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두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두르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신의 이름으로, 어원은 불분명하다. 《볼루스파》에서 인간 창조에 기여한 신으로 묘사되며, 스칼드 시와 노르덴도르프 비문에서도 언급된다. 로두르의 정체에 대해서는 빌리 또는 베, 로키, 프레이르 등 다양한 학설이 존재하지만, 명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레이 - 알프헤임
    알프헤임은 북유럽 신화에서 엘프들이 사는 신성한 장소로, 《그림니르의 말》에서는 신들이 프레이르에게 준 곳, 《길피의 속임수》에서는 빛의 엘프와 어둠의 엘프가 사는 곳으로 묘사되며, 현대 대중 문화에서는 엘프의 고향으로 재해석된다.
  • 프레이 - 굴린부르스티
  • 로키 - 마스크 (1994년 영화)
    척 러셀 감독의 영화 마스크는 짐 캐리와 카메론 디아즈 주연의 1994년 미국 슈퍼히어로 코미디 영화로, 로키의 가면을 줍게 된 은행원 스탠리 입키스가 초능력을 가진 '마스크'로 변신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 다크 호스 코믹스 원작의 작품이다.
  • 로키 - 로키 (마블 코믹스)
    로키는 마블 코믹스에 등장하는 캐릭터로, 토르의 의붓형제이자 뛰어난 마법 능력과 변신술을 이용해 음모를 꾸미는 악당이며,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도 톰 히들스턴이 연기하여 인기를 얻었다.
  • 아스 - 토르
    토르는 게르만 신화에서 천둥, 번개, 폭풍, 힘을 관장하는 신으로, 그의 이름은 여러 게르만어파 언어에서 유래했으며 목요일의 어원이 되었고, 바이킹 시대에는 숭배의 대상이었으며, 다양한 문헌과 현대 대중문화에서 등장한다.
  • 아스 - 발드르
    발드르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오딘의 아들로, 가장 아름답고 현명하며 자비로운 신이지만 로키의 계략으로 죽음을 맞이하고 라그나로크 이후 부활하여 새로운 세상을 다스릴 것으로 예언된다.
로두르
로두르
오딘, 회니르, 로두르가 최초의 인간인 아스크와 엠블라에게 생명을 불어넣는 모습
"Völuspá (1895) 삽화에 묘사된 오딘, 회니르, 로두르가 최초의 인간인 아스크와 엠블라에게 생명을 불어넣는 모습 (로렌츠 프로리히)"
신화 정보
문화노르드 신화
성별남성
관련 인물오딘
회니르
아스크와 엠블라
역할
속성
좋은 안색
다른 이름로두르 (Lóðurr)
로두르 (Lóður)
로키 (Loki) (일부 이론)

2. 어원 및 명칭

로두르라는 이름의 의미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양한 고대 노르드어 단어, 예를 들어 lóðnon, "과일, 땅", ljóðarnon, "사람들", laðanon, "끌어당기다"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고트어 단어 liudannon, "자라다", laudinon, "모양"과 독일어 단어 lodernnon, "타오르다"도 이와 관련하여 언급되었다.[1]

스칼드 시 Íslendingadrápanon에서 로두르의 이름이 나타나는 운율적 위치는 엄격한 드롯트콰트 운율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ó/ 소리 값을 포함하며 /o/가 아님을 나타낸다. 이 증거는 강력하지만, 논쟁의 여지가 없지는 않으며 일부 학자들은 Loðurrnon로 읽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1] (로두르의 이름은 고대 노르드어 표기법으로 Lóðurnon, Lódurrnon, Lódurnon, Lóthurrnon, Lóthurnon, Lódhurrnon, Lódhurnon, Lodurrnon, Lodurnon, Lothurrnon, Lothurnon, Lodhurrnon, Loðurrnon, Loðurnon, 또는 Lodhurnon로 표현되거나 영어화될 수 있다.)[1]

덴마크어노르웨이어 lørdagnon, 스웨덴어 lördagnon, 그리고 핀란드어 lauantainon는 "토요일"을 의미하며, Lóður Dagnon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지만[1], 일반적으로 그 어원은 "세탁의 날"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3. 신화 기록

로두르는 『고 에다』의 창세기에 해당하는 첫 번째 구절 『무녀의 예언』에서 오딘, 헤니르와 함께 해변에서 최초의 인간인 아스크와 엠블라를 창조했다고 언급된다.[3] 『무녀의 예언』에서는 힘차고 마음씨 좋은 세 신이 해변에서 아스크와 엠블라를 발견했는데, 아직 아무것도 가지지 못한 그들에게 오딘은 호흡을, 헤니르가 마음을, 로두르가 생명과 아름다움을 주었다고 묘사한다.

스칼드 시에서도 로두르의 이름이 나타나는데, 10세기와 12세기에 쓰여진 두 개의 스칼드 시에는 오딘을 나타내는 케닝으로 "로두르의 친구 (Lóðurrs vinrnon)"라는 문구가 있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스노리의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에서 세계와 인간의 창조자로서 오딘과 그의 형제인 빌리와 베를 언급한다. 오딘과 그의 형제들이 인간 창조 시에 수행한 역할은 『고 에다』의 세 신과 공통되지만, 스노리가 북유럽 신화의 정합성을 위해 세계의 창조자와 인간의 창조자를 동일시했거나, 헤니르와 로두르에 대해 거의 알지 못했을 수도 있다. 혹은 스투를루손에게는 신들의 신화적 계보보다 행동이 더 중요했을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로두르는 『무녀의 예언』이 문서로 기록된 시기에는 이미 잊혀진 오래된 신이며,[4] 창세 시에 이름만 남았다고 생각된다.

로두르는 다른 신의 이명일 가능성도 있는데, 20세기 전반의 연구에서는 로키의 통칭으로 여겨졌다. 즉, 오딘·헤니르·로두르의 세 신은 북유럽 신화에서 자주 언급되는 오딘·헤니르·로키와 상응한다고 여겨진다. "로두르의 친구"라는 케닝은 오딘에 대한 "로프트의 친구"와 유사하며, 로프트는 로키의 별명이다. 룬 문자 철자 Logaþore로 알려진 이름이 어원적으로 로키와 로두르를 연결한다는 설도 있다.[5]

그러나 Logaþore는 고대 영어로 "음모가" 혹은 "마법사"를 의미하는 logðor, logeþer와 동어원이라는 설도 있다.[6] 로키와 로두르의 동일성은 증명될 수 없으며,[7] 로두르의 인간 창조자 역할은 로키와 어울리지 않아 동일성을 반증한다.[4]

다른 해석으로는, 로두르가 고대 노르드어로 "풍요, 수확"을 의미하는 lód에서 유래했다는 설에 따라 풍요의 신 프레이의 이명이라고도 한다.[8]

3. 1. 볼루스파 (무녀의 예언)

시가 에다에서, Lóðurrnon(로두르)라는 이름은 신들이 최초의 인간을 창조하는 Völuspánon(볼루스파, 무녀의 예언)에서 단 한 번 나타난다.[3]

원문Ursula Dronke 번역Benjamin Thorpe 번역



이 구절들과 《볼룬스파》에서의 맥락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논쟁의 대상이다. 로두르가 부여한 lánon(라)와 litu góðanon(리투 고다)에서 lánon(라)라는 단어는 모호하며, "살갗"과 "피"라는 번역은 제안된 수많은 가능성 중 단 두 가지일 뿐이다. "litu góða"(리투 고다)라는 구절은 다소 덜 어렵고, 전통적으로 "좋은 색깔", "좋은 모습" 또는 "좋은 외모"로 해석된다.[3]

19세기의 스웨덴 학자 빅토르 뤼드베리는 litu goðanon(리투 고다)를 "신의 모습"으로 읽는 것을 제안했으며, 이 구절이 신들이 자신들의 모습대로 인간을 창조했음을 나타낸다고 보았다. 대부분의 다른 학자들은 운율상의 이유로 /ó/의 읽기를 선호한다. 그러나 Völuspánon(볼룬스파)의 포르니르디슬라그 운율 구조는 그다지 엄격하지 않으며, 1983년에는 뤼드베리의 이론이 그로 스테인슬란드에 의해 다시 지지받았다. 이 문제는 여전히 논쟁 중에 있다.[3]

로두르는 『고 에다』의 창세기에 해당하는 첫 번째 구절 『무녀의 예언』에 등장하며, 오딘과 헤니르와 함께 해변에서 최초의 인간인 아스크와 엠블라를 창조했다고 여겨진다.[3]

10세기와 12세기에 쓰여진 두 개의 스칼드 시 안에는 오딘을 나타내는 케닝으로 "로두르의 친구 (Lóðurrs vinrnon)"라는 문구가 있다.[3]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스노리의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에서 세계와 인간의 창조자로서 오딘과 그의 형제인 빌리와 베의 세 신을 언급하고 있다. 오딘이 신 중 한 명이라는 점, 그리고 그들이 인간 창조 시에 수행한 각각의 역할은, 『고 에다』의 세 신과 공통된다. 그러나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북유럽 신화의 정합성을 위해, 세계의 창조자와 인간의 창조자를 동일시했거나, 헤니르와 로두르에 대해 거의 알지 못했을 수도 있다. 아니면, 스투를루손에게는 신들의 신화적 계보보다 신들의 행동이 더 중요했을지도 모른다. 결론적으로 로두르는, 『무녀의 예언』이 문서로 기록된 시기에는 이미 잊혀진 오래된 신이며, 그렇기에 창세의 시 안에 그 이름의 형태만 남았다고 생각된다.[4]

로두르는 다른 신의 이명일 가능성도 있다. 20세기 전반의 연구에서는 로키의 통칭이 로두르라고 생각되었다. 즉, 오딘·헤니르·로두르의 세 신은, 북유럽 신화의 전승에서 자주 언급되는 오딘·헤니르·로키의 세 신에 상응한다고 여겨진다. "로두르의 친구"라는 케닝은 오딘에 대한 "로프트의 친구"와 유사하며, 로프트는 로키의 별명이다. 룬 문자의 철자로 Logaþore로 알려진 이름이 어원적으로 로키와 로두르를 연결한다는 설도 있다.[5] 그러나 Logaþore는 고대 영어로 "음모가" 혹은 "마법사"를 의미하는 logðor, logeþer와 동어원이라는 설도 있다.[6] 결국 로키와 로두르의 동일성은 증명될 수 없다.[7] 로두르가 인간 창조자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점은 로키와 동일시 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는 반론이 있다.[4]

다른 해석으로는, 로두르는 풍요의 신 프레이의 이명이라고도 한다. 이는 로두르라는 이름이 고대 노르드어로 "풍요, 수확"을 의미하는 lód에서 유래했다는 설에 기인한다.[8]

3. 2. 다른 기록

시가 에다에서 Lóðurrnon(로두르)라는 이름은 신들이 최초의 인간을 창조하는 Völuspánon(볼룬스파)에서 단 한 번 나타난다.

원문Ursula 드론케의 번역벤자민 소프의 번역



이 구절에서 로두르가 부여한 lánon(라)와 litu góðanon(리투 고다)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다. lánon(라)는 "살갗" 또는 "피" 등으로 번역될 수 있다. litu góðanon(리투 고다)는 "좋은 색깔", "좋은 모습", "좋은 외모" 등으로 해석된다. 빅토르 뤼드베리는 litu goðanon(리투 고다)를 "신의 모습"으로 해석하여 신들이 자신들의 모습대로 인간을 창조했다고 보았다.

로두르의 이름은 스칼드 시인 Háleygjatalnon과 Íslendingadrápanon에서 "로두르의 친구"라는 케닝으로 오딘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산문 에다''에서는 인간 창조가 보르의 아들들(오딘, 빌리, 베)에게 기인한다고 한다.

[https://web.archive.org/web/20080105215732/http://www.hi.is/~eybjorn/gg/gg4par06.html R 사본의 정규화된 텍스트]브로디어의 번역
style="padding: 1pt 10pt;font-style:italic;" |style="padding: 1pt 10pt;" |



스노리는 Völuspánon를 자주 인용하지만, 이 경우에는 인용하지 않았다.

노르덴도르프 고리에는 '''logaþorewodanwigiþonar'''라는 룬 문자 비문이 있는데, ''Logaþore Wodan Wigiþonar''로 해석된다. ''Wodan''은 오딘, ''Wigiþonar''는 토르를 의미하며, ''logaþore''는 로두르 또는 로키로 제안되었지만 확실하지 않다.

고 에다』의 창세기에 해당하는 『무녀의 예언』에서 로두르는 오딘, 헤니르와 함께 최초의 인간인 아스크와 엠블라를 창조했다.[3]

10세기와 12세기에 쓰여진 스칼드 시에는 오딘을 나타내는 케닝으로 "로두르의 친구 (Lóðurrs vinrnon)"가 있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스노리의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에서 오딘과 그의 형제 빌리와 베를 세계와 인간의 창조자로 언급한다. 로두르는 『무녀의 예언』이 기록될 당시 이미 잊혀진 신일 수 있으며,[4] 창세 시에 이름만 남았다고 생각된다.

로두르는 로키의 별명일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5] 로두르의 인간 창조자 역할은 로키와 어울리지 않아 동일성을 반증한다.[4] 고대 노르드어로 "풍요, 수확"을 의미하는 lód에서 로두르라는 이름이 유래했다는 설에 따라, 프레이의 별명이라는 해석도 있다.[8]

3. 3. 노르덴도르프 비문

노르덴도르프 고리는 이 논의에 포함되는 또 다른 자료이다. 이 유물은 서기 600년경에 제작되었으며, '''logaþorewodanwigiþonar'''라는 룬 문자 비문을 담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Logaþore Wodan Wigiþonar''로 해석되는데, 여기서 ''Wodan''은 오딘이고 ''Wigiþonar''는 아마도 토르를 의미한다. ''logaþore''가 세 번째 신의 이름일 수도 있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북유럽 신화에서는 명확한 식별이 어렵다. 로두르와 로키가 제안되었지만, 어원론적 추론이 불확실하여 확고한 결론을 내릴 수 없다.

4. 정체에 대한 학설

로두르가 정확히 어떤 신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Völuspánon 외에 로두르의 이름이 원전에 나타나는 것은 단 두 번뿐이다. 스칼드 시인 Háleygjatalnon과 Íslendingadrápanon에서 "로두르의 친구"는 오딘을 가리키는 케닝으로 사용되는데, 이는 Völuspánon에서 로두르의 역할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2]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산문 에다''에는 로두르가 등장하지 않으며, 인간 창조는 보르의 아들들의 공으로 돌리고 있다.[2]

스노리는 Völuspánon를 자주 인용했지만, 이 경우에는 인용하지 않았다. 그가 이 구절을 알고 있었는지, 아니면 다른 출처에서 작업했는지는 알 수 없다.[2]

로두르는 『고 에다』의 창세기에 해당하는 첫 구절 『무녀의 예언』에서 오딘, 헤니르와 함께 최초의 인간인 아스크와 엠블라를 창조했다고 전해진다.[3]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스노리의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에서 오딘과 그의 형제 빌리와 베를 세계와 인간의 창조자로 언급한다. 오딘과 그의 형제들이 인간 창조에 기여한 역할은 『고 에다』의 세 신과 공통되지만, 스노리가 북유럽 신화의 정합성을 위해 동일시했거나 헤니르와 로두르에 대해 거의 알지 못했을 수도 있다.[4]

로두르가 다른 신의 이명일 가능성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학설은 다음과 같다.


  • 빌리 또는 베 설: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산문 에다''에서 보르의 아들들이 인간을 창조했다는 내용과 『볼룬스파』에서 헤니르와 로두르를 언급하는 부분이 유사하여 로두르가 빌리 또는 베의 다른 이름일 수 있다는 가설이다.
  • 로키: 오딘, 헤니르, 로키가 여러 문헌에서 함께 등장하고, 오딘을 지칭하는 "로두르의 친구"라는 표현이 "롭트르(로키의 다른 이름)의 친구"와 유사하다는 점을 근거로 로두르가 로키의 다른 이름일 수 있다는 가설이다.
  • 프레이르 설: 로두르라는 이름이 고대 노르드어로 "풍요, 수확"을 의미하는 'lód'에서 유래했다는 설에 기반하여, 로두르가 풍요의 신 프레이의 다른 이름일 수 있다는 가설이다.


각 학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는 것이 좋다.

4. 1. 빌리 또는 베와의 동일시

일부 학자들은 『산문 에다』가 보르의 아들들을 『볼룬스파』가 훼니르와 로두르를 언급하는 맥락과 동일하게 언급하기 때문에, 로두르가 빌리 또는 베의 또 다른 이름일 수 있다고 추론했다. 빅토르 뤼드베리는 이 이론의 초기 지지자였지만, 최근에는 거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2]

우르술라 드론케 학자가 제안한 더 인기 있는 이론은 "로두르"가 "로키/롭트르의 세 번째 이름"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한 주요 주장은 오딘, 훼니르, 로키가 『하우스트롱』, 『레긴스마울』의 산문 서문, 그리고 페로 제도의 민속에 북유럽 신들이 등장하는 드문 예시인 로카 타투르에서 트리오로 등장한다는 것이다. 오딘의 케닝 "로두르의 친구"는 또한 "롭트르의 친구"의 케닝과 병행하여 나타나며, 로키는 『하우스트롱』에서 마찬가지로 "훼니르의 친구"로 언급되어 트리오의 연결을 강화한다. 많은 학자들이 이러한 동일시에 동의하지만,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니다. 이에 반대하는 한 가지 주장은 로키가 볼룬스파non의 후반부에 악의적인 존재로 나타나 "강하고 사랑스러운" 인물로서의 로두르의 이미지와 모순되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얀 데 브리스와 조르주 뒤메질을 포함한 많은 학자들은 또한 로두르를 로키와 동일한 신으로 식별했다.[2]

최근, 아이슬란드 대학교의 하우쿠르 토르게이르손은 로키가 로크루르non의 림에서 로두르로 언급된다는 관찰을 바탕으로 로키와 로두르가 사실 동일한 신의 다른 이름이라고 주장했다. 하우쿠르는 그 림이 스노리의 귈파기닝non을 기반으로 하든 민속 자료를 기반으로 하든, 작가는 스노리 자신이 에다에서 로두르를 언급하지 않기 때문에, 전통에서 정보를 얻거나 에다 시의 내용을 읽고 결론을 도출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시 에다의 내용은 림이 쓰여진 1400년경에 잊혀졌다고 가정되므로, 하우쿠르는 전통적인 동일시를 주장한다. 하우쿠르는 또한 로키와 로두르가 동일시되는 트림루르non를 지적한다. 하우쿠르 토르게이르손은 14세기와 15세기의 시인이 우리에게 알려지지 않은 잃어버린 문헌 자료를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은 있지만, 그럴 가능성은 낮고, 로키와 로두르가 동일하다는 유사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시인들이 드문 자료에서 나왔거나 구전 전통의 잔재가 여전히 남아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우쿠르는 로두르가 역사적으로 로키와 독립적인 신으로 여겨졌다면, 언제 왜 그가 로키와 동일시되었는지에 대한 논의가 적절하다고 결론짓는다.[2]

프레이르와의 동일시도 제안되었다. 이 이론은 로두르 이름의 가능한 다산 관련 의미를 강조하지만, 그 외에는 이를 뒷받침할 직접적인 증거가 거의 없다.[2]

4. 2. 로키와의 동일시

에 나오는 구절 외에, 로두르의 이름은 원전에서 단 두 번만 나타난다. 이 이름은 스칼드 시인 Háleygjatalnon과 Íslendingadrápanon에서 발견되는데, 여기서 "로두르의 친구"는 오딘을 가리키는 케닝으로 사용된다. 이는 Völuspánon에서 로두르의 역할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2]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산문 에다''에서 로두르는 눈에 띄게 등장하지 않는다. 여기서 인간의 창조는 스노리가 다른 곳에서 오딘, 빌리, 베로 언급한 보르의 아들들에게 기인한다고 한다.[2]

[https://web.archive.org/web/20080105215732/http://www.hi.is/~eybjorn/gg/gg4par06.html R 사본의 정규화된 텍스트]브로디어의 번역
style="padding: 1pt 10pt;font-style:italic;" |style="padding: 1pt 10pt;" |



스노리는 그의 저작에서 Völuspánon를 자주 인용하지만, 이 경우에는 인용하지 않는다. 그가 위의 구절들을 알고 있었는지, 아니면 완전히 다른 출처에서 작업했는지는 알 수 없다.[2]

『산문 에다』가 보르의 아들들을 『볼룬스파』가 훼니르와 로두르를 언급하는 맥락과 동일하게 언급하기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로두르가 빌리 또는 베의 또 다른 이름일 수 있다고 추론했다. 빅토르 뤼드베리는 이 이론의 초기 지지자였지만, 최근에는 거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2]

학자 우르술라 드론케가 제안한 더 인기 있는 이론은 "로두르"가 "로키/롭트르의 세 번째 이름"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한 주요 주장은 오딘, 훼니르, 로키가 『하우스트롱』, 『레긴스마울』의 산문 서문, 그리고 페로 제도의 민속에 북유럽 신들이 등장하는 드문 예시인 로카 타투르에서 트리오로 등장한다는 것이다. 오딘의 케닝 "로두르의 친구"는 또한 "롭트르의 친구"의 케닝과 병행하여 나타나며, 로키는 하우스트롱에서 마찬가지로 "훼니르의 친구"로 언급되어 트리오의 연결을 강화한다. 많은 학자들이 이러한 동일시에 동의하지만, 그것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니다. 이에 반대하는 한 가지 주장은 로키가 볼룬스파non의 후반부에 악의적인 존재로 나타나 "강하고 사랑스러운" 인물로서의 로두르의 이미지와 모순되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얀 데 브리스와 조르주 뒤메질을 포함한 많은 학자들은 또한 로두르를 로키와 동일한 신으로 식별했다.[2]

최근, 아이슬란드 대학교의 하우쿠르 토르게이르손은 로키가 로크루르non의 림에서 로두르로 언급된다는 관찰을 바탕으로 로키와 로두르가 사실 동일한 신의 다른 이름이라고 주장했다. 하우쿠르는 그 림이 스노리의 귈파기닝non을 기반으로 하든 민속 자료를 기반으로 하든, 작가는 스노리 자신이 에다에서 로두르를 언급하지 않기 때문에, 전통에서 정보를 얻거나 에다 시의 내용을 읽고 결론을 도출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시 에다의 내용은 림이 쓰여진 1400년경에 잊혀졌다고 가정되므로, 하우쿠르는 전통적인 동일시를 주장한다. 하우쿠르는 또한 로키와 로두르가 동일시되는 트림루르non를 지적한다. 하우쿠르 토르게이르손은 14세기와 15세기의 시인이 우리에게 알려지지 않은 잃어버린 문헌 자료를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은 있지만, 그럴 가능성은 낮고, 로키와 로두르가 동일하다는 유사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시인들이 드문 자료에서 나왔거나 구전 전통의 잔재가 여전히 남아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우쿠르는 로두르가 역사적으로 로키와 독립적인 신으로 여겨졌다면, 언제 왜 그가 로키와 동일시되었는지에 대한 논의가 적절하다고 결론짓는다.[2]

프레이르와의 동일시도 제안되었다. 이 이론은 로두르 이름의 가능한 다산 관련 의미를 강조하지만, 그 외에는 이를 뒷받침할 직접적인 증거가 거의 없다.[2]

로두르는 『고 에다』의 창세기에 해당하는 첫 번째 구절 『무녀의 예언』에 등장하며, 오딘과 헤니르와 함께 해변에서 최초의 인간인 아스크와 엠블라를 창조했다고 여겨진다.[3]

17. 힘차고 마음씨 좋은 세 신이 해변에서 아스크와 엠블라를 발견했다.

18. 아직 아무것도 가지지 못한 그들에게 오딘이 호흡을, 헤니르가 마음을, 로두르가 생명과 아름다움을 주었다.

또한 스칼드 시 속에서도 그 이름이 보인다. 10세기와 12세기에 쓰여진 두 개의 스칼드 시 안에 오딘을 나타내는 케닝으로 "로두르의 친구 (Lóðurrs vinrnon)"라는 문구가 있다.[4]

아이슬란드의 시인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스노리의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에서 세계와 인간의 창조자로서 오딘과 그의 형제인 빌리와 베의 세 신을 언급하고 있다. 오딘이 신 중 한 명이라는 점, 그리고 그들이 인간 창조 시에 수행한 각각의 역할은, 『고 에다』의 세 신과 공통된다. 그러나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북유럽 신화의 정합성을 위해, 세계의 창조자와 인간의 창조자를 동일시했거나, 헤니르와 로두르에 대해 거의 알지 못했을 수도 있다. 아니면, 스투를루손에게는 신들의 신화적 계보보다 신들의 행동이 더 중요했을지도 모른다. 결론적으로 로두르는, 『무녀의 예언』이 문서로 기록된 시기에는 이미 잊혀진 오래된 신이며, 그렇기에 창세의 시 안에 그 이름의 형태만 남았다고 생각된다.[4]

로두르는 다른 신의 이명일 가능성도 있다. 20세기 전반의 연구에서는 로키의 통칭이 로두르라고 생각되었다. 즉, 오딘·헤니르·로두르의 세 신은, 북유럽 신화의 전승에서 자주 언급되는 오딘·헤니르·로키의 세 신에 상응한다고 여겨진다.[4]

"로두르의 친구"라는 케닝은 오딘에 대한 "로프트의 친구"와 유사하며, 이 로프트는 의심할 여지 없이 로키의 별명이다.[4]

또한 룬 문자의 철자로 Logaþore로 알려진 이름이 어원적으로 로키와 로두르를 연결한다는 설도 있다.[5]

그러나 그와 반대로 Logaþore는 오히려, 고대 영어로 "음모가" 혹은 "마법사"를 의미하는 logðor, logeþer와 동어원이라고도 한다.[6]

결국 로키와 로두르의 동일성은 증명될 수 없다.[7]

로두르의 인간 창조자로서의 역할은, 로키에게 전혀 어울리지 않기 때문에, 이 점이 특히 양자의 동일성을 반증하고 있다.[4]

또 다른 해석에서는, 로두르는 풍요의 신 프레이의 이명이라고 한다. 이는 로두르라는 이름이 고대 노르드어로 "풍요, 수확"을 의미하는 lód에서 유래했다는 설에 기인한다.[8]

4. 3. 프레이르와의 동일시

산문 에다에서 보르의 아들들을 언급하는 방식이 볼룬스파에서 훼니르와 로두르를 언급하는 방식과 유사하다는 점을 근거로, 일부 학자들은 로두르가 빌리 또는 베의 다른 이름일 수 있다고 추론했다. 빅토르 뤼드베리가 이 이론을 지지했지만, 최근에는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

우르술라 드론케가 제안한 더 인기 있는 이론은 "로두르"가 "로키/롭트르"의 세 번째 이름이라는 것이다. 이 주장의 근거는 오딘, 훼니르, 로키가 하우스트롱, 레긴스마울의 산문 서문, 로카 타투르 등에서 트리오로 등장한다는 것이다. 또한 오딘의 케닝 "로두르의 친구"는 "롭트르의 친구" 케닝과 유사하며, 로키는 하우스트롱에서 "훼니르의 친구"로 언급되어 트리오의 연결을 강화한다.[2] 얀 데 브리스와 조르주 뒤메질을 포함한 많은 학자들이 로두르를 로키와 동일시했다.

아이슬란드 대학교의 하우쿠르 토르게이르손은 로키가 로크루르non의 림에서 로두르로 언급된다는 점을 바탕으로 로키와 로두르가 동일한 신의 다른 이름이라고 주장했다. 하우쿠르는 14세기와 15세기의 시인들이 잃어버린 문헌 자료를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은 낮으며, 로키와 로두르가 동일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자료는 드물었거나 구전 전통의 잔재가 남아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2]

프레이르와의 동일시도 제안되었다. 이 이론은 로두르 이름에 다산과 관련된 의미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직접적인 증거는 거의 없다.[8]

4. 4. 결론

로두르가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일부 학자들은 로두르가 빌리 또는 베의 다른 이름일 수 있다고 추론했다. 빅토르 뤼드베리가 이 이론을 지지했지만, 최근에는 거의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2]

우르술라 드론케는 "로두르"가 "로키/롭트르"의 세 번째 이름이라는 이론을 제시했다. 오딘, 훼니르, 로키가 여러 문헌에서 트리오로 등장하고, 오딘의 케닝 "로두르의 친구"가 "롭트르의 친구"와 유사하게 나타난다는 점이 주된 근거이다. 많은 학자들이 이 동일시에 동의하지만,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니다. 얀 데 브리스와 조르주 뒤메질을 포함한 많은 학자들이 로두르를 로키와 동일한 신으로 간주했다.[2]

아이슬란드 대학교의 하우쿠르 토르게이르손은 로키가 로크루르|로크루르non의 림에서 로두르로 언급된다는 점을 근거로 로키와 로두르가 동일한 신의 다른 이름이라고 주장했다. 하우쿠르는 14세기와 15세기의 시인들이 잃어버린 문헌 자료를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은 낮으며, 로키와 로두르가 동일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는 자료는 드물었거나 구전 전통의 잔재가 남아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로두르가 역사적으로 로키와 독립적인 신이었다면, 언제 왜 그와 동일시되었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2]

프레이르와의 동일시도 제안되었다. 이 이론은 로두르 이름의 가능한 다산 관련 의미를 강조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직접적인 증거는 거의 없다.[2]

스칼드 시에서는 오딘을 나타내는 케닝으로 "로두르의 친구 (Lóðurrs vinr|로두르스 빈non)"라는 문구가 사용되었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스노리의 에다』에서 오딘과 그의 형제인 빌리와 베를 언급하며, 이들이 인간 창조에 기여한 역할은 『고 에다』의 세 신과 유사하다. 그러나 스노리가 북유럽 신화의 정합성을 위해 동일시했거나, 헤니르와 로두르에 대해 거의 알지 못했을 수도 있다.[4]

20세기 전반의 연구에서는 로두르가 로키의 별칭이라고 생각했다. 오딘·헤니르·로두르의 세 신은 오딘·헤니르·로키의 세 신에 상응한다고 여겨졌다. "로두르의 친구"라는 케닝은 오딘에 대한 "로프트의 친구"와 유사하며, 로프트는 로키의 별명이다.[4] 룬 문자 철자 Logaþore가 어원적으로 로키와 로두르를 연결한다는 설도 있지만,[5] 반대로 Logaþore는 고대 영어로 "음모가" 혹은 "마법사"를 의미하는 logðor, logeþer와 동어원이라는 주장도 있다.[6] 그러나 로키와 로두르의 동일성은 증명될 수 없다.[7] 로두르의 인간 창조자 역할은 로키와 어울리지 않기 때문에, 이 점이 양자의 동일성을 반증한다.[4]

로두르가 풍요의 신 프레이의 별명이라는 해석도 있다. 이는 로두르라는 이름이 고대 노르드어로 "풍요, 수확"을 의미하는 lód에서 유래했다는 설에 기반한다.[8]

참조

[1] 학술지 The days of the week and Dark Age politics http://samla.raa.se/[...] 1995
[2] 학술지 Lokrur, Lóðurr and Late Evidence https://www.academia[...] 2011-01
[3] 웹사이트 Lieder-Edda: Völuspá, Strophe 17 f. http://titus.uni-fra[...] 2009-12-04
[4] 서적 Altgermanische Religionsgeschichte, Band 2: Religion der Nordgermanen Verlag Walter de Gruyter & Co. 1937
[5] 문서 1960
[6] 서적 Nordendorf. § 2 Runologisches Verlag Walter de Gruyter 2002
[7] 서적 Altgermanische Religionsgeschichte, Band 2: Religion der Nordgermanen Verlag Walter de Gruyter & Co. 1937
[8] 문서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