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작은소참진드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작은소참진드기는 러시아, 동남아시아, 호주, 뉴질랜드 등지에 널리 분포하는 진드기이다. 동아시아와 태평양 섬이 원산지이며,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지역에서 발견된다. 5월에서 10월 사이에 활동하며 소, 사슴, 개, 사람 등 다양한 숙주에 기생한다. 유성생식 또는 단성생식을 통해 번식하며, 흡혈 시 암컷은 약 10mm까지 커진다. 작은소참진드기는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SFTS)을 비롯한 여러 질병을 매개하며, 2013년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SFTS 감염 사례가 보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드기 - 론스타진드기
    론스타진드기는 미국 동부, 남동부, 중서부, 캐나다 남부 온타리오 지역에 분포하며, 흰꼬리사슴 서식지에서 발견되고, 퀘스팅 방식으로 숙주에 부착하며, 다양한 질병을 매개하고, 알파-갈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진드기이다.
  • 1901년 기재된 동물 - 산민달팽이
    산민달팽이는 회갈색 몸체에 흑갈색 반점이 있는 35~50mm 크기의 연체동물로, 일본과 타이완 등지에 분포하며 습한 환경에서 낙엽과 버섯을 먹고 서식하며, 농작물 피해를 주거나 약재로 사용된 과거가 있는 등 인간과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
작은소참진드기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데스 헬모어의 삽화
데스 헬모어의 삽화
학명Haemaphysalis longicornis
명명자Neumann, 1901
일반 정보
종류진드기
서식지아시아
별칭소진드기, 덤불진드기
특징
위험성동물을 말려 죽일 정도로 흡혈
생식짝짓기 없이 번식
분포
아시아한국, 일본,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
북미미국 (2017년 뉴저지에서 처음 발견)
오세아니아호주, 뉴질랜드
기타 정보
질병 매개 가능성라임병 스피로헤타와 반점열 리케차 동시 감염 사례 보고됨

2. 분포

작은소참진드기는 러시아에서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7] 특히 중국, 한국,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및 중앙아시아의 온대 지역과 호주, 뉴질랜드, 피지, 하와이를 포함한 태평양 섬이 원산지이다.[7] 일본에서는 홋카이도부터 오키나와현 야에야마 지방까지 전국적으로 분포한다.[7] 대한민국에서도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특히 야외 활동이 많은 지역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2017년 11월 9일까지 미국 본토에서 발견된 적이 없었으나,[2] 이후 뉴저지, 버지니아, 웨스트버지니아, 노스캐롤라이나, 사우스캐롤라이나, 펜실베이니아, 뉴욕, 아칸소, 메릴랜드, 코네티컷, 오하이오 등 11개 주에서 발견되었다.[8][9][10][11] 뉴저지에서는 침입종으로 자리 잡았다.[12][13][14]

3. 생태

작은소참진드기의 주요 활동 시기는 5월에서 10월이다. 벼과 식물의 줄기나 잎에 서식하며, 풀 위에서 숙주가 지나가기를 기다린다. , 일본사슴[19], , 사람, 조류[20] 등에 기생하며 약 1주일 정도 흡혈한다. 흡혈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적절한 습도만 있으면 기아 상태로 1년에서 2년 정도 생존하지만[21], 이후에도 숙주를 만나지 못하면 굶어 죽는다. 겨울 동안에는 유충이나 성충 상태로 낙엽 밑 등에서 월동하며, 5월경부터 활동을 시작한다. 돗토리현 동부에서 미기생 개체 조사를 한 결과, 유충은 여름~가을, 약충은 봄~여름, 성충은 여름~가을에 많이 채집되었다[22]

흡혈한 암컷 ''H. longicornis'', 등쪽에서 본 모습, 길이 약 10 mm


먹이를 섭취하지 않은 진드기는 온도와 습도에 따라 약 1년 동안 생존할 수 있으며, 약충과 성체 암컷이 가장 오래 생존한다.[7]

3. 1. 숙주

아시아 작은소참진드기기생하며, 포유류조류를 숙주로 삼는다.[7] 소, 말, 양, 돼지, 닭과 같은 농장 동물에서 빠르게 확산된다.[7] 곰, 사슴, 여우, 토끼와 같은 야생 동물, 족제비, 쥐와 같은 작은 포유류, 그리고 조류에서도 자연적으로 감염된 사례가 발견되었다.[7] 또한 고양이, 개, 인간에게서도 발견되었다.[7] 조류에 기생하여 새로운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여겨진다.[7]

3. 2. 번식

작은소참진드기는 유성생식 또는 처녀생식(단성생식)을 통해 번식할 수 있다.[7] 일본 내 단성생식 계통의 성비는 암컷 500:수컷 1이며, 수컷은 생식 능력이 없다.[24] 암컷은 흡혈 후 1개월 이내에 약 0.3mm 크기의 알을 2000~3000개 낳는다.[24] 산란 후 약 3일 만에 암컷은 죽는다.[24]

4.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약 3mm이지만, 흡혈하면 약 10mm가 된다.

5. 매개 질병

작은소참진드기는 여러 질병을 매개한다.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SFTS)은 작은소참진드기를 통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동북아시아를 중심으로 발견된다.[12]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2007년부터 2010년까지 557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18명이 사망했다.[32] 일본에서는 2013년 1월 30일 일본 후생노동성이 야마구치 현의 여성이 SFTS로 사망했다고 발표한 이후, 2013년 2월 13일 에히메 현과 미야기 현에서 추가 사망자가 발생했다.[33] 대한민국에서는 2013년 5월 16일 제주도에서 SFTS 감염 의심 환자가 처음 보고되었고,[34] 이후 70대 노인이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려 사망하는 사례가 발생했다.

긴꼬리참진드기는 소에게 테일레리아증을 전파하여 혈액 손실과 송아지 폐사를 유발할 수 있으며, 낙농가와 양축 농가에 경제적 피해를 입힌다.[7]

라임병 보렐리아, 발진열리케차,[15] ''에를리키아 파게엔시스'', ''아나플라스마 보비스''와 같은 인간 질병이 ''H. longicornis''에서 검출되었다.[16] 이 진드기는 러시아 봄-여름 뇌염, 포와산 바이러스, 하산 바이러스, 진드기 매개 뇌염 바이러스,[7] 일본 발진열,[17]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과 관련이 있다.[12] 그 외에도 일본 홍반열,[25] 큐열과 같은 질병과 개나 소에 감염되는 바베시아증을 매개한다.

6.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SFTS) 감염 사례



작은소참진드기를 통해 발생하는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SFTS)은 주로 동북아를 중심으로 발견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2007년 5월 ~ 2010년 9월 557명의 환자가 발생하였고 18명이 목숨을 잃었다.[32]

2013년 1월 30일 일본 후생노동성야마구치현의 여성이 이 진드기가 옮기는 바이러스 전염병인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SFTS)’으로 숨졌다고 발표한 이래, 2013년 2월 13일에도 2명이 숨졌다고 발표했다. 사망자는 에히메현미야기현에 사는 성인 남성으로 2012년 가을에 사망하였다.[33]

2013년 5월 16일 제주도에서 이 진드기가 옮기는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SFTS)’에 걸려 숨진 것으로 추정되는 환자가 발생하였다. 질병관리본부는 감염 의심 사례가 더 있다고 밝혔다.[34] 또한 제주도에서는 70대 노인이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려 숨졌다. 대한민국에서는 300명이 입원하여, 1명이 숨을 거둔 셈이다.

6. 1. 대한민국

2013년 5월 16일 제주도에서 작은소참진드기가 옮기는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SFTS)’에 걸려 숨진 것으로 추정되는 환자가 발생하였다. 질병관리본부는 감염 의심 사례가 더 있다고 밝혔다.[34] 이후 전국적으로 감염 사례가 보고되고 있으며, 질병관리본부는 지속적인 감시와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SFTS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과 피해자 지원을 촉구하고 있다. 제주도에서는 70대 노인이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려 숨졌다. 대한민국에서는 300명이 입원하여, 1명이 숨을 거둔 셈이다.[34]

6. 2. 일본

2013년 1월 30일, 일본 후생노동성야마구치현의 여성이 작은소참진드기가 옮기는 바이러스 전염병인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SFTS)’으로 숨졌다고 발표했다.[33] 이후 에히메현미야기현에 사는 성인 남성도 2012년 가을에 SFTS로 사망한 사실이 2013년 2월 13일에 발표되었다.[33]

6. 3. 중국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2007년 5월부터 2010년 9월 사이에 작은소참진드기를 통해 발생하는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SFTS)으로 557명의 환자가 발생하였고 18명이 목숨을 잃었다.[32]

참조

[1] 웹사이트 US invaded by savage tick that sucks animals dry, spawns without mating https://arstechnica.[...] Ars Technica 2018-08-08
[2] 웹사이트 Exotic Tick Species Identified on Hunterdon County Farm http://www.nj.gov/ag[...] Department of Agriculture, State of New Jersey 2017-11-21
[3] 뉴스 Native to Asia, Found in New Jersey: The Curious Case of an Invasive Tick https://entomologyto[...] 2018-02-21
[4] 웹사이트 Haemaphysalis longicornis https://phil.cdc.gov[...]
[5] 웹사이트 Longhorned Tick a.k.a. Cattle Tick or Bush Tick (Haemaphysalis longicornis) http://neregionalvec[...] 2018-08-08
[6] 웹사이트 Intruder Alert: Longhorned Tick https://www.acq.osd.[...] 2018-08-08
[7] 문서 "Haemaphysalis longicornis Neumann, 1901 Profile" http://www.smsl.co.n[...] New Zealand Biosecure Entomology Laboratory 2010-04
[8] 웹사이트 First Confirmed Longhorned Tick Found in Maryland http://news.maryland[...] Maryland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2018-08-07
[9] 웹사이트 PRO/AH/EDR> Invasive tick – USA: (NJ) http://www.promedmai[...] 2018-07-30
[10] 웹사이트 Invasive tick – USA (11): (PA) http://www.promedmai[...] 2018-08-02
[11] 논문 Multistate Infestation with the Exotic Disease–Vector Tick Haemaphysalis longicornis – United States, August 2017–September 2018 2018-11-30
[12] 웹사이트 New Jersey Is Dealing with a Tick Species That Is New to America https://www.forbes.c[...] 2018-04-21
[13] 웹사이트 A swarming, exotic tick species is now living year round in N.J. http://www.nj.com/hu[...] 2018-04-21
[14] 웹사이트 Shocking discovery in New Jersey, authorities scrambling https://www.morningt[...] Morning Ticker 2018-04-21
[15] 논문 "[Detection of co-infection with Lyme spirochetes and spotted fever group rickettsiae in a group of ''Haemaphysalis longicornis'']" 2008-12
[16] 논문 Molecular detection of Ehrlichia chaffeensis and Anaplasma bovis in the salivary glands from Haemaphysalis longicornis ticks
[17] 웹사이트 PRO/AH/EDR> Invasive tick – USA: (NJ) http://www.promedmai[...] 2018-07-30
[18] 문서 <速報>国内で初めて診断された重症熱性血小板減少症候群患者 http://www.nih.go.jp[...] 国立感染症研究所 2013-01-30
[19] 논문 島根半島におけるニホンジカの分布密度に関連したマダニ相 https://doi.org/10.7[...] 日本衛生動物学会
[20] 논문 日本産鳥類とマダニ類との宿主-寄生関係に関する文献的検索 http://ir.lib.hirosh[...] ホシザキグリーン財団 2001-12
[21] 문서 マダニ類-しつこい吸血鬼- https://doi.org/10.1[...] 2006
[22] 문서 鳥取県東部におけるマダニ科の季節消長 https://www.pref.tot[...] 2020-03-27
[23] 논문 フタトゲチマダニの繁殖学 https://doi.org/10.2[...] 日本ダニ学会
[24] 논문 マダニの生物学 http://www.bayer-pet[...] バイエル薬品株式会社
[25] 논문 High Incidence of Rickettsiosis Correlated to Prevalence ofRickettsia japonica amongHaemaphysalis longicornis Tick https://doi.org/10.1[...] 日本獣医学会
[26] 서적 Dictionary of parasitology http://books.google.[...] CRC Press
[27] 저널 Detection of co-infection with Lyme spirochetes and spotted fever group rickettsiae in a group of Haemaphysalis longicornis
[28] 뉴스 '살인 진드기' 바이러스 국내서도 확인(종합)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9] 문서 작은소참진드기 https://terms.naver.[...] 한국동식물도감 2013-02-15
[30] 저널 Potential Spatial Distribution of the Newly Introduced Long-horned Tick, Haemaphysalis longicornis in North America https://www.nature.c[...] nature 2019
[31] 문서 야마니치현 위생환경 연구소 2013
[32] 뉴스 中 '살인진드기' 공포…18명 목숨 앗아가 http://news.naver.co[...]
[33] 뉴스 일본 살인 진드기 피해자 3명으로 늘어(종합)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13-02-13
[34] 뉴스 질병관리본부 "살인진드기 감염사례 더 있다" http://www.ajunews.c[...] 아주경제 2013-05-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