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하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하나(Vahana)는 힌두교에서 신들이 타고 다니는 탈것을 의미하며,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신의 성격과 힘을 상징한다. 산스크리트어 '바'에서 유래되었으며, '운반하다' 또는 '탈것'을 의미한다. 바하나의 상징성은 신의 속성을 반영하거나, 신이 다스리는 악덕을 상징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시바의 바하나인 난디는 힘과 정력을, 가네샤의 바하나인 무시카는 잡념 억제를 상징한다. 바하나는 이야기, 시대, 장소에 따라 변화하며, 힌두교 외 다른 신앙 체계에서도 특정 동물이 신과 연결되는 유사성을 보인다. 힌두교의 신들은 각자 상징적인 바하나를 가지며, 이는 신의 힘을 배가시키는 조수의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힌두 신화의 생물 - 마카라
마카라는 힌두교와 불교 예술에서 물과 풍요의 상징으로 사용되는 신화 속 혼종 동물로, 다양한 동물 신체 부위의 결합으로 묘사되며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 힌두 신화의 생물 - 자타유
자타유는 라마야나에 등장하는 거대한 독수리로 라마의 친구이자 라바나의 시타 납치를 막으려다 죽었으며, 그의 희생은 라마의 시타 구출 여정에 영향을 주었고 용기, 헌신, 정의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힌두 신 - 브라만
브라만은 고대 인도 카스트 제도에서 최상위 계급으로, 종교적 권위와 사회적 지위를 갖는 사제 계급이었으나, 현대에는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변화하고 있으며 인도 인구의 약 5%를 차지하고 동남아시아 등에도 영향을 미쳤다. - 힌두 신 - 바르나 (힌두교)
바르나는 힌두교의 사회 계급 제도로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의 네 계급으로 구성되며, 각 계급의 역할과 의무를 규정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틀을 제공했으나, 시간이 지나며 차별과 불평등을 야기하여 현대에는 사회적 차별과 불평등 문제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바하나 | |
---|---|
개요 | |
설명 | 힌두교 신들의 탈것, 때로는 신 그 자체를 상징한다. |
어원 | 산스크리트어 वाહન (vāhana), "운반하는 것"을 의미한다. |
주요 바하나 및 관련 신 | |
아그니 | 숫양 |
인드라 | 아이라바타 |
야마 | 물소 |
바루나 | 마카라 |
쿠베라 | 몽구스 |
사라스바티 | 백조 또는 공작 |
락슈미 | 올빼미 |
비슈누 | 가루다 |
시바 | 난디 (황소) |
두르가/파르바티 | 사자 또는 호랑이 |
가네샤 | 쥐 또는 생쥐 |
카르티케야 | 공작 |
간다르바 | 말 |
카마데바 | 앵무새 |
샤니 | 까마귀 |
강가 | 마카라 |
2. 어원
산스크리트어 ''바''(Vah)는 '운반하다' 또는 '수송하다'는 의미를 지닌다. 이 단어는 산스크리트어 및 기타 남아시아 언어에서 '탈것'을 의미하기도 한다.[3][4]
힌두교에서 바하나(탈것)는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신의 성격과 힘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바하나는 신의 속성을 반영하거나, 신이 다스리는 악덕을 상징하기도 한다.[17]
3. 상징적 의미
바하나는 이야기, 시대, 장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가네샤는 원래 간다르바였던 쥐 무시카를 올가미로 잡아 바하나로 삼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난디는 원래 기쁨과 음악, 춤을 관장하는 신이었으나, 시바의 탈것으로 인식되면서 소의 모습으로 변했다. 스칸다의 바하나인 공작은 원래 악마 수라파드마였으나, 스칸다에게 항복하고 바하나가 되었다.
다음은 주요 바하나와 그에 대응하는 신의 목록이다.
바하나 | 대응하는 신 | 그림 |
---|---|---|
무시카(신쥐) | 가네샤 | ![]() |
가루다 | 비슈누 | 100px |
난딘(신우) | 시바 | |
공작 | 카르티케야 | ![]() |
한사(흰 거위) | 브라흐마 | ![]() |
마카라(괴어) | 강가, 바루나 | ![]() |
호랑이 | 두르가 | ![]() |
사자 | 두르가 | ![]() |
코끼리 | 인다라 | ![]() |
앵무새 | 카마 | ![]() |
물소 | 야마 | ![]() |
바하나와 대응하는 신은 반드시 일관성을 갖지 않으며, 가네샤가 공작, 코끼리, 사자, 여러 머리의 뱀을 타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17]
한국의 민간 신앙에서도 동물은 신성한 존재로 여겨지거나, 특정 신의 사자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호랑이는 산신, 용은 용왕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4. 여러 신화와 전승에 나타난 바하나
힌두교 경전과 설화에는 다양한 바하나와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진다. 가루다, 무시카, 난디, 파라바니 등 여러 바하나의 기원과 신과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같은 신이라도 시대, 지역, 이야기에 따라 다른 바하나를 타는 경우도 있다.
바하나 | 타고 다니는 신 | 이미지 |
---|---|---|
모샤크라자 | 가네샤 | |
가루다 | 비슈누와 그의 다샤바타라 | ![]() |
난디 | 시바 | |
공작새 | 무루간 | |
백조 | 브라흐마, 사라스바티 | ![]() |
마카라 | 바루나 | ![]() |
아이라바타 | 인드라 | ![]() |
앵무새 | 카마데바 | |
바하나는 이야기, 시대, 장소에 따라 변화한다. 속전(俗傳)을 포함하면 각각의 유래는 무수히 다른 형태로 전해진다. 예를 들어 스칸다는 힌두교와 습합되기 전의 남인도의 신, 무루간 시점부터 이미 공작을 타고 있었다.
4. 1. 가루다
가루다가 비슈누의 탈것이 된 이야기는 힌두교 경전에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비나타에게서 태어나 카샤파의 고행의 힘을 지닌 이 반신은 그의 어머니가 잔혹한 카드루에게 노예로 묶여 있다는 사실에 괴로워한다. 그가 카드루에게 어머니를 풀어달라고 간청했을 때, 카드루는 자유의 대가로 불멸의 음료를 요구했다. 불멸의 음료인 암리타를 확보하는 그의 전설은 ''Amṛtakalaśāpaharaṇam''[5] 에피소드에 다음과 같이 묘사되어 있다.가루다는 암리타 단지에 접근했고, 그를 먼저 공격한 비슈바카르마는 땅에 쓰러졌다. 가루다의 날갯짓으로 일어난 먼지 폭풍은 모든 사람의 시야를 가렸다. 데바스와 인드라, 심지어 태양과 달까지 가루다에 맞섰지만 그는 그들을 모두 물리치고 암리타 단지가 보관된 특정한 장소로 들어갔다. 두 개의 끔찍한 바퀴가 단지 주위를 돌고 있었는데, 단지에 손을 대려는 사람은 누구든 갈아버릴 것이고, 기계가 바퀴를 돌리고 있었다. 바퀴 아래에는 불타는 눈과 불꽃처럼 튀어나온 혀를 가진 두 마리의 거대한 뱀이 있었고, 뱀은 눈을 감지 않았다. 그 눈으로 보기만 해도 누구든 독살될 정도였다. 가루다는 먼지 폭풍을 일으켜 그 눈을 멀게 하고, 부리로 그 가운데를 뚫고, 몸을 아주 작은 형태로 줄여 단지에 더 가까이 다가갔다. 그는 바퀴와 기계를 파괴하고, 부리에 암리타 단지를 들고 하늘로 날아올라 날개를 펼쳐 태양의 빛을 가렸다. 가루다의 엄청난 업적에 매우 기뻐한 마하비슈누는 그에게 어떤 소원이든 선택하도록 요청했다. 가루다는 비슈누에게 자신을 그의 (비슈누의) 탈것으로 만들고 암리타를 맛보지 않고 불멸하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두 소원 모두가 허락되었다.[5]
4. 2. 무시카
가네샤가 어렸을 때, 거대한 쥐가 그의 친구들을 두려워하게 했다. 가네샤는 올가미로 쥐를 붙잡아 그의 바하나로 삼았다. 무시카는 원래 간다르바, 즉 천상의 음악가였다. 무시카가 바마데바라는 리시의 발을 부주의하게 밟자, 리시는 저주를 내려 무시카를 쥐로 변하게 했다. 그러나 리시는 분노를 가라앉힌 후, 언젠가 신들이 무시카 앞에서 절을 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 예언은 무시카가 가네샤의 바하나가 되면서 이루어졌다.[1]4. 3. 난디
시바의 탈것으로 인식되기 전, 난딘은 난디케슈바라라는 기쁨과 음악, 춤을 관장하는 신이었다. 그러나 어떤 시점을 기점으로 예고도 없이 그의 이름과 기능은 춤의 왕, 나타라자라는 이명을 가진 시바의 관점에서 이야기하게 되었다. 그 변화 속에서 반인반우(半人半牛)의 신의 모습은 단순하게 소의 모습으로 변했다. 시바를 모시는 사원에서는 시바를 향해 배치된 난딘을 볼 수 있다.4. 4. 파라바니
카르티케야(남인도에서는 무루간으로 알려짐)는 전쟁의 신으로, 파라바니라는 공작을 타고 다닌다. 이 공작은 원래 수라파드마라는 악마였다. 무루간에게 싸움을 걸어 도발한 후, 창이 자신에게 꽂히는 순간 뉘우치고 나무 형상으로 기도를 시작했다. 무루간은 그 나무를 두 조각으로 잘랐는데, 한쪽에서는 수탉을 꺼내 자신의 상징으로 삼았고, 다른 쪽에서는 공작을 꺼내 자신의 탈것으로 삼았다.또 다른 이야기에 따르면, 카르티케야는 악마 타라카수라를 죽이기 위해 태어났으며, 크리티카에 의해 길러져 6일 만에 신의 군대를 이끌었다. 타라카수라를 물리친 후, 신은 그를 용서하고 자신의 탈것인 공작으로 변형시켰다고 전해진다.
5. 다른 신앙 체계와의 비교
힌두교의 탈것 동물 배치는 그리스 신화, 로마 신화 등 특정 동물을 특정 신과 연결하는 다른 신앙 체계와는 다르다. 예를 들어, 힌두교 여신 락슈미는 코끼리, 부엉이, 또는 (드문 경우) 연꽃을 탈것으로 삼는다. 고대 그리스 여신 아테나 역시 부엉이를 상징적인 수호동물로 삼았지만, 두 신앙 체계에서 부엉이에게 부여하는 의미는 같지 않으며, 부엉이와 동일시된다는 점에도 불구하고 두 여신 자체도 비슷하지 않다.[6]
락슈미는 부의 여신이며, 그녀의 부엉이는 불신, 고립주의, 이기심에 대한 경고이다. 아테나는 번영의 여신이기도 하지만, 지혜의 여신이며, 그녀의 부엉이는 비밀스러운 지식과 학문을 상징한다. 그리스-로마의 해석은 로마 가톨릭 도상학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며, 신약성경을 편집한 성 제롬은 종종 지혜와 학문의 상징으로 부엉이와 함께 묘사된다.[6] 미국 원주민, 아이누, 러시아 문화의 종교적 도상학은 부엉이에게 긍정적, 부정적 속성을 다양하게 부여하지만, 락슈미의 신성한 탈것으로서 부엉이에게 부여된 힌두교적 속성과 일치하는 것은 없다.[7]
어떤 사람들은 다른 힌두교 신성한 탈것에 대해서도 유사한 분석을 문화 간에 수행할 수 있으며, 다른 문화에서 동물 토템에 부여된 가치와 유사점은 우연의 일치이거나 (황소를 남성다움과 연결하는 것과 같이) 불가피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 변증법에서, 이것은 각 토템 또는 바하나가 ''이스타-데바타''(또는 그 자체로 ''이스타-데바타'' 또는 ''아수라'')의 측면으로서, 무수히 많은 형언할 수 없는 가르침, 통찰, 영적 지혜를 가지고 있다는 반론으로 반박된다. 비교 분석은 이점을 제공하지만, 지식과 이해는 그들의 속성을 동질적인 의미 작용으로 축소함으로써 얻어지지 않는다.
6. 바하나 목록
힌두교에는 신마다 상징하는 바하나(Vahana, 탈것)가 있다. 바하나는 신의 성격을 나타내거나, 신의 힘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바하나 | 대응하는 신 | 그림 |
---|---|---|
모샤크라자 | 가네샤 | |
쥐, 땃쥐 | 가네샤, Vinayaki|비나야키영어, Karni Mata|카르니 마타영어 | |
가루다 | 비슈누, 크리슈나, 라마, Vaishnavi (Matrika goddess)|바이슈나비영어 (마트리카의 일원) | |
말 | 칼키, Revanta|레반타영어, 찬드라, 수리야, Khandoba|칸도바영어 (시바의 아바타), Ayyappan|아야판영어 (다르마의 아바타), 우샤스, Mhalsa|말사영어 (칸도바의 배우자) | |
난디 (신성한 소) | 시바, Maheshvari|마헤슈바리영어 (마트리카의 일원), 이샤나 (시바에서 파생된 신), Ishvari|이슈바리영어 | |
양 | 아그니, 망갈라, 스와하 (아그니의 배우자), Dhavdi|다브디 마타영어 | ![]() |
공작 | 카르티케야 (스칸다의 별칭), Kaumari|카우마리영어 (마트리카의 일원), 사라스바티 | |
개 | Bhairava|바이라바영어, 하드카이 마타 (광견병으로부터 사람들을 지키는 여신) | ![]() |
함사 (흰 거위) | 브라흐마, Brahmani (Matrika)|브라마니영어 (브라흐마의 여성격), 사라스바티, 가야트리, 비슈바카르마 | |
마카라 (괴어) | 강가, 바루나, Akilandeswari|아킬란데스와리영어, Khodiyar|코디야르영어, Lopamudra|카베리영어, Tapati|타파티영어 (수리야의 딸, 강의 여신), Rivers in Hinduism|기타 강의 여신들영어 | |
호랑이 | 두르가, Chandraghanta|찬드라간타영어 (두르가의 화신), Kushmanda|쿠슈만다영어 (두르가의 화신), 라후, Ayyappan|아야판영어 (다르마의 아바타), Vaishno Devi|바이슈노 데비영어 (두르가의 화신) | |
사자 | 두르가, Skandamata|스칸다마타영어 (두르가의 화신), Katyayani|카티야야니영어 (두르가의 화신), 파르바티, 부다, Chandi|찬디카영어 (두르가의 다른 모습), Mariamman|마리암만영어 (날씨의 여신), Kamakhya|카마키야영어 (욕망을 구체화한 여신), Pratyangira|나라심히영어 (나라심하의 배우자), Kaushiki|카우시키영어 (파르바티에게서 태어난 전쟁 여신), Jagaddhatri|자가다트리영어 | |
코끼리 | 인드라, 락슈미, 샤치, 브리하스파티 | |
앵무새 | Meenakshi|미낙시영어, 카마, Rati|라티영어 (카마의 배우자) | |
영양 | 찬드라, 바유 | ![]() |
물소 | 야마, Varahi|바라히영어 (마트리카의 일원), Dhandai Devi|단다이 데비영어, Chamunda|차문다영어 (파르바티의 시종, 공포의 여신) | |
고양이 | Shashthi|샤슈티영어 (출산과 자식 복의 여신) | ![]() |
당나귀 | Kalaratri|칼라라트리영어 (두르가의 화신), Shitala|시탈라영어 (병을 물리치는 여신), 칼리, 알락슈미 | ![]() |
올빼미 | 락슈미, Chamunda|차문다영어 (파르바티의 시종, 공포의 여신), Kāla|칼라영어 (시간의 신, 죽음의 신) | |
독수리 | 케투, 샤니, 알락슈미, Nirṛti|니르리티영어 (죽음의 신) | |
까마귀 | 샤니, Dhumavati|두마바티영어 (마하비디야의 일원), Jyestha (goddess)|제스타영어 (역경과 불행의 여신) | |
거북 | Yamuna in Hinduism|야무나영어 (야무나 강의 여신) | |
수탉 | Bahuchara Mata|바후차라 마타영어 (히주라의 기원, 풍요의 여신) | ![]() |
암소 | Dattatreya|다타트레야영어 (브라흐마, 비슈누, 시바 삼위일체 신의 화신), Shailaputri|샤일라푸트리영어 (두르가 또는 파르바티의 아바타), Mahagauri|마하가우리영어 (두르가의 화신), Bhumi (goddess)|부미영어 (지구의 여신), 우미야 마 (씨족신), 가트라드 마 (씨족신) | ![]() |
뱀 | 마나사, 나그바이 마타, 나가스와리 마타 | ![]() |
시체 | Chamunda|차문다영어 (파르바티의 시종, 공포의 여신), 스마샤나 칼리 | ![]() |
몽구스 | 쿠베라, Bhadra|바드라영어 (쿠베라의 배우자) | ![]() |
사람 | Nirṛti|니르리티영어 (죽음의 신), 쿠베라, 바드라 데비 | ![]() |
오리 | 마나사 | -- |
Ilish|일리시영어 (청어의 일종) | Jhulelal (Hinduism)|줄레랄영어 | ![]() |
낙타 | Momai|모마이 마타영어 (씨족신) | |
자칼 | Shivadooti|시바두티영어 (찬디카에게서 태어난 어머니 여신) | |
돌 (인형) | Chamunda|차문다영어 (파르바티의 시종, 공포의 여신) | |
염소 | Meldi Mata|멜디 마타영어와 겔 마 | |
가우르 | 파플라지 마타, 베라이 마 |
힌두교 미술에서 바하나는 신의 성질을 상징한다. 시바의 소 난딘은 강인함과 남성다움을, 스칸다의 공작 파르바니는 위엄과 장엄함을, 사라스바티의 함사는 지혜와 우아함을 상징한다.[17]
바하나는 신이 지배하는 악덕을 상징하기도 한다. 스칸다는 자만심과 과시욕의 상징인 공작을, 가네샤는 끝없이 솟아나는 잡념을 상징하는 쥐 무시카를 탄다. 재산의 수호신 샤니는 대머리수리(혹은 까마귀)의 도벽을 억누르며, 샤니의 영향으로 흉조가 길조로 바뀌기도 한다.
바하나는 이야기, 시대,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 가네샤는 원래 간다르바였던 쥐 무시카를 올가미로 잡아 바하나로 삼았다. 무시카는 리시의 발을 밟아 저주를 받아 쥐로 변했다고 한다.
- 난딘은 원래 기쁨과 음악, 춤을 관장하는 신 난디케슈바라였으나, 이후 춤의 왕 나타라자라는 이명을 가진 시바의 관점에서 이야기되면서 반인반우에서 소의 모습으로 변했다.
- 스칸다의 공작은 원래 수라파드마라는 악마였는데, 무루간(스칸다)과의 싸움에서 항복을 거부하고 도발하다 무루간의 창에 찔려 나무로 변했다. 무루간은 나무를 잘라 수탉과 공작을 꺼냈고, 공작은 그의 바하나가 되었다.
6. 1. 주요 신들과 바하나
이러한 대응 관계는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가네샤는 때때로 공작을 타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훨씬 드물게는 코끼리 머리를 가진 가네샤가 코끼리, 사자 또는 여러 개의 머리를 가진 뱀을 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16]
바하나는 신의 힘을 두 배로 하는 기능을 하며, 신이 신봉자를 인도할 수 있게 해주는 신봉자의 마음을 나타낸다. 전사 두르가는 아버지 히말라야가 준 탈것인 사자의 도움 없이는 악마 마히샤수라를 파괴할 수 없었을 것이다. 행운의 여신 락슈미는 탈것인 올빼미 울루카로부터 물질적 부와 영적 부를 모두 분배한다. 장애물을 제거하는 가네샤는 코끼리와 같은 힘에도 불구하고 모든 곳에 갈 수는 없지만, 그의 탈것인 생쥐 무쉬카는 가장 작은 틈새로 기어 들어갈 수 있고 어디에서나 생존할 수 있어 가네샤가 가장 큰 장애물을 극복하도록 도울 수 있다.
참조
[1]
문서
Accoutrement
[2]
웹사이트
Glossary: Vahana
http://ganapati.club[...]
2007-08-10
[3]
웹사이트
Animals as vehicles of Gods [Chapter 2.7]
https://www.wisdomli[...]
www.wisdomlib.org
2022-08-11
[4]
웹사이트
vahana meaning in English | vahana translation in English
https://www.shabdkos[...]
[5]
웹사이트
Story of Garuḍa
https://www.wisdomli[...]
www.wisdomlib.org
2022-08-11
[6]
웹사이트
The Collection: St. Jerome
http://artdepartment[...]
New Mexico State University
2007-08-10
[7]
웹사이트
Owl and Mythology
http://www.owlpages.[...]
2007-08-10
[8]
웹사이트
Folk Deity: Lok Devta & Devis of Rajasthan
https://www.rajras.i[...]
2022-07-13
[9]
웹사이트
Goddess Chamundi
http://www.omsakthi.[...]
2022-07-12
[10]
서적
The Illustrated Dictionary of Hindu Iconography
[11]
웹사이트
Hindu Devotion: Lakshmi
http://www.hindudevo[...]
2007-08-10
[12]
웹사이트
19. Mithapur,Shivarjpur, Nageshwar
https://thebluedrive[...]
31 August 2016
2022-07-13
[13]
웹사이트
Sapta Matrika | 7 Matara - Seven Forms of Goddess Shakti
https://www.drikpanc[...]
2022-07-12
[14]
웹사이트
Gods outside temples
https://mumbaimirror[...]
2022-10-11
[15]
서적
Gods of Heaven, Home of Gods: A Study of Popular Prints
https://books.google[...]
Illustrated Book Publishers
1994
[16]
웹사이트
Forms of Ganesh: The Mouse Mount and Other Ganesh Mounts
http://ganapati.club[...]
2007-08-10
[17]
웹사이트
Forms of Ganesh: The Mouse Mount and Other Ganesh Mounts
http://ganapati.club[...]
2007-08-10
[18]
웹사이트
Glossary: Vahana
http://ganapati.club[...]
2007-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