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툭시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툭시맙은 두경부암 및 RAS 정상형 전이성 대장암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이 약물은 종양의 EGFR 발현 여부에 따라 효과가 달라지며, KRAS 유전자 돌연변이가 없는 환자에게 주로 사용된다. 세툭시맙은 EGFR에 결합하여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며, 두경부암 치료에는 방사선 치료나 화학 요법과 병용된다. 부작용으로는 여드름모양발진, 발열, 알레르기 반응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특정 지역에서는 아나필락시스 반응의 위험이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양에 사용하는 단클론 항체 - 트라스투주맙
    트라스투주맙은 HER2 양성 유방암 치료에 사용되는 표적 항암제인 단클론 항체로, 생존율 향상에 기여하지만 심장 독성과 같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화학요법 및 다른 표적치료제와 병용하거나 위암 등 다른 HER2 양성 암에도 사용되고,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항체-약물 접합체 개발에도 활용된다.
  • 종양에 사용하는 단클론 항체 - 리툭시맙
    리툭시맙은 B세포 표면의 CD20 항원에 결합하여 B세포를 고갈시키는 키메라 단클론 항체로, 혈액암 및 자가면역질환 치료에 사용되며, 다양한 질병에 대한 치료 효과로 여러 바이오시밀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 - 조제분유
    조제분유는 모유 수유가 어려운 영아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대체 식품으로, 낮은 모유 수유율로 인해 널리 사용되지만 질병 위험 증가 및 안전성 문제, 마케팅 윤리 논란 등으로 국제적인 규제를 받고 있다.
  •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 - 탈리도마이드
    탈리도마이드는 1950년대 후반 독일에서 개발된 수면제 및 입덧 완화제였으나, 심각한 기형 유발 부작용으로 판매가 중단되었고 이후 항암 및 면역 조절 효과가 발견되어 특정 질환 치료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엄격하게 관리되는 약물이다.
세툭시맙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약물 정보
약물 유형단클론 항체
출처xi/o
표적표피성장인자 수용체
상품명어비툭스
Drugs.com세툭시맙
DailyMedID세툭시맙
호주 임신 등급D
투여 경로정맥 주사
ATC 코드L01
ATC 코드 세부 분류FE01
호주 법적 규제S4
캐나다 법적 규제Rx-only
영국 법적 규제POM
미국 법적 규제Rx-only
미국 법적 규제 설명Erbitux- cetuximab solution (DailyMed)
유럽 연합 법적 규제Rx-only
유럽 연합 법적 규제 설명Erbitux EPAR (European Medicines Agency)
반감기114시간
화학 정보
CAS 등록 번호205923-56-4
DrugBankDB00002
DrugBank 참고drugbank
ChemSpiderIDnone
UNIIPQX0D8J21J
UNII 참고FDA
KEGGD03455
KEGG 참고kegg
ChEMBL1201577
ChEMBL 참고EBI
분자식C=6484 H=10042 N=1732 O=2023 S=36
분자량145781.6
기타
세툭시맙
세툭시맙

2. 의학적 사용

세툭시맙은 미국, 유럽, 대한민국에서 두경부암 및 RAS 정상형 전이성 대장암 치료에 승인되었다.[61][62][65][1][2]

진단용 면역조직화학 검사 (EGFR pharmDX)를 이용하여 종양의 EGFR 발현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66] 전이성 대장암 환자의 대략 75%가 EGFR 발현 종양을 가지고 있어, FDA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세툭시맙이나 파니투무맙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66] 그러나 면역조직화학 EGFR 수용체 검사는 세툭시맙이나 파니투무맙에 대한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없다는 근거가 존재하므로, "잘못된 표지자"라고 불려 왔다.[66] 그럼에도 불구하고 EGFR 면역조직화학 검사에서 양성이 나오지 않은 환자에 대해서는 보험사나 의료 체계에서 EGFR 항체 치료 비용 지불을 거부해 왔다.[66]

일본에서 승인된 용법·용량은, 초회 체표면적당 400밀리그램, 그 후 1주마다 체표면적당 250밀리그램의 점적 정맥 주사 투여이다. 2019년 9월 30일, 사회보험진료보수지급기금은 세툭시맙의 적응증 외 사용에 대해, EGFR 양성의 치유 절제 불가능한 진행·재발성 결장·직장암과 두경부암에 "격주"로 투여하는 경우, 해당 사용 사례를 심사상 인정한다고 하는 심사 정보 제공 검토 위원회의 제21차 심사 정보 제공 사례(의과)를 공표했다.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세툭시맙과 베바시주맙 (아바스틴) 병용 치료는 무재발 생존 기간과 전체 생존 기간 중앙값을 유의미하게 단축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3]

2. 1. 두경부암

세툭시맙은 대한민국과 유럽에서 EGFR 발현, RAS 정상형의 전이성 대장암이나 두경부의 편평세포암 치료를 적응증으로 하고 있다.[62][65] 2006년 3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는 머리 및 목 편평 세포 암종(두경부암) 치료를 위해 방사선 치료와 병용하거나, 백금 기반 치료를 받은 환자에게 단독 요법으로 사용하도록 승인되었다.[4]

IMCL-9815 3상 등록 연구에서는 방사선 치료에 세툭시맙을 추가한 경우 p16 또는 HPV 관련 구인두암 인식 및 예방 상태에 관계없이 방사선 치료 단독 요법보다 임상 결과가 개선되었다.[5] 그러나, 후속 연구[6]와 임상 시험(NRG 종양학 RTOG 1016[7] 및 De-ESCALaTE HPV[8])에서는 세툭시맙이 시스플라틴과 비교했을 때 전체 생존율 및 무진행 생존율에서 유의하게 열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424명의 미치료 두경부 편평 상피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제3상 임상 시험에서, 세툭시맙과 방사선 병용 요법군(211명)은 생존 기간 중앙값 49개월, 국소 제어 기간 24.4개월이었으며, 방사선 치료 단독군(213명)의 생존 기간 중앙값 29.3개월, 국소 제어 기간 14.9개월을 상회했다.[57] 또한, 442명의 미치료 두경부 편평 상피암(재발 또는 전이 사례)을 대상으로 한 제3상 임상 시험에서, 세툭시맙과 화학 요법(백금과 FU) 병용 요법군(222명)은 생존 기간 중앙값 10.1개월, 무진행 생존 기간 5.6개월, 반응률 36%였으며, 화학 요법 단독군(220명)의 생존 기간 7.4개월, 무진행 생존 기간 3.3개월, 반응률 20%를 유의하게 상회했다.[58]

2. 2. 대장암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KRAS 정상형 결장암 치료에 세툭시맙 사용을 승인했다.[9][10] KRAS 유전자는 EGFR 경로의 작은 G 단백질을 암호화하는데, 세툭시맙 및 기타 EGFR 억제제는 KRAS가 돌연변이되지 않은 종양에만 작용한다.[15][16] 연구에 따르면 KRAS 유전자 돌연변이를 검출하면 의사가 세툭시맙 및 파니투무맙을 포함한 표적 EGFR 억제제 치료에 반응할 가능성이 낮은 환자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17]

''KRAS'' G13D 돌연변이(코돈 13에서 글리신이 아스파트산으로 변이)를 가진 결장직장 종양이 EGFR 억제(특히 세툭시맙)에 반응한다는 증거가 있다.[18] 그 기전은 아직 연구 중이지만, 현재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특정 변이가 GTPase 활성화 단백질(GAP) ''NFI''와의 상호 작용을 유지하는 방식 때문에 EGFR 억제에 대한 감수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19][20]

플루오로우라실 및 이리노테칸 내성이 있는, EGFR 양성 대장암 환자 57명을 대상으로 한 제2상 임상 시험에서, 세툭시맙 단독 투여 시 8.8%의 반응률을 보였고, 36.8%에서 병변의 진행을 억제했다[54]。이리노테칸 내성이 있는 EGFR 양성 전이성 대장암 환자 329명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 비교 제2상 임상 시험에서, 세툭시맙과 이리노테칸 병용 요법(218명)의 반응률은 22.9%, 병변 진행까지의 기간은 4.1개월, 생존 기간 중앙값은 8.6개월이었으며, 세툭시맙 단독 치료(111명)의 반응률 10.8%, 병변 진행까지의 기간 1.5개월, 생존 기간 중앙값 6.9개월을 상회했다[44]

2013년 5월 시점에서는 KRAS(코돈 12, 13) 변이에 대해 소급 연구 결과 효과가 없을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졌지만, KRAS 변이 중 코돈 13만의 변이에 대해서는 양호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을[55] 것이라는 이견이 있었다. 한편, 2014년 ASCO에서 발표된 결과에 따르면 KRAS(코돈 12, 13) 이외의 RAS 변이(All RAS)를 가진 경우에도 효과가 미미하다는 보고가 나왔다[56]

세툭시맙과 베바시주맙 (아바스틴) 병용 치료는 무재발 생존 기간과 전체 생존 기간 중앙값을 유의미하게 단축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3]

3. 부작용

세툭시맙 치료에 있어서 가장 심각한 부작용 중 하나는 여드름과 비슷한 발진인 여드름모양발진이다.[67] 이 때문에 드물게는 투여 용량을 줄이거나 치료를 중단하게 되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은 가역적으로 치료를 멈추면 원래대로 돌아온다.[11][67]

그 외 발생 가능한 부작용으로는 발열, 오한, 저혈압, 구역질, 구토, 두통, 호흡곤란, 혈관부종, 어지럼증, 아나필락시스, 심정지 등이 있다.[68] 흔한 부작용으로는 광과민성, 마그네슘 배출로 인한 저마그네슘혈증이 있으며, 보다 드문 부작용으로는 폐와 심장독성이 있다.[12][68]

특정 지역에서는 세툭시맙에 처음 노출되었을 때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데, 이는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기 전에 알레르겐에 노출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례적인 현상이다.[13][14] 미국 북동부 지역에서는 1% 미만의 사람이 반응을 보인 반면, 남동부 지역에서는 20% 이상이 반응을 보였다.[13][14] 이는 소고기 알레르기와 공통 항원성을 가지기 때문이다.[60] 세툭시맙의 가변부(Fab 부분)에는 galactose-α-1, 3-galactose(이하 α-gal)라는 당쇄가 있는데, 이 당쇄는 소, 양, 돼지 등에도 풍부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소고기 알레르기 환자에게 세툭시맙을 투여하면 중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난다.[60] 국내에서도 사망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60] 진드기의 타액선에도 α-gal이 존재하며, 진드기 교상에 의해 α-gal에 대한 감작이 일어나 결과적으로 세툭시맙에 대한 알레르기 체질을 획득하는 것이 시사되고 있다.[60] 진드기 교상에 대한 노출 기회로는 개의 사육이 고려되며, 세툭시맙 알레르기의 다수가 개를 사육하고 있다. 또한 거주지도 진드기 서식지와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60] 알파-갈 알레르기도 참조.

4. 작용 기전

세툭시맙은 EGFR에 결합하여 EGFR의 활성화 및 이량체화를 억제한다.[14][46][47] 세툭시맙은 리간드 결합 부위에 EGF의 5배의 친화성[46]을 가지고 EGF와 경쟁적으로 결합하며, 세포 표면에 있는 EGFR을 세포 내로 내재화(internalization)시킨다.[48] 결과적으로 EGFR로부터의 신호 전달이 차단되어 종양 증식 및 전이에 관여하는 세포 기능이 억제된다.

''KRAS'' 유전자는 EGFR 작용 경로에서 작용하는 작은 G 단백질을 암호화한다.[69][70] 세툭시맙과 다른 EGFR 억제제 약물들은 KRAS 돌연변이가 발생하지 않은 종양에만 작용한다.[15][16] 2009년 7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파니투무맙과 세툭시맙에 대하여 라벨을 개정하여, KRAS 돌연변이를 가진 전이성 대장암의 치료를 적응증으로 추가하였다.[63][17] KRAS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를 통해 표적 EGFR 억제제 치료에 반응할 가능성이 낮은 환자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KRAS 야생형 유전자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한 유전자 검사는 EGFR 억제제 치료 시작 전에 임상적으로 시행된다.

''KRAS'' G13D 돌연변이(코돈 13에서 글리신이 아스파트산으로 변이)를 가진 결장직장 종양이 EGFR 억제(특히 세툭시맙)에 반응한다는 증거가 있다.[18] 그 기전은 아직 연구 중이지만, 현재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특정 변이가 GTPase 활성화 단백질(GAP) ''NFI''와의 상호 작용을 유지하는 방식 때문에 EGFR 억제에 대한 감수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19][20]

비임상 시험에서 세툭시맙은 IgG1에 속하는 항체이므로, 항체 의존성 세포 독성(ADCC/antibody-dependent cell-mediated cytotoxicity) 활성에 의한 항종양 효과도 기대된다.[49] 항체 의존성 세포 독성(ADCC) 활성은, 세포막상 FcγR의 결합에 의해 일어나는 항종양 효과 중 하나로, 항체가 암세포 표면에 결합함으로써, Fc 수용체를 통해 NK 세포에 암세포를 표적으로 삼게 하여, NK 세포로부터 퍼포린 (perforin)과 그랜자임 (granzyme)을 분비시킴으로써 암세포에 아폽토시스를 유발한다.[49] 대장암 세포주에 대한 실험 결과, 0.000025µg/mL 이상부터 활성을 보이고 0.025µg/mL 에서 최대의 ADCC 활성을 보였다.[50] 또한, 세툭시맙에 의한 항체 의존성 세포 손상(ADCC) 활성은 EGF 신호 전달계 유전자(K-ras) 이상과 관계없이, 세포 표면의 EGF-R의 발현과 상관한다는 연구[51]가 있다.

5. 역사

1980년대 초, 표피성장인자 수용체(EGFR)를 암 치료의 표적으로 삼는 연구가 시작되었고, 1983년 세툭시맙은 배양 암세포 및 마우스 모델에서 항종양 효과를 보였다.[39][40][41][42] 1990년대에 임상 시험이 시작되었다.[43]

1988년 EGFR 억제에 대한 관찰 결과가 발표되었다.[21][71] 이스라엘바이츠만 과학 연구소를 대표하여 예다 연구소(Yeda Research)는 임클론이 라이선스하고 아벤티스가 소유한 특허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22][73] 해당 특허는 1989년 론-풀랑크-로러에 의해 출원된 것으로, 화학요법에 항-표피성장인자 수용체 항체를 병용하여 특정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사용법에 관한 것이었다.[24][74] 법원은 예다가 미국에서의 특허권을 단독으로 소유하며, 그 외의 외국에서 특허권은 예다와 사노피-아벤티스가 공동으로 소유한다고 판결하였다.[25][26][27][75][76][77]

2001년에서 2002년에 걸쳐 실시된 무작위 비교 임상 시험[44]에서 대장암에 대한 효과가 증명되어, 2003년 12월 전이성 대장암 치료제로 스위스에서 처음 승인되었다. 2004년 2월 12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EGFR을 발현하는 전이성 대장암 치료제로 승인했고, 2006년 3월 1일에는 두경부암 치료제로 추가 승인을 받았다. 또한 2004년 6월에는 유럽 의약품청(EMEA)의 승인을 받았다.

일본에서는 2008년 7월 18일 후생노동성의 제조 판매 승인을 받았다.[25] 이후 RAS 유전자 변이 유무를 고려하여 2019년 9월 효능 또는 효과에서 "EGFR 양성" 문구가 삭제되고 "RAS 유전자 야생형의 치유 절제 불가능한 진행・재발 결장・직장암"으로 변경되었다.

두경부암에 대해서는 2006년 2월 미국, 2006년 3월 유럽에서 방사선 요법과의 병용 요법으로, 2008년 11월 유럽, 2011년 11월 미국에서 백금 제제를 포함하는 화학 요법과의 병용 요법으로 승인되었다. 일본에서는 2012년 12월에 "두경부암" 치료제로 승인되었다.

2001년 FDA 승인 실패로 인해 임클론(ImClone)의 주가가 급락했고, 내부자 거래 사건이 발생하여 마사 스튜어트 등이 징역형을 선고받았다.[33][34]

6. 사회와 문화

6. 1. 제조 및 유통

일라이 릴리 앤드 컴퍼니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임상 및 상업적 사용을 위한 대량 형태의 활성 의약품 성분(API)인 얼비툭스(Erbitux)의 제조 및 공급을 담당한다.[28] 머크 KGaA는 미국 및 캐나다 외의 지역과 일본에 공급하기 위해 얼비툭스를 제조한다.[28] 얼비툭스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일라이 릴리가 판매하며, 미국과 캐나다 외 지역에서는 머크 KGaA가 얼비툭스를 상업화한다. 일라이 릴리는 머크 KGaA로부터 로열티를 받는다. 별도의 계약에 따라 머크,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 및 일라이 릴리 간에 일본에서 공동 독점권이 부여되며 2032년에 만료된다.[28]

6. 2. 경제

세툭시맙 치료에는 고가의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정맥 주사로 투여되는 세툭시맙의 8주 치료 비용은 환자 1인당 최대 3만 달러에 달한다.[29] 2012년에 머크 KGaA는 두경부암 및 결장암 치료제인 얼비툭스(Erbitux) 판매로 8억 8700만 유로(11억 50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렸고,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는 7억 2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30] 얼비툭스는 2013년 세계에서 8번째로 많이 팔린 항암제로, 18억 7000만 달러의 판매고를 올렸다.[31]

6. 3. 바이오시밀러

, 세툭시맙의 바이오시밀러는 없다.[32]

7. 연구

2013년에 출판된 임상시험 연구에서는 위암에 대해서 세툭시맙의 효능을 검증했지만, 생존율에 이득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78][35]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이 주관한 2020년 3상 무작위 통제 시험에서는 세툭시맙을 수술 가능한 간 전이가 있는 대장암 환자의 수술 전후 항암화학요법에 추가할 경우 생존율이 오히려 떨어진다는 것을 밝혔다. 5년간의 추적관찰 결과, 중앙 생존률은 세툭시맙 없이 항암화학요법을 수술 전후에 실시한 환자군에서 81개월이었으나, 세툭시맙을 함께 사용한 환자군에서는 55.4개월이었다.[79][36]

진행성(절제 불가능)/전이성 척삭종 치료를 위한 세툭시맙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다기관 단일군 2상 연구가 진행 중이다.[37]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세툭시맙과 베바시주맙 (아바스틴) 병용 치료는 무재발 생존 기간과 전체 생존 기간 중앙값을 유의미하게 단축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3] 66명의 기 치료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제2상 임상 시험에서, 세툭시맙 단독 치료는 4.5%의 반응률, 30.3%의 질병 조절률을 보였으며, EGFR 양성 환자(60명)로 한정해도 5.0%의 반응률, 30.0%의 질병 조절률을 보였다[59]

8. 알레르기

세툭시맙 치료에서 심각한 부작용 중 하나는 아나필락시스이다. 특정 지역에서는 세툭시맙에 처음 노출되었을 때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데, 이는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기 전에 알레르겐에 노출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례적인 현상이다. 미국 북동부 지역에서는 1% 미만의 사람이 반응을 보인 반면, 남동부 지역에서는 20% 이상이 반응을 보였다.[13][14]

galactose-α-1, 3-galactose(α-gal)는 소, 양, 돼지 등에도 풍부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소고기 알레르기 환자에게 세툭시맙을 투여하면 중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난다.[60] 진드기의 타액선에도 α-gal이 존재하며, 진드기 교상에 의해 α-gal에 대한 감작이 일어나 결과적으로 세툭시맙에 대한 알레르기 체질을 획득하는 것이 시사되고 있다.[60] 알파-갈 알레르기도 참조.

세툭시맙 투여 전 채혈(RAST)이나 소고기 알레르기에 대한 문진만으로는 세툭시맙 알레르기를 완전히 사전 진단할 수 없지만[60], α-갈특이 IgE 검사(CAP-FEIA법)를 통해 높은 민감도로 세툭시맙 알레르기를 사전 진단할 수 있다.[60] 세툭시맙 알레르기는 혈액형과도 관련이 있어, B형이나 AB형에서는 발병이 매우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60]

참조

[1] 웹사이트 Erbitux- cetuximab solution https://dailymed.nlm[...] 2021-09-27
[2] 웹사이트 Erbitux EPAR https://www.ema.euro[...] 2018-09-17
[3] 웹사이트 Drug Approval Package: Erbitux BLA 125084 https://www.accessda[...] 2004-09-13
[4] 웹사이트 Cetuximab Beneficial in Head and Neck Cancer http://www.cancer.go[...] Cancer.gov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3-04-13
[5] 논문 Association of Human Papillomavirus and p16 Status With Outcomes in the IMCL-9815 Phase III Registration Trial for Patients With Locoregionally Advanced Oro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Treated With Radiotherapy With or Without Cetuximab 2016-04
[6] 논문 Primary chemoradiation with cisplatin versus cetuximab for locally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2020
[7] 논문 Radiotherapy plus cetuximab or cisplatin in human papillomavirus-positive oropharyngeal cancer (NRG Oncology RTOG 1016): a randomised, multicentre, non-inferiority trial 2019-01
[8] 논문 Radiotherapy plus cisplatin or cetuximab in low-risk human papillomavirus-positive oropharyngeal cancer (De-ESCALaTE HPV): an open-label randomised controlled phase 3 trial 2019-01
[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accessda[...]
[10] 웹사이트 Erbitux (cetuximab) Solution for intravenous infusion https://dailymed.nlm[...]
[11] 논문 Angiogenesis in cutaneous disease: part I https://www.escholar[...] 2009-12
[12] 간행물 Micromedex Healthcare Series Thomson Healthcare null
[13] 논문 Drug allergens and food--the cetuximab and galactose-α-1,3-galactose story 2014-02
[14] 논문 Cetuximab-induced anaphylaxis and IgE specific for galactose-alpha-1,3-galactose 2008-03
[15] 논문 Cetuximab and chemotherapy as initial treatment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2009-04
[16] 논문 Addition of cetuximab to chemotherapy as first-line treatment for KRAS wild-type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pooled analysis of the CRYSTAL and OPUS randomised clinical trials 2012-07
[17] 웹사이트 Class Labeling Changes to anti-EGFR monoclonal antibodies, cetuximab (Erbitux) and panitumumab (Vectibix): KRAS Mutations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0-01-11
[18] 논문 Association of KRAS p.G13D mutation with outcome in patients with chemotherapy-refractory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treated with cetuximab 2010-10
[19] 논문 A systems mechanism for KRAS mutant allele-specific responses to targeted therapy 2019-09
[20] 논문 KRAS G13D sensitivity to neurofibromin-mediated GTP hydrolysis 2019-10
[21] 논문 Efficacy of antibodies to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against KB carcinoma in vitro and in nude mice 1988-12
[22] 웹사이트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mpany Ltd http://www.yedarnd.c[...] 2013-01-05
[23] 논문 Practical lessons from a "made for TV" patent litigation: The trial of Yeda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v. ImClone Systems Inc. and Aventis Pharmaceuticals Inc. http://www.yedarnd.c[...] 2008-02
[24] 특허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 to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and therapeutic methods employing same
[25] 웹사이트 Court ruling on Yeda vs Aventis/Imclone case http://www.nysd.usco[...] 2012-05-25
[26] 웹사이트 Yeda Research v. Imclone Systems, et al http://www.legalmetr[...] 2015-08-30
[27] 뉴스 ImClone goes up against patent dispute https://www.usatoday[...] 2006-09-14
[28] 웹사이트 Eli Lilly and Company Form 10-K Annual Report 2013 https://investor.lil[...]
[29] 논문 The price tag on progress--chemotherapy for colorectal cancer 2004-07
[30] 웹사이트 Merck KGaA's Erbitux beats Avastin in bowel cancer trial, Reuters, Jun 1 2013 http://in.reuters.co[...]
[31] 웹사이트 Top 10 best-selling cancer drugs of 2013; May 29, 2014 http://www.fiercepha[...]
[32] 논문 Why is there no biosimilar of Erbitux? 2023-09
[33] 뉴스 MARTHA STEWART'S SENTENCE: THE OVERVIEW; 5 Months in Jail, and Stewart Vows, 'I'll Be Back' https://www.nytimes.[...] 2004-07-17
[34] 뉴스 'HALF' LIFE OF MARTHA CONVICT https://nypost.com/2[...] 2008-08-19
[35] 논문 Current Molecular Targeted 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rapeutic Mechanism, Clinical Trials, and Practical Application
[36] 논문 Systemic chemotherapy with or without cetuximab in patients with 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is (New EPOC): long-term results of a multicentre, randomised, controlled, phase 3 trial 2020-03
[37] 웹사이트 Cetuximab for the Treatment of Advanced Unresectable or Metastatic Chordoma https://clinicaltria[...]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22-09-04
[38] 문서 三重大学医学部医学部付属病院 皮膚科・薬剤部 「分子標的薬 皮膚対策マニュアル2011」 p.29 /HRについてJonker DJ, et al.: N Engl J Med. 357(20): 2040-2048, 2007
[39] 논문 Status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antagonists in the biology and treatment of cancer. 2003
[40] 논문 Growth stimulation of A431 cells by EGF. Identification of high affinity receptors for epidermal growth factor by an anti-receptor monoclonal antibody. 1983
[41] 논문 Biological effect in vitro of monoclonal antibodies to human EGF receptors. 1983
[42] 논문 Growth inhibition of human tumor cels in athymic mice by anti-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monoclonal antibodies. 1984
[43] 논문 Phase I and imaging trial of indium 111-labeled anti-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monoclonal antibody 225 in patients with squamous cell lung carcinoma. 1991
[44] 논문 Cetuximab monotherapy and cetuximab plus irinotecan in irinotecan-refractory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2004
[45] 웹사이트 新規事例|社会保険診療報酬支払基金 https://www.ssk.or.j[...] 2019-10-21
[46] 논문 Biological efficacy of a chimeric antibody to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in a human tumor xenograft model. 1995
[47] 논문 Structural basis for inhibition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by cetuximab. 2005
[48] 논문 Role of an anti-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in treating cancer. 1999
[49] 웹사이트 "アービタックスR注射液100mg」 アービタックスR 非臨床試験(アービタックスR製品情報概要より)" http://www.bms.co.jp[...] ブリストル・マイヤーズ株式会社HP
[50] 간행물 大腸癌細胞株に対するセツキシマブを介した抗体依存性細胞傷害活性(ADCC)の検討 癌と化学療法社 2008
[51] 웹사이트 大腸癌におけるcetuximab の抗体依存性細胞傷害(ADCC)活性と細胞表面EGF-R 発現との関連 http://www.myschedul[...] 日本消化器外科学会 2012-07
[52] 논문 Inhibitory Fc receptors modulate in vivo cytotoxicity against tumor targets. 2000-04
[53] 논문 Chemotherapy, Bevacizumab, and Cetuximab in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2009
[54] 논문 Phase II trial of cetuximab in patients with refractory colorectal cancer that expresses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004
[55] 논문 Cetuximabで治療した化学療法抵抗性の転移を有する大腸癌患者におけるKRAS p.G13D変異と予後との関係 2010
[56] 논문 Fluorouracil, Leucovorin, and Irinotecan Plus Cetuximab Treatment and RAS Mutations in Colorectal Cancer. http://jco.ascopubs.[...]
[57] 논문 Radiotherapy plus cetuximab for squamous-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2006
[58] 논문 Platinum-based chemotherapy plus cetuximab in head and neck cancer. 2008
[59] 논문 Phase II trial of cetuximab in patients with previously treated non-small-cell lung cancer. 2006
[60] 웹사이트 ラジオ日経 2014年9月11日放送 マルホ皮膚科セミナー 千貫祐子 牛肉アレルギーの意外な実態 島根大学医学部 皮膚科 講師 http://medical.radio[...] 2017-12-05
[61] 웹인용 Erbitux- cetuximab solution https://dailymed.nlm[...] 2021-09-27
[62] 웹인용 Erbitux EPAR https://www.ema.euro[...] 2018-09-17
[63] 웹인용 Class Labeling Changes to anti-EGFR monoclonal antibodies, cetuximab (Erbitux) and panitumumab (Vectibix): KRAS Mutations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0-01-11
[64] 웹인용 Therascreen KRAS RGQ PCR Kit – P110030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2-07-06
[65] 웹인용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2023-10-07
[66] 저널 Targeting EGFR in colorectal cancer 2008-10
[67] 저널 Angiogenesis in cutaneous disease: part I https://www.escholar[...] 2009-12
[68] 문서 8. Micromedex Healthcare Series [Internet database]. Greenwood Village, Colo: Thomson Healthcare. Updated periodically
[69] 저널 Cetuximab and chemotherapy as initial treatment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2009-04
[70] 저널 Addition of cetuximab to chemotherapy as first-line treatment for KRAS wild-type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pooled analysis of the CRYSTAL and OPUS randomised clinical trials 2012-07
[71] 저널 Efficacy of antibodies to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against KB carcinoma in vitro and in nude mice 1988-12
[72] 웹인용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mpany Ltd http://www.yedarnd.c[...] 2013-01-05
[73] 저널 Practical lessons from a "made for TV" patent litigation: The trial of Yeda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v. ImClone Systems Inc. and Aventis Pharmaceuticals Inc. http://www.yedarnd.c[...] 2008-02
[74] 특허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 to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and therapeutic methods employing same
[75] 웹인용 Court ruling on Yeda vs Aventis/Imclone case http://www.nysd.usco[...] 2012-05-25
[76] 웹인용 Yeda Research v. Imclone Systems, et al http://www.legalmetr[...] 2015-08-30
[77] 뉴스 ImClone goes up against patent dispute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06-09-14
[78] 저널 Current Molecular Targeted 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rapeutic Mechanism, Clinical Trials, and Practical Application
[79] 저널 Systemic chemotherapy with or without cetuximab in patients with 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is (New EPOC): long-term results of a multicentre, randomised, controlled, phase 3 trial 20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