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스키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스키섬은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에 위치한 섬으로,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루스키 대교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무라비요프-아무르스키 반도 남쪽에 위치하며, 291m 높이의 루스키 산이 있다. 1860년 러시아 제국 영토가 되었으며, 19세기 말부터 군사 시설이 건설되었다. 소련 시대에는 폐쇄 도시로 해군 훈련 구역으로 사용되었고, 2000년대 이후 경제, 관광, 교육 중심지로 개발되고 있다. 2012년 APEC 정상 회담이 개최되었고, 2019년에는 북러 정상회담이 열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스키섬 - 극동 연방 대학교
    극동 연방 대학교는 1899년 동방 연구소로 설립되어 극동 국립 대학교로 개편되었으나 폐쇄 후 2010년 통합 재편되었으며, 2012년 러스키 섬으로 캠퍼스를 이전하여 국제 교류에 참여하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의 연방 대학교이다.
  • 루스키섬 - 루스키 다리
    루스키 다리는 2012년 APEC 정상 회의를 계기로 건설되었으며 세계에서 가장 긴 중앙 경간을 가진 사장교 중 하나이고 블라디보스토크의 랜드마크이다.
  • 예브게니 군도 - 포포바섬
    포포바섬은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에 위치한 섬으로, 자연 환경과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페리, 계류 시설, 레이네케 섬 등에서 촬영된 다양한 사진이 존재한다.
  • 동해의 섬 - 울릉도
    울릉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신라에 정복된 후 공도 정책과 어업권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어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고, 독도를 포함한 해양 생태 보호를 위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2025년 울릉공항 개항을 목표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 동해의 섬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루스키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위치동보스포루스 해협, 동해
좌표'43.00 N 131.85 E'
소속 국가러시아
행정 구역프리모르스키 지방
면적97.6 km²
인구5,360명 (2010년 기준)
인구 밀도5.4918명/km²
최고 고도291.2 m
지리
위치표트르 대제만
별칭
별칭Дальневосточный Кронштадт(극동의 크론시타트)

2. 지리

루스키섬은 프리모르스키 지방에서 가장 큰 섬으로, 블라디보스토크 남쪽의 표트르 대제 만에 위치하고 있다. 유제니 군도의 일부이며, 여러 작은 섬들과 해식 기둥으로 둘러싸여 있다. 섬의 북쪽 대부분은 사페르니 반도가 차지하고 있으며, 노비크 만이 섬의 나머지 부분과 분리하고 있다. 섬의 최고봉은 루스키 산으로, 해발 291m이며 블라디보스토크의 가장 높은 봉우리 중 하나이다.[5]

극동 연방 대학교 캠퍼스에서 바라본 루스키 대교가 보이는 동보스포루스 해협의 모습.

3. 역사

1859년 러시아에서 루스키 섬을 최초로 묘사한 지도가 출판되었지만, 섬의 서쪽과 북쪽 해안만 표시되었다. 이후 베이징 조약에 따라 외만주청나라로부터 할양된 1860년 러시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이 섬은 동시베리아 총독 니콜라이 무라비요프-아무르스키에 의해 "러시아의 섬"을 의미하는 루스키 섬으로 명명되었다.[1] 1862년, 바실리 밥킨 중령이 이끈 탐험대가 섬 전체를 지도 제작했으며, 이는 표트르 대제 만을 측량하는 과정의 일부였다. 1865년에는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군정 장관인 페트르 카자케비치를 기려 카자케비치 섬이라는 이름으로 섬 전체를 묘사한 지도가 출판되었다. 루스키 섬과 카자케비치 섬이라는 이름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루스키 섬으로 영구적으로 변경되기 전까지 번갈아 사용되었다.[1]

1889년까지, 콜로넬 K. I. 벨리치코가 개발한 블라디보스토크 요새 단지의 일부로 포트 포스펠로프가 섬에 건설되었다. 1898년에서 1903년 사이에는 섬에서 가장 높은 지점 근처의 루스키 산에 포트 루스키가 건설되었다. 요새는 불규칙한 사다리꼴 모양으로 건설되었으며, 침략 시 루스키 섬의 거의 모든 만으로 발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수많은 포병대가 설치되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전반에 걸쳐 러시아인 농민이 이주하여 병원과 교회 등이 세워졌으며, 채소가 맞은편의 블라디보스토크 등으로 출하되었다. 1890년부터 루스키 산을 중심으로 하는 대요새 건설 계획이 시작되었으나, 건설은 늦어졌고, 그 사이에 일본 해군의 블라디보스토크 진입도 허용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건설이 가속화되어 많은 포대, 탄약고, 어뢰 창고, 전신 시설 등도 건설되었지만, 최종적으로 완성된 것은 일본군시베리아 출병이 끝난 후였다.

소비에트 연방 시대에는 섬이 폐쇄 도시가 되었고 여러 군사 시설이 자리 잡았으며, 소련 해군의 최대 훈련 구역 중 하나이자 태평양 함대의 주요 기지가 되었다.

1992년, 루스키 섬은 정치 스캔들의 현장이 되었는데, 섬의 고립된 수비대에서 복무하던 러시아 해군의 병사 4명이 굶어 죽었고, 수십 명이 기아로 고통받아 입원했다. 그들의 지휘관이 수개월 동안 군량을 보내는 데 실패했고, 이 문제는 무장군의 상태와 관련된 전국적인 스캔들이 되었다.[2][3]

러시아 경제가 회복되면서 블라디미르 푸틴 정권에 의해 루스키 섬의 활용과 리조트화가 모색되었고, 2005년에는 프리모르스키 지방 정부가 루스키 섬의 개발 계획을 세웠다. 2006년에는 모스크바의 연방 정부가 블라디보스토크와 루스키 섬을 잇는 다리 건설 계획, 스포츠 시설·휴양 시설·호텔·박물관·별장 등의 건설 계획에 허가를 내었다. 루스키 섬은 2012년 APEC 러시아 정상 회의의 회장이 되었고, APEC 개최 전후로 리조트화가 진행되었다. 극동 연방 대학교가 루스키 섬으로 이전했으며, 2016년에는 대규모 수족관 프리모르스키 오케아나리움이 개설되었다.

2019년 4월, 섬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최고 지도자 간의 2019년 북러 정상회담을 개최했다.[4]

3. 1. 한인 이주 역사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루스키 섬 북동 해안에는 조선인(고려인) 집락이 있었다. 이들은 주로 농업에 종사하며, 맞은편 블라디보스토크에 채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1930년대 후반, 스탈린 정권의 강제 이주 정책으로 인해 이들은 중앙아시아로 추방되었다.[5]

4. 개발

2000년대 이후, 러시아 정부는 루스키 섬을 경제, 관광, 교육 중심지로 개발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개발은 중국의 경제력 성장에 대한 러시아의 대응 및 중국 시장의 기회와 관련이 있다.[4]

2012년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APEC) 정상 회담이 루스키 섬에서 개최되었으며, 회담 준비를 위해 약 60억달러가 섬과 블라디보스토크 개발에 투입되었다.[4] 회의 부지는 극동 연방 대학교의 새 캠퍼스로 건설되었다. 또한, 대규모 관광 리조트로 섬을 개발하고 러시아 대통령의 공식 관저를 러시아 극동 지역의 보야린 만에 건설하는 계획이 APEC 정상 회담에서 승인되었다.[4]

블라디보스토크와 섬을 연결하는 루스키 대교는 2012년 7월에 완공되었으며, 세계에서 가장 긴 사장교 경간을 가지고 있다.[4]

루스키 섬 연결 다리 (2012년 완공)의 야경


2005년, 프리모르스키 지방 정부는 루스키 섬 개발 계획을 통해 생명공학 및 정보기술 산업 등 첨단 기술 개발 지구, 세계적인 대학 유치, 동북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의료 시설을 계획했다. 2006년, 모스크바 연방 정부는 블라디보스토크와 루스키 섬을 잇는 다리 건설 및 섬 내 스포츠 시설, 휴양 시설, 호텔, 박물관, 별장 건설 계획을 승인했다.[6]

APEC 개최 전후로 리조트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프리모르스키 해양 박물관(영문명: Primorsky Aquariun)이 관광, 연구, 교육 시설로 개설되어 2012년 9월부터 운영되고 있다.[6][7] APEC 종료 후에는 극동 연방 대학교가 루스키 섬으로 이전했으며, 캠퍼스 부지에는 학생들을 위한 아파트, 슈퍼마켓, 카페, 레스토랑 등이 정비되어 뉴타운화되고 있다. 2016년 6월에는 대규모 수족관 프리모르스키 오케아나리움이 개관했다.[6]

5. 2019년 북러 정상회담

2019년 4월, 루스키섬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최고 지도자 간의 2019년 북러 정상회담이 개최되었다.[4]

6. 기타

루스키섬은 해수욕장, 자연 관찰, 요새 유적지 순례 등 다양한 관광 자원을 갖추고 있다.[1]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루스키 대교를 통해 차로 쉽게 갈 수 있지만, 외국인이 섬에서 활동할 때는 몇 가지 제한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 러시아 해군 헌병대나 블라디보스토크 경찰에 의해 구속될 수도 있다.[1]

참조

[1] 문서 Русский (остров, Приморский край)
[2] 뉴스 Putin's £2bn Bid to Make Bleak Eastern Island a Holiday Resort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UK 2017-02-16
[3] 뉴스 A Raft of Draft Dodgers: Young Russians are evading military service in ever-increasing numbers https://www.latimes.[...] 2022-07-26
[4] 뉴스 Vladimir Putin and Kim Jong-un hold Vladivostok summit https://www.bbc.com/[...] 2019-04-24
[5] URL http://www.guardian.[...]
[6] 간행물 Underwater unique aquarium unveiled in Russia's Russky Island http://www.presstv.i[...]
[7] 뉴스 日露首脳が訪問した露極東の水族館が休館 動物の不審死相次ぐ 当局が捜査開始 https://www.iza.ne.j[...] 産経新聞 2016-1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