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기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의 기후는 대륙성 기후가 특징이며, 서부는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시베리아는 극한의 대륙성 기후를 보여 1월 평균 기온이 영하 40°C 이하로 떨어지며, 베르호얀스크에서는 세계 최저 기온인 영하 68°C가 기록되었다. 강수량은 북위 60°C 부근을 정점으로 남북으로 감소하며, 우랄 산맥에는 지형성 강우가, 극동 지역에는 몬순성 강우가 나타난다. 러시아는 극지, 아열대, 계절풍 기후 등 특수한 기후도 나타나며, 도시별로 다양한 기후 특성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기후 - 오호츠크해 기단
오호츠크해 기단은 세력이 강해지거나 위치가 변동될 때 야마세라는 북동풍을 발생시켜 일본 태평양 연안 지역에 저온 현상과 냉해를 유발하고 벼농사에 큰 영향을 미친다. - 러시아의 기후 - 시베리아 기단
시베리아 기단은 북아시아 내륙의 냉각으로 형성되어 겨울철 북반구 기상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대규모 고기압이며, 지구 온난화로 약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동아시아 지역의 한랭 기단 남하 및 북동 몬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나라별 기후 - 인도의 기후
인도의 기후는 지리적 위치와 계절풍의 영향으로 열대, 건조, 아열대, 산악 기후 등 다양한 특징을 보이며, 4개의 뚜렷한 계절과 몬순으로 인한 자연재해 및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는다. - 나라별 기후 - 미얀마의 기후
미얀마의 기후는 열대 몬순 기후의 영향으로 고온다습하며 건기와 우기가 뚜렷하고, 몬순으로 인한 홍수 피해와 기후 변화로 인한 가뭄, 해수면 상승 등의 문제에 직면하여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기후 | |
---|---|
위치 | |
![]() | |
기후 개요 | |
면적 | 세계에서 가장 큰 나라 |
기후 특징 | 광대한 지역에 걸쳐 다양한 기후대가 나타남. 대부분 지역이 냉대 기후에 속하며, 겨울이 길고 혹독함. 북극해 연안은 툰드라 기후, 남부는 온대 기후를 보임. |
강수량 | 대체로 적은 편이며, 지역별 편차가 큼. |
기온 | 겨울철 평균 기온은 시베리아 지역에서 -30℃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가 많음. 여름철 기온은 지역에 따라 15℃ ~ 30℃까지 상승. |
기후대 | |
북극해 연안 | 툰드라 기후 |
대부분 지역 | 냉대 기후 |
남부 지역 | 온대 기후 |
계절별 특징 | |
겨울 | 길고 혹독하며, 대부분 지역에서 눈이 많이 내림. |
여름 | 짧고 서늘하며, 남부 지역은 비교적 따뜻함. |
봄/가을 | 짧고 변화가 심함. |
지역별 기후 | |
시베리아 | 겨울이 매우 길고 혹독하며, 최저 기온은 -60℃ 이하로 내려갈 수 있음. 여름은 짧고 서늘하며, 강수량은 적은 편임. |
유럽 러시아 | 서쪽 지역은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겨울이 춥고 여름은 비교적 따뜻함. 남부 지역은 흑해의 영향을 받아 온화한 기후를 보임. |
극동 러시아 | 몬순 기후의 영향을 받아 여름철 강수량이 많음. 겨울은 춥고 건조함. |
식생 | |
툰드라 지대 | 이끼, 선태류, 왜소한 관목 등이 자생함. |
타이가 지대 | 침엽수림이 광범위하게 분포함. |
혼합림 지대 | 침엽수와 활엽수가 함께 자생함. |
초원 지대 | 다양한 풀과 꽃이 자생함. |
기후 변화 영향 | |
영구 동토층 | 지구 온난화로 인해 영구 동토층이 녹으면서 지반이 약화되고, 건축물과 기반 시설에 손상을 줄 수 있음. 메탄 가스 방출 증가로 인한 온실 효과 가속화 우려가 있음. |
농업 | 기온 상승으로 인해 농작물 재배 가능 지역이 확대될 수 있지만, 가뭄과 이상 기후 현상으로 인한 피해도 예상됨. |
해안 지역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해안 지역 침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 |
기타 | |
참고 자료 | Encyclopædia Britannica: Russia::Climate and vegetation Library Of Congress: Climate |
2. 대륙적 기후
러시아는 광활한 영토만큼이나 다양한 기후를 가지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대륙성 기후의 특징이 강하게 나타난다. 대서양의 영향을 받는 서부 지역은 상대적으로 온화한 해양성 기후를 보이지만[1], 내륙으로 들어갈수록 대륙성 기후가 뚜렷해진다. 서부 칼리닌그라드는 연교차가 20°C를 넘지 않고 겨울에도 해면이 얼지 않는 반면[1], 시베리아 내륙은 겨울 기온이 극심하게 낮아 세계적인 한극(寒極)으로 알려져 있다.[1]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포함한 유럽 러시아 대부분, 서시베리아 남부, 러시아 극동 남부 지역은 여름이 따뜻하거나 더운 습윤 대륙성 기후(Dfa, Dfb, Dwa, Dwb)에 속한다.[2] 반면, 유럽 러시아 북부와 스칸디나비아 반도와 태평양 사이의 시베리아 지역은 겨울이 매우 길고 혹독한 아한대 기후(Dfc, Dfd, Dwc, Dwd)가 나타난다.[2][3] 특히 사하 공화국을 포함한 시베리아 북동부 내륙은 겨울철 기온이 극심하게 낮아진다.[2][3]
이 외에도 북극해 연안과 북극 제도에는 툰드라 기후(ET)나 빙설 기후(EF)와 같은 한대 기후가 나타나며[2][3], 흑해 연안의 소치 등 일부 지역에서는 겨울이 온화하고 습한 습윤 아열대 기후(Cfa)를 보이기도 한다.[2][3] 볼가강 하류와 카스피해 연안, 시베리아 최남단 일부 지역에서는 강수량이 적은 스텝 기후(BSk)나 건조 기후(BWk)가 나타난다.[2][3]
칼리닌그라드와 같이 발트해 연안 지역은 비교적 온화한 겨울과 서늘한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성 기후(Cfb)의 영향을 받는다.[2] 또한, 러시아 영토의 약 65%는 일 년 내내 땅이 얼어있는 영구 동토층으로 덮여 있다.[2]
2. 1. 시베리아의 극한 기후
시베리아는 극도의 대륙성 기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역이다. 레나강 유역에서는 1월 평균 기온이 -40°C까지 내려가며, 야나강이나 인디기르카강 유역은 -50°C에 달해 소위 세계의 한극(寒極)으로 알려져 있다. 베르호얀스크에서는 -68°C라는 기록적인 저온이 관측되기도 했다. 사하 공화국을 포함한 시베리아 북동부 내륙 지역 역시 북반구의 한극으로 불리며, -68°C에 달하는 최저 기온 기록을 가지고 있다.이에 반해 7월 평균 기온은 16°C까지 올라가 연교차가 66°C에 이르는 극심한 기온 변화를 보인다. 이러한 극한의 기후에도 불구하고 여름철의 높은 기온과 긴 일조 시간은 식물의 생장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겨울의 혹한기에도 바람이 없는 맑은 날씨가 계속되는 경우가 많아 사람이 거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스칸디나비아 반도와 태평양 사이의 시베리아 대부분 지역은 겨울이 매우 혹독한 아한대 기후(Dfd, Dwd, Dsd)에 속하며, 일부 지역은 상대적으로 온화한 아한대 기후(Dwc, Dfc, Dsc)를 나타낸다. 특히 동시베리아와 러시아 극동의 많은 지역(Dwa, Dwb, Dwc, Dwd 유형)은 여름에 비해 겨울이 건조한 특징을 보인다. 시베리아 남부의 일부 지역과 볼가강 하류 및 카스피해 연안 지역은 스텝 기후(BSk)나 건조 기후(BWk)가 나타나기도 한다.
러시아 영토의 약 65%는 영구 동토층으로 덮여 있으며, 이는 시베리아 기후 환경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2. 2. 강수량 분포
대서양에서 발달한 해양성 기단은 러시아 강수의 주요 원천이 된다. 강수량 분포는 대서양 기단의 주 이동 경로인 북위 60도 부근에서 가장 많고, 이 지역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갈수록 강수량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대부분 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은 500mm 이하이다. 지역별로는 유럽 러시아와 동시베리아에서 약 500mm, 시베리아 중부에서는 약 400mm 정도의 강수량을 기록한다. 반면 북극해 연안과 카스피해 부근은 250mm 이하로 강수량이 적다.
일부 지역에서는 독특한 강수 패턴이 나타난다. 우랄 산맥에서는 지형의 영향으로 비가 자주 내리는 편이며, 흑해 해안의 소치와 같은 지역은 습윤 아열대 기후(Cfa)의 특징으로 겨울철 강수량이 많다. 러시아 극동 지역은 여름철 몬순의 영향으로 강수가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볼가강 하류 및 중류 지역부터 우크라이나에 이르는 러시아 평원 남동부 지역은 카스피해 방면에서 불어오는 '수호베이'(суховей|수호베이rus)라는 건조한 열풍의 영향을 받기도 하며, 이 열풍은 농작물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이 지역들과 시베리아 남부 일부는 스텝 기후(BSk)나 건조 기후(BWk)를 나타낸다.
계절적으로 보면, 동시베리아와 러시아 극동의 많은 지역(Dwa, Dwb, Dwc, Dwd 유형)은 겨울이 여름에 비해 상대적으로 건조하다. 다른 대부분 지역에서는 계절에 따른 강수량 차이가 크지 않다. 겨울철에는 대부분 지역에서 강수가 주로 눈의 형태로 내린다.
2. 3. 수호베이
볼가강 하류 및 중류 지역부터 우크라이나에 이르는 러시아 평원 남동부 지역에서는 카스피해 방면에서 불어오는 건조하고 뜨거운 바람인 수호베이(суховей|수호베이ru)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 바람은 남동쪽 또는 동쪽에서 불어오며,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입힐 수 있다.3. 특수한 기후
러시아의 광활한 영토는 다양한 기후를 나타내지만, 특히 극지 기후, 아열대 기후, 그리고 계절풍(몬순) 기후는 러시아의 특수한 기후 유형으로 꼽힌다.
북극해에 접한 섬들과 연안 지역에서는 극지 기후가 나타나며, 일부 지역은 만년빙으로 덮여 있고 여름철 기온도 매우 낮다. 남쪽으로 내려오면 툰드라 기후가 나타난다.
캅카스산맥과 같이 추운 북풍을 막아주는 지형의 남쪽에서는 아열대 기후가 나타난다. 대표적으로 흑해 연안 지역이 있으며, 이곳은 러시아 내에서 상대적으로 온화한 겨울과 많은 강수량을 보인다.
러시아 극동 지역은 아시아 대륙 동안(東岸)의 계절풍 지대 북쪽 끝에 해당하여 뚜렷한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다. 이로 인해 여름에는 습한 해풍이 불어와 강수량이 집중되고, 겨울에는 건조하고 차가운 육풍이 분다. 이러한 영향으로 같은 위도의 러시아 서부 지역보다 겨울 기온이 훨씬 낮고 여름 기온도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3. 1. 극지 기후
북극해에 있는 프란츠요세플란드 제도, 노바야젬랴 북도(北島), 세베르나야젬랴 제도와 같은 러시아 북극 제도 및 북극해 연안 지역은 극지 기후에 속한다. 이 지역의 일부 섬은 지면이 만년빙(빙모 기후, EF)으로 덮여 있으며, 여름철 기온도 0°C 정도에 머문다. 다른 지역에서는 툰드라 기후(ET)가 나타난다.극지 기후 지역보다 남쪽, 즉 북극해 연안은 아극지(亞極地) 기후 또는 툰드라 기후(ET)로 분류되기도 하며, 이곳의 여름철 월평균 기온은 10°C 미만이다.
3. 2. 아열대 기후
아열대 기후는 추운 북풍을 막는 캅카스산맥 남쪽 지역에서 나타난다. 주요 지역으로는 캅카스의 흑해 연안과 카스피해 남서안 등이 있다. 이 지역의 1월 평균 기온은 4°C ~ 6°C이며, 7월 평균 기온은 24°C ~ 25°C 정도이다.특히 캅카스의 흑해 연안은 습윤 아열대 기후 (쾨펜 Cfa)에 속하며, 연 강수량이 1000mm ~ 2500mm에 달해 러시아에서 가장 비가 많이 오는 지역 중 하나이다. 대표적인 도시인 소치는 겨울이 온화하고 습하며 눈이 거의 내리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3. 3. 몬순 기후
러시아 극동 지역은 아시아 대륙 동쪽 해안의 계절풍(몬순) 지대 북쪽 끝에 해당하여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다. 여름에는 습한 바람이 바다에서 육지로 불어오며, 연 강수량의 대부분이 이때 집중된다. 반면 겨울에는 건조하고 차가운 바람이 육지에서 바다로 분다.겨울의 육지 바람은 매우 차갑고 여름의 바닷바람도 비교적 기온이 낮기 때문에, 같은 위도의 러시아 서부 지역보다 전반적으로 기온이 낮은 편이다. 예를 들어, 블라디보스톡의 7월 평균 기온은 20°C로 우크라이나의 키예프와 비슷하지만, 1월 평균 기온은 -12°C로 모스크바보다 낮다. 블라디보스톡에서는 겨울철에 바다가 3개월 동안 얼어붙기도 한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동시베리아와 러시아 극동의 대부분 지역은 여름보다 겨울이 건조한 냉대 동계 건조 기후(Dwa, Dwb, Dwc, Dwd)에 속한다. 특히 극동 러시아 남부 지역은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Dwa, Dwb)로 분류되기도 한다.
4. 온도 기록
러시아에서 기록된 월별 최고 기온은 다음과 같다.[3][4][5]
월 | 온도 | 날짜 | 위치 |
---|---|---|---|
1월 | 26.7°C | 1979년 1월 4일 | 데르벤트, 다게스탄 공화국 |
2월 | 28.2°C | 2020년 2월 28일 | 카숨켄트, 다게스탄 공화국 |
3월 | 33.5°C | 1901년 3월 29일 | 마이코프, 아디게야 공화국 |
4월 | 36.8°C | 1998년 4월 12일 | 아르마비르, 크라스노다르 지방 |
5월 | 39.7°C | 2021년 5월 22일 | 하사뷰르트, 다게스탄 공화국 |
6월 | 43.7°C | 2015년 6월 22일 | 알렉산드로프 가이, 사라토프 주 |
7월 | 45.4°C | 2010년 7월 12일 | 우타, 칼미크 공화국 |
8월 | 45°C | 1940년 8월 7일 | 엘턴 호, 볼고그라드 주 |
9월 | 41.5°C | 2010년 9월 2일 | 엘턴 호, 볼고그라드 주; 칼리닌스크, 사라토프 주 |
10월 | 36.3°C | 1999년 10월 2일 | 아르마비르, 크라스노다르 지방; 노보알렉산드로프스크, 사라토프 주 |
11월 | 31°C | 2016년 11월 10일 | 샤토이, 체첸 공화국 |
12월 | 28.1°C | 1998년 12월 10일 | 부이낙스크, 다게스탄 공화국 |
4. 1. 최저 기온
1933년 2월 6일오이먀콘, 사하 공화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