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드라마데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드라마데비는 1263년 카카티야 왕국의 완전한 주권자가 된 여성 통치자이다. 그녀는 찰루키아와의 정략 결혼을 통해 왕위에 올랐으며, 아버지 가나파티데바와 함께 섭정으로 통치를 시작했다. 루드라마데비는 귀족 대신 전사를 등용하고, 동강가와 세부나의 침략을 격퇴하는 등 군사적 업적을 세웠다. 그러나 카야스타 족장 암바데바의 반란을 진압하지 못하고 1289년 또는 1295년에 사망했으며, 그녀의 뒤를 이어 딸의 아들 프라타파루드라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루드라마데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라야-가자-케사리 |
재위명 | 루드라-데바 마하라자 |
통치 기간 | 1262년 – 1289년 11월 |
선대 군주 | 가나파티-데바 |
후대 군주 | 프라타파루드라 |
사망일 | 1289년 11월 |
사망 장소 | 추정 위치: 찬두파틀라 (현재의 텔랑가나, 인도) |
왕조 | 카카티야 |
부왕 | 가나파티-데바 |
배우자 | 비라바드라 |
2. 생애
루드라마데비는 1240년경 찰루키아의 소규모 지파 출신인 비라바드라와 결혼했는데, 이는 아버지 가나파티데바가 찰루키아와의 동맹을 위해 계획한 정략결혼이었다.[8] 비라바드라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으며, 루드라마데비의 통치 기간 동안 정치에 관여하지 않았다. 부부 사이에는 입양한 두 딸이 있었다.[9]
루드라마데비는 1261년에서 1262년 사이에 아버지 가나파티데바와 공동으로 카카티야 왕국을 통치하기 시작했으며, 1263년에 완전한 주권을 가진 군주가 되었다.[10] 그녀는 이전 카카티야 군주들과는 달리 귀족 출신이 아닌 많은 사람들을 전사로 모집하고, 그 대가로 토지세 수입에 대한 권리를 부여하여 지지 기반을 확보하고자 했다.
통치를 시작한 직후 루드라마데비는 동쪽의 동강가 왕조와 서쪽의 세부나 왕조로부터 도전을 받았다. 그녀는 동강가 왕조를 성공적으로 격퇴하여 1270년대 후반에는 이들을 고다바리 강 너머로 몰아냈다. 또한 세부나 왕조를 물리쳤으나, 이 과정에서 서부 안드라 지역의 영토를 일부 상실하기도 했다. 그러나 말년에는 내부의 반란에 직면했는데, 1273년 카야스타 가문의 우두머리가 된 암바데바가 카카티야 왕조에 대한 종속을 거부하며 반기를 들었다. 암바데바는 남서부 안드라 지역 대부분과 오늘날의 군투르구 일대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하며 강력한 세력으로 부상했으나, 루드라마데비는 이를 효과적으로 진압하지 못했다.[11]
루드라마데비의 죽음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1289년 암바데바와의 전투 중에 사망했다는 기록이 유력하지만[12], 일부 문헌에서는 1295년까지 생존했다고 전하기도 한다. 그녀의 사후 왕위는 딸의 아들, 즉 외손자인 프라타파루드라에게 계승되었다. 그러나 프라타파루드라가 물려받은 왕국은 루드라마데비 시대보다 영토가 축소된 상태였다.[12]
2. 1. 초기 생애
루드라마데비(రుద్రమ దేవి|루드라마 데비tel, Rudrama-devi)는 루드람바(Rudramba)라고도 불리며, 카카티야 왕국의 가나파티 데바 왕의 딸이었다. 비디아나타(Vidyanatha)의 《프라타파루드라-야쇼부샤남》(Prataparudra-Yashobhushanam)에 대한 쿠마라-스바미 소마피티(Kumara-svami Somapithin)의 해설에 따르면, 루드라마는 소맘바(Somamba) 여왕과 가나파티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같은 문헌의 다른 부분에서는 루드라마를 가나파티의 최고 여왕으로 잘못 언급하기도 한다. 마르코 폴로(1293년경 카카티야 왕국 방문)를 포함한 몇몇 다른 자료와 17세기 문헌인 《프라타파-차리트라》(Pratapa-charitra) 역시 루드라마를 가나파티의 아내로 잘못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동시대의 비문 증거들은 루드라마가 가나파티의 아내가 아닌 딸임을 명확히 보여준다.루드라마데비는 1240년경 찰루키아의 작은 분파 출신이자 니다다볼루의 사만타(Samanta, 봉신) 인두-셰카라(Indu-shekhara)의 아들인 비라바드라(Virabhadra)와 결혼했다.[8] 이 결혼은 아버지 가나파티데바가 찰루키아와의 동맹을 맺기 위해 계획한 정략결혼이었다. 카카티야 군주들은 패배시킨 가문을 다시 권력 구조에 편입시키고 혼인 관계를 맺는 경우가 종종 있었는데, 가나파티가 1240년 벵기를 정복하는 과정에서 이 찰루키아 분파를 복속시킨 후, 그들의 정치적 충성을 확보하기 위해 루드라마의 결혼을 주선했을 가능성이 있다. 남편 비라바드라에 대한 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으며, 루드라마데비의 통치 기간 동안 행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지 않았다. 부부 사이에는 입양한 두 딸이 있었다.[9]
루드라마데비는 1261년에서 1262년 사이에 아버지 가나파티데바와 함께 공동 섭정으로서 카카티야 왕국을 통치하기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0]
2. 2. 카카티야 왕조 통치
아버지 가나파티데바가 1250년대 후반 판디아 왕조에게 패배한 후 정치 일선에서 물러나자, 루드라마데비가 후계자로 지명되었다. 가나파티데바에게는 남자 후계자가 없었기 때문이다. 루드라마데비는 1261년 혹은 1262년경 아버지와 함께 카카티야 왕국의 공동 섭정으로서 통치를 시작했으며, 이때 '루드라데바 마하라자'라는 통치명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0] 이후 1263년에 이르러 완전한 주권을 가진 군주가 되었다.[10]그러나 그녀의 공식적인 즉위 시점에 대해서는 다른 기록도 존재한다. 1266년 트리푸란타캄에서 발견된 비문에는 여전히 가나파티데바가 통치 군주로 언급되어 있으며, 1269년 카카티야 봉신 잔니가데바의 둑기 비문에서는 루드라마를 '파토드티'(원문 ''파토드흐르티''의 오기로 추정되며, "왕족으로 선택된 자"라는 의미)로 묘사하고 있다. 이는 가나파티데바가 1269년까지 생존해 있었으며, 루드라마가 공식적으로 군주로 즉위하지 않은 상태, 즉 지명된 후계자 신분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루드라마데비는 이전 카카티야 군주들과는 다른 정책을 펼쳤다. 귀족 출신이 아닌 많은 사람들을 전사로 모집하고, 그 대가로 토지세 수입에 대한 권리를 부여하여 지지 기반을 확보하고자 했다.
통치를 시작한 직후 루드라마데비는 외부의 도전에 직면했다. 동쪽의 동강가 왕조와 서쪽의 세부나(야다바) 왕조가 카카티야 영토를 위협했다. 그녀는 동강가 왕조를 성공적으로 격퇴하여 1270년대 후반에는 이들을 고다바리 강 너머로 몰아냈다. 세부나 왕조 역시 물리쳤으나, 이 과정에서 서부 안드라 지역의 영토를 일부 상실했다. 금석문 증거에 따르면, 1260년대 동안 카카티야는 가나파티데바 시절 확보했던 최대 영토 중 일부를 잃었던 것으로 보인다. 남쪽 국경 지역은 판디아 왕조에게, 동쪽의 안드라 해안 일부는 가자파티 왕조에게, 북서쪽의 텔랑가나 일부는 세우나 왕조에게 빼앗겼다. 또한 벵기 지역에서는 1262년부터 1278년까지 카카티야 관련 기록이 발견되지 않는데, 이는 이전의 봉신이었던 코나 하이하야와 찰루키아 세력이 더 이상 카카티야의 종주권을 인정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다만, 니다다볼루의 찰루키아 세력의 경우, 그 가문의 비라바드라가 루드라마데비의 남편이었기 때문에 카카티야 측에서 어느 정도 자율권을 부여했을 가능성도 제기되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외부의 위협 외에도 내부의 반란에 직면해야 했다. 1273년, 카야스타 가문의 우두머리가 된 암바데바가 카카티야 왕조에 대한 종속을 거부하며 반기를 들었다. 암바데바는 남서부 안드라 지역 대부분과 오늘날의 군투르구 일대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하며 강력한 세력으로 부상했으나, 루드라마데비는 이를 효과적으로 진압하지 못했다.[11]
루드라마데비의 죽음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1289년 암바데바와의 전투 중에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지만[12], 일부 문헌에서는 1295년까지 생존했다고 전하기도 한다. 그녀의 사후 왕위는 딸의 아들, 즉 외손자인 프라타파루드라에게 계승되었다. 그러나 프라타파루드라가 물려받은 왕국은 루드라마데비 시대보다 영토가 축소된 상태였다.[12]
루드라마데비는 1240년경 찰루키아의 소규모 지파 출신인 비라바드라와 결혼했다. 이는 아버지 가나파티데바가 찰루키아와의 동맹을 위해 계획한 정략결혼이었다.[8] 비라바드라에 대한 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으며, 루드라마데비의 통치 기간 동안 행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지는 않았다. 부부 사이에는 친자식은 없었고 입양한 두 딸이 있었다.[9]
2. 3. 군사적 업적
루드라마데비는 1263년 카카티야 왕국의 완전한 주권자가 된 후[10], 이전 군주들과 달리 귀족 출신이 아닌 이들도 전사로 적극 등용하고 그 대가로 토지세 수입에 대한 권리를 부여하는 정책을 펼쳤다. 이는 왕권 강화와 군사력 증강을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즉위 직후 그녀는 외부 세력의 도전에 직면했다. 동쪽에서는 동강가 왕조가, 서쪽에서는 세부나 왕조가 카카티야 영토를 위협했다. 루드라마데비는 이들의 침입을 성공적으로 격퇴했다. 동강가 군대는 고다바리 강 너머로 물러났고, 세부나 왕조에게 빼앗겼던 서부 안드라 지역의 영토를 되찾았다.[10]
그러나 외부 위협을 막아낸 뒤에는 내부 반란에 직면했다. 특히 1273년 카야스타 가문의 족장이 된 암바데바의 반란은 심각한 위협이었다. 암바데바는 카카티야의 종속에서 벗어나 독자 세력을 구축하려 했으며, 남서부 안드라 지역 대부분과 현재의 군투르 구 일대를 장악했다.[11]
일부 기록은 여성 군주에 대한 반감을 가진 귀족들의 반란 시도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17세기 문헌인 『프라타파-차리트라』는 루드라마데비의 이복형제라고 주장하는 하리-하라와 무라리-데바가 수도 와랑갈을 점령하는 반란을 일으켰으나, 루드라마데비가 지지 세력을 모아 이를 진압했다고 전한다. 이 기록의 역사적 사실성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당시 여성 통치자에 대한 내부적 저항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정황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반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여러 충성스러운 부하들의 역할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프라사디티야를 비롯한 여러 인물들은 반란 세력을 제압하고 왕권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며 '카카티야 왕국의 지지 기둥'이라는 의미의 ''Kakatiya-rajya-sthapan-acharya''와 같은 영예로운 칭호를 받았다. 다음은 루드라마데비 시대에 왕권 안정에 기여하며 특별한 칭호를 사용한 주요 인물들이다.
인물 | 칭호 | 비고 |
---|---|---|
프라사디티야 | Kakatiya-rajya-sthapan-acharya, Raya-pitamahanka | 『프라타파-차리트라』 기록 |
마하-프라다나 칸나라-나야카(또는 칸다라-나야카) | Raya-sthapan-acharya | 1275-1290년 비문 |
마하-프라다나 가나파티-데바(또는 가나파드-데바) 마하라줄루 | Raya-sthapan-acharya | 1275-1290년 비문 |
니샨카 말리카르주나 나야카 | Raya-sthapan-acharya | 1275-1290년 비문 |
암바데바 | Raya-sthapan-acharya | 초기 충성 시기, 1275-1290년 비문 |
군다야-나야카 (말라야라) | Svami-drohara-ganda (주군 배신자 처단자) | |
마다야-나야카 (말라야라) | Svami-drohara-ganda | |
마차야 나야카 | Svami-drohara-ganda, Svami-vamchakara-ganda (주군 기만자 처단자) |
루드라마데비는 다른 외부 세력과의 충돌에서도 군사적 역량을 발휘했다.
- 가자파티와의 전투: 1260년대와 1270년대에 가자파티 왕조(나라싱하 데바 1세, 바누데바 1세)가 연안 안드라 지역을 침공했다. 루드라마데비는 포티 나야카와 프롤리 나야카 형제가 이끄는 군대를 파견하여 이들을 격퇴했다. 두 형제는 '가자파티 코끼리에 대한 사자'라는 의미의 ''가자파티-마타-마탄가-심하''와 '오디아 왕의 자존심을 꺾은 자'라는 의미의 ''오디야라야-마나마르다나''라는 칭호를 얻으며 승리를 과시했다. 이 승리로 카카티야는 연안 안드라 지역 대부분의 통치권을 회복했으며, 이는 1278-1279년 카라파르티 수라야 레디의 비문 등에서도 확인된다.
- 판디아와의 관계: 아버지 가나파티데바 통치 말기에 판디아에게 빼앗겼던 넬로르 등 남부 영토를 되찾기 위한 노력도 있었다. 부하인 잔니가-데바, 나가-데바 등을 통해 카다파와 넬로르 지역 일부를 일시적으로 회복하기도 했으나, 비자야 간다고팔라, 티루-칼라티-데바 2세 등 지역 경쟁자들에게 다시 영토를 빼앗기는 등 완전한 회복에는 이르지 못했다. 판디아 왕자 비크라마가 루드라마와의 직접적인 충돌을 피했다는 기록은 그녀의 군사적 명성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 세우나(야다바)와의 전투: 세우나 왕 마하데바의 침공 역시 루드라마데비의 군사적 성공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세우나 측 기록은 마하데바의 승리를 주장하며 루드라마가 여성이기에 살려주었다고 기록하지만, 이는 패배를 미화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반면, 카카티야 측 기록인 『프라타파-차리트라』는 루드라마데비가 세우나 군대를 격파하고 수도 데바기리까지 추격하여 막대한 전쟁 배상금을 받아냈다고 기록하고 있다. 『프라타파-차리트라』의 묘사에 과장이 있을 수 있으나, 비다르 요새에서 발견된 루드라마의 부하 바이라바의 비문 등 고고학적 증거들은 루드라마데비가 세우나의 침략을 성공적으로 격퇴했음을 뒷받침한다.
하지만 루드라마데비의 통치 말기는 카야스타 암바데바의 반란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암바데바는 한때 루드라마에게 충성하며 '왕국의 기둥'이라는 칭호까지 사용했지만, 결국 독립을 선언하고 카카티야에 맞섰다. 그는 1290년 트리푸란타캄 비문에서 자신의 여러 군사적 성공을 기록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상 | 결과 | 시기/비고 |
---|---|---|
쉬리파티 가나파티 (구린달라 통치자) | 격파 | 1273년, 루드라마의 봉신 |
카카티야 나야카 75명 | 참수 주장 (카카티야 군대 격파 의미) | 쉬리파티 가나파티 격파 이후 |
코페룬징가 2세 (카다바-라야) | 파멸 (vidhvamsa) 주장 | 당시 카카티야 동맹 추정 |
마누마 간다-고팔라 | 넬로르 왕위 임명 | 1281년 이전 |
마누-말리데바 (에루바 통치자) | 격파 및 영토 합병 | 텔루구 초다스 |
마라바르만 쿨라세하라 (판디아 왕) 및 동맹 | 격파 | |
펜데칼루 지역 | 정복 | 볼라야와 결혼 동맹 |
이러한 승리를 통해 암바데바는 크리슈나 강 남쪽의 광대한 지역을 차지하며 사실상 독립적인 왕국을 세웠다. 루드라마데비는 이 반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1289년경 사망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2] 루드라마데비 사망 당시 카카티야 왕국은 암바데바의 반란으로 즉위 초보다 영토가 줄었지만, 아버지 가나파티데바 통치 초기보다는 넓은 영토를 유지했다. 비문 분포를 통해 볼 때, 그녀의 통치 기간 동안 카카티야의 영향력 범위는 점차 축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2. 4. 죽음
루드라마데비는 1289년 11월, 카야스타 족장 암바데바와의 전투 중에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다. 여러 증거가 이 주장을 뒷받침한다.[11]- 찬두팔라 비문: 1289년 11월 27일에 작성된 찬두팔라 비문에는 푸브룰라 뭄마디라는 전사가 루드라마데비("카카티 루드라마-데비")와 그녀의 장군 말리카르주나-나야카의 공덕을 위해 신 소마나타데바에게 토지를 기증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이 비문은 두 사람 모두 "시바-로카", 즉 사후 세계에 도달했다고 명시하는데, 이는 비문 작성일 며칠 전에 사망했음을 시사한다.
루드라마의 죽음을 언급하는 1289년 찬두팔라 비문 - 말리카르주나 관련 기록: 1290년에 말리카르주나의 아들 임마디 말리카르주나-나야카가 발행한 비문은 말리카르주나가 루드라마의 장군이었음을 확인시켜 준다. 이 비문은 "쿠마라 루드라-데바 마하라자"의 공덕을 위해 발행되었다.
- 동시 사망 가능성: 이 비문들은 루드라마와 그녀의 장군 말리카르주나가 거의 같은 시기에 사망했음을 암시한다. 역사가 P.V.P. 샤스트리는 당시 루드라마가 고령(약 80세)이었기 때문에 직접 전투를 지휘하지는 않았을 것이나, 말리카르주나가 이끄는 군대에 동행하여 사기를 북돋았을 수 있다고 추정한다.
- 암바데바의 주장: 암바데바가 1290년에 세운 트리푸란타캄 비문에는 그가 말리카르주나-파티에게서 '일곱 신체'(saptanga)를 빼앗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말리카르주나는 루드라마의 장군과 동일 인물로 보이며, 비문에서는 신들과 브라만의 적으로 묘사된다. '일곱 신체'는 산스크리트어 사전 ''아마라코샤''에 따라 "왕, 장관, 친구, 보물, 영토, 요새, 군대"를 의미하는 왕권의 구성 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 암바데바의 책임 가능성: 암바데바의 반란은 1289년경 카카티야 왕국에서 일어난 유일한 주요 정치적 혼란이었다. 그가 말리카르주나에게서 그의 군주(즉, 루드라마)를 포함한 '일곱 신체'를 빼앗았다고 주장하고, 또한 안드라의 모든 왕을 "정복"했다고 주장한 점은 그가 루드라마의 죽음에 책임이 있음을 시사한다. 샤스트리는 암바데바가 고령의 여왕을 살해했다고 직접 언급하지 않은 이유를, 그것이 전사로서 불명예스러운 일이기 때문일 수 있다고 보았다.
- 고고학적 증거: 2017년, 인도 고고학 조사국의 고고학자 D. 칸나 바부는 볼리쿤타의 포찰라마 사원에서 발견된 두 개의 조각상을 루드라마의 모습으로 확인했다. 첫 번째 조각상은 말을 타고 왼손에는 고삐, 오른손에는 칼을 든 모습이며 머리 위에는 왕실을 상징하는 우산이 있다. 두 번째 조각상은 지치고 슬픈 모습으로 앉아 왼쪽으로 기댄 모습인데, 왕실 우산은 없고 물소(죽음의 신 야마의 탈것)가 묘사되어 있다. 칸나 바부는 이 조각상들이 암바데바와의 전투에서 루드라마가 죽음을 맞이하는 과정을 묘사한 것이라고 해석했다.[2]
- 사망 시점 확정: 과거 일부 역사가들은 프라타파루드라를 '쿠마라'(왕자) 루드라로 칭하는 기록들을 근거로 루드라마데비가 1295년까지 통치했다고 보았다. 그러나 찬두팔라 비문의 발견으로 그녀가 1289년 11월 27일 이전에 사망했다는 사실이 명확해졌다. 1295년 이전의 일부 기록(예: 1292년 잉키랄라 비문)은 프라타파루드라를 ''마하라자'' ("대왕")라고 부른다. 따라서 프라타파루드라가 왕위에 오른 후에도 한동안 관례적으로 '쿠마라'로 불렸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루드라마데비 사후, 그녀의 후계자인 프라타파루드라는 1291년경 암바데바를 격파했다.
3. 통치 방식과 업적
루드라마데비는 1240년경 찰루키아의 한 분파 출신인 비라바드라와 정략 결혼을 했다. 이는 아버지 가나파티데바가 찰루키아와의 동맹을 위해 계획한 것이었다.[8] 비라바드라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으며, 루드라마데비의 행정에는 관여하지 않았다. 부부에게는 입양한 두 딸이 있었다.[9]
루드라마데비는 1261년 또는 1262년에 아버지 가나파티데바와 함께 카카티야 왕국의 공동 섭정으로 통치를 시작했으며, 1263년에 완전한 주권을 가진 통치자가 되었다.[10] 그녀는 이전 카카티야 군주들과는 달리 귀족 출신이 아닌 많은 사람들을 전사로 등용하고, 그 대가로 토지세 수입에 대한 권리를 부여하는 정책을 펼쳤다.
통치를 시작한 직후, 루드라마데비는 동강가 왕조와 세우나 왕조의 침입에 직면했다. 그녀는 동강가 세력을 성공적으로 격퇴하여 1270년대 후반에는 고다바리 강 너머로 물러나게 했으며, 서부 안드라 영토를 빼앗았던 세우나 왕조 또한 물리쳤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1273년 카야스타 가문의 우두머리가 된 암바데바의 반란에 어려움을 겪었다. 카카티야에 종속되기를 거부한 암바데바는 남서부 안드라의 대부분 지역과 오늘날 군투르구에 해당하는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장악했다.[11]
루드라마데비는 암바데바와의 전투 중 1289년에 사망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일부 기록에서는 1295년까지 생존했다고도 전해진다. 그녀의 외손자인 프라타파루드라가 왕위를 계승했으나, 그가 물려받은 왕국은 루드라마데비가 통치를 시작했을 때보다 영토가 줄어든 상태였다.[12]
3. 1. 행정
루드라마데비는 1261년에서 1262년 사이에 아버지 가나파티데바와 함께 카카티야 왕국의 공동 섭정으로 통치를 시작했으며, 1263년에 완전한 주권을 가진 통치자가 되었다.[10] 그녀는 이전 카카티야 군주들과 달리 귀족 출신이 아닌 많은 사람들을 전사로 모집하고, 그들의 지원에 대한 대가로 토지세 수입에 대한 권리를 부여하는 정책을 펼쳤다. 이는 후대의 비자야나가라 황제들에게도 영향을 미친 정책이었다.통치 초기에 루드라마데비는 동강가 왕조와 세우나 왕조의 도전에 직면했다. 그녀는 동강가 세력을 성공적으로 격퇴하여 1270년대 후반에는 고다바리 강 너머로 물러나게 했으며, 서부 안드라 영토를 강제로 양도했던 세우나 왕조 또한 물리쳤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1273년 카야스타 가문의 우두머리가 된 암바데바의 반란에 어려움을 겪었다. 카카티야에 종속되는 것을 거부한 암바데바는 남서부 안드라의 대부분 지역과 오늘날 군투르구에 해당하는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장악했다.[11]
카야스타 가문은 본래 루드라마데비에게 충성했었다. 암바데바의 형들인 잔니가데바와 트리푸라리데바 재임 기간 동안에는 충성 관계를 유지했으며, 1272년 족장이 된 암바데바 역시 초기에는 '라야스타파나차리야'(왕국의 기둥)라는 칭호를 사용하는 등 충성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이후 그는 독립을 선언하고 루드라마데비에 대한 충성을 거두었다. 암바데바는 1290년 트리푸란타캄 비문을 통해 자신의 군사적 성공을 기록했는데, 여기에는 루드라마데비의 봉신들과 동맹국들에 대한 승리가 포함되어 있다.
- 1273년, 구린달라 지역 통치자이자 루드라마데비의 봉신이었던 쉬리파티 가나파티를 물리쳤다.
- 쉬리파티 가나파티를 제압한 후, 루드라마데비가 보낸 군대를 격파했다. 비문에는 75명의 나야카(추장)를 베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가카티야 군대 전체를 물리쳤다는 시적 과장일 수 있다.
- 당시 가카티야의 동맹이었을 가능성이 있는 코페룬징가 2세를 격파했다고 주장했다.
- 1281년 이전에 넬로르의 왕위에 마누마 간다-고팔라를 임명했다.
- 텔루구 초다의 에루바 지역 통치자 마누-말리데바를 물리치고 그의 영토를 합병했다.
- 판디아 통치자 마라바르만 쿨라세하라와 그의 동맹인 칼루카다 추장들을 물리쳤다.
- 볼라야라는 추장과 혼인 동맹을 맺고 펜데칼루 지역을 정복했다.
이러한 승리를 통해 암바데바는 크리슈나 강 남쪽의 이전 가카티야 영토 남서부 대부분을 차지하는 독립적인 세력을 구축했다. 그 결과 루드라마데비가 사망할 당시 카카티야 왕국은 그녀가 물려받았던 왕국보다 작아졌지만, 아버지 가나파티데바 통치 초기보다는 여전히 더 컸다. 루드라마데비를 군주로 언급하는 비문의 분포가 줄어든 것은 그녀의 통치 기간 동안 가카티야의 영향력이 축소되었음을 시사한다.
14세기 초 기록에 따르면, 아버지 가나파티데바는 루드라마데비를 아들과 동등하게 여기고 남성적인 인격을 부여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전통적으로 여성의 정치 참여를 배제했던 부계 사회에서 통치하기 위한 전략으로, 그녀는 남성적인 이름(루드라데바 마하라자)을 사용하고 남성 복장을 했다. 그녀의 남편 비라바드라는 역사 기록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으며 행정에 참여하지 않았다.[8][9]
루드라마데비의 통치 기간 동안 행정 구조에도 변화가 있었다. 귀족이 아닌 인물들을 적극적으로 등용한 정책은 귀족 가문의 영향력 감소와 행정 관리의 중요성 증대로 이어졌다. 가나파티데바 통치 초기(서기 1199-1230년경)에는 카카티야 부하 중 장군과 왕자가 47%, 관리가 26%였으나, 루드라마데비 통치 시기에는 장군과 왕자가 17%로 줄고 관리가 38%로 증가했다. 이는 귀족 가문의 쇠퇴와 관리 역할의 부상을 보여준다. 특히 '앙가락샤카'(경호원)라는 직책은 루드라마데비 시대에 처음 등장했다가 후계자 프라타파루드라 시대에는 거의 사라졌다. 이전 시대에 중요했던 말라야라, 레체르라 같은 가문들은 은퇴하고, 곤나 가문의 레디스나 벨라마 같은 새로운 가문들이 주요 인물로 부상했다.
루드라마데비의 주목할 만한 부하들은 다음과 같다.
가문/인물 | 주요 역할 및 활동 |
---|---|
곤나 가문 (레디 족장) | 곤나 간나야와 그의 장군 비탈라는 후계자 프라타파루드라가 세우나스로부터 벨라리, 라이추르 요새를 탈환하는 데 기여했다. |
벨라마 족장 프라사디티야 | 카카티야 왕국 남서부 지역을 지휘했다. |
카야스타 가문 | 잔니가데바, 트리푸란타카(트리푸라리), 암바데바 형제가 차례로 통치했다. 암바데바는 초기에는 충성했으나 이후 독립을 선언했다. |
아레 가신 | 서부 데칸에서 이주. 세우나 왕 심하나의 아들 샤르가파니데바가 주요 인물이었다. 군사 지휘관 라나카 고파데바라자도 아레 출신이었다. |
신다 가문 | 마일라의 아들 바이라바는 벵기, 드라빌라, 세우나 왕국과의 전쟁에서 루드라마데비를 도왔다. |
비리얄라 가문 | 족장(사만타) 수라는 북부 지역에서 군사 지휘관(세나디파티)으로 활동했다. |
체라쿠 가문 | 남부 지역에서 지휘관으로 활동했다. |
인둘루리 가문 | 재상(마하프라다나)이자 지휘관(세나디파티)인 아나야데바는 루드라마데비의 사위였다. |
폰칼라 말라야 프레가다 | 또 다른 재상(마하프라다나)으로, 72개 왕실 사무소 감독관(바핫타라니요가디파티) 직책을 맡았다. |
3. 2. 군사
루드라마데비는 이전 카카티야 군주들과 달리 귀족 출신이 아닌 많은 사람들을 전사로 모집하고, 그 대가로 토지세 수입에 대한 권리를 부여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이는 군사력을 강화하고 지지 기반을 넓히려는 조치였다.통치를 시작한 직후 동강가와 세부나 왕조의 도전에 직면했다. 그녀는 1270년대 후반 고다바리 강 너머로 동강가 세력을 몰아냈으며, 서부 안드라 영토를 빼앗았던 세부나 왕조를 물리쳤다. 그러나 1273년 카야스타 족장 암바데바가 일으킨 내부 반란을 처리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었다. 카카티야에 종속되기를 거부한 암바데바는 남서부 안드라의 상당 지역과 오늘날의 군투르구 일대를 장악했다.[11]
'''가자파티와의 충돌'''
1260년대와 1270년대 동안 북동쪽의 가자파티 왕국은 연안 안드라 지역에 주둔하며 카카티야 왕국의 영토를 위협했다. 1262년 드락샤라맘 비문에는 가자파티 왕 나라심하 1세로 추정되는 인물이 언급되며, 그의 아들 바누데바 1세는 1274년경 벵기를 침략했다. 오다디의 마츠야 족장 아르주나-데바 등 다른 족장들도 가자파티를 따랐다.
루드라마데비는 포티 나야카와 프롤리 나야카 형제가 이끄는 군대를 보내 가자파티 군대에 맞섰다. 두 형제는 ''가자파티-마타-마탄가-심하''("발정기 코끼리에 대한 사자")와 ''오디야라야-마나마르다나''("오디아 왕의 자부심을 파괴하는 자")라는 칭호를 사용했는데, 이는 그들이 가자파티의 침략을 성공적으로 격퇴했음을 보여준다. 이들의 활약으로 카카티야는 고다바리 강 이남의 연안 안드라 지역 대부분에 대한 통제권을 회복한 것으로 보인다. 1278-1279년 카라파르티 수라야 레디의 비문은 그가 루드라마데비의 봉신임을 밝히며 드락샤라맘의 비메슈바라 신전에 기증한 사실을 기록하고 있어, 이 시기 카카티야의 지배력이 안정적이었음을 뒷받침한다. 비문 증거에 따르면 루드라마 통치 기간 동안 연안 안드라 지역에 대한 카카티야의 지배는 도전을 받지 않았다.
'''판디아와의 충돌'''
아버지 가나파티 통치 말기에 판디아 왕국은 넬로르를 포함한 카카티야 영토 남부를 정복했다. 루드라마데비의 부하인 카야스타 족장 잔니가-데바는 1264년과 1269년 비문에서 북쪽의 판갈부터 남쪽의 카이바람-코타까지 다스렸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판디아의 동맹인 칼루카다 족장 케샤바-데바와 그의 형제가 이 지역 상당 부분을 통제했던 것으로 보인다.
판디아 왕자 비크라마는 치담바람 비문에서 "왕의 이름을 칭한 여인"과 싸우고 싶지 않아 북진을 멈췄다고 기록했는데, 이는 루드라마데비와의 전투에서 패배한 것을 완곡하게 표현한 것일 수 있다.
루드라마데비와 그녀의 부하들이 남긴 비문들은 카카티야가 판디아에게 빼앗겼던 영토 일부를 되찾았음을 시사한다.
연도 | 지역 | 내용 |
---|---|---|
1264년 | 난다루르 | |
1268년 | 시다바탐 근처 아틀루 | |
1271년-1275년 | 넬로르 | 루드라마데비의 봉신 나가-데바 "마하라자"가 통치. 판디아 봉신 비라 라젠드라 촐라(라젠드라 촐라 3세 추정) 축출 추정. |
그러나 카카티야 부하들은 곧 이 영토를 라이벌 족장들에게 잃었는데, 이들은 아마도 판디아 봉신이었을 것이다. 텔루구 초다 족장 비자야 간다고팔라가 카야스타를 몰아낸 것으로 보인다. 전 초다 통치자 마누마-시디 2세의 장남인 티루-칼라티-데바 2세(별칭 트리부바나-차크라바르티 이루마디)는 1263년에 나가-데바를 넬로르에서 몰아낸 것으로 보인다. 그는 1279-1283년경에 넬로르를 통치한 것으로 보이며, 그 전에 또 다른 초다 족장 마누마-간다고팔라가 그를 몰아냈다.
'''세우나(야다바) 왕조와의 충돌'''
세우나(야다바) 왕 마하데바는 루드라마 통치 기간 동안 카카티야 왕국을 침략했다. 마하데바의 비문과 헤마드리의 『브라타-칸다』 등 세우나 측 기록은 마하데바가 틸링가(텔랑가나), 즉 카카티야 왕국을 상대로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마하데바가 틸링가 통치자를 격파하고 그의 코끼리와 악기를 빼앗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브라타-칸다』는 마하데바가 여자인 루드라마를 죽이는 것을 꺼려 풀어주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세우나 왕의 업적을 과장한 것으로 보이며, 특히 "머리 연꽃 줄기의 뿌리를 뽑는 자"라는 별칭은 카카티야 왕을 죽인 것으로 알려진 그의 증조부 자이투기로부터 물려받은 세습 칭호일 가능성이 높다.
반면, 텔랑가나 지역의 기록은 루드라마데비가 세우나의 침략을 성공적으로 격퇴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세우나 영토 일부를 점령했음을 시사한다. 17세기 문헌인 『프라타파-차리트라』에 따르면, 마하데바가 카카티야 수도 와랑갈을 15일간 포위했지만 루드라마데비가 직접 군대를 이끌고 맞서 싸워 세우나의 보병 30만 명과 기병 10만 명을 격파했다고 한다. 이후 루드라마데비는 마하데바를 세우나 수도 데바기리까지 추격했고, 마하데바는 평화를 간청하며 전쟁 배상금으로 금화 1,000만 개를 지불하기로 합의했다. 루드라마데비는 이 배상금을 지휘관들에게 나누어주고 세우나 영토에 승전 기념비를 세운 뒤 귀환했다고 전해진다.
『프라타파-차리트라』의 병력 규모나 배상금 액수는 과장되었을 수 있지만, 여러 비문과 화폐 증거는 루드라마데비가 실제로 세우나의 침략을 격퇴했음을 뒷받침한다.
- 비다르 요새에서 발견된 파편적인 비문에는 루드라마데비의 부하인 신다 가문의 바이라바가 언급되는데, 그는 루드라마데비의 모든 원정에 군 지휘관으로 동행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전통적인 세우나 영토 남쪽에 위치한 비다르에서 이 비문이 발견된 것은 루드라마데비가 세우나에 대한 공세를 펼쳤음을 시사한다. 이 비문에는 그녀가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라야-가자-케사리"라는 칭호도 언급된다.
- 1267년 파날에서 발견된 세우나 왕자 샤르가-파니-데바의 비문에는 그가 세우나 왕 심하나의 아들이자 카카티야의 루드라마데비의 부하로 묘사되어 있다. 일부 학자들은 이 샤르가-파니-데바가 세우나 침략 당시 파날을 점령했다가 패배 후 루드라마데비에게 항복한 인물이라고 추정한다. 다른 학자들은 그가 마하데바와의 불화로 카카티야에 망명한 또 다른 세우나 왕자였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 1922년 카이칼루루 근처 라차팟남에서 세우나 왕들이 발행한 금화 43개가 발굴되었다. 이는 단순히 교역의 결과일 수도 있지만, 『프라타파-차리트라』의 기록처럼 세우나가 루드라마데비에게 지불한 전쟁 배상금의 일부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3. 3. 건설
루드라마는 직경 약 약 1.21km의 성벽 높이를 약 6.10m로 높여 와랑갈 요새의 요새화를 계속했다. 이 벽은 화강암 블록으로 만들어졌으며, 넓은 해자로 둘러싸여 있었고, 각 변이 약 12.19m~약 18.29m인 45개의 보루가 있었다. 그녀는 또한 직경 약 2.41km의 바깥 흙벽 건설을 지시했으며, 추가로 약 45.72m 너비의 해자로 둘러싸였다.루드라마는 와랑갈 요새에 그녀 가문의 신인 스와얌부(시바)를 위한 '란가-만다파'를 지었다. 이 구조의 폐허에서 발견된 조각상은 그녀를 단검과 방패를 든, 사자를 탄 전사로 묘사하고 있다. 이 조각상에는 코로 연꽃을 들고 있는 코끼리도 묘사되어 있는데, 역사가 P.V.P. 샤스트리에 따르면 이는 루드라마의 칭호인 '라야-가자-케사리'를 나타낸다.
4. 가족 관계
루드라마데비는 1240년경 아버지 가나파티데바가 찰루키아와의 동맹을 위해 계획한 정략 결혼을 통해, 찰루키아의 소규모 지파 출신인 비라바드라와 결혼했다.[8] 남편 비라바드라는 루드라마데비의 행정에는 관여하지 않았다.[9]
루드라마데비와 비라바드라 사이에는 뭄마담마, 루드라마, 루얌마(별칭 루얌바) 세 딸이 있었다.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루드라마데비는 아버지 가나파티데바의 요청에 따라 맏딸 뭄마담마의 아들인 프라타파루드라 (별칭 비라-루드라)를 입양하여 후계자로 삼았다. 루드라마데비의 자매로는 코타 가문의 베타와 결혼한 가나파마-데비(또는 가나팜바)가 있다.
5. 대중 문화
인도 역사 속 통치자들 중 루드라마는 아버지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은 몇 안 되는 여성 중 한 명이었다. 그녀는 또한 통치 기간과 왕국 영토 면에서 중세 남아시아에서 가장 성공적인 여성 통치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녀의 사후 수 세기 동안 기록된 역사적 전통은 그녀를 중요한 여성 군주로 칭송하기보다는 어린 아들을 대신하여 통치하는 미망인 여왕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서면서 그녀는 안드라프라데시 (후에 텔랑가나로 분리됨)에서 지역적 자부심의 상징적인 인물로 재조명되었다.
2015년, 영화 제작자 구나세카르는 루드라마 데비의 삶을 다룬 텔루구 영화 ''루드라마데비''를 제작했으며, 배우 아누슈카 셰티가 주연을 맡아 루드라마 데비 역할을 연기했다.[3]
페닌슐라 픽처스는 스타 마 채널에서 ''루드라마데비''라는 제목의 연속극을 제작하여 방영했다. 이 드라마는 루드라마데비의 어린 시절을 중심으로 100회에 걸쳐 다루었다.[4]
참조
[1]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Women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
뉴스
Two sculptures of Rani Rudrama Devi shed light on her death
https://www.thehindu[...]
2017-12-05
[3]
웹사이트
Anushka to do a Tamil-Telugu period film?
https://timesofindia[...]
2012-10-06
[4]
웹사이트
Rani Rudrama Devi to begin on Star Maa
https://telugucinema[...]
2021-01-16
[5]
서적
Women in Asia: Restoring Women to History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6]
서적
Precolonial India in Practice: Society, Region, and Identity in Medieval Andh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Women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8]
서적
Precolonial India in Practice: Society, Region, and Identity in Medieval Andh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Women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0]
서적
Precolonial India in Practice: Society, Region, and Identity in Medieval Andh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Precolonial India in Practice: Society, Region, and Identity in Medieval Andh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Women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