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르베그 미분가능성 정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베그 미분가능성 정리는 르베그 적분 가능한 함수의 부정 적분의 미분 가능성에 대한 정리이다. 이 정리는 거의 모든 점에서 부정 적분의 미분이 원래 함수와 같다고 말한다. 1차원 경우에 르베그에 의해 증명되었으며,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의 일반화로 볼 수 있다. 증명에는 약-L1 추정치와 하디-리틀우드 극대 함수 결과가 사용되며, 비탈리 덮개 보조정리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르베그 밀도 정리는 르베그 미분가능성 정리의 특수한 경우이며, 보렐 측도로 확장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측도론 정리 - 푸비니 정리
    푸비니 정리는 곱측도 공간에서 적분 순서를 변경하는 것을 다루는 수학적 정리이며, 적분 가능한 함수에 대해 성립하고 적분 계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 측도론 정리 - 단조 수렴 정리
    단조 수렴 정리는 측도 공간에서 음이 아닌 가측 함수의 수열이 점별로 수렴할 때 극한 함수가 가측 함수이고 적분의 극한이 적분의 극한과 같다는 정리이다.
  • 미분학 - 기울기 (벡터)
    기울기(벡터)는 스칼라장의 특정 지점에서 값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방향과 변화율을 나타내는 벡터로, 함수의 등위면에 수직이며 크기는 해당 방향의 변화율을 나타내고, 스칼라 함수의 각 성분에 대한 편미분으로 구성되며 나블라 연산자로 표현된다.
  • 미분학 - 음함수와 양함수
    음함수와 양함수는 함수의 표현 방식에 따른 분류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가 명시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양함수, 관계식이 한 식 안에 포함된 경우를 음함수라 하며, 음함수는 양함수로 표현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있고, 음함수 미분법, 음함수 정리 등을 통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실해석학 정리 -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는 미분과 적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미적분학의 핵심 정리로서, 제1 기본 정리와 제2 기본 정리로 구성되며, 17세기에 발전되어 르베그 적분 등으로 일반화된다.
  • 실해석학 정리 -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는 유클리드 공간에서 유계인 수열이 수렴하는 부분 수열을 가진다는 정리로, 실해석학에서 중요하며 경제학의 균형 개념 증명에도 활용된다.
르베그 미분가능성 정리

2. 정의

'''R'''''n'' 상의 르베그 적분 가능한 실수 또는 복소수 값을 갖는 함수 ''f''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때, 가측 집합 ''A'' ⊂ '''R'''''n''에 대해 ''f''의 "부정 적분"은 다음과 같은 집합 함수로 정의할 수 있다.

A \mapsto \int_{A} f \cdot \mathbf{1}_A \, \mathrm{d}\lambda = \int_{A} f \, \mathrm{d}\lambda

여기서 ''λ''는 ''n''차원 르베그 측도이고, \mathbf{1}_{A}는 집합 ''A''의 지시 함수이다.

이 집합 함수의 점 ''x'' ∈ '''R'''''n''에서의 "미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lim_{B \to x} \frac{1}

\int_{B}f \, \mathrm{d}\lambda

여기서 ''B''는 ''x''를 중심으로 하는 구이고, |''B''|는 구 ''B''의 르베그 측도(즉, 부피)를 나타낸다. ''B'' → ''x''는 구 ''B''의 지름이 0으로 수렴하는 극한을 의미한다.

3. 르베그 미분 정리의 내용

실변수 함수 f:[a, b] → '''R'''이 단조증가한다고 가정하면, 이 함수 f는 거의 모든 점에서 미분가능하다. 이는 르베그 미분가능성 정리의 한 형태이다.[4] 이 정리의 증명에는 비탈리의 보조정리를 이용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4] 이를 이용해 푸비니의 미분 정리를 증명할 수도 있다.[5]

더 일반적으로, '''R'''''n''에서 정의된 르베그 적분가능한 실수 또는 복소수 값을 갖는 함수 ''f''를 생각해보자. 이 함수의 부정 적분은 가측 집합 ''A''를 f \cdot \mathbf{1}_A의 르베그 적분 값으로 대응시키는 집합 함수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mathbf{1}_{A}는 집합 ''A''의 지시 함수이다. 이는 보통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A \mapsto \int_{A} f\ \mathrm{d}\lambda

여기서 ''λ''는 ''n''차원 르베그 측도이다.

이 적분의 점 ''x''에서의 ''미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lim_{B \to x} \frac{1}

\int_{B}f \, \mathrm{d}\lambda

여기서 |''B''|는 ''x''를 중심으로 하는 구 ''B''의 부피(르베그 측도)를 나타내며, ''B'' → ''x''는 구 ''B''의 지름이 0으로 수렴하는 것을 의미한다.
르베그 미분 정리는 거의 모든 점 ''x'' ∈ '''R'''''n''에서 위 극한값이 존재하며, 그 값은 원래 함수값 ''f''(''x'')와 같다는 것을 말한다.[1] 실제로는 이보다 약간 더 강한 주장도 참이며, 이와 관련된 개념으로 르베그 점이 있다. 또한, 미분을 정의할 때 사용된 구 ''B''를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다른 종류의 집합족으로 대체하는 일반화도 가능하다.

특히 1차원(실수선)의 경우, 적분 가능한 함수 ''f''에 대해 함수

F(x) = \int_{(-\infty,x]} f(t) \, \mathrm{d} t

는 거의 모든 곳에서 미분 가능하며, 그 도함수는 F'(x) = f(x)를 만족한다. 이는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와 유사한 형태이지만, 리만 적분 대신 르베그 적분을 사용해도 성립함을 보여준다.[2] 이 1차원 경우는 앙리 르베그가 1904년에 먼저 증명하였다.

3. 1. 르베그 점

르베그 적분가능한 함수 ''f''에 대해, ''x''에서의 적분 평균과 ''f''(''x'')의 차이를 나타내는 다음 부등식을 고려할 수 있다.

\left|\frac{1}

\int_{B}f(y) \, \mathrm{d}\lambda(y) - f(x)\right| = \left|\frac{1}

\int_{B}(f(y) - f(x))\, \mathrm{d}\lambda(y)\right| \le \frac{1}

\int_{B}|f(y) -f(x)|\, \mathrm{d}\lambda(y).

여기서 ''B''는 ''x''를 중심으로 하는 구이고, |''B''|는 그 르베그 측도이며, ''λ''는 ''n''차원 르베그 측도이다.

르베그 미분가능성 정리는 위 부등식의 가장 왼쪽 항이 거의 모든 ''x''에서 0으로 수렴함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위 부등식의 가장 오른쪽 항, 즉

\frac{1}

\int_{B}|f(y) -f(x)|\, \mathrm{d}\lambda(y)

역시 거의 모든 점 ''x''에서 0으로 수렴한다는 더 강력한 주장이 성립한다.[1] 이 조건이 성립하는 점 ''x''를 함수 ''f''의 '''르베그 점'''(Lebesgue point)이라고 한다. 즉, 르베그 점에서는 함수값과 주변 평균값의 차이뿐만 아니라, 함수값과 주변값들 자체의 차이의 평균도 0으로 수렴한다.

3. 2. 일반화

르베그 미분 정리는 더 일반적인 상황에서도 성립한다. 정리의 기본 명제에서 사용된 구 ''B''의 족 대신, 유계 편심(bounded eccentricity)이라는 성질을 만족하는 집합족 \mathcal{V}를 사용해도 동일한 결과가 성립한다.

여기서 집합족 \mathcal{V}가 유계 편심이라는 것은 다음 조건을 만족함을 의미한다:

어떤 고정된 상수 ''c'' > 0가 존재하여, \mathcal{V}에 속하는 모든 집합 ''U''에 대해, ''U''를 포함하면서 부피(르베그 측도) 관계 |U| \ge c \, |B|를 만족하는 구 ''B''가 항상 존재해야 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다음 조건이 필요하다:

'''R'''''n'' 안의 모든 점 ''x''는 \mathcal{V}에 속하는 집합들 중 측도가 임의로 작은 집합에 포함될 수 있어야 한다. 즉, 점 ''x''를 포함하면서 얼마든지 작아질 수 있는 \mathcal{V}의 원소들이 존재해야 한다.

위 두 조건이 만족되면, \mathcal{V}에 속하는 집합 ''U''가 점 ''x''로 수축할 때 (즉, ''U''의 지름이 0으로 갈 때), 거의 모든 점 ''x'' ∈ '''R'''''n''에 대해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f(x) = \lim_{U \rightarrow x, \, U \in \mathcal{V}} \frac{1}

\int_U f \, \mathrm{d}\lambda

유계 편심 조건을 만족하는 집합족 \mathcal{V}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R'''''n''에서 모든 정육면체(cube)의 집합.
  • '''R'''2에서, 어떤 고정된 상수 ''m'' ≥ 1에 대해, 변들의 비율이 ''m''−1과 ''m'' 사이에 있는 모든 직사각형의 집합 \mathcal{V}(''m'').
  • '''R'''''n''에 주어진 임의의 노름(norm)에 대해, 그 노름으로부터 유도되는 거리 함수에 대한 모든 구(ball)들의 집합.

4. 1차원 경우

1차원 경우는 르베그가 1904년에 먼저 증명하였다. ''f''가 실수선상에서 적분 가능하면, 함수

F(x) = \int_{-\infty}^x f(t) \, \mathrm{d} t

는 거의 모든 곳에서 미분 가능하며, 그 도함수는 F'(x) = f(x)이다. 이는 리만 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경우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와 유사한 형태이지만, 르베그는 이 정리가 르베그 적분에서도 성립함을 보였다.[2]

5. 증명

르베그 미분가능성 정리의 증명에는 비탈리의 보조정리를 이용하는 등 여러 방법이 있다.[4] 또한 이 정리를 이용해서 푸비니의 미분 정리를 증명할 수도 있다.[5]

정리의 더 강력한 형태, 즉 거의 모든 점이 국소 적분 가능 함수 ''f''의 르베그 점이라는 것은 하디-리틀우드 극대 함수에 대한 약–''L''1 추정치를 통해 증명할 수 있다. 이 증명 방식은 여러 해석학 교재에서 표준적인 방법으로 소개되고 있다.

5. 1. 증명 과정 요약

정리의 더 강력한 형태, 즉 거의 모든 점이 국소 적분 가능 함수 ''f''의 르베그 점이라는 것은 약–''L''1 추정치와 하디-리틀우드 최대 함수의 결과로 증명할 수 있다.

명제가 국소적 성격을 띠므로, ''f''는 유한한 반지름의 어떤 공 밖에서는 0이고 적분 가능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집합

:E_\alpha = \Bigl\{ x \in \mathbf{R}^n :\limsup_{|B|\rightarrow 0, \, x \in B} \frac{1}

\bigg|\int_B f(y) -f(x)\, \mathrm{d}y\bigg| > 2\alpha \Bigr\}

의 측도가 모든 ''α'' > 0에 대해 0임을 증명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ε'' > 0이 주어졌다고 하자. ''L''1('''R'''''n'')에서 콤팩트지지 집합을 가진 연속 함수들이 조밀하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함수 ''g''를 찾을 수 있다.

:\|f - g\|_{L^1} = \int_{\mathbf{R}^n} |f(x) - g(x)| \, \mathrm{d}x < \varepsilon.

그런 다음 주요 차이를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나누어 생각하는 것이 유용하다.

: \frac{1}

\int_B f(y) \, \mathrm{d}y - f(x) = \Bigl(\frac{1}

\int_B \bigl(f(y) - g(y)\bigr) \, \mathrm{d}y \Bigr) + \Bigl(\frac{1}

\int_B g(y) \, \mathrm{d}y - g(x) \Bigr)+ \bigl(g(x) - f(x)\bigr).

첫 번째 항의 절댓값은 ''f'' − ''g''에 대한 하디-리틀우드 최대 함수의 ''x''에서의 값, 즉 (f-g)^*(x)로 상계를 가진다.

: \frac{1}

\int_B |f(y) - g(y)| \, \mathrm{d}y \leq \sup_{r>0} \frac{1}

\int_{B_r(x)} |f(y)-g(y)| \, \mathrm{d}y = (f-g)^*(x).

두 번째 항은 ''g''가 연속 함수이므로 공 ''B''의 크기가 0으로 갈 때 극한에서 사라진다. 세 번째 항의 절댓값은 |''f''(''x'') − ''g''(''x'')|로 상계를 가진다.

원래 차이의 절댓값의 상극한이 2''α''보다 크려면, 첫 번째 항 또는 세 번째 항 중 적어도 하나의 절댓값이 ''α''보다 커야 한다. 그러나 하디-리틀우드 최대 함수에 대한 추정치에 따르면, 차원 ''n''에만 의존하는 어떤 상수 ''An''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Bigl| \left \{ x : (f-g)^*(x) > \alpha \right \} \Bigr| \leq \frac{A_n}{\alpha} \, \|f - g\|_{L^1} < \frac{A_n}{\alpha} \, \varepsilon.

또한 마르코프 부등식 (체비셰프 부등식이라고도 함)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 \Bigl|\left\{ x : |f(x) - g(x)| > \alpha \right \}\Bigr| \leq \frac{1}{\alpha} \, \|f - g\|_{L^1} < \frac{1}{\alpha} \, \varepsilon.

따라서 ''Eα''의 측도는 다음과 같이 상계를 가진다.

: |E_\alpha| \leq \frac{A_n+1}{\alpha} \, \varepsilon.

여기서 ''ε''은 임의의 양수였으므로, 얼마든지 작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Eα''의 측도는 0이어야 하며, 이것으로 정리가 증명된다.

6. 증명의 핵심

르베그 미분가능성 정리의 증명은 국소 적분 가능 함수 ''f''가 거의 모든 점에서 르베그 점임을 보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거의 모든 점 ''x''에서 다음 식이 성립함을 증명하고자 한다.

:\lim_{B \rightarrow x} \frac{1}

\int_{B}f(y) \, \mathrm{d}y = f(x)

증명의 핵심 아이디어는 위 식이 성립하지 않는 점들의 집합, 즉 특정 양수 ''α'' > 0에 대해

:E_\alpha = \Bigl\{ x \in \mathbf{R}^n :\limsup_{|B|\rightarrow 0, \, x \in B} \frac{1}

\bigg|\int_B f(y) -f(x)\, \mathrm{d}y\bigg| > 2\alpha \Bigr\}

와 같이 정의된 집합의 측도가 0임을 보이는 것이다. 모든 양수 ''α''에 대해 이것이 성립하면, 극한값이 ''f(x)''와 다른 점들의 전체 집합 역시 측도가 0이 되기 때문이다.

이를 보이기 위해, ''L''1('''R'''''n'') 공간의 성질, 특히 콤팩트 지지를 가지는 연속 함수들이 조밀하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함수 ''f''를 연속 함수 ''g''로 근사한다. 즉, 임의의 ''ε'' > 0에 대해 ''f''와 ''g''의 차이의 ''L''1 노름 \|f - g\|_{L^1} = \int_{\mathbf{R}^n} |f(x) - g(x)| \, \mathrm{d}x < \varepsilon을 만족하는 연속 함수 ''g''를 찾을 수 있다.

그 다음, 증명하고자 하는 식의 좌변 항 \frac{1}

\int_B f(y) \, \mathrm{d}y - f(x)을 ''f''와 ''g''를 이용하여 세 부분으로 분해한다.

: \Bigl(\frac{1}

\int_B \bigl(f(y) - g(y)\bigr) \, \mathrm{d}y \Bigr) + \Bigl(\frac{1}

\int_B g(y) \, \mathrm{d}y - g(x) \Bigr)+ \bigl(g(x) - f(x)\bigr)

여기서 두 번째 항은 ''g''가 연속 함수이므로 극한(|B| \rightarrow 0)에서 0이 된다. 따라서 원래 식의 극한값이 2''α''보다 크려면, 첫 번째 항 또는 세 번째 항의 절댓값이 ''α''보다 커야 한다.

첫 번째 항의 절댓값은 하디-리틀우드 최대 함수 (f-g)^*(x)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상계를 잡을 수 있다.

: \frac{1}

\int_B |f(y) - g(y)| \, \mathrm{d}y \leq (f-g)^*(x)

세 번째 항은 단순히 |g(x) - f(x)|이다.

하디-리틀우드 최대 함수에 대한 약-''L''1 평가식은 차원 ''n''에만 의존하는 상수 ''An''에 대해 다음 부등식을 제공한다.

: \Bigl| \left \{ x : (f-g)^*(x) > \alpha \right \} \Bigr| \leq \frac{A_n}{\alpha} \, \|f - g\|_{L^1} < \frac{A_n}{\alpha} \, \varepsilon

또한 마르코프 부등식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 \Bigl|\left\{ x : |f(x) - g(x)| > \alpha \right \}\Bigr| \leq \frac{1}{\alpha} \, \|f - g\|_{L^1} < \frac{1}{\alpha} \, \varepsilon

따라서, 첫 번째 항 또는 세 번째 항의 절댓값이 ''α''보다 커지는 점들의 집합 E_\alpha의 측도는 다음과 같이 제한된다.

: |E_\alpha| \leq \frac{A_n+1}{\alpha} \, \varepsilon

''ε''은 임의의 양수이므로 얼마든지 작게 만들 수 있다. 이는 결국 집합 E_\alpha의 측도가 0임을 의미하며, 르베그 미분가능성 정리가 증명된다.

이 전체 증명 과정에서 하디-리틀우드 최대 함수에 대한 평가식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데, 이 평가식을 증명하는 데 비탈리 덮개 보조정리가 핵심적으로 사용된다.[4][5] 따라서 비탈리 덮개 보조정리는 르베그 미분가능성 정리 증명의 근간을 이루는 매우 중요한 정리라고 할 수 있다.

7. 관련 정리 및 확장

르베그 미분가능성 정리는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를 일반화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4][5]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는 리만 적분 가능한 함수가 그 (부정) 적분의 도함수와 같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대로, 미분 가능한 함수는 그 도함수의 적분과 같다고 할 수 있는데, 모든 도함수를 적분 가능하게 하려면 헨스톡-쿠르츠바일 적분을 고려해야 할 수도 있다.[4][5]

또한, 르베그 미분가능성 정리는 푸비니의 미분 정리를 증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5] 이 정리의 증명에는 비탈리의 보조정리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4]

7. 1. 르베그 밀도 정리

르베그 미분가능성 정리의 특수한 경우로 르베그 밀도 정리가 있다. 이는 가측 집합의 지시 함수에 르베그 미분가능성 정리를 적용한 것과 동일하다. 르베그 밀도 정리는 보통 더 간단한 방법으로 증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7. 2. 보렐 측도에 대한 확장

르베그 미분가능성 정리는 르베그 측도뿐만 아니라, '''R'''''n'' 위의 모든 유한 보렐 측도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이는 예를 들어 Ledrappier와 Young (1985)에서 증명되었다.

더 나아가, 다음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가분 거리 공간 위의 모든 유한 보렐 측도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이러한 결과의 증명은 Federer (1969)의 2.8–2.9절에 제시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Real analysis : modern techniques and their applications https://www.worldcat[...] Wiley 1999
[2] 서적 A course in real analysis https://www.worldcat[...] Academic Press/Elsevier 2013
[3] 서적 실해석학개론 범한서적주식회사 2006
[4] 서적 실해석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5] 서적 같은 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