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 위목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 위목제는 레 왕조의 황제로, 1505년부터 1509년까지 재위했다. 그는 레 헌종의 차남으로, 숙종의 뒤를 이어 즉위했으나, 폭정을 일삼아 많은 사람들의 반감을 샀다. 위목제는 주색에 빠져 사치스러운 생활을 하고, 정적들을 숙청하며, 친족들을 살해하는 등 잔혹한 통치를 했다. 결국, 반란이 일어나 도주하던 중 살해당하거나 자결했다는 두 가지 설이 전해진다. 그의 사후에는 숙부인 레오아인이 즉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살해된 16세기 군주 - 에리크 14세
    에리크 14세는 스웨덴 국왕 구스타브 1세 바사의 맏아들로, 외국어와 학문에 능통했으나 귀족과의 갈등, 정신 질환, 동생에게 폐위된 후 독살되었으며, 발트해 팽창 정책을 펼쳤다.
  • 살해된 16세기 군주 - 레 영종
    권신 정검에 의해 옹립된 레 영종은 막 왕조와의 내전 중 정검과 그의 후계자 정통의 영향력 아래 있었으며, 유학자들을 등용하려 했으나 정통 제거 실패 후 암살당했다.
  • 1509년 사망 - 헨리 7세
    헨리 7세는 1485년 보즈워스 전투에서 승리하여 잉글랜드 왕위에 오른 후 튜더 왕조를 창시하고, 요크 가문과의 결혼을 통해 장미 전쟁을 종식시키며 왕권을 강화하고 잉글랜드의 안정과 번영에 기여한 인물이다.
  • 1509년 사망 - 심주
    심주는 중국 명나라 시대의 화가, 서예가, 문인으로 시, 서예, 그림에 모두 능했으며 산수화와 화훼화에 뛰어났고 오파를 창시하여 문인화 발전에 기여했다.
레 위목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null
null
이름레 위목제 (Lê Uy Mục)
전체 이름레 뚜언 (Lê Tuấn/黎濬/여준)
칭호대월 황제
왕조레 왕조
아버지레 헌종
어머니레이디 응우옌 티 껀
출생일1488년 5월 5일
사망일1510년 1월 20일 (21세)
사후 칭호민례공 (愍厲公), 이후 위목황제 (威穆皇帝)
묘호알 수 없음
연호도안카인 (Đoan Khánh/端慶)
재위 기간1505년 – 1510년
이전 통치자레 숙종
다음 통치자레 양익제
통치
연호도안카인 (端慶) (1505–1510)
기타
별칭귀왕 (Quỷ Vương/鬼王)
뀐도동주 (Quỳnh Đô Động Chủ/瓊都洞主)
민례공 (Mẫn Lệ Công/愍厲公)
다른 이름레 후옌 (Lê Huyên/黎諠/여훤)
레 응이 (Lê Nghị/黎誼/黎誼)

2. 생애

레 위목제는 헌종의 차남으로, 동생 숙종이 죽은 후 즉위했다. 그러나 주색에 빠져 폭정을 일삼았고, 어머니 소인황후의 형제인 응우옌 종과 응우옌 박승을 중용했다. 또한, 자신의 즉위에 반대했던 할머니 휘가황태후와 여러 대신, 종친들을 많이 살해했다. 명나라에서 책봉사로 방문한 허천석은 위목제를 "귀왕"이라고 평했다.[10]

위목제의 잔혹한 통치는 많은 사람들의 원한을 샀다. 1509년, 위목제에게 투옥되었던 사촌 동생 간수공 레조중국어 (성종의 아들 건왕 레빈의 아들)는 옥리에게 뇌물을 주고 탄호아로 도주하여 군사를 일으켰다. 같은 해 11월, 반란군이 수도 승룡으로 쳐들어오자 위목제는 도망쳤다. 그 후 레조중국어에게 붙잡혀 짐독을 마시고 죽었다고도 하고(『대월사기전서』), 도망 중에 살해당했다고도 한다. 위목제에게 일족이 살해당했던 레조중국어는 대포로 그 시체를 가루로 만들고 민려공으로 강등시켰다.

위목제는 자신을 보호하는 시위(侍衛)들을 고용했는데, 그 중에는 이후 막 왕조를 세우는 막당중도 있었다. 막당중과 위목제는 사이가 매우 가까웠고, 위목제는 막당중을 천무위도지휘사(天武衛都指揮使)로 승진시켜 막당중은 위목제의 재위기간 동안 매우 세력이 커졌다.

탄호아 출신의 군인들의 지지를 받은 레조중국어(양익제)가 대신 즉위했다.

2. 1. 유년 시절

레 위목제의 본명은 '''레 뚜언'''(黎濬)이다. 그는 1488년 5월 5일에 레 헌종과 소인황태후 응우옌티껀(昭仁皇太后 阮氏瑾)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5] 그의 어머니는 원래 후궁 응우옌 낀 피의 시녀였으나, 레 뚜언을 낳고 사망하여 응우옌 낀 피에게 입양되었다.[5] 어머니가 시녀 출신이었기 때문에, 할머니인 장락태후(Trường Lạc Thái Hậu)에게 멸시를 받았다.[6] 1499년, 헌종은 후계자 선정 과정에서 레 뚜언과 그의 형이 왕위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셋째 아들 레 투언(Lê Thuần)을 황태자로 지명했다.[7] 1504년, 레 헌종이 사망하고 레 숙종이 즉위했으나, 곧 병으로 사망하면서 레 뚜언이 후계자로 지명되어[8] 1505년 레 위목제로 즉위했다.

2. 2. 즉위와 폭정

위목제는 주색을 탐닉하고 폭정을 일삼았으며, 어머니인 소인황태후(昭仁皇太后) 응우옌티껀(阮氏瑾)의 형제인 응우옌쫑(阮種), 응우옌바탕(阮伯勝)을 총애하고 신뢰하였다.[10] 그는 할아버지 성종, 아버지 헌종, 동생 숙종과는 달리 유교적 통치 방식에서 벗어나 폭군으로 묘사된다.[10]

1505년, 위목제는 자신의 하인들에게 할머니인 장락태황태후(長樂太皇太后)를 암살하도록 명령했고, 태황태후는 6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1] 또한, 담반레(覃文禮), 응우옌꽝밧(阮光弼), 응우옌르뷔 등 황제 즉위를 지지하지 않은 조정 관리들을 숙청했다. 왕족들을 감시하여 위협이 된다고 판단되는 인물들을 살해하기도 했다.

위목제는 정부 관리의 노예로 봉사했던 참족을 학살하라고 명령했다. 그는 거의 매일 밤 궁궐에서 미녀들과 술을 마시고, 술에 취하면 그들을 죽이는 등 향락에 빠졌다.

권력은 소인황태후의 친족인 응우옌쫑, 응우옌바탕 등 외척 세력에게 집중되었고, 이들은 부패를 일삼아 백성들을 곤궁에 빠뜨렸다.

명나라의 사신 허천석(許天錫)은 위목제를 '귀왕(鬼王)'이라고 풍자하며, "안남 4백년의 운수는 매우 긴데, 하늘은 어찌하여 귀왕을 내려보냈단 말인가.(安南四百運尤長/天意如何降鬼王)"라는 시를 지었다.[10]

2. 3. 몰락

레 위목제는 주색을 탐닉하고 폭정을 일삼아 많은 사람들의 반감을 샀다. 특히, 어머니인 소인황태후 응우옌티껀의 형제들을 총애하고, 자신을 반대하는 세력들을 잔혹하게 살해했다. 이러한 폭정은 결국 반란으로 이어졌다.[1]

1509년, 숙부인 레떤의 아들 간수공 레오아인은 옥졸에게 뇌물을 주고 탈옥하여 거병했다. 레오아인은 다른 대신들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고, 위목제는 도망치다가 붙잡혀 자결하거나 살해되었다.[1] 대월사기전서에는 레오아인에게 사로잡힌 뒤 짐독을 먹고 자살했다는 설과 도망 중에 살해되었다는 설이 있다.[1] 『명사』 외국전2에는 응우옌쫑이 위목제를 핍박하여 자살하게 한 뒤 동생인 응우옌바탕을 황제로 옹립하였고, 위목제를 민려공(愍厲公)으로 깎아내렸다가 이후 레꽝(黎廣)이 응우옌바탕을 주살한 뒤 레오아인을 옹립했다고 나와 있다.[1]

위목제가 죽은 후, 레오아인이 레 양익제로 즉위했다.[1]

3. 가계


  • 아버지: 레 히엔 통
  • 어머니: 응우옌 티 깐 부인
  • 양어머니: 응우옌 낀 피
  • 후궁:
  • 쩐 티 뚱 (위목황후)
  • 쩐 티 툭 빈 (위목황후의 여동생)
  • 여관 레 티

3. 1. 조부모와 부모


  • 조부: 성종순황제 레뜨타인(Lê Tư Thành/黎思誠/여사성)
  • 조모: 휘가태황태후 응우옌 티 항(Nguyễn Thị Hằng/阮氏恒/완씨항)
  • 부친: 헌종예황제 레땅(Lê Tăng/黎鏳/여쟁)
  • 모친: 소인황태후 응우옌 티 깐(Nguyễn Thị Cận/阮氏瑾/완씨근)


레 위목의 본명은 '''레 뚜언'''(黎濬)이다. 1488년 5월 5일, 황태자 레 쩐과 부인 응우옌 티 깐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원래 후궁 응우옌 낀 피의 시녀였으나, 레 뚜언을 낳고 사망하여 후궁 응우옌 낀 피에게 입양되었다.[5]

3. 2. 후비


  • 위목황후 쩐 티 뚱(陳氏松|진씨송vi) ( ? ~ 1509년)
  • 궁인(宮人) 쩐 티 쭉(陳氏竹|진씨죽vi) - 위목황후의 동생
  • 비(妃) 여씨(黎氏|여씨vi)

4. 연호

위목제원년2년3년4년5년
서력1505년1506년1507년1508년1509년
간지을축병인정묘무진기사
연호단경 원년2년3년4년5년


5. 평가

레 위목제는 베트남 역사에서 가장 폭력적이고 무능한 군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10] 그의 통치는 후 레 왕조의 쇠퇴를 가속화했으며, 베트남 사회에 큰 혼란을 야기했다. 그는 주색에 빠져 폭정을 일삼았고, 자신의 즉위에 반대했던 할머니 휘가황태후와 여러 대신들을 살해했다.[11] 또한, 종친들을 잔인하게 살해하여 많은 사람들의 반감을 샀다.

명나라의 사신 허천석은 레 위목제를 '귀왕(鬼王)'이라고 풍자하며, "안남 4백년의 운수는 매우 긴데, 하늘은 어찌하여 귀왕을 내려보냈단 말인가."라는 시를 짓기도 했다.

레 위목제의 폭정은 결국 1509년 레오아인의 반란으로 이어졌다. 레 위목제는 사로잡혀 짐독을 먹고 자살했거나, 도망 중에 살해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The A to Z of Vietnam
[4] 서적 Việt Nam sử lược Ho Chi Minh City General Publishing House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