST (미래 통합 병사 기술) (Future Integrated Soldier Technology)가 있음. |
| 추가 정보 | |
| 관련 문서 | 보병 미래 전투 시스템 FIST (미래 통합 병사 기술) |
| 기타 | 랜드 워리어 프로그램은 여러 기술적, 재정적 문제로 인해 결국 취소되었지만, 미래 전투 시스템을 비롯한 다른 군사 기술 개발에 영향을 미침. |
2. 역사
랜드 워리어 프로그램은 1989년경 제너럴 일렉트릭에서 다른 이름으로 시작된 초기 프로토타입 개발에서 출발했다. 1990년대 중반 '랜드 워리어'라는 공식 명칭이 채택되었고, 이후 휴즈 에어로스페이스(나중에 레이시온에 인수됨) 등이 개발을 이끌었다.[6] 초기 개발 단계에서는 비용 절감과 개발 속도 향상을 위한 노력이 있었으며,[7] 2000년 9월 루이지애나주 포트 폴크에서 진행된 대규모 모의 전투 훈련에서 초기 프로토타입(Land Warrior v0.6)이 성공적으로 시연되면서 프로그램은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했다.
이 성공을 바탕으로 실제 배치가 가능한 첫 버전인 LW-IC(Land Warrior – Initial Capability) 개발이 시작되었으나, 시스템 운용에 필수적인 배터리의 지속적인 보급 및 재충전 문제가 주요 군수 지원 과제로 부상했다. 이 문제는 초기 계획이었던 공수부대 등 경보병 부대 중심의 배치에서 벗어나, 스트라이커 지상 차량 시스템과 통합 운용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게 된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 이에 따라 2003년, 제너럴 다이내믹스가 주도하는 산업 팀과 랜드 워리어-스트라이커 상호 운용(LW-SI) 시스템 개발 계약이 체결되었다.[6]
2006년 9월, 제9보병 연대 제4대대는 LW-SI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및 평가를 성공적으로 완료했으며,[8][9] 2007년에는 이라크 전쟁에 파병된 일부 스트라이커 부대가 실제로 이 시스템을 배치하여 운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랜드 워리어 프로그램 하의 추가 시스템 개발을 위한 자금 지원은 2007년 2월에 중단되었고,[10] 2009년 제너럴 다이내믹스와의 최종 계약 이후 추가적인 계약 갱신은 이루어지지 않았다.[11] 2011년, 새로운 계획 하에 프로그램의 일부를 계속 진행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2][3][5] 민간 산업계의 기술 발전 및 유사 기술 개발 등의 영향으로[12] 결국 대부분의 관련 구성 요소 프로그램은 취소되었다.[13]
2. 1. 초기 개발 (1989년 ~ 2000년대 초반)
랜드 워리어 프로그램의 초기 형태는 다른 이름으로 1989년경 뉴저지주 모어스타운에 위치한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에서 시작되었다. 이는 향후 크기와 무게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 프로토타입 개발 단계였다. 1990년대 중반에 들어 '랜드 워리어'라는 이름이 공식적으로 채택되었으며, 프로그램 관리는 휴즈 에어로스페이스(Hughes Aerospace)의 한 부서로 넘어갔다. 이 회사는 이후 레이시온(Raytheon)에 인수되었다. 군인용 무선 통신 부품은 모토로라(Motorola)의 통합 정보 시스템 부서에서 공급할 예정이었다.[6]
초기 랜드 워리어 시스템의 시연 버전은 아다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소프트웨어를 유닉스(Unix) 운영체제 기반 플랫폼에서 실행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1999년 1월, 브루스 D. 제트의 지시에 따라 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프로그램 진행 속도를 높이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개발 작업은 실리콘 밸리에 본사를 둔 엔지니어링 회사인 Exponent, Inc.가 조직한 여러 회사로 구성된 팀에게 넘어갔다.[7]
이 팀은 시스템을 대대적으로 재설계했으며, 내장된 펌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 모두 처음부터 다시 작성했다. 많은 COTS(Commercial off-the-shelf) 하드웨어 부품들은 실리콘 밸리 지역의 소매 체인인 프라이스 일렉트로닉스(Fry's Electronics)에서 직접 구매하여 활용했다. 약 100개의 개념 증명용 랜드 워리어 장비(Land Warrior v0.6으로 명명)가 제작되었고, 2000년 9월 루이지애나주 포트 폴크에서 진행된 대규모 모의 전투 훈련에 투입된 미 육군 소대에서 성공적으로 시연되었다.
이 초기 프로토타입 장비들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Microsoft Windows)를 운영체제로 사용하는 PC/104 컴퓨터 플랫폼을 기반으로 했다. 시스템 내부의 유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는 CAN-bus 프로토콜을 사용했다. 통신 서브시스템은 StrongARM 프로세서 기반 플랫폼에서 윈도우 CE(Windows CE)를 사용하여 구축되었고, 무선 네트워크 통신에는 IEEE 802.11 표준 프로토콜이 사용되었다. 포트 폴크 훈련 중에는 양방향 SINCGARS 호환 게이트웨이 무전기를 이용하여 랜드 워리어 v0.6 시스템과 기존 군용 무선 네트워크 간의 기본적인 상호 운용성도 성공적으로 시연되었다.
포트 폴크 훈련의 성공은 침체되었던 프로그램을 다시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랜드 워리어 개발의 다음 단계를 위한 추가 자금이 확보되었다. 여러 계약 업체들이 "랜드 워리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최초로 실제 배치 가능한 랜드 워리어 시스템인 LW v1.0(이후 LW-IC, Land Warrior – Initial Capability로 명명)의 설계 및 제작에 착수했다. 기본적인 윈도우 및 WinCE 플랫폼은 유지되었으나, USB와 FireWire 프로토콜을 모두 활용하는 새로운 하이브리드 형태의 PAN이 설계되었다. 또한 COMSEC(통신 보안) 및 정보 보안 기능 강화,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MANET) 기능, 다중 홉 패킷 라우팅 지원 등 다양한 개선 사항이 추가된 수정된 버전의 IEEE 802.11 프로토콜이 채택되었다.
2003년에는 LW-IC 시스템의 변형 버전이 개발되었는데, 이는 아군 간 오인 사격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설계된 IFF(Identification Friend or Foe)의 한 형태인 전투ID 시스템(CIDS, Combat Identification System) 기능을 통합한 것이었다. LW-CIDS로 명명된 이 버전은 캘리포니아주 모펫 필드에서 다른 CIDS 장비를 갖춘 부대들과의 상호 운용성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통과했다.
thumb 소속의 미국 육군 병사가 랜드 워리어를 사용하고 있다.]]
랜드 워리어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성공적인 실전 배치는 배터리 기술에 크게 의존할 것이라는 점이 명확해졌다. 랜드 워리어 시스템 구동에 필요한 배터리를 지속적으로 재보급하거나 재충전해야 하는 문제는 주요한 군수 지원 과제로 떠올랐다. 이는 초기에 공수부대와 같은 경보병 부대에 우선적으로 장비를 보급하려던 계획에서 벗어나, 스트라이커 지상 차량 시스템을 운용하는 부대에 집중하기로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스트라이커 장갑차를 활용하면 필요에 따라 더 많은 랜드 워리어용 배터리를 분배하거나 재충전하는 것이 용이했기 때문이다.
결국 랜드 워리어 – 스트라이커 상호 운용 가능(LW-SI, Land Warrior – Stryker Interoperable) 시스템 개발 계약이 2003년에 제너럴 다이내믹스(General Dynamics)[6]가 주도하고 기존 랜드 워리어 컨소시엄 참여사 대부분이 포함된 산업 팀에게 수주되었다. 거의 동시에 기존 LW-IC 시스템의 추가 개발은 중단되었고, 해당 시스템의 생산 계획은 무기한 보류되었다. 랜드 워리어 컨소시엄은 공식적으로 해산되었으며, 새롭게 초점이 맞춰진 LW-SI 프로그램에 대한 작업이 시작되었다.
2006년 9월, 제9보병 연대 제4대대는 LW-SI 시스템으로 훈련하고 평가를 실시했다.[8][9] 이 시스템은 합동 능력 통합 및 개발 시스템(JCIDS) 지침에 따른 평가를 성공적으로 완료했으며 해당 부대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랜드 워리어 프로그램 하의 추가 시스템 개발 자금 지원은 2007년 2월에 중단되었고,[10] 2009년 제너럴 다이내믹스와의 최종 계약 이후 추가 계약은 갱신되지 않았다.[11] 2011년에 새로운 계획에 따라 프로그램의 일부를 계속 진행하기로 결정했으나,[2][3][5] 이 시도들은 민간 산업계(특히 Crye Precision)에서 상당 부분 기술을 모방하여 개발하면서[12] 결국 무효화되었고, 궁극적으로 대부분의 구성 요소 프로그램이 취소되었다.[13]
2. 2. 시험 배치 및 성능 개선 (2000년대 초반 ~ 2007년)
2000년 9월, 루이지애나주 포트 폴크에서 실시된 대규모 전쟁 훈련에서 초기 프로토타입 장비인 '랜드 워리어 v0.6'이 미국 육군 소대에 의해 성공적으로 시연되었다. 이 v0.6 시스템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를 운영체제로 사용하는 PC/104 컴퓨터 플랫폼을 기반으로 했으며, 유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에는 CAN-bus 프로토콜을 사용했다. 통신 서브시스템은 StrongARM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윈도우 CE를 기반으로 했고,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IEEE 802.11 표준을 따랐다. 훈련 중에는 기존 군용 무선망과의 상호 운용성을 위해 양방향 SINCGARS 호환 게이트웨이 무전기도 시연되었다.
포트 폴크 훈련의 성공으로 프로그램은 다시 활력을 얻었고, 추가 자금이 투입되어 '랜드 워리어 v1.0', 이후 'LW-IC'(Land Warrior – Initial Capability)로 명명된 첫 실전 배치 가능 시스템 개발이 시작되었다. 여러 계약 업체가 참여한 '랜드 워리어 컨소시엄'이 구성되어 개발을 주도했다. 기존의 윈도우 및 WinCE 플랫폼은 유지되었으나, USB와 FireWire 프로토콜을 모두 활용하는 새로운 하이브리드 PAN이 설계되었다. 또한 통신 보안(COMSEC) 및 정보 보안,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 기능, 다중 홉 패킷 라우팅 지원 등 다양한 개선 사항이 적용된 수정된 IEEE 802.11 프로토콜이 채택되었다.
2003년에는 LW-IC 시스템의 파생형으로, 아군 간 오인 사격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IFF(Identification Friend or Foe) 기능인 전투ID 시스템(CIDS)을 통합한 'LW-CIDS'가 개발되었다. 이 시스템은 캘리포니아주 모펫 필드에서 다른 CIDS 장비를 갖춘 부대와의 상호 운용성 시험에서 성공적인 성능을 보였다.
랜드 워리어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배터리 문제가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배터리를 지속적으로 보급하거나 재충전하는 것이 주요 군수 지원의 어려움으로 지적된 것이다. 이 문제는 초기에 공수부대 중심으로 장비를 배치하려던 계획을 수정하여, 스트라이커 지상 차량 시스템을 운용하는 부대에 집중하게 된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스트라이커 차량을 활용하면 필요에 따라 더 많은 배터리를 분배하거나 재충전하기 용이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2003년, '랜드 워리어-스트라이커 상호 운용'(LW-SI) 시스템 개발 계약이 제너럴 다이내믹스가 주도하고[6] 기존 랜드 워리어 컨소시엄 회원사 대부분이 참여한 산업 팀에게 수주되었다. 거의 동시에 기존 LW-IC 시스템의 추가 개발은 중단되었고 생산 계획도 무기한 보류되었다. 랜드 워리어 컨소시엄은 공식적으로 해체되고, 새롭게 LW-SI 프로그램 개발에 집중하게 되었다.
2006년 9월, 제9보병 연대 제4대대는 LW-SI 시스템을 이용한 훈련 및 평가를 성공적으로 마쳤다.[8][9] 이 시스템은 합동 능력 통합 및 개발 시스템(JCIDS) 지침에 따른 평가를 통과했으며 해당 부대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랜드 워리어 프로그램 하에서의 추가 시스템 개발 자금 지원은 2007년 2월에 중단되었다.[10]
2. 3. 스트라이커 부대와의 통합 및 실전 배치 (2007년 ~ 2012년)
랜드 워리어 프로그램이 성숙하면서 배터리의 지속적인 재보급 및 재충전 필요성이 주요 병참 문제로 떠올랐다. 이는 초기 계획이었던 공수부대 장비 대신 스트라이커 장갑차 운용 부대에 집중하게 된 주요 요인이었다. 스트라이커 장갑차를 활용하면 필요에 따라 랜드 워리어 배터리를 더 효과적으로 분배하고 재충전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이에 따라 2003년, 제너럴 다이내믹스(General Dynamics)가 주도하고 기존 랜드 워리어 컨소시엄 회사 대부분이 참여한 산업 팀과 랜드 워리어 – 스트라이커 상호 운용 가능(LW-SI) 시스템 개발 계약이 체결되었다.[6] 동시에 기존 LW-IC 시스템의 추가 개발은 중단되었고, 제조 계획도 무기한 보류되었다. 기존의 랜드 워리어 컨소시엄은 공식적으로 해산되고 새롭게 LW-SI 프로그램에 집중하게 되었다.
2006년 9월, 제9보병 연대 제4대대는 LW-SI 시스템으로 훈련을 진행하고 합동 능력 통합 및 개발 시스템(JCIDS) 지침에 따른 평가를 성공적으로 완료했으며, 해당 부대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8][9]
2007년에는 이라크 전쟁에 파병된 스트라이커 부대 일부가 랜드 워리어 시스템을 실제로 배치하여 사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공적인 평가와 실전 배치에도 불구하고, 랜드 워리어 프로그램 하의 추가 시스템 개발을 위한 자금 지원은 2007년 2월에 중단되었다.[10]
2009년 제너럴 다이내믹스와의 최종 계약 이후, 랜드 워리어에 대한 추가 계약은 더 이상 갱신되지 않았다.[11] 2011년, 새로운 계획에 따라 프로그램의 일부를 계속 진행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2][3][5] 민간 방산업체(특히 Crye Precision)에서 유사한 기술을 상당 부분 개발하고 상용화하면서[12] 결국 랜드 워리어의 대부분 구성 요소 프로그램은 2012년 경 취소되었다.[13]
2. 4. 넷 워리어 (Nett Warrior)로의 발전 (2011년 ~ 현재)
미국 육군은 2009년 2월, 랜드 워리어의 후속 기종으로 첨단 보병 통합 상황 인식 시스템인 지상 보병 시스템(GSS, Ground Soldier System) 개발에 착수했다.[11] 2007년 랜드 워리어 프로그램의 자금 지원이 중단되고[10] 2009년 제너럴 다이내믹스(General Dynamics)와의 최종 계약 이후 추가 계약이 갱신되지 않았지만,[11] 2011년 새로운 계획에 따라 프로그램의 일부를 계속 진행하기로 결정했다.[2][3][5]GSS 인크리먼트 1은 2010년 6월, 명예 훈장 수훈자인 로버트 B. 네트(Robert B. Nett)의 이름을 따 Nett Warrior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하지만 'Nett'라는 이름 때문에 종종 전술 네트워킹 기능을 반영한 것으로 잘못 해석되기도 했다. Nett Warrior는 2011년 봄에 처음 시연되었는데, 초기 버전은 기존 랜드 워리어 장비에 소프트웨어를 추가한 형태로 무게는 약 4.5kg(약 4.54kg)이었다.
이후 Nett Warrior는 상용 휴대용 화면 장치를 라이플맨 무전기와 통합하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을 단순화하고 무게를 1.4kg(약 1.36kg)까지 줄인 휴대용 솔루션에 초점을 맞추었다. 개발 과정에서는 모토로라 아트릭스, 삼성 갤럭시 노트 1, 삼성 갤럭시 노트 2 등 향상된 성능의 상용 스마트폰을 활용했다.
한편, 기존 랜드 워리어 시스템은 미국 제9보병 연대 제4대대가 2007년 5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이라크에 229개 장비를 배치하여 운용했으며, 이후 스트라이커 여단이 아프가니스탄에 배치하여 2012년 봄까지 사용했다.
3. 구성 요소 및 기능
랜드 워리어는 세 가지 주요 목표를 가지고 개발되었다.
- 개별 병사의 치사율 향상
- 병사의 생존성 증대
- 병사에게 완전한 지휘, 통신 및 통제 기능 제공
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일곱 가지 주요 하위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 무기 시스템
- 헬멧 통합 시스템
- 방호복 및 전투 조끼
- 컴퓨터 시스템
- 항법 시스템
- 통신 시스템
- 소프트웨어 시스템
랜드 워리어는 다음과 같은 추가 기능도 목표로 했다.
- 이동 중 상황 인식 및 전력 재충전을 위한 보병 전투 식별 기능을 제공하여 '아군 오사' 사고 감소
- 지휘관의 디지털 보조 리더 계획 도구 제공
- 무게 및 전력 소모 감소
- 작전 임무에 대한 확장성 및 맞춤화 기능 제공
3. 1. 무기 시스템
랜드 워리어의 무기 시스템은 초기에는 각 임무에 맞게 설정할 수 있도록 모듈식 레일 마운트가 장착된 M16 소총 또는 M4 카빈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이 시스템에는 무기 본체 외에도 주간 비디오 조준경, 열 영상 무기 조준경, 그리고 Multi-Function Laser|다기능 레이저eng(MFL)와 같은 구성 요소가 포함되었다. MFL은 거리 및 방향 정보를 제공하며, 적외선(IR), 가시광선, 그리고 MILES 레이저를 지원한다. 카메라는 비디오 영상과 열화상 기능을 제공하여, 병사가 적의 공격에 직접 노출되지 않고도 엄폐물 뒤나 모퉁이 너머를 조준하고 사격할 수 있게 돕는다.3. 2. 헬멧 통합 시스템
헬멧 서브시스템(HSS)은 랜드 워리어의 7가지 하위 시스템 중 하나로, 경량의 첨단 헬멧에 여러 장비를 통합한 시스템이다. 여기에는 마이크 및 헤드셋, 컴퓨터, 그리고 OLED 디스플레이가 포함된다. 이 OLED 디스플레이는 병사에게 디지털 지도, 아군 부대의 위치 정보, 무기에 장착된 비디오 카메라 영상 등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또한, 조준 레이저와 연동되어 병사가 코너 뒤와 같은 엄폐물 뒤에서도 안전하게 적을 조준하고 사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3. 3. 컴퓨터 시스템
컴퓨터 서브시스템(Computer Subsystem, CSS)은 랜드 워리어 시스템에 처리 능력과 저장 용량을 제공하는 역할을 맡는다.초기 CSS는 ARM 아키텍처 코어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하였다. 프로젝트 자금이 허리케인 카트리나 구호 활동으로 전환되어 중단되기 전까지는 Techsol 사의 이더넷 오디오 인터페이스 보드를 사용하였다.[14] 이 보드는 삼성전자의 s3c2410a 프로세서로 구동되었으며, 최대 200MHz로 작동하는 ARM-920T 코어를 탑재했다. 또한, 저전력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위해 Cirrus Logic의 cs8900a 칩을 사용하였고,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삼성 칩 내부의 IIS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AKM Semiconductor, Inc.의 통합 오디오 코덱 및 앰프에 연결되었다. 모토로라의 GPS 수신기가 내장되었으며, 볼륨 및 채널 조절용 푸시 버튼에는 GPIO가 사용되었다. 다양한 전압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이 컴퓨터 보드는 전체 크기가 명함의 3분의 2 정도에 불과했다.

프로젝트 중단 이후 계획된 향후 버전에서는 인텔의 XScale 프로세서를 사용할 예정이었다. CSS는 시스템 내의 각 LRU 및 배터리에 연결된다.
3. 4. 항법 시스템
항법 하위 시스템(Navigation Subsystem, NSS)은 병사에게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 시스템에는 GPS 수신기와, GPS 신호를 사용할 수 없을 때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추측 항법 (Dead Reckoning Module, DRM) 모듈이 통합되어 있다.3. 5. 통신 시스템
통신망 무선 하위 시스템(CNRS)은 랜드 워리어의 통신 기능을 제공했다. 이는 향상된 위치 보고 시스템을 기반으로 했다.3. 6. 소프트웨어 시스템
랜드 워리어의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리눅스 운영 체제의 변형으로 구동되었으며, 추가적인 개선을 위해 모듈형의 개방형 아키텍처를 갖추고 있었다. 랜드 워리어 소프트웨어 제품군은 무기 조준경 및 데이터 처리를 위한 6개의 주요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포함했다.[11]3. 7. 방호복 및 전투 조끼
랜드 워리어 시스템의 하위 시스템 중 하나로 '보호의와 장비'가 포함된다. 이 시스템의 일환으로 'Fighting Load Vest|파이팅 로드 베스트eng'라는 전투 조끼가 사용되었다. 이 조끼는 다양한 센서와 컴퓨터를 휴대하는 데 활용되었으며, 이동 중에도 착용자의 몸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었다. 또한, 시스템 구동에 필요한 전원 공급을 위해 최대 1.1kg 무게의 배터리를 휴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5]참조
[1]
웹사이트
The F-35 of Ground Warfare: The Army’s Land Warrior Program
https://sofrep.com/n[...]
2024-05-07
[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asafm.arm[...]
2007-02-06
[3]
웹사이트
Stryker Brigade News – Land Warrior funds cut
http://www.strykerne[...]
2007-02-07
[4]
뉴스
High-Tech Soldier Suit, Crawling Back From the Dead
https://www.wired.co[...]
2024-04-02
[5]
웹사이트
FCW.com News – Army budget would kill Land Warrior
http://www.fcw.com/a[...]
2007-02-07
[6]
문서
Initial tests with soldiers were conducted in 1995–96 in Fort Lewis with 1st Bn, 9th Infantry Regiment (light) using both squad-level information systems and Humvee mounted systems. Early iterations (prototypes) of thermal weapons sights and integrated Global Positioning Systems were also in use with some initial, albeit limited, success. In 2001, Motorola's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s division, headquartered in [[Scottsdale, Arizona|Scottsdale]], [[Arizona]], was acquired by [[General Dynamics]] and was renamed General Dynamics Decision Systems (GDDS)
[7]
웹사이트
Foot-Soldier Modernization Effort Regaining Credibility
http://www.nationald[...]
National Defense Industrial Association
2001-05-01
[8]
문서
"'Land Warriors' Link Up With Stryker Vehicles"
National Defense Magazine
2006-05
[9]
문서
"Army assess new Land Warrior System"
Army News Service
2006-06-22
[10]
논문
The Nett Warrior system: a case study for the acquisition of soldier systems
https://core.ac.uk/r[...]
2011-12
[11]
웹사이트
Land Warrior at Army-Technology.com
http://www.army-tech[...]
[12]
웹사이트
Objective Force Warrior? What's That?
https://soldiersyste[...]
2024-09-14
[13]
간행물
From Idiophylaxis to Inner Armor: Imagining the Self-Armoring Soldier in the United States Military from the 1960s to Today
https://www.cambridg[...]
2018-10
[14]
웹사이트
Techsol Ethernet Audio Product Spec
http://techsol.ca/Te[...]
2019-01-09
[15]
웹사이트
Land Warrior Integrated Soldier System
https://www.army-tec[...]
2024-09-02
[16]
문서
The Rise of the Soldier System
[17]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asafm.arm[...]
2007-02-06
[18]
웹인용
Stryker Brigade News – Land Warrior funds cut
http://www.strykerne[...]
2007-02-07
[19]
웹사이트
Land Warrior at Army-Technology.com
http://www.army-te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