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제로 레온카발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제로 레온카발로는 이탈리아의 작곡가로, 1857년 나폴리에서 태어나 1919년 몬테카티니 테르메에서 사망했다. 그는 나폴리 음악원에서 수학했으며, 볼로냐 대학교에서 문학을 공부했다. 레온카발로는 이집트에서 개인 음악가로 활동하기도 했으며, 파리에서 교향시 '5월의 밤'을 초연하며 성공을 거두었다. 이탈리아로 돌아와 베리스모 오페라 '팔리아치'를 작곡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후에도 여러 오페라와 오페레타, 가곡 등을 작곡했다. 그의 작품 중 '팔리아치'는 오늘날까지도 널리 공연되며, '마티나타'와 같은 가곡도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페레타 작곡가 - 자크 오펜바흐
독일 쾰른 출신의 프랑스 작곡가이자 첼리스트인 자크 오펜바흐는 파리에서 오페레타의 황금기를 이끌며 《지옥의 오르페우스》, 《아름다운 헬레네》, 《파리의 삶》 등의 오페레타와 오페라 《호프만의 이야기》를 작곡하여 프랑스 제2제정 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하며 큰 인기를 얻었고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이탈리아의 클래식 작곡가 - 니콜로 파가니니
니콜로 파가니니는 이탈리아의 바이올린 연주자이자 작곡가로, 뛰어난 연주 기교로 명성을 얻었으며 24개의 카프리스와 바이올린 협주곡 등을 작곡하고 후대 음악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이탈리아의 클래식 작곡가 - 프란체스코 란디니
프란체스코 란디니는 14세기 이탈리아 트레첸토 양식의 대표적인 작곡가이자 오르간 연주자, 가수, 시인, 악기 제작자로, 맹인임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발휘하여 당대 최고의 음악가로 칭송받았으며, '란디니 종지'라는 독특한 종지 기법을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고 그의 세속 발라타 작품은 스콰르찰루피 사본에 상당수 보존되어 14세기 이탈리아 음악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나폴리 출신 - 조르조 나폴리타노
조르조 나폴리타노는 이탈리아 공산당 출신의 정치인으로, 이탈리아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이탈리아 최초의 공산당 출신 대통령이자 재선된 대통령으로 기록되었다. - 나폴리 출신 - 엔리코 카루소
이탈리아 출신 테너 가수 엔리코 카루소는 1895년 오페라 가수로 데뷔하여 유럽과 미국에서 명성을 얻었고,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주역 테너와 음반 녹음으로 축음기 음반 시대를 연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루제로 레온카발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루제로 레온카발로 |
본명 | 루지에로 자코모 마리아 주세페 에마누엘레 라파엘레 도메니코 빈첸초 프란체스코 도나토 레온카발로 |
출생일 | 1857년 4월 23일 |
출생지 | 나폴리, 양시칠리아 왕국 |
사망일 | 1919년 8월 9일 |
사망지 | 몬테카티니테르메, 이탈리아 왕국 |
직업 | 오페라 작곡가 및 대본 작가 |
발음 | |
영국식 발음 | /ˌleɪɒnkæˈvæloʊ/ |
미국식 발음 | /ˌleɪoʊnkəˈvɑːloʊ, _-kɑːˈ-/ |
이탈리아어 발음 | /rudˈdʒɛːro leˌoŋkaˈvallo/ |
음악 활동 | |
장르 | 오페라 |
주요 작품 | 팔리아치 메디치 가 채터튼 자자 롤란트 |
기타 작품 |
2. 생애
루제로 레온카발로는 나폴리 음악원에서 음악을, 볼로냐 대학교에서 문학을 공부했다.[8][9][10] 졸업 후 교육 활동과 습작에 매진했으나, 오페라 작곡가로서는 좀처럼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1879년에는 이집트에서 피아노 연주자로 활동했으나,[11] 1882년 우라비 반란으로 프랑스로 피신했다.[12] 파리 몽마르트르에 정착한 그는 카페 콘서트 반주 등으로 생계를 유지하며 베르트 람보를 만나 결혼했고,[13][14][15] 프랑스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은 교향시 ''5월의 밤''으로 호평을 받았다.[16][17]
1890년 피에트로 마스카니의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성공에 자극받은 레온카발로는 베리스모 오페라 작곡에 박차를 가했다. 1892년 밀라노에서 초연된 ''팔리아치''는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18] 오늘날까지 그의 대표작으로 널리 공연된다. 특히 아리아 "의상을 입어라"는 엔리코 카루소의 명연으로 유명하다.
이후 ''메디치가'', ''챗터턴'', ''라 보엠'', ''자자'', ''베를린의 롤란트'' 등 다양한 오페라를 작곡했지만, ''팔리아치''의 명성을 넘어서지는 못했다.[19][20][21] 1906년에는 미국 순회공연을 하기도 했다.[21] 만년의 ''오이디푸스 왕''은 완성 여부가 불분명하다.[23][24][25][26][27]
1919년 몬테카티니테르메에서 사망한 레온카발로의 장례식에는 자코모 푸치니 등 많은 음악가가 참석했다.[28] 그의 유해는 1989년 스위스 브리사고로 이장되었다.[28][29]
레온카발로는 자신의 오페라 대본 대부분을 직접 썼고,[33][34] 자코모 푸치니의 ''마농 레스코'' 대본에도 참여했다.[36][37] 엔리코 카루소를 위해 작곡한 "마티나타" 등 가곡도 남겼다.[31][32]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루제로 레온카발로는 1857년 4월 23일 시칠리아 왕국 나폴리에서 판사이자 치안 판사였던 빈첸초 레온카발로의 아들로 태어났다.[7] 어린 시절, 레온카발로는 아버지와 함께 칼라브리아의 몬탈토우푸고로 이사하여 사춘기를 보냈다. 1868년 그는 나폴리로 돌아와 산 피에트로 아 마젤라 음악원(나폴리 음악원)에서 수학했다.[8] 1876년부터 1877년까지는 조수에 카르두치 밑에서 볼로냐 대학교에서 문학을 공부했다.[9][10]2. 2. 프랑스에서의 활동 및 초기 작품
1879년, 레온카발로의 삼촌 주세페는 조카에게 피아노 실력을 선보일 기회를 주고자 카이로로 오라고 제안했다. 루제로 레온카발로는 오스만 술탄 압둘 하미드 2세가 이스마일 파샤를 폐위시키고 그의 아들 테우픽 파샤를 이집트의 케디브(총독)로 임명한 직후(1879년 6월) 이집트에 도착했다. 새로운 케디브의 십대 동생인 마흐무드 함디 파샤는 루제로 레온카발로를 "개인 음악가"로 임명했다.[11]1882년 중반, 영국이 알렉산드리아와 카이로에서 아흐메드 우라비가 이끈 우라비 반란에 개입하면서 레온카발로는 이집트에서의 생활을 갑작스럽게 끝내야 했다. 작곡가는 프랑스로 도피했다.[12] 파리에서 레온카발로는 몽마르트르에 거처를 마련했다.
파리의 푸아부르 생드니 거리에 있는 한 에이전트는 레온카발로에게 주로 카페에서 열리는 일요일 콘서트에서 공연하는 예술가들을 위한 반주자이자 강사로 일자리를 주선해 주었다. 파리에서 레온카발로는 베르트 람보를 만났고, 1888년 파리에서 동거를 시작해 1895년 밀라노에서 결혼했다.[13][14][15]
특히 알프레드 드 뮈세를 비롯한 프랑스 낭만주의 작가들에게 영감을 받은 레온카발로는 뮈세의 시를 바탕으로 한 교향시 ''5월의 밤(La nuit de mai)''을 작업하기 시작했다. 이 작품은 1886년 파리에서 완성되었고 1887년 4월에 호평 속에 초연되었다. 이 성공으로 충분한 돈을 모은 레온카발로는 1888년 람보와 함께 밀라노로 이사했다.[16][17]
2. 3. 《팔리아치》와 베리스모 오페라
피에트로 마스카니의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의 엄청난 성공에 자극받은 레온카발로는 자신의 베리스모 오페라인 《팔리아치》를 제작했다.[18] 레온카발로는 이 작품의 줄거리가 아버지가 재판을 맡았던 몬탈토 우푸고의 살인 사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1892년 밀라노에서 초연된 《팔리아치》는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오늘날까지도 표준 오페라 레퍼토리로 공연되는 레온카발로의 유일한 작품이다.[18] 이 오페라에서 가장 유명한 아리아인 "의상을 입어라" (또는 "광대의 옷을 입어라")는 엔리코 카루소가 녹음하여 세계 최초로 백만 장 이상 판매된 음반으로 기록되었다 (1902년, 1904년, 1907년에 녹음된 카루소의 여러 버전의 총 판매량일 가능성이 높다).
이듬해 레온카발로는 《메디치가(I Medici)》를 밀라노에서 공연했지만, 이 작품과 1896년에 초연된 《챗터턴》은 큰 인기를 얻지 못했다.[19]
2. 4. 후기 작품 활동 및 사망
이탈리아로 돌아온 레온카발로는 수년 동안 가르치는 일을 하면서 여러 오페라 작품을 제작하려 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16][17] 1890년 피에트로 마스카니의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가 엄청난 성공을 거두자, 그는 자신의 베리스모(verismo) 작품인 ''팔리아치''를 서둘러 제작했다.[18] 레온카발로는 이 작품의 줄거리가 실제 사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는데, 그의 아버지가 재판장으로 있던 몬탈토 우푸고의 살인 사건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팔리아치''는 1892년 밀라노에서 초연되어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오늘날 표준 오페라 레퍼토리에서 레온카발로의 유일한 작품으로 남아있다.[18] 이 작품에서 가장 유명한 아리아인 "베스티 라 주바(Vesti la giubba)" ("의상을 입어라", 또는 "광대의 옷을 입어라"로 번역됨)는 엔리코 카루소가 녹음하여 백만 장 이상 팔린 세계 최초의 레코드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는 1902년, 1904년, 1907년에 만들어진 카루소의 여러 버전의 총 판매량일 가능성이 높다.
다음 해에 그의 ''메디치가(I Medici)''가 밀라노에서 공연되었지만, 이 작품과 1896년에 늦게 공연된 ''챗터턴(Chatterton)''은 모두 큰 인기를 얻지 못했다.[19] 그러나 ''챗터턴''의 많은 부분은 1908년 초에 그래모폰 컴퍼니(Gramophone Company, 후에 HMV)에 의해 녹음되었고, 거의 100년 후 마스턴 레코드(Marston Records)에 의해 CD로 리마스터링되었다. 레온카발로 자신이 공연을 지휘하거나 최소한 제작을 감독했다.
1897년 베네치아에서 공연된 ''라 보엠''을 통해 레온카발로는 다시 대중의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이 작품은 1896년 2월 토리노의 레지오 극장에서 초연된 자코모 푸치니의 동명 오페라 ''라 보엠''에 가려졌다.[20] 레온카발로 버전의 두 테너 아리아는 특히 이탈리아에서 가끔 공연된다.
1900년대 레온카발로의 후속 오페라로는 ''자자(Zazà)''(1922년 제럴딘 파라의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의 유명한 작별 공연 오페라)와 1904년의 ''베를린의 롤란트(Der Roland von Berlin)''가 있다.[21] 1906년, 그는 라 스칼라에서 가수와 오케스트라 단원들을 데려와 뉴욕에서 자신의 음악 콘서트를 열었고, 미국 전역을 광범위하게 순회 공연했다. 이 순회 공연은 전반적으로 성공적이었다. 1912년 런던에서 이탈리아어로 초연되어 힙포드롬 극장에서 장기간 공연된 ''징가리(Zingari)''로 잠시 성공을 거두었지만, ''징가리''는 미국에도 상륙했지만 곧 레퍼토리에서 사라졌다.[22]
일련의 오페레타 이후, 레온카발로는 ''오이디푸스 왕(Edipo re)''으로 마지막 진지한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보인다. 레온카발로가 작품을 완성했지만 관현악 편곡을 완성하기 전에 사망했다고 알려져 왔으며, 조반니 페나키오가 완성했다. 그러나 콘라드 드라이든의 레온카발로 전기에 따르면 레온카발로가 이 작품을 전혀 작곡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드라이든의 연구 노트를 보면, "훌륭한 ''오이디푸스 왕''…은 레온카발로가 작곡한 것조차 아니다. 그의 미망인은 다른 작곡가에게 ''베를린의 롤란트''의 음악을 사용하여 새로운 오페라를 만들도록 돈을 지불했다."라고 되어 있다.[23][24] 드라이든은 레온카발로의 서신에서 이 오페라에 대한 언급을 찾지 못했고, 필사 악보에서도 그의 메모를 발견하지 못했다.[25][26] 페나키오는 오페라를 만들었거나 레온카발로의 미완성 작품에 더 많은 작업을 했을 수도 있다. 레온카발로의 초기 음악을 사용하여 "결함을 메우기" 위해.[27]
레온카발로는 1919년 8월 9일 토스카나주 몬테카티니 테르메에서 사망했다. 그의 장례식은 이틀 후 열렸으며, 동료 작곡가 피에트로 마스카니와 오랜 라이벌 자코모 푸치니를 포함한 수백 명이 참석했다. 그는 피렌체의 포르테 산테 묘지에 매장되었다.
사망 70년 후, 레온카발로가 스위스 브리사고에 묻히기를 원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그의 유해를 이장하기 위한 운동이 시작되었다. 레온카발로는 브리사고 명예 시민이었고, 이 마을에 빌라 미리암이라는 호화로운 별장을 소유하고 있었다. 1904년 작곡가는 연설에서 마을의 마돈나 디 포르테 묘지에 안장되는 것을 꺼리지 않겠다고 언급했지만, 그의 유언장에 서면으로 요청한 적은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레온카발로의 유해를 이장하려는 운동은 진행되었고, 작곡가의 마지막 후손인 피에라 레온카발로-그랑드의 공식 승인을 받았다. 루제로 레온카발로의 시신은 1989년 9월 22일 스위스로 이장하기 위해 발굴되었으며,[28] 그의 아내 베르트(1926년 사망)의 유해 옆에 매장되었다.[29]
2002년 브리사고에는 작곡가를 기념하기 위해 레온카발로 박물관(Museo Leoncavallo)이 설립되었다. 여기에는 개인 소장품과 원고뿐만 아니라 그의 오페라 《자자》와 《베를린의 롤란트》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묘사한 조각상도 전시되어 있다. 작곡가의 고향인 몬탈토 우푸고에 있는 루제로 레온카발로 박물관(Museo Ruggiero Leoncavallo)은 2010년에 개관했으며, 다양한 원고와 개인 소장품 외에도 레온카발로의 개인 피아노도 소장하고 있다.[30]
오늘날 레온카발로의 다른 오페라 작품들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지만, 《자자》의 바리톤 아리아는 바리톤 가수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고, 콘서트와 음반 녹음에서도 자주 연주되었다. 《자자》 전체와 그의 《라 보엠》도 때때로 재공연된다. 《라 보엠》의 테너 아리아는 여전히 음반에서 인기가 있다.
레온카발로는 또한 노래를 작곡했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엔리코 카루소를 위해 작곡한 "마티나타"이다. 1904년 4월 8일 레온카발로는 피아노 반주를 맡아 카루소와 함께 이 노래를 녹음했다. 1905년 12월 8일 그는 자동 연주 피아노 벨테-미뇽을 위해 자신의 작품 5곡을 녹음했다.[31][32]
레온카발로는 자신의 오페라 대부분의 대본을 직접 썼다.[33][34] 1918년 아리고 보이토의 사망 후 일부 사람들은 레온카발로를 이탈리아 최고의 대본 작가로 평가했다.[35] 다른 작곡가를 위한 그의 작품으로는 자코모 푸치니의 1893년 작품 마농 레스코의 대본에 대한 기여가 있다.[36][37]
3. 주요 작품
레온카발로는 오페라, 오페레타, 교향시, 가곡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레온카발로의 대표적인 오페라로는 팔리아치가 있으며, 그 외 오페라 작품들은 하위 섹션인 === 오페라 ===에 정리되어 있다.
레온카발로가 작곡한 오페레타 목록은 하위 섹션인 === 오페레타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알프레드 드 뮈세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테너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교향시 La nuit de mai프랑스어, 오노레 드 발자크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교향시 Séraphitus Séraphita프랑스어, Mattinatait(아침의 노래) 등 가곡을 포함한 기타 작품들은 하위 섹션 === 기타 작품 ===에 정리되어 있다.
3. 1. 오페라
- Pagliacciit (팔리아치, 1892년 5월 21일 초연, 밀라노 달 베르메 극장)
- I Mediciit (메디치가, 1893년 11월 9일 초연, 밀라노 달 베르메 극장) - 미완성 3부작 Crepusculum의 첫 번째 작품.
- Chatterton영어 (챗터턴, 1896년 3월 10일 초연, 로마 아르헨티나 극장) (1876년 작품을 개정)
- La Bohème프랑스어 (라 보엠, 1897년 5월 6일 초연, 베네치아 라 페니체 극장)
- Zazàit (자자, 1900년 11월 10일 초연, 밀라노 밀라노 리리코 극장)
- Der Roland von Berlinde (베를린의 롤란트, 1904년 12월 13일 초연, 베를린 베를린 국립 오페라단)
- Maiait (마이아, 1910년 1월 15일 초연, 로마 로마 오페라 극장)
- Gli Zingariit (징가리, 1912년 9월 16일 초연, 런던 런던 히포드롬)
- Mimi Pinsonit (미미 팽송, 1913년 초연, 팔레르모 마시모 극장) (라 보엠을 개작)
- Edipo Reit (오이디푸스 렉스, 1920년 12월 13일 초연, 시카고 오페라 협회)
3. 2. 오페레타
레온카발로는 생전에 7편의 오페레타를 작곡했고, 사후에 3편이 초연되었다.제목 | 초연 연도 | 초연 장소 |
---|---|---|
La jeunesse de Figaro|라 주베네자 디 피가로it | 1906년 | 미국 |
Malbrouck|말브룩it | 1910년 1월 19일 | 로마 국립극장(Teatro Nazionale) |
La reginetta delle rose|라 레지네타 델레 로제it | 1912년 6월 24일 | 로마 코스탄치 극장(Teatro Costanzi) |
Are You There?|거기 계세요?it | 1913년 11월 1일 | 런던 웨일스 왕자 극장(Prince of Wales Theatre) |
La candidata|라 칸디다타it | 1915년 2월 6일 | 로마 국립극장(Teatro Nazionale) |
Prestami tua moglie|프레스타미 투아 모글리에it | 1916년 9월 2일 | 몬테카티니 카지노 델레 테르메(Casino delle Terme) |
Goffredo Mameli|고프레도 마멜리it | 1916년 4월 27일 | 제노바 카를로 펠리체 극장(Teatro Carlo Felice) |
A chi la giarrettiera?|아 키 라 자레티에라?it | 1919년 10월 16일 | 로마 아드리아노 극장(Teatro Adriano) |
Il primo bacio|일 프리모 바치오it | 1923년 4월 29일 | 몬테카티니 살로네 디 쿠라(Salone di cura) |
La maschera nuda|라 마스케라 누다it | 1925년 6월 26일 | 나폴리 폴리테아마 극장(Teatro Politeama) |
3. 3. 기타 작품
4. 레온카발로와 푸치니
5. 평가 및 유산
레온카발로는 오늘날 그의 오페라 《팔리아치》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이 작품은 현재까지도 표준 오페라 레퍼토리로 남아있는 유일한 그의 작품이다.[33][34] 그의 다른 오페라들은 거의 공연되지 않지만, 《자자》의 바리톤 아리아는 바리톤 가수들에게 인기가 많아 콘서트나 음반으로 자주 연주된다. 또한 《자자》 전체와 《라 보엠》도 가끔 재공연되며, 《라 보엠》의 테너 아리아는 여전히 음반으로 인기가 있다.
레온카발로는 오페라 외에도 노래를 작곡했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엔리코 카루소를 위해 작곡한 "마티나타"이다. 1904년 4월 8일, 레온카발로는 직접 피아노 반주를 하며 카루소와 함께 이 노래를 녹음했다.[31][32] 그는 또한 자신의 오페라 대부분의 대본을 직접 썼으며,[33][34] 아리고 보이토 사후에는 이탈리아 최고의 대본 작가로 평가받기도 했다.[35] 그는 자코모 푸치니의 마농 레스코 대본 작업에도 참여했다.[36][37]
레온카발로는 1919년 몬테카티니 테르메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장례식에는 피에트로 마스카니, 자코모 푸치니 등 수백 명이 참석했다.[28] 그는 피렌체의 포르테 산테 묘지에 안장되었다가, 1989년 스위스 브리사고로 이장되어 그의 아내 옆에 묻혔다.[28][29] 브리사고와 그의 고향 몬탈토우푸고에는 그를 기념하는 박물관이 있다.[30]
참조
[1]
웹사이트
Leoncavallo
http://www.leoncaval[...]
2012-02-06
[2]
서적
Leoncavallo: Life and Works
Dryden
2007
[3]
웹사이트
Fondazione Ruggero Leoncavallo
http://www.leoncaval[...]
[4]
사전
Leoncavallo, Ruggiero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5]
사전
Leoncavallo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2019-05-21
[6]
사전
Leoncavallo
Merriam-Webster
2019-05-21
[7]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Opera
Stanley Sadie and Christina Bashford
1992
[8]
서적
I "Pagliacci" di Leoncavallo
https://books.google[...]
Rubbettino Editore
2024-06-27
[9]
서적
Das italienische Kunstlied der Romantik
https://books.google[...]
Bärenreiter-Verlag
2024-06-27
[1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Oper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24-06-27
[11]
서적
American History and Encyclopedia of Music
https://books.google[...]
Squire Cooley Company
2024-07-04
[12]
서적
Leoncavallo: Life and Work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24-07-18
[13]
서적
Fremde Welten: Die Oper des italienischen Verismo
https://books.google[...]
Verlag J. B. Metzler
2024-07-25
[14]
간행물
Nuova rivista musicale italiana
https://books.google[...]
Edizioni rai-radiotelevisione italiana
[15]
서적
Leoncavallo: Life and Work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24-07-25
[16]
서적
Casa musicale Sonzogno: cronologie, saggi, testimonianze
https://books.google[...]
Casa musicale Sonzogno
2024-08-01
[17]
서적
Leoncavallo: Life and Work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24-08-01
[18]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Opera
Stanley Sadie and Christina Bashford
1992
[19]
웹사이트
The Leoncavallo Recordings 1907/1908: Chatterton
http://www.marstonre[...]
Marston Records
2004
[20]
서적
Puccini: His Life and Work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1]
서적
Ruggero Leoncavallo in New York and other American cities: 1906 and 1913
2011
[22]
웹사이트
ForumOpera
http://www.forumoper[...]
[23]
서적
Leoncavallo: Life and Works
Dryden
2007
[24]
웹사이트
Untitled Document
http://www.operanost[...]
[25]
서적
The Opera of the Twentieth Century: A Passionate Art in Transition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5-01-24
[26]
서적
Tendenze della musica teatrale italiana all'inizio del Novecento: atti del 4o Convegno internazionale "Ruggero Leoncavallo nel suo tempo" : Locarno, Biblioteca cantonale, 23-24 maggio 1998
https://books.google[...]
Sonzogno
2005
[27]
웹사이트
Giovanni Pennacchio
http://www.carmeloch[...]
[28]
서적
Leoncavallo: Life and Work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24-08-22
[29]
서적
Lago Maggiore
https://books.google[...]
Michael Müller Verlag
2024-08-22
[30]
웹사이트
Museo Ruggiero Leoncavallo – Museo Ruggiero Leoncavallo
https://www.museoleo[...]
[31]
서적
Welte-Mignon Reproductions. Complete Library Of Recordings For The Welte-Mignon Reproducing Piano 1905–1932
Stuttgart
2006
[32]
웹사이트
TACET Musikproduktion - english
http://www.tacet.de/[...]
[33]
웹사이트
Ruggero Leoncavallo (1857-1919)
https://mahlerfounda[...]
Mahler Foundation
2015-01-06
[34]
서적
Leoncavallo: Life and Work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24-08-29
[35]
웹사이트
Vesti la giubba/Mattinata
https://www.steynonl[...]
Mark Steyn Enterprises (US) Inc.
2019-08-04
[36]
서적
Giacomo Puccini: ''Manon Lescaut''
https://books.google[...]
Opera Journeys Publishing
2024-09-05
[37]
웹사이트
Ruggero Leoncavallo (1857-1919)
https://mahlerfounda[...]
2015-01-06
[38]
웹사이트
Le Opere di Leoncavallo
http://www.leoncav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