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론스타진드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론스타진드기는 미국 동부, 동남부, 중서부 지역에 분포하는 진드기의 일종으로, 흰꼬리사슴과 같은 숙주를 통해 숲과 초원 지역에서 발견된다. 론스타진드기는 알, 유충, 약충, 성충의 발달 단계를 거치며, 퀘스팅을 통해 숙주에 부착한다. 이 진드기는 인간을 포함한 다양한 숙주를 가지며, 인간 단핵구 에를리히증, 털울혈증, 남부 진드기 관련 발진 질환, 하트랜드 바이러스 등의 질병을 매개할 수 있다. 또한, 론스타진드기에 물리면 비영장류 포유류 고기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인 알파-갈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드기 - 작은소참진드기
    작은소참진드기는 사람과 동물의 혈액을 흡혈하는 외부 기생충으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등 다양한 질병을 매개하여 공중 보건에 위협을 가하며 주로 5월에서 10월 사이에 활동한다.
  • 1758년 기재된 동물 - 물거미
    물거미는 8~15mm 크기의 검은 거미로, 삶의 대부분을 물속에서 보내는 유일한 거미이며, 잠수종 형태의 집을 짓고 수생 곤충 등을 잡아먹고, 유럽과 아시아에 분포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1758년 기재된 동물 - 물벼룩
    물벼룩은 갑각류의 일종으로, 다양한 수생 서식지에 살면서 생태계에서 중요한 먹이 역할을 하며, 최초로 게놈이 해독된 갑각류로서 유전자 연구와 생태 독성 시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론스타진드기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론스타진드기
론스타진드기
학명Amblyomma americanum
명명자(Linnaeus, 1758)
이전 학명Acarus americanus Linnaeus, 1758
분포
론스타진드기 분포 지도
빨간색은 해당 종이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위치를 나타냅니다. 파란색은 해당 종이 보고된 다른 위치를 나타냅니다.
일반 정보
종류진드기 종
다른 이름북동부 물진드기
학문적 분류
진핵생물
동물계
절지동물문
거미강
아강진드기아강
상목기생진드기상목
후기문진드기목
진드기과
Amblyomma속
기타
갈락토스-α-1,3-갈락토스en:Galactose-alpha-1,3-galactose

2. 분포 및 서식지

론스타진드기는 미국 동부, 동남부, 중서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3][7] 이 진드기는 특히 성체 진드기의 주요 숙주인 흰꼬리사슴이 서식하는 덤불 우거진 2차림 지역에 주로 서식한다.[4][7][8] 또한 숲과 초원 생태계 사이와 같은 생태 전이 지역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7][8]

론스타진드기는 숙주에 달라붙기 위해 '퀘스팅(questing)'이라는 독특한 행동을 한다. 덤불이나 키 큰 풀의 잎 가장자리로 기어 올라가 앞다리를 뻗고 기다리다가, 숙주가 내뿜는 이산화탄소나 체온, 움직임으로 인한 진동 등을 감지하면 재빨리 숙주에게 옮겨 붙는다.[9] 숙주에 붙은 후에는 몸을 이동하여 피를 빨기 좋은 부위를 선택한다.[4]

이 진드기는 캐나다 온타리오주 남부 지역, 특히 런던, 웰링턴 군, 워털루 지역 등에서도 보고된 바 있다.[10]

3. 발달

론스타진드기(''A. americanum'')의 발달


론스타진드기는 알, 유충, 약충, 성충의 네 단계를 거쳐 발달한다. 이 진드기는 세 숙주 생활사(three-host life cycle)를 가지는데, 이는 유충, 약충, 성충 각 단계에서 서로 다른 숙주로부터 흡혈한다는 의미이다. 론스타진드기는 주로 풀잎 끝 등에서 기다리다가 숙주가 지나가면 달라붙는 퀘스팅(questing) 방식으로 숙주를 찾는다.[11]

알은 땅에서 부화하며, 부화한 유충은 숙주를 기다리거나 적극적으로 찾아(퀘스팅) 4~7일간 흡혈한다. 흡혈 후 땅으로 떨어져 탈피하여 약충이 된다. 약충 역시 땅을 기어 다니거나 식물에 매달려 퀘스팅하며, 숙주를 찾아 5~10일간 흡혈한 뒤 땅으로 떨어져 성충으로 탈피한다.

성충도 약충과 비슷하게 퀘스팅한다. 암컷 성충은 번식을 위해 특정 숙주에 부착하여 8~20일간 많은 양의 피를 빨아들여 몸이 크게 팽창한다. ''Amblyomma'' 속의 대형 종 암컷은 몸무게가 5g까지 늘어나며, 최대 20,000개의 알을 땅에 낳고 죽는다. 반면 수컷 성충은 비교적 소량의 피를 여러 번 빨아들이며, 짝짓기를 위해 같은 숙주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다.

탈피하고 숙주를 기다리는 시간을 포함하면, 론스타진드기 한 마리가 알에서 성충까지 전체 생활사를 완료하는 데는 보통 6개월에서 18개월이 걸린다. 이 기간은 계절적인 온도나 습도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휴면(발달 또는 활동 지연)을 통해 더 길어질 수 있다.

진드기는 흡혈 없이도 습한 공기에서 직접 수분을 흡수하며 숙주 밖에서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도록 적응했다. 그러나 지나치게 높은 온도, 건조한 환경, 적절한 숙주 부족은 생존율을 크게 떨어뜨린다. 또한 숙주에 붙더라도 숙주의 몸단장 행위나 진드기 흡혈에 대한 피부의 면역 반응(과민성) 때문에 생존이 어려워질 수 있다.

4. 숙주

론스타진드기는 매우 공격적이며 다양한 종류의 동물을 숙주로 삼는 포식자이다.[4] 이 진드기는 유충, 약충, 성충의 각 성장 단계를 완료하기 위해 서로 다른 동물이나 인간을 숙주로 삼아야 한다.[6]

생활 주기는 피를 빨아먹어 몸이 불어난 성체 암컷 진드기가 숙주에게서 떨어져 나오면서 시작된다. 암컷은 며칠 후 멀칭이나 낙엽처럼 안전하고 적합한 곳에 약 5,000개의 알을 낳는다.[4] 일정 시간이 지나면 알에서 유충이 부화하여 잠시 휴식기를 가진 뒤, 숙주를 찾아다니는 탐색 행동을 시작한다.[4] 유충은 숙주를 찾아 1~3일 동안 피를 빨아먹고, 배가 부르면 숙주에게서 떨어져 나와 피를 소화시키며 약충으로 탈피한다. 약충 역시 같은 방식으로 새로운 숙주를 찾아 붙어 피를 빨아먹고, 다시 숙주에게서 떨어져 나와 성체 진드기로 탈피한다. 성체 암컷 진드기는 알을 낳고 난 직후 죽음을 맞이한다.[4]

유충 단계의 론스타진드기는 주로 조류나 작은 포유류에 붙어 발견되며, 약충 단계에서는 이 두 그룹 외에 작은 설치류에서도 발견된다.[4] 성체 론스타진드기는 일반적으로 중간 크기나 큰 크기의 포유류를 숙주로 삼으며,[6] 특히 흰꼬리사슴에게서 매우 흔하게 발견된다.[2] 론스타진드기는 유충, 약충, 성충의 모든 발달 단계에서 인간을 숙주로 삼기도 한다.[2]

5. 질병 매개

론스타진드기는 다른 진드기와 마찬가지로 여러 질병을 옮길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인간 단핵구 에를리히증(''Ehrlichia chaffeensis''), 개 및 인간 과립구 에를리히증(''Ehrlichia ewingii''), 털울혈증(야토병, ''Francisella tularensis''), 남부 진드기 관련 발진 질환(STARI), 하트랜드 바이러스 등이 있다.[12][16] STARI는 스피로헤타 박테리아의 일종인 ''Borrelia lonestari''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2] 최근에는 ''Borrelia andersonii''와 ''Borrelia americana''라는 박테리아도 론스타진드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14][15]

5. 1. 인간 단핵구 에를리히증

론스타진드기는 인간 단핵구 에를리히증(''Ehrlichia chaffeensis'')을 일으키는 병원체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12]

5. 2. 개 및 인간 과립구 에를리히증

론스타진드기는 개 및 인간 과립구 에를리히증을 일으키는 ''Ehrlichia ewingii''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12]

5. 3. 털울혈증

론스타진드기는 야토병의 매개체가 될 수 있으며, 이 질병은 Francisella tularensislat이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한다.[12]

5. 4. 남부 진드기 관련 발진 질환 (STARI)

론스타진드기는 남부 진드기 관련 발진 질환(STARI)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 이 질환은 스피로헤타 박테리아의 일종인 ''Borrelia lonestari''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2] STARI는 라임병과 유사한 발진 증상을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증상이 덜 심각한 것으로 여겨진다.

라임병의 원인균인 ''Borrelia burgdorferi''가 론스타진드기에서 드물게 발견되기도 하지만, 여러 연구 결과 론스타진드기가 라임병을 사람에게 전파할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부 연구에서는 론스타진드기의 침 성분이 사슴진드기(*Ixodes scapularis*)의 침보다 라임병균(''B. burgdorferi'')을 더 빠르게 비활성화시킨다는 증거를 제시하기도 했다.[13]

5. 5. 하트랜드 바이러스

2013년, 연구자들은 론스타진드기가 하트랜드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미국 미주리주 북서부의 농부 두 명이 심각한 열성 질환을 앓은 사건에 대한 조사를 통해 밝혀졌다.[16] 2012년부터 2013년까지 미주리주와 테네시주에서 6건의 추가 감염 사례가 확인되었다.[17]

5. 6. 기타 질병

모든 진드기처럼, 론스타진드기는 여러 질병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 여기에는 인간 단핵구 에를리히증(''Ehrlichia chaffeensis''), 개 및 인간 과립구 에를리히증(''Ehrlichia ewingii''), 털울혈증(야토병, ''Francisella tularensis''), 그리고 남부 진드기 관련 발진 질환(STARI) 등이 포함된다. STARI는 스피로헤타 박테리아의 일종인 ''Borrelia lonestari''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12] 라임병에서 나타나는 발진과 비슷하지만 일반적으로 증상이 덜 심각한 것으로 여겨진다.

라임병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인 ''Borrelia burgdorferi''가 론스타진드기에서 가끔 발견되기도 하지만, 여러 연구를 통해 이 진드기가 라임병을 옮길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일부 증거에 따르면 론스타진드기(''A. americanum'')의 침은 참진드기(''Ixodes scapularis'')의 침보다 ''B. burgdorferi'' 박테리아를 더 빠르게 비활성화시킨다.[13] 최근에는 ''Borrelia andersonii''와 ''Borrelia americana''라는 박테리아가 론스타진드기(''A. americanum'')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14][15]

2013년에는 미국 미주리주 북서부에서 두 명의 농부가 심각한 열성 질환을 앓은 사례를 계기로, 연구자들이 론스타진드기가 하트랜드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16] 2012년부터 2013년 사이 미주리와 테네시주에서 6건의 추가 감염 사례가 확인되었다.[17]

6. 육류 알레르기 (알파-갈 알레르기)

론스타 진드기에 물리는 것은 알파-갈 알레르기라는 특이한 형태의 육류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다.[18][19] 이 알레르기는 소고기, 돼지고기와 같은 포유류 고기 섭취 후 수 시간 뒤에 증상이 나타나는 지연성 반응을 특징으로 하며, 때로는 생명을 위협하는 아나필락시스 반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18][20]

6. 1. 발병 기전

론스타 진드기에 물리면 사람에게 비영장류 포유류 고기 및 육류 제품에 대한 지연된 반응인 알파-갈 육류 알레르기가 생길 수 있다.[18][19] 이 알레르기는 기도의 수축과 혈압 강하를 특징으로 하는 생명을 위협하는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로 나타날 수 있다.[18] 이 반응은 포유류의 올리고당인 갈락토스-알파-1,3-갈락토스 (알파-갈)에 대한 IgE 항체에 의해 유발된다.[20] 2019년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론스타 진드기의 침에서 알파-갈이 발견되었다.[21] 연구진은 최근 알파-갈 유전자를 제거한 쥐 모델을 사용하여 미국 전역에 널리 분포하는 론스타 진드기(''Amblyomma americanum'') 물림과 알파-갈 알레르기 발생의 연관성을 확립했다.[22] 알파-갈은 비영장류 포유류뿐만 아니라 고양이 비듬과 약물인 세툭시맙에서도 발견된다.[23][20] 알파-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은 다른 음식 알레르기 반응과는 달리 섭취 후 3~6시간 후에 발생하며, 이는 섭취 후 즉시 시작되는 다른 음식 알레르기 반응과 비교했을 때 원인 식별을 더 어렵게 만든다.[18] 표준 육류 검사 용액을 사용한 피부 검사는 알파-갈 알레르기를 검사할 때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지만, 생고기 및/또는 돼지 신장을 사용한 피부 검사는 더 민감하다. 알파-갈에 대한 IgE 항체를 측정하는 특정 혈액 검사도 가능하다.[24]

6. 2. 진단 및 검사

론스타 진드기에 물리면 사람에게 비영장류 포유류 고기 및 육류 제품에 대한 지연된 반응인 알파-갈 육류 알레르기가 생길 수 있다.[18][19] 알파-갈 알레르기는 다른 음식 알레르기와 달리 고기 섭취 후 3~6시간 뒤에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원인 파악이 어려울 수 있다.[18] 일반적인 알레르기 검사 방법인 표준 육류 검사 용액을 이용한 피부 검사는 알파-갈 알레르기를 진단하는 데 신뢰성이 떨어진다. 대신 생고기나 돼지 신장을 이용한 피부 검사가 더 민감하게 반응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혈액 검사를 통해 알파-갈에 대한 특정 IgE 항체 수치를 측정하여 진단하는 것도 가능하다.[24]

참조

[1] EOL
[2] 간행물 Multiple Pruritic Papules From Lone Star Tick Larvae Bites 2006-04-01
[3] 웹사이트 Geographic distribution of ticks that bite humans https://www.cdc.gov/[...] 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Emerging and Zoonotic Infectious Diseases (NCEZID), Division of Vector-Borne Diseases (DVBD) 2016-10-30
[4] 웹사이트 lone star tick - Amblyomma americanum (Linnaeus) http://entnemdept.uf[...] 2016-12-12
[5] 웹사이트 Ehrlichiosis {{!}} CDC https://www.cdc.gov/[...] 2018-09-25
[6] 뉴스 Amblyomma americanum (Lone star tick) http://labs.russell.[...] 2016-12-12
[7] 웹사이트 CVBD - Lone Star Tick - Amblyomma americanum http://www.cvbd.org/[...] 2016-12-12
[8] 서적 Biology of Ticks Volume I Oxfo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Tick Biology http://entomology.uc[...] 2016-12-12
[10] 웹사이트 3 tick that causes red meat allergy found in Waterloo region over last 3 years https://www.cbc.ca/n[...] 2019-07-05
[11] 문서 Holderman, Christopher J., and Phillip E. Kaufman. Lone Star Tick Amblyomma Americanum (Linnaeus): (Acari: Ixodidae). Entomology and Nematology Department, UF/IFAS Extension. The Institute of Food and Agricultural Sciences (IFAS), Jan. 2014. Web.
[12] 간행물 STARI, or Masters disease: lone star tick-vectored Lyme-like illness 2008-06
[13] 간행물 Borreliacidal activity of saliva of the tick ''Amblyomma americanum'' https://zenodo.org/r[...] 2005-03
[14] 간행물 Lyme Borreliosis in Human Patients in Florida and Georgia, USA 2013
[15] 간행물 Ability of Ixodes scapularis, Dermacentor variabilis, and Amblyomma americanum (Acari: Ixodidae) to acquire, maintain, and transmit Lyme disease spirochetes (Borrelia burgdorferi) 1988-09
[16] 간행물 First Detection of Heartland Virus (Bunyaviridae: Phlebovirus) from Field Collected Arthropods 2013-07-22
[17] 웹사이트 CDC Reports More Cases of Heartland Virus Disease https://www.cdc.gov/[...] 2016-01
[18] 뉴스 NIAID scientists link cases of unexplained anaphylaxis to red meat allergy https://www.nih.gov/[...] 2018-05-09
[19] 간행물 The relevance of tick bites to the production of IgE antibodies to the mammalian oligosaccharide galactose-α-1,3-galactose http://www.jacionlin[...] 2014-05-20
[20] 간행물 The alpha gal story: Lessons learned from connecting the dots 2015
[21] 간행물 Discovery of Alpha-Gal-Containing Antigens in North American Tick Species Believed to Induce Red Meat Allergy 2019-05-17
[22] 간행물 Tick bite-induced alpha-gal syndrome and immunologic responses in an alpha-gal deficient murine model 2023
[23] 간행물 IgE antibodies to alpha-gal in the general adult population: relationship with tick bites, atopy, and cat ownership 2014-08
[24] 간행물 Food allergy to the carbohydrate galactose-alpha-1,3-galactose (alpha-gal): four case reports and a review 2017-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