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베그 미분가능성 정리는 르베그 적분 가능한 함수의 부정 적분의 미분 가능성에 대한 정리이다. 이 정리는 거의 모든 점에서 부정 적분의 미분이 원래 함수와 같다고 말한다. 1차원 경우에 르베그에 의해 증명되었으며,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의 일반화로 볼 수 있다. 증명에는 약-L1 추정치와 하디-리틀우드 극대 함수 결과가 사용되며, 비탈리 덮개 보조정리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르베그 밀도 정리는 르베그 미분가능성 정리의 특수한 경우이며, 보렐 측도로 확장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측도론 정리 - 푸비니 정리 푸비니 정리는 곱측도 공간에서 적분 순서를 변경하는 것을 다루는 수학적 정리이며, 적분 가능한 함수에 대해 성립하고 적분 계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측도론 정리 - 단조 수렴 정리 단조 수렴 정리는 측도 공간에서 음이 아닌 가측 함수의 수열이 점별로 수렴할 때 극한 함수가 가측 함수이고 적분의 극한이 적분의 극한과 같다는 정리이다.
미분학 - 기울기 (벡터) 기울기(벡터)는 스칼라장의 특정 지점에서 값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방향과 변화율을 나타내는 벡터로, 함수의 등위면에 수직이며 크기는 해당 방향의 변화율을 나타내고, 스칼라 함수의 각 성분에 대한 편미분으로 구성되며 나블라 연산자로 표현된다.
미분학 - 음함수와 양함수 음함수와 양함수는 함수의 표현 방식에 따른 분류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가 명시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양함수, 관계식이 한 식 안에 포함된 경우를 음함수라 하며, 음함수는 양함수로 표현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있고, 음함수 미분법, 음함수 정리 등을 통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실해석학 정리 -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는 미분과 적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미적분학의 핵심 정리로서, 제1 기본 정리와 제2 기본 정리로 구성되며, 17세기에 발전되어 르베그 적분 등으로 일반화된다.
실해석학 정리 -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는 유클리드 공간에서 유계인 수열이 수렴하는 부분 수열을 가진다는 정리로, 실해석학에서 중요하며 경제학의 균형 개념 증명에도 활용된다.
르베그 미분가능성 정리
2. 정의
'''R'''''n'' 상의 르베그 적분 가능한 실수 또는 복소수 값을 갖는 함수 ''f''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때, 가측 집합 ''A'' ⊂ '''R'''''n''에 대해 ''f''의 "부정 적분"은 다음과 같은 집합 함수로 정의할 수 있다.
이 집합 함수의 점 ''x'' ∈ '''R'''''n''에서의 "미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int_{B}f \, \mathrm{d}\lambda
여기서 ''B''는 ''x''를 중심으로 하는 구이고, |''B''|는 구 ''B''의 르베그 측도(즉, 부피)를 나타낸다. ''B'' → ''x''는 구 ''B''의 지름이 0으로 수렴하는 극한을 의미한다.
3. 르베그 미분 정리의 내용
실변수함수 f:[a, b] → '''R'''이 단조증가한다고 가정하면, 이 함수 f는 거의 모든 점에서 미분가능하다. 이는 르베그 미분가능성 정리의 한 형태이다.[4] 이 정리의 증명에는 비탈리의 보조정리를 이용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4] 이를 이용해 푸비니의 미분 정리를 증명할 수도 있다.[5]
더 일반적으로, '''R'''''n''에서 정의된 르베그 적분가능한 실수 또는 복소수 값을 갖는 함수 ''f''를 생각해보자. 이 함수의 부정 적분은 가측 집합 ''A''를 의 르베그 적분 값으로 대응시키는 집합 함수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집합 ''A''의 지시 함수이다. 이는 보통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여기서 |''B''|는 ''x''를 중심으로 하는 구 ''B''의 부피(르베그 측도)를 나타내며, ''B'' → ''x''는 구 ''B''의 지름이 0으로 수렴하는 것을 의미한다. 르베그 미분 정리는 거의 모든 점 ''x'' ∈ '''R'''''n''에서 위 극한값이 존재하며, 그 값은 원래 함수값 ''f''(''x'')와 같다는 것을 말한다.[1] 실제로는 이보다 약간 더 강한 주장도 참이며, 이와 관련된 개념으로 르베그 점이 있다. 또한, 미분을 정의할 때 사용된 구 ''B''를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다른 종류의 집합족으로 대체하는 일반화도 가능하다.
특히 1차원(실수선)의 경우, 적분 가능한 함수 ''f''에 대해 함수
는 거의 모든 곳에서 미분 가능하며, 그 도함수는 를 만족한다. 이는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와 유사한 형태이지만, 리만 적분 대신 르베그 적분을 사용해도 성립함을 보여준다.[2] 이 1차원 경우는 앙리 르베그가 1904년에 먼저 증명하였다.
3. 1. 르베그 점
르베그 적분가능한 함수 ''f''에 대해, ''x''에서의 적분 평균과 ''f''(''x'')의 차이를 나타내는 다음 부등식을 고려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