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롱비엔 대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롱비엔 대교는 1899년에 착공하여 1902년에 완공된 베트남 하노이의 홍강을 가로지르는 다리이다.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하이퐁과 하노이를 철도로 연결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완공 당시에는 '폴 두메르 다리'로 명명되었다. 베트남 전쟁 중에는 전략적 요충지로 미군의 폭격을 받았고, 이후 복구되어 현재까지 철도, 오토바이, 자전거, 보행자가 이용하고 있다. 롱비엔 대교는 식민지 시대의 건축물로서 역사적 가치를 지니며, 다리 중앙부의 파괴된 디자인이 특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노이의 교통 - 노이바이 국제공항
    노이바이 국제공항은 1978년 개항한 베트남 하노이의 관문이자 떤선녓 국제공항에 이어 베트남에서 두 번째로 큰 공항으로, 국내선과 국제선 노선을 운영하며 스카이팀의 주요 허브 공항이다.
  • 하노이의 교량 - 녓떤 대교
    녓떤 대교는 일본 ODA 자금 지원으로 하노이에 건설되어 노이바이 국제공항과 하노이를 잇는 주요 교통로 역할을 하는 다리로, 양방향 6차선과 자전거 및 보행자 도로로 구성되어 있다.
  • 하노이의 교량 - 쯔엉즈엉 대교
    쯔엉즈엉 대교는 1993년 개통되어 호치민 시의 1구와 2구를 연결하며 사이공 강을 가로지르는 중요한 다리이다.
  • 하노이의 건축물 -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하노이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하노이는 1899년 건축 허가를 받아 1901년 개장한 베트남 하노이에 위치한 호텔로,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시작하여 베트남 전쟁과 사회주의 시대를 거쳐 소피텔 체인으로 소유권이 이전되었으며, 2019년 도널드 트럼프와 김정은의 정상회담 장소로 사용되었다.
  • 하노이의 건축물 - 하노이 오페라 하우스
    하노이 오페라 하우스는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파리의 가르니에 궁전을 모델로 건설된 신고전주의 양식의 건축물로, 현재 베트남 국립 오페라 발레단의 주요 공연장이자 하노이의 랜드마크이다.
롱비엔 대교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일반 정보
2010년 당시의 롱비엔 다리
2010년 당시의 롱비엔 다리
베트남어 명칭Cầu Long Biên
한월어 명칭橋龍編 (Kiều Long Biên)
위치하노이, 호안끼엠 - 롱비엔
횡단홍강 (홍강)
용도교량
상세 정보
설계자불명
시공자Daydé & Pillé
형식트러스교
재료강철
전체 길이1700 m
최대 경간 길이불명
연혁 정보
착공불명
준공1902년
개통불명
폐쇄불명
기타 정보
좌표21° 2′ 36″ N 105° 51′ 32″ E

2. 역사

롱비엔 대교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기, 식민지 경영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 당시 인도차이나 총독이었던 폴 두메르하이퐁하노이철도로 연결할 목적으로 이 다리의 건설을 추진했으며, 프랑스의 Daydé & Pillé|데이데 에 필레fra사가 1899년 착공하여 1902년에 완공했다.[5] 완공 당시에는 총독의 이름을 따 '폴 두메르 다리'로 불렸으며, 인도차이나에서 가장 크고 아름다운 다리로 여겨졌다.[5]

베트남 전쟁 중에는 북베트남의 주요 보급로였기 때문에 미군의 집중적인 폭격 대상이 되어 여러 차례 파괴와 복구를 거듭했다. 전쟁 이후에도 하노이의 중요한 교통 시설로 이용되었으며, 1986년 인근에 쯔엉즈엉 대교가 개통된 이후 이용 방식에 일부 변화가 있었다.[5]

2. 1. 프랑스 식민지 시대

1897년부터 1902년까지 5년간 인도차이나 총독을 지낸 폴 두메르(Paul Doumer)는 프랑스 본국에 식민지 재정을 의존하지 않고자 했다. 이를 위해 주민들에게 토지세, 인두세 등을 징수하고 소금아편 등을 전매하여 막대한 이익을 얻었다.[5] 이 재원을 바탕으로 대규모 공공 사업을 추진했는데, 1900년 무렵 하노이에서 남북으로 철도가 부설되고 하이퐁항이 개항되면서 하이퐁하노이철도로 연결할 필요성이 커졌다.[5]

이에 따라 롱비엔 대교 건설이 추진되었다. 프랑스의 건설 회사인 Daydé & Pillé|데이데 에 필레fra가 공사를 낙찰받아 1899년에 착공하여 3년 뒤인 1902년에 준공했으며,[5][1] 1903년에 개통되었다.[1] 건설 기간 동안 3,000명 이상의 베트남인이 동원되었으며,[1] 이는 프랑스 식민 정부가 북베트남에 대한 통제를 확보하는 데 전략적으로 중요한 사업이었다.[1]

완공 직후의 롱비엔 교


완공 당시 다리의 이름은 당시 총독이었던 폴 두메르의 이름을 따 '폴 두메르 다리'(Pont Paul-Doumer)로 명명되었다.[1][5] 길이는 2.4km에 달해,[1] 당시 아시아에서 가장 긴 다리 중 하나였으며 인도차이나에서는 가장 크고 아름다운 다리로 꼽혔다.[5] 철골을 이용한 트러스 구조로 설계되었는데, 우아한 곡선미 때문에 마치 에펠탑을 옆으로 눕힌 것 같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5] 파리의 에펠탑을 설계한 귀스타브 에펠이 이 다리도 설계했다는 설이 있지만, 이는 확인되지 않은 사실이다.[12]

2. 2. 베트남 전쟁 시기

베트남 전쟁 동안 롱비엔 교는 당시 하노이하이퐁의 주요 항구를 연결하는 홍강을 가로지르는 유일한 다리였기 때문에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로 여겨져 미군에게 심하게 폭격을 받았다. 첫 번째 주요 공격은 1967년에 있었는데, 8월 11일 미국 공군(USAF) 소속 F-105 전투 폭격기 20대의 공격으로 다리의 중앙 경간이 파괴되었다.[2] 그러나 CIA 보고서에 따르면, 이 다리가 끊어진 것이 예상했던 것만큼 큰 혼란을 일으키지는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3]

1972년 5월 10일, 롱비엔 교는 북베트남의 부활절 공세에 대응하여 실시된 첫 번째 라인배커 작전의 공격 대상이 되었다. 같은 해 5월 13일, 미국 공군은 레이저 유도 폭탄(LGB)을 사용하여 다리의 여러 경간을 파괴했다고 발표했다.[4] 이후에도 미군의 공격은 계속되어, 8월 9일에는 새로 수리된 다리가 또 다른 레이저 유도 폭탄 공격으로 무력화되었고,[4] 9월 11일에는 수리가 거의 완료될 무렵 다리가 다시 공격받았다.[4] 이처럼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미군에 의해 반복적으로 폭격당해 파괴되었으나, 그때마다 복구되어 사용되었다. 현재 다리 중앙 부근의 일부 구조물은 당시 파괴된 모습으로 남아있다.

2. 3. 현대

베트남 전쟁 동안 미군의 반복적인 폭격으로 파괴되었으나, 이후 복구되어 오늘날에도 중요한 교통로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쟁의 상흔으로 다리 중앙 부근의 원래 디자인 일부는 파괴된 상태로 남아있다.[10][11]

1980년대 중반까지는 철도는 물론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 보행자 모두 이 다리를 이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1986년 인근에 쯔엉즈엉 대교가 완공되면서 한때 자동차와 자전거의 통행이 금지되었다. 이후 쯔엉즈엉 대교의 교통 체증이 심화되자 이를 완화하기 위해 2005년부터는 다시 자전거의 통행이 허용되고 있다.

현재 교량은 노후화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10][11], 주로 기차, 오토바이, 자전거, 보행자가 이용하고 있다. 쯔엉즈엉 교량, 타인찌 교량, 탕롱 교량, 빈투이 교량, 녓떤 교량 등 새로운 다리들이 건설되어 교통량이 분산되었지만, 롱비엔 대교는 여전히 하노이의 주요 교통 시설 중 하나이다.

교량의 일부 구조는 원래 형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파괴된 부분을 복구하기 위한 대규모 보수 공사가 여러 차례 이루어졌다. 현재 교량의 절반 정도만이 원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랑스 정부의 지원과 차관을 통해 교량을 원래 모습으로 복원하려는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한편, 교량 아래 홍강에는 베트남 농촌 지역에서 온 빈곤층 가정들이 배 위에서 생활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2005년 방영된 SBS 추석 특집 드라마 《하노이 신부》에서 롱비엔 다리 위를 달리는 장면이 등장하기도 했다.[13]

3. 구조

롱비엔 대교는 철골 트러스 구조로 건설되었으며, 우아한 곡선 디자인 때문에 에펠탑을 옆으로 눕힌 모습과 비슷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5] 다리의 길이는 약 1.7km[5]이며, 다른 자료에서는 2.4km[1]로 기록되어 건설 당시 아시아에서 가장 긴 다리 중 하나였다.[1] 프랑스의 건설사인 다이데 & 필(Daydé & Pillé)이 1899년부터 1902년까지 건설을 맡았으며, 당시 3,000명 이상의 베트남인이 건설에 참여했다.[1] 다리에는 건설 당시 설치된 다이데 & 필 사의 이름이 새겨진 명판이 남아있다.

원래 다리는 철도 선로와 함께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 보행자 모두 통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베트남 전쟁 중에는 하노이와 주요 항구인 하이퐁을 연결하는 유일한 다리라는 전략적 중요성 때문에 미국 공군(USAF)의 심한 폭격을 받았다. 1967년 8월 11일, 미 공군 F-105 전투 폭격기 20대의 공격으로 다리 중앙 경간이 파괴되었고,[2] 1972년 라인배커 작전 중에는 레이저 유도 폭탄(LGB) 공격을 받아 여러 차례 파괴되었다.[4]

전쟁 이후 대규모 보수 공사가 이루어졌지만, 폭격으로 파괴된 부분을 메우는 과정에서 원래의 모습은 상당 부분 손실되어 현재는 교량의 절반 정도만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프랑스 정부의 지원을 받아 교량을 원래 모습으로 복원하는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1986년 인근에 쯔엉즈엉 대교가 완공되면서 한때 자동차와 오토바이 통행이 금지되었으나, 쯔엉즈엉 대교의 교통 체증 완화를 위해 2005년 이후 오토바이 통행이 다시 허용되었다.[5] 현재는 기차, 오토바이, 자전거, 보행자만 롱비엔 대교를 이용하고 있으며, 자동차 등 다른 교통량은 인근의 쯔엉즈엉 대교, 타인찌 교량, 탕롱 교량, 빈투이 교량, 녓떤 교량 등으로 우회하고 있다.

4. 문화적 의의



롱비엔 교는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건설되어 베트남 전쟁의 포화를 겪고 현재까지 이용되는 다리로서, 베트남 근현대사의 중요한 상징물로 여겨진다.

1899년부터 1902년까지 건설된 이 다리는 당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이었던 폴 도메르의 이름을 따 '도메르 교'라고 불렸다.[5] 이는 하이퐁하노이철도로 연결하여 식민 통치를 강화하고 경제적 이익을 얻으려는 프랑스의 의도가 담긴 대규모 공공 사업의 일환이었다.[10][11][5] 당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가장 크고 아름다운 다리로 평가받았으며, 철골 트러스 구조의 우아한 곡선은 에펠탑을 옆으로 눕힌 것 같다는 평을 받기도 했다.[5]

베트남 전쟁 시기에는 주요 보급로 차단을 노린 미군의 반복적인 폭격 대상이 되어 여러 차례 파괴되었다. 하지만 그때마다 복구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베트남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부분이다. 현재 다리 중앙 부근에는 폭격으로 파괴된 디자인 일부가 그대로 남아 전쟁의 흔적을 보여주고 있다.[10][11]

한때 파리의 유명한 에펠탑을 설계한 귀스타브 에펠이 이 다리를 설계했다는 이야기가 널리 퍼졌으나, 다리에 부착된 제조 명판을 통해 프랑스의 Daydé & Pillé프랑스어사가 건설했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에펠 설계설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12][5]

2005년 대한민국의 SBS 추석 특집 드라마 《하노이 신부》에서 주요 배경으로 등장하여 한국 시청자들에게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3]

5. 갤러리

1915년의 롱비엔 교


홍강에서 바라본 롱비엔 교

참조

[1] 뉴스 Long Bien: Historic Hanoi bridge with an uncertain future https://www.bbc.co.u[...] BBC News Magazine 2013-08-18
[2] 간행물 388th TFW official history & Rolling Thunder Digest (CINCPAC) Edition Five 1967-07/09
[3] 웹사이트 Bombing of the Cau Long Bien Bridge in Hanoi on 11 August and the effect of the closing of the bridge on transportation in Hanoi CIA Intelligence Cable 1 September 1967 Doc No/ESDN: 0000505896 http://www.foia.cia.[...]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967-09-01
[4] 웹사이트 Command History January 1972 - March 1973 Volume II https://vva.vietnam.[...] Military Assistance Command, Vietnam 1973-07-15
[5] 서적 地球の歩き方
[6] 웹사이트 JTB 론비엔교 (Cau Long Bien (Long Bien Bridge)) http://www.jtb.co.jp[...]
[7] 웹사이트 CITY PASS http://www.citypassg[...]
[8] 웹사이트 Debunking the Eiffel myth in Vietnamese tourism https://www.historic[...] 2024-02-28
[9] 뉴스 Long Bien: Historic Hanoi bridge with an uncertain future BBC 뉴스 매거진 2013-08-18
[10] 서적 론리플래닛
[11] 웹사이트 JTB 롱비엔 다리(Cau Long Bien (Long Bien Bridge)) http://www.jtb.co.jp[...]
[12] 웹사이트 CITY PASS http://www.citypassg[...] 2014-09-11
[13] 뉴스 SBS '하노이 신부', 국내드라마 최초 하롱베이 촬영 https://entertain.v.[...] 마이데일리 2005-0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