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램리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램리섬은 미얀마 라카인주에 위치한 섬으로, 지카 타웅이 최고봉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람리 섬 전투가 벌어졌으며, 이후 미얀마 영토가 되었다. 21세기 초, 중국의 에너지 자원 계획에 따라 램리섬을 경유하는 파이프라인이 건설되어, 중국으로 천연 가스와 석유를 수송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의 섬 - 코코 제도
    벵골 만과 안다만 해에 위치한 코코 제도는 미얀마의 섬들로, 역사적으로 형벌 식민지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미얀마 해군 기지가 위치해 있고, 중국의 군사 기지 건설 의혹이 제기되기도 하는 해양 생물 서식지이다.
램리섬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람리섬에서 바라본 툰 사이트 강
람리섬에서 바라본 툰 사이트 강
유형
위치미얀마, 라카인주
지리
면적1350 km²
해발고도300 m
좌표19°04′16″N 93°49′01″E
일반 정보
다른 이름얀비에 춘 (ヤンビェー・チュン, 일본어)
언어미얀마어
로마자 표기Ram-byae Kyun

2. 지리

램리섬은 본토와 평균 150m 너비의 좁은 운하와 같은 해협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해협 위에는 섬과 대륙 해안을 연결하는 다리가 있다. 섬의 가장 높은 지점은 남부 서쪽 해안 근처에 위치한 약 299.92m 높이의 지카 타웅이다.[1] 섬에는 진흙 화산이 존재한다.

램리 섬의 가장 높은 지점인 지카 타웅

2. 1. 주변 섬


  • '''사구 귕'''은 램리섬 남쪽 곶에서 5km 떨어져 있으며, 길이 5km, 너비 4km의 섬이다. 이 섬은 너비 2.4km의 해협으로 분리되어 있다.
  • '''마지 귕'''은 사구 귕 남쪽 끝에서 2.2km 떨어진 작은 섬이다.
  • 체두바섬은 램리섬의 남서쪽 해안에서 약 10km 떨어져 있다.

3. 역사

원래 이 섬은 므라욱우 왕국의 교역소였으며, 섬 전체에 낚시 마을이 흩어져 있었다. 아라칸의 마지막 통치자인 마하 타마다의 고향이었다.

전후에는 독립한 미얀마(버마)의 영토가 되었으며, 현재 행정 구역상으로는 라카인주의 차우퓨군(en)에 속해 있다. 주요 도시는 북쪽 해안의 차우퓨(en)와 남부 내륙의 람리(en)이다. 차우퓨에는 항만과 차우피우 공항(en)이 있으며, 미얀마 해군의 군항도 설치되어 있다. 어업농업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2008년에는 섬 내에 자동차가 공용으로 5대밖에 없었고, 차우퓨조차 하루 중 1시간 45분밖에 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조용한 섬이었지만[8],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국 자본에 의한 대규모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3. 1.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5년 1월과 2월에 람리 섬 전투가 벌어졌으며, 이는 버마 전역 남부 전선에 대한 영국 제14군의 1944-45년 공세의 일부였다.[2] 전투가 끝날 무렵, 일본 제국 육군 병사들은 섬 주변의 늪으로 몰려들었고, 바다악어가 400명(혹은 한 기록에 따르면 20명만 살아남았으므로 980명)을 잡아먹었다고 한다.[2] 이는 기네스 세계 기록에서 "동물로 인한 [인류가] 겪은 가장 큰 재앙"으로 등재되었다. 그러나 이 이야기의 진실성은 논쟁의 대상이 되었으며, 사실은 소수의 일본군이 악어에게 죽임을 당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유일하게 확인 가능한 언급은 람리 타운 근처의 무강을 건너다가 악어에게 10~15명이 죽었다는 것이다). 압도적인 다수는 탈수, 익사, 영국의 총격, 이질을 포함한 다양한 다른 이유로 사망했으며, 심지어 소수의 상어에게도 죽었을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에 의해 일시적으로 점령되었다. 대전 말기인 1945년 1월, 영국군을 중심으로 한 연합국 군이 마타도르 작전으로 탈환을 위해 상륙, 람리 섬 전투가 발생했다.

4. 야생 동물

바다악어는 1960년대까지 람리 섬 지역에서 흔했지만, 가죽 사냥으로 인해 더 이상 악어 개체군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었고, 1980년대 초에는 단 몇 마리만 남았다는 증거가 제시되었다.

5. 중국-미얀마 파이프라인

中缅油气管道|중미얀마 파이프라인중국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중국-미얀마 파이프라인 문서를 참조하라.

5. 1. 경제적, 전략적 중요성

21세기 초, 중화인민공화국의 에너지 자원 계획에 따라 람리섬에 대규모 개발이 시작되었다. 섬 앞바다에서 생산되는 천연 가스를 중국 윈난성 쿤밍까지 수송하기 위해 총 길이 1,450km의 파이프라인이 건설되어 2008년에는 완공에 가까워지고 있었다.[8]

람리섬은 인도양 연안에서 중국 윈난성까지 석유 및 가스를 수송하는 가스 파이프라인 시스템이 위치한 곳이기도 하다. 라카인 주 쾈퓨의 심해 항구와 람리섬에서 중동의 석유와 미얀마 해안의 가스가 파이프라인을 통해 중국으로 수송된다. 이 파이프라인을 통해 중국은 위험한 말라카 해협을 통한 해상 운송 의존도를 줄이고 운송 시간을 2주 단축할 수 있다. 파이프라인 수송료는 가스 판매와 더불어 미얀마 정부의 수입원이 된다.[3] 건설은 2011년에 시작되었다.[4] 가스 파이프라인의 미얀마 구간은 2013년 6월 12일에 완공되었으며, 가스는 2013년 10월 21일에 중국으로 흐르기 시작했다. 석유 파이프라인은 2014년 8월에 완공되었다.[5]

아프리카중동에서 중국이 수입한 석유를 하역하여 수송하는 파이프라인도 병설될 예정이며, 대형 선박도 입항 가능한 항만의 굴착이 차우퓨에서 진행되고 있다. 계획이 완성되면, 중국의 석유 해상 수송로는 위험이 큰 말라카 해협을 통과하지 않아도 된다.[8]

5. 2. 건설 경과

21세기 초, 중화인민공화국의 에너지 자원 계획에 따라 람리섬에 대규모 개발이 시작되었다. 섬 앞바다에서 생산되는 천연 가스를 중국 윈난성 쿤밍까지 수송하기 위해 총 길이 1,450km의 파이프라인이 건설되었다.[8]

람리섬은 인도양 연안에서 중국 윈난성까지 석유 및 가스를 수송하는 가스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위치이기도 하다. 라카인 주 쾈퓨의 심해 항구와 람리섬에서 중동의 석유와 미얀마 해안의 가스가 파이프라인을 통해 중국으로 수송된다. 이 파이프라인을 통해 중국은 말라카 해협을 통한 해상 운송 의존도를 줄이고 운송 시간을 2주 단축할 수 있다. 파이프라인 수송료는 가스 판매와 더불어 미얀마 정부의 수입원이 된다.[3]

건설은 2011년에 시작되었다.[4] 가스 파이프라인의 미얀마 구간은 2013년 6월 12일에 완공되었으며, 가스는 2013년 10월 21일에 중국으로 흐르기 시작했다. 석유 파이프라인은 2014년 8월에 완공되었다.[5]

참조

[1] 간행물 Prostar Sailing Directions 2005 India & Bay of Bengal. Enroute. National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 2007-02-01
[2] 웹사이트 Top 10 Places You Don’t Want To Visit http://listverse.com[...]
[3] 웹사이트 Burmese junta profits from Chinese pipeline – Telegraph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Kyaukpyu to Kunming pipeline construction officially commenced http://www.ramree.co[...] 2011-08-18
[5] 문서 sources and more details here Sino-Myanmar pipelin[...]
[6] 서적 မြန်မာနိုင်ငံဘာသာပြန်စာပေအသင်း https://books.google[...] မြန်မာ့စွယ်စုံကျမ်း
[7] 논문 17.5 Burma (Myanmar) http://resources.met[...] Springer Netherlands 2010
[8] 뉴스 Burmese junta profits from Chinese pipeline http://www.telegraph[...] Telegraph 2008-01-14
[9] 간행물 Prostar Sailing Directions 2005 India & Bay of Bengal. Enroute. National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 2007-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