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터리 엔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터리 엔진은 왕복운동기관의 실린더에 해당하는 로터 하우징 내에서 삼각형 모양의 로터가 회전하며 작동하는 엔진이다. 로터의 회전에 따라 용적이 변하는 공간에서 흡입, 압축, 폭발, 배기 4행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며, 동력축 1회전에 1회의 폭발 팽창 행정이 발생한다. 로터리 엔진은 경량화와 부드러운 작동, 개선된 냉각 등의 장점을 가졌지만, 가스 누출 방지 및 열응력 불균형 문제, 높은 연료 소비, 자이로 효과로 인한 조종의 어려움 등의 단점도 존재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항공기 엔진으로 사용되었으나, 이후 고정식 엔진과 수냉 엔진의 등장으로 쇠퇴했다. 펠릭스 밀레, 스티븐 M. 발저 등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며, 마쓰다는 로터리 엔진을 스포츠카에 적용했으나 2012년 RX-8 단종으로 양산차 장착은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터사이클 엔진 - 방켈 엔진
방켈 엔진은 피스톤 대신 회전하는 로터를 사용하여 동력을 생성하는 내연기관으로, NSU와 마쓰다에 의해 자동차에 적용되었으나, 씰링, 연비, 배기가스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현재는 마쓰다가 발전용 회전식 엔진으로 부활시켰다. - 모터사이클 엔진 - 리드 밸브
리드 밸브는 압력 차로 자동 개폐되어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로, 2행정 기관 연료 제어, 펄스 제트 엔진 흡기구, 공기 압축기 등에 사용되며 심장 판막과 유사하게 작동한다. - 왕복 기관 - 성형 엔진
성형 엔진은 실린더가 크랭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 내연 기관으로, 4행정 사이클 기반 작동, 짧은 크랭크축, 공랭식 냉각, 다기통화 등의 특징을 가지며, 과거 항공기 및 전차 엔진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 왕복 기관 - 압축비
압축비는 내연기관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로, 실린더 내 피스톤의 위치에 따른 부피 비율을 의미하며, 엔진의 열효율과 출력을 결정하고, 튜닝을 통해 변경하거나 가변 압축비 엔진 기술을 통해 효율성을 높이기도 한다. - 내연기관 - 연결봉
연결봉은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는 기계 장치로, 증기 기관이나 내연 기관에서 피스톤과 크랭크축을 연결하며, 강철,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제작되고, 특수한 형태로도 사용된다. - 내연기관 - 4행정 기관
4행정 기관은 흡입, 압축, 연소, 배기 4단계를 거쳐 작동하는 내연 기관으로, 오토 사이클과 디젤 사이클로 구분되며, 2행정 기관보다 연소 과정이 명확하고 연료 효율이 높지만 구조가 복잡하다.
| 로터리 엔진 | |
|---|---|
| 개요 | |
![]() | |
| 유형 | 내연 기관 |
| 연소 방식 | 4행정 기관 |
| 실린더 배열 | 성형 엔진 (실린더가 중앙 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 |
| 작동 방식 | 실린더가 고정된 크랭크축 주위를 회전 |
| 역사 | |
| 개발 배경 | 초기 항공기 엔진의 무게 대비 출력 비율을 높이기 위한 시도 |
| 전성기 | 제1차 세계 대전 |
| 몰락 | 더 강력하고 효율적인 엔진 (예: 로렌츠 엔진)의 등장 |
| 기술적 특징 | |
| 실린더 회전 | 크랭크축은 고정되어 있고 실린더 블록 전체가 회전 |
| 냉각 방식 | 공랭식 (회전에 의한 냉각 효과 증대) |
| 흡기 방식 | 크랭크축을 통해 흡입 (초기 모델) |
| 배기 방식 | 실린더 헤드에 설치된 밸브를 통해 배출 |
| 연료 공급 | 혼합기를 크랭크 케이스로 공급 후 각 실린더로 분배 |
| 장점 | |
| 무게 대비 출력 | 당시 기술 수준에서 높은 무게 대비 출력 비율 |
| 냉각 효율 | 실린더 회전에 의한 우수한 공랭 효과 |
| 구조 | 비교적 단순한 구조 |
| 단점 | |
| 연료 소비 | 높은 연료 소비율 |
| 자이로 효과 | 회전하는 실린더로 인한 강력한 자이로 효과 (항공기 조종에 영향) |
| 윤활 | 윤활유가 연소실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문제 |
| 안전 문제 | 윤활유 문제로 인한 화재 위험성 |
| 숙련된 조종사 필요 | 엔진 특성으로 인해 조종 난이도 높음 |
| 작동 원리 | |
| 기본 원리 | 일반적인 4행정 기관과 유사하지만, 실린더 블록이 회전하면서 흡입, 압축, 폭발, 배기 과정을 거침 |
| 점화 | 마그네토 점화 장치를 사용 |
| 회전 방향 | 엔진 종류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
| 주요 제작사 | |
| 프랑스 | 클레르제 르 론 |
| 영국 | 소피스위드 (프랑스 엔진 라이선스 생산) |
| 사용된 항공기 | |
| 대표 기종 | 소피스위드 캐멀 니우포르 11 포커 Dr.I (초기형) |
| 기타 | |
| 참고 | 현대의 로터리 엔진(방켈 엔진)과는 작동 방식이 완전히 다름 |
| 관련 용어 | 성형 엔진, 항공 엔진 |
2. 구조
로터리 엔진은 왕복운동기관의 실린더에 해당하는 에피트로코이드 곡선 형태의 로터 하우징과, 피스톤 역할을 하는 삼각형 로터로 구성된다. 로터와 하우징 벽 사이에는 3개의 공간이 있으며, 로터가 회전하면서 이 공간들의 용적이 주기적으로 변한다. 흡기, 배기, 점화 플러그가 있으며, 밸브는 없다.[30]
로터리 엔진은 로터 정부(頂部)와 하우징 사이의 기밀(氣密) 유지가 중요하며, 연소가 하우징의 한쪽에서만 일어나 열응력 불균형이 발생하므로 냉각 및 윤활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30]
마쓰다는 대부분의 스포츠카에 이 엔진을 적용했으나, 2012년 RX-8이 단종되면서 양산차용 로터리 엔진은 더 이상 생산되지 않고 있다.
로터리 엔진은 표준 오토 사이클 엔진으로, 성형 엔진처럼 실린더가 중앙 크랭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된다. 그러나 크랭크축이 회전하며 고정된 실린더 블록을 갖는 대신, 크랭크축은 고정되고 전체 실린더 블록이 이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크랭크축이 항공기에 고정되고, 프로펠러는 크랭크케이스 전면에 볼트로 고정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설계 차이는 윤활, 점화, 연료 공급, 냉각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
파리 항공우주 박물관에는 7개의 방사형 실린더가 있는 엔진 작동 모델이 전시되어 있다. 이 모델은 로터리 모드와 래디얼 모드를 번갈아 보여주며 두 가지 유형 엔진 내부 움직임의 차이를 보여준다.[2]
"고정형" 성형 엔진과 마찬가지로, 로터리 엔진은 원활한 작동을 위해 보통 실린더 수가 홀수(5개, 7개, 9개)로 제작되었다. 짝수 실린더 로터리 엔진은 대부분 "2열" 타입이었다.
대부분의 로터리 엔진은 성형 엔진처럼 단일 크랭크축에서 실린더가 바깥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었지만, 보크서 엔진[2]이나 단기통 로터리 엔진도 존재했다.
2. 1. 작동 원리
로터리 엔진은 왕복운동기관의 실린더에 해당하는 로터하우징(rotorhousing)의 내면이 에피트로코이드 곡선이라는 형상을 하고 있다. 이 가운데에 피스톤에 해당하는 삼각형 모양의 로터(rotor)가 있으며, 로터와 하우징 벽 사이에 3개의 공간이 구성되어 있다. 이들 공간은 로터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용적을 변화시키면서 회전한다. 흡기공, 배기공, 스파크플러그가 있으며, 밸브는 없다.[30]흡입·압축·폭발팽창·배기의 4행정을 독립하여 순차적으로 시행한다. 로터가 1회전하는 동안 각 행정이 3회씩 일어나며, 이 동안에 중심의 동력축은 3회전하게 되므로 동력축의 1회전에 대해 1회의 폭발 팽창행정이 있게 된다. 그러므로 로터리 엔진은 왕복기관의 2사이클 기관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30]
2. 2. 주요 부품
로터 하우징은 왕복운동기관의 실린더에 해당하며, 내면은 에피트로코이드 곡선 형태를 띤다.[30] 이 안에 피스톤 역할을 하는 삼각형 모양의 로터가 있으며, 로터와 하우징 벽 사이에는 3개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들은 로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용적이 변한다.[30]로터 하우징에는 흡기 포트, 배기 포트, 점화 플러그가 있다. 밸브는 없으며, 로터의 회전에 따라 흡기 및 배기 포트가 개폐된다.[30]
2. 3. 특징
로터리 엔진은 왕복기관의 2사이클 기관과 유사하게 작동하며, 로터가 1회전할 때마다 동력축은 3회전하여 동력축 1회전에 1회의 폭발 팽창행정이 발생한다.[30]로터리 엔진은 엔진 자체가 플라이휠 역할을 하여 경량화가 가능하고, 회전으로 인해 실린더 냉각이 균일하게 이루어져 저출력, 저회전 시대에는 수냉식 엔진보다 가벼웠다. 1910년대 마력당 무게는 약 1.3kg으로, 다른 형식(1.5~3.0kg)에 비해 유리했다. 또한, 부드러운 작동과 개선된 냉각, 무게 이점 덕분에 당시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3]
하지만 로터리 엔진은 전 손실 윤활 시스템으로 인해 비효율적이었다.[4] 윤활유 순환이 어렵고, 비산으로 인해 연료와 비슷한 양의 오일을 소비하여 경제성이 떨어졌다. 비산하는 윤활유는 파일럿의 고글에 부착되었고, 윤활유로 사용된 피마자유는 파일럿의 설사를 유발하기도 했다.
또한, 자이로 효과로 인해 이착륙 및 조종이 어렵고, 스로틀 장착이 불가능하여 출력 조절이 번거로웠다. 빠른 출력 조절을 위해 "브립 스위치"를 이용한 엔진 온/오프가 사용되었지만, 이는 고장을 유발하기 쉬웠다.
원심력으로 인해 고출력화에 한계가 있었고, 1920년대 이후 냉각 효과가 높은 알루미늄제 실린더 헤드를 가진 고정식 성형 엔진이나 고출력 수냉 엔진과의 경쟁에서 밀려났다.
3. 역사
로터리 엔진은 별형 엔진의 크랭크축을 기체에 고정하고 프로펠러 축은 크랭크케이스에 고정하여 엔진 전체가 회전하는 형식의 왕복 엔진으로, 주로 150마력 정도의 엔진에 사용되었다.[1] Lauren Seguin|로랑 세갱프랑스어과 Louis Seguin (ingénieur)|루이 세갱프랑스어 형제가 개발한 놈 엔진(후의 놈 에 로느)이 유명하며, 일본 도쿄 가스 전기 공업에서도 라이선스 생산이 이루어졌다.[2]
1910년대 초반에는 다른 항공용 엔진에 비해 마력당 중량이 훨씬 적어, 1910년부터 1913년까지 이 형식의 엔진을 장착한 항공기가 세계 기록 대부분을 차지했다.[3]
3. 1. 초기 개발
펠릭스 밀레는 1889년 파리 만국 박람회에서 자전거 바퀴에 내장된 5기통 로터리 엔진을 선보였다.[8] 밀레는 1888년에 이 엔진에 대한 특허를 받았으므로 내연 기관 로터리 엔진의 선구자로 간주해야 한다. 그의 엔진으로 구동되는 기계는 1895년 파리-보르도-파리 경주에 참가했으며, 이 시스템은 1900년 다라크 앤 컴퍼니 런던(Darracq and Company London)에서 생산에 들어갔다.[8]
로렌스 하그레이브는 1889년 압축 공기를 사용하여 최초로 로터리 엔진을 개발했으며, 이를 동력 비행에 사용할 의도였다. 재료의 무게와 조악한 가공 기술은 이 엔진이 효과적인 동력 장치가 되는 것을 막았다.[9]
스티븐 M. 발저(Stephen M. Balzer)는 전직 시계 제작자였으며, 1890년대에 로터리 엔진을 제작했다.[10] 그는 두 가지 주요 이유로 로터리 방식을 선호했다.
- 당시 엔진이 낮은 rpm에서 작동할 때 각 연소 행정에서 발생하는 펄스가 매우 컸다. 이러한 펄스를 줄이기 위해 엔진에는 무게를 더하는 큰 플라이휠이 필요했다. 로터리 설계에서는 엔진 자체가 플라이휠 역할을 하여, 로터리 엔진은 비슷한 크기의 기존 엔진보다 가벼울 수 있었다.
- 실린더는 항공기가 정지해 있을 때에도 냉각 기류가 잘 흘렀는데, 이는 당시 항공기의 낮은 속도로 인해 냉각 기류가 제한적이었고 당시 합금이 덜 발전했기 때문에 중요했다. 발저의 초기 디자인은 냉각 핀을 사용하지 않았지만, 이후 로터리 엔진은 공랭식 엔진의 일반적인 특징인 냉각 핀을 갖추게 되었다.
발저는 1894년에 3기통 로터리 엔진을 장착한 자동차를 생산했으며, 이후 새뮤얼 피어폰트 랭글리의 ''에어로드롬'' 시도에 참여했다가, 엔진의 대형 버전을 제작하려다 파산했다. 발저의 로터리 엔진은 이후 랭글리의 조수 찰스 M. 맨리에 의해 정적 방사형으로 개조되어 유명한 맨리-발저 엔진(Manly–Balzer engine)을 만들었다.
1899년, 유명한 드 디옹-부통사는 실험적인 4기통 로터리 엔진을 제작했다. 이 엔진은 항공기용으로 설계되었지만, 어떤 항공기에도 장착되지 않았다.[8]
3. 2. 항공기 엔진으로의 발전

애덤스-파웰사는 1898년 페이 올리버 파웰(Fay Oliver Farwell)이 설계한 3기통 로터리 엔진을 사용한 최초의 시제품 자동차를 개발했고, 1906년에는 애덤스-파웰 자동차를 생산했다. 에밀 베를리너는 실패한 헬리콥터 실험을 위한 경량 동력 장치로 5기통 애덤스-파웰 회전식 엔진 설계를 후원했다. 애덤스-파웰 엔진은 1910년 이후 미국에서 고정익 항공기에 동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었다. 후기 클레르제 9B 및 벤틀리 BR1 항공용 회전식 엔진과 마찬가지로, 애덤스-파웰 회전식 엔진은 실린더 헤드에 장착된 일반적인 배기 및 흡입 밸브를 사용했다.[8]

Société des Moteurs Gnome(Gnome and Rhône)을 설립한 세귄 형제(루이, 로랑, 오귀스탱)는 1908년 세계 최초의 양산형 로터리 엔진인 7기통 공랭식 50hp "오메가(Omega)"를 선보였다. 최초로 제작된 Gnome Omega는 현재도 존재하며, 스미소니언 국립 항공 우주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12] 1909년, 로제 라보는 자신의 수중익선/항공기 콤비네이션인 ''Aéroscaphe''에 Gnome Omega를 장착하여 모나코에서 열린 모터보트 및 항공 경연 대회에 참가했다. 헨리 파르망은 그 해 랭스 항공 회의에서 Gnome 엔진을 사용하여 논스톱 비행으로 지구력 비행 세계 기록을 세웠고, 앙리 파브르의 ''르 카나르(Le Canard)''의 첫 번째 성공적인 수상 비행은 1910년 3월 28일 마르세유 근처에서 Gnome Omega로 구동되었다. Gnome 회전식 엔진의 생산량은 급증하여 1차 세계 대전 이전에 약 4,000대가 생산되었으며, Gnome은 2열 버전(100마력 더블 오메가), 대형 80 hp 람다 및 160 hp 2열 더블 람다도 생산했다.
1913년 세귄 형제는 흡기 및 배기 밸브 역할을 하는 실린더 헤드에 단일 밸브를 사용하여 피스톤의 흡기 밸브를 대체하는 새로운 모노수파페(단일 밸브) 시리즈를 선보였다. 160 hp 9기통 Gnome 9N 회전식 엔진은 이중 점화 시스템을 추가하면서 모노수파페 밸브 설계를 사용했으며, 이러한 실린더 헤드 밸브 형식을 사용하는 마지막 회전식 엔진 설계였다.

Clerget(클레제) 및 르 론사에서 생산한 회전식 엔진은 실린더 헤드에 일반적인 푸시로드 작동 밸브를 사용했다.
7기통 80hp Gnome은 Gnome Lambda로 1차 세계 대전 발발 시 표준이었으며, 많은 항공기 설계에 사용되었다. Gnome은 독일 Motorenfabrik Oberursel 회사를 포함한 여러 회사에서 라이선스를 받을 정도로 훌륭했다. 오버우르셀은 나중에 포커에 인수되었으며, 80hp Gnome Lambda 사본은 오버우르셀 U.0으로 알려졌다.
3. 3. 제1차 세계 대전과 쇠퇴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로터리 엔진은 전투기에 널리 사용되었지만, 여러 단점이 있었다. 로터리 엔진은 근본적으로 비효율적인 전 손실 윤활 시스템을 가졌다.[3] 윤활유가 연료/공기 혼합물과 함께 흡입되었고, 회전하는 크랭크 케이스의 원심력이 재순환을 방해했다. 출력 증가는 질량과 크기 증가를 동반하여, 엔진 회전 질량으로 인한 자이로 작용 세차 운동을 증가시켰다.[4] 이는 항공기 안정성과 제어 문제를 야기했고, 특히 경험이 부족한 조종사에게 더욱 어려웠다. 엔진 제어가 까다로워 연료 낭비도 심했다.[3]제1차 세계 대전 말기 벤틀리 BR2는 가장 크고 강력한 로터리 엔진이었으나, 이는 이 유형의 엔진이 더 이상 개발될 수 없는 지점에 도달했음을 보여주었다.[5] 전쟁 후, 알루미늄제 실린더 헤드를 가진 고정식 성형 엔진과 고출력 수냉 엔진이 등장하면서 로터리 엔진은 빠르게 쇠퇴했다.
3. 4. 전후
전쟁이 끝날 무렵, 로터리 엔진은 구식이 되어 빠르게 사라졌다. 영국 왕립 공군은 다른 나라보다 더 오랫동안 로터리 엔진을 사용했다. 왕립 공군의 표준 전후 전투기인 소프위드 스나이프는 벤틀리 BR2 로터리 엔진을 사용했는데,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연합국이 제작한 가장 강력한 (약 230hp) 로터리 엔진이었다. 초기 전후 시대의 왕립 공군 표준 훈련기인 1914년형 아브로 504K는 다양한 종류의 저출력 로터리 엔진을 사용할 수 있도록 범용 장착 방식을 갖추고 있었다. 마찬가지로, 스웨덴 FVM Ö1 투멜리사 고급 훈련기는 Le Rhône|르 론프랑스어 90hp 로터리 엔진을 장착하여 1930년대 중반까지 운용되었다.설계자들은 전쟁 잉여 엔진의 저렴함과 연료 효율이 낮다는 점, 그리고 전체 손실 윤활 시스템의 운영 비용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야 했고, 1920년대 중반에 이르러 로터리 엔진은 영국군에서도 거의 완전히 대체되었다. 이는 주로 암스트롱 시들리 재규어와 브리스톨 주피터와 같은 새로운 세대의 공랭식 "고정식" 방사형 엔진에 의해서였다.
로터리 엔진의 개념에 대한 실험은 계속되었다.
1921년 미셸 엔진의 첫 번째 버전은 특이한 대향 피스톤 캠 엔진으로, "실린더 블록"이 회전한다는 점에서 로터리 엔진의 원리를 사용했다. 이것은 곧 동일한 실린더와 캠을 사용하지만, 실린더는 고정되고 크랭크축 대신 캠 트랙이 회전하는 버전으로 대체되었다. 이후 버전에서는 캠을 완전히 포기하고 세 개의 연결된 크랭크축을 사용했다.
1930년에 소련의 헬리콥터 선구자 보리스 N. 유리예프와 알렉세이 M. 체레무킨은 ''첸트랄니 에어로히드로다이나믹 인스티튜트''(TsAGI, 중앙 공기역학 연구소)에 근무하며, 자체 설계 및 제작된 M-2 로터리 엔진 두 개로 구동되는 TsAGI 1-EA 단일 로터 헬리콥터를 제작하여 최초의 실용적인 단일 리프트 로터 기계 중 하나를 만들었다. M-2 로터리 엔진은 제1차 세계 대전의 놈 몽수프 로터리 엔진을 개량한 복제품이었다. TsAGI 1-EA는 1932년 8월 14일 체레무킨이 조종하여 트윈 M-2 로터리 엔진의 동력으로 605m의 비공식 고도 기록을 세웠다.[25]
4. 한국에서의 로터리 엔진
일제강점기인 1910년대에 도쿄 가스 전기 공업에서 프랑스 놈(Gnome)사의 로터리 엔진을 라이선스 생산하였다.[2]
5. 자동차 및 오토바이에서의 이용
로터리 엔진은 주로 항공기에 사용되었지만, 일부 자동차와 오토바이에도 적용되었다. 최초의 사례는 1892년 밀레 오토바이로 추정된다. 여러 레이스에서 우승한 메골라는 앞바퀴 안에 로터리 엔진이 장착된 것으로 유명하다. 찰스 레드럽의 1912년 레드럽 래디얼은 3기통 303cc 로터리 엔진을 장착했다.
1904년에는 웨일스에서 레드럽이 설계한 배리 엔진이 제작되었다. 이 엔진은 무게 6.5kg[26]의 회전식 2기통 복서 엔진으로, 오토바이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었다.
1920년대 초 독일의 메골라 오토바이는 앞바퀴 디자인 내부에 5기통 로터리 엔진을 사용했다.
1940년대에 시릴 풀린은 허브 안에 회전식 단기통 엔진, 클러치 및 드럼 브레이크가 있는 바퀴인 파워휠을 개발했지만, 생산되지는 않았다.
19세기 말부터 로터리 엔진을 사용한 자동차와 오토바이가 몇몇 제작되어 판매되었다. 1890년대에 스테판 발처(Stephen Balzer, 1864-1940)에 의해 자동차용 로터리 엔진이 제작되었다. 1904년 영국의 레드럽은 자신의 설계에 의한 2기통 로터리 엔진(:en:Barry_engine)을 프레임 내에 탑재한 모페드를 개발했으며, 1912년에는 "Redrup 성형 엔진"을 탑재한 모페드도 제작했다.[29] 1921년부터 1925년까지 독일에서 로터리 엔진을 프론트 휠 내에 수납하는 '''인휠 엔진''' 구성을 채용한 메고라(:en:Megola)가 제조되었다. 1940년대에 시릴 풀린(:en:Cyril Pullin)은 '''Powerwheel'''이라고 명명된 단기통 인휠 엔진을 고안했지만, 제조되지는 않았다. 미국에서는 Adams-Farwell사(:en:Adams-Farwell)가 4륜 자동차인 Bailey, Balzer, Intrepid의 3종에 로터리 엔진을 탑재했다. 2008년, 미국의 RevoPower사(:en:RevoPower)는 자전거용 애프터마켓 엔진인 '''The Wheel'''을 출시했다. 이 엔진은 26인치 자전거용 휠 내부에 25cc 단기통 2행정 기관 로터리 엔진을 내장한 것으로, 일반적인 자전거의 프론트 휠과 교체하면 장착이 가능하며, 최고 시속 32km로 주행할 수 있었다.
6. 기타 로터리 엔진
반켈 엔진과 같이 피스톤이 없는 로터리 엔진도 개발되었다. 반켈 엔진은 NSU에서 Ro80 차량에, 마쓰다에서 RX 시리즈와 같은 다양한 차량에, 그리고 일부 실험적인 항공 응용 분야에 사용되었다.[27][28]
1970년대 후반에는 브릭린-터너 로터리 V라는 개념 엔진이 테스트되었다. 로터리 V는 엘보 증기 엔진과 구성이 유사하다. 피스톤 쌍은 단단한 V자형 부재로 연결되며, 각 끝은 회전하는 실린더 클러스터 쌍에 떠 있다. 회전하는 실린더 클러스터 쌍은 축이 넓은 V 각도로 설정된다. 각 실린더 클러스터의 피스톤은 방사형이 아닌 서로 평행하게 움직인다. 이 엔진 설계는 생산에 들어가지 않았다. 로터리 V는 브릭린 SV-1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었다.
참조
[1]
서적
The Rotary Aero Engine
NMSI Trading Ltd
[2]
웹사이트
Vimeo video of Musee de l'Air "rotary/radial" alternating aviation cross-sectional kinetic model display
https://vimeo.com/41[...]
2016-11-07
[3]
간행물
Air Board Technical Notes
RAF Air Board
[4]
문서
Gnome Monosoupape와 Bentley BR2 비교
[5]
서적
World Encyclopedia of Aero Engines
Patrick Stephens
[6]
서적
The Rotary Aero Engine
NMSI Trading Ltd
[7]
서적
The Early Eagles
Dodd, Mead
[8]
서적
The Rotary Aero Engine
NMSI Trading Ltd
[9]
웹사이트
Hargrave, Lawrence (1850 – 1915)
http://www.adb.onlin[...]
[10]
웹사이트
Balzer automobile patents
http://americanhisto[...]
National Museum of American History
2016-11-02
[11]
웹사이트
SAFRAN
http://www.safran-gr[...]
[12]
웹사이트
Gnome Omega No. 1 Rotary Engine
http://www.nasm.si.e[...]
Smithsonian Institution
2012-04-14
[13]
논문
The Rotary Aero Engine from 1908 to 1918
http://link.springer[...]
Springer Netherlands
2012
[14]
서적
A History of Aeronautics
Kessinger Publishing
[15]
웹사이트
(A) Look at the Gnôme 9N Rotary Engine
http://www.kozaero.c[...]
KozAero
[16]
Youtube
Old Rhinebeck Fokker D.VIII Startup and Takoff
https://www.youtube.[...]
Sholom
2019-08-04
[17]
서적
Open Cockpit: A Pilot of the Royal Flying Corps
Grub Street
[18]
웹사이트
Gnome Monosoupape Type N Rotary
https://web.archive.[...]
Aircraft Engine Historical Society
[19]
서적
Airplane Stability and Control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서적
The Knife and Fork Man - The Life and Works of Charles Benjamin Redrup
Diesel Publishing
[21]
서적
Aircraft in Profile No.86 — The Siemens Schuckert D.III & IV
Profile Publications
[22]
서적
Two Historians in Technology and War
United States Army War College,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3]
서적
The European Powers in the First World War: An Encyclopedia
Taylor & Francis
[24]
서적
Tariff Information Surveys on the Articles in Paragraphs 44 and 45 of the Tariff Act of 1913
United States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25]
웹사이트
TsAGI 1-EA
http://www.ctrl-c.li[...]
1997-03-24
[26]
웹사이트
Charles Benjamin Redrup
http://www.fairdiese[...]
[27]
뉴스
Popular Science
1974-08
[28]
뉴스
Popular Science
1976-04
[29]
웹사이트
Charles Benjamin Redrup
http://www.fairdiese[...]
[30]
백과사전
로터리 엔진
글로벌 세계 대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