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푸비니 정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비니 정리는 곱측도 공간에서 적분의 순서를 바꾸는 것을 다루는 수학적 정리이다. 이 정리는 18세기 오일러에 의해 특수한 경우가 발견되었고, 르베그, 푸비니, 토넬리에 의해 확장되었다. 푸비니 정리는 적분 가능한 함수에 대해, 토넬리 정리는 음이 아닌 가측 함수에 대해 각각 성립하며, 이들을 결합한 푸비니-토넬리 정리가 널리 사용된다. 이 정리는 적분 계산, 특히 여러 분야의 적분을 계산하는 데 유용하며, 반례를 통해 함수의 가측성 및 적분 가능성 조건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또한 쿠라토프스키-울람 정리는 베어 공간에 대한 유사한 결과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측도론 정리 - 단조 수렴 정리
    단조 수렴 정리는 측도 공간에서 음이 아닌 가측 함수의 수열이 점별로 수렴할 때 극한 함수가 가측 함수이고 적분의 극한이 적분의 극한과 같다는 정리이다.
  • 측도론 정리 - 사드의 정리
    사드의 정리는 미분 가능 다양체 사이의 미분 가능한 함수에서 함수의 미분 가능성이 충분히 높으면 임계점의 상인 임계값 집합이 르베그 측도에 대해 영집합이 됨을 보장하는 정리로, 특이점 이론의 기초가 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미적분학 정리 - 연쇄 법칙
    연쇄 법칙은 둘 이상의 미분 가능한 함수 합성의 미분법을 제공하며, z의 y에 대한 순간적인 변화율과 y의 x에 대한 순간적인 변화율을 곱하여 z의 x에 대한 순간적인 변화율을 계산하는 직관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실변수 함수, 다변수 함수 등 다양한 경우에 적용된다.
  • 미적분학 정리 -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는 미분과 적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미적분학의 핵심 정리로서, 제1 기본 정리와 제2 기본 정리로 구성되며, 17세기에 발전되어 르베그 적분 등으로 일반화된다.
  • 실해석학 정리 -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는 미분과 적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미적분학의 핵심 정리로서, 제1 기본 정리와 제2 기본 정리로 구성되며, 17세기에 발전되어 르베그 적분 등으로 일반화된다.
  • 실해석학 정리 -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는 유클리드 공간에서 유계인 수열이 수렴하는 부분 수열을 가진다는 정리로, 실해석학에서 중요하며 경제학의 균형 개념 증명에도 활용된다.
푸비니 정리
푸비니 정리
분야실해석학
이름 붙여짐귀도 푸비니
관련있는 이름레오니다 토넬리
다른 이름푸비니-토넬리 정리
서술
내용만약 $\int_A \left( \int_B f(x,y) dy \right) dx$ 와 $\int_B \left( \int_A f(x,y) dx \right) dy$ 가 존재한다면, 두 값이 같다.
만약 $\int_{A \times B} |f(x,y)| d(x,y)$ 가 존재한다면, $\int_A \left( \int_B f(x,y) dy \right) dx = \int_B \left( \int_A f(x,y) dx \right) dy = \int_{A \times B} f(x,y) d(x,y)$ 이다.
조건$f$가 $A \times B$ 위에서 가측 함수여야 함
각 단면 $x \mapsto f(x,y)$ 와 $y \mapsto f(x,y)$ 가 적분 가능해야 함
중요성적분 순서 변경의 조건 제시

2. 역사

푸비니 정리는 이탈리아의 수학자 귀도 푸비니의 이름이 붙어 있다.

푸비니 정리의 특별한 경우로, 닫힌 유계 집합의 곱에 대한 연속 함수에 대한 정리는 18세기에 레온하르트 오일러에 의해 알려졌다. 1904년, 앙리 르베그는 이 결과를 구간의 곱에 대한 유계 가측 함수로 확장했다.[4] 1907년, 푸비니는 이 정리가 유계가 아닌 적분 가능한 함수로 확장될 수 있음을 증명했다.[5] 1909년, 레오니다 토넬리는 적분 가능한 함수 대신 비음 함수에 적용되는 푸비니 정리의 변형을 제시했다.[6]

3. 정의

σ-유한 측도 공간 (X,\mathcal F,\mu)(Y,\mathcal G,\nu)가 주어졌고, (X\times Y,\mathcal F\times\mathcal G,\mu\times\nu)가 곱측도 공간일 때, '''푸비니 정리'''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12]

:\int_{X\times Y}f\mathrm d(\mu\times\nu)

=\int_X\mathrm d\mu(x)\int_Yf(x,y)\mathrm d\nu(y)

=\int_Y\mathrm d\nu(y)\int_Xf(x,y)\mathrm d\mu(x)



이는 f\colon X\times Y\to(\mathbb R,\mathcal B(\mathbb R))가측 함수이고, f의 적분이 확장된 실수로서 존재할 때 (특히, f(\mu\times\nu)-적분 가능할 때) 성립한다. 거의 모든 x\in X에 대하여 y\mapsto f(x,y)\nu-적분 가능하며, 거의 모든 y\in Y에 대하여 x\mapsto f(x,y)\mu-적분 가능하다.[12]

''X''와 ''Y''가 σ-유한 측도 공간이고, ''X'' × ''Y''가 곱 측도를 가지는 경우(''X''와 ''Y''가 σ-유한이므로 유일), 푸비니 정리는 ''f''가 ''X'' × ''Y'' 적분 가능하다면, 즉 ''f''가 가측 함수이고 다음이 성립한다고 말한다.

:\int_{X\times Y} |f(x,y)|\,\text{d}(x,y) < \infty,

:\int_X\left(\int_Y f(x,y)\,\text{d}y\right)\,\text{d}x = \int_Y\left(\int_X f(x,y)\,\text{d}x\right)\,\text{d}y = \int_{X\times Y} f(x,y)\,\text{d}(x,y).

처음 두 적분은 각각 두 측도에 대한 반복 적분이고, 세 번째 적분은 곱 측도에 대한 적분이다. 부분 적분 \int_Y f(x,y)\,\text{d}y\int_X f(x,y)\,\text{d}x는 모든 곳에서 정의될 필요는 없지만, 정의되지 않은 점들이 측도 0인 집합을 이루므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만약 위 절댓값 적분이 유한하지 않다면, 두 반복 적분은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X''와 ''Y''가 σ-유한이라는 조건은 푸비니 정리를 사용하는 거의 모든 측도 공간이 σ-유한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3. 1. 곱측도 (Product measures)

범주론적 의미에서, 측도 공간의 곱 X \times Y에서 가측 집합은 A \times B의 곱으로 생성된 σ-대수의 원소이다. 여기서 AX에서 가측이고 BY에서 가측이다.

X \times Y상의 측도 \mu는 가측 부분 집합 A \subset XB \subset YX상의 측도 \mu_1Y상의 측도 \mu_2에 대해 \mu(A \times B) = \mu_1(A)\mu_2(B)일 경우 '''곱측도'''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X \times Y에는 여러 다른 곱측도가 있을 수 있다. 푸비니 정리와 토넬리의 정리는 모두 이러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기술적인 조건을 필요로 한다. 가장 일반적인 접근 방식은 모든 측도 공간이 σ-유한 측도라고 가정하는 것이며, 이 경우 X \times Y에는 고유한 곱측도가 존재한다. X \times Y에는 항상 고유한 최대 곱측도(maximal product measure)가 존재하는데, 이는 가측 집합의 측도가 가측 집합의 곱의 가산 합집합을 포함하는 집합의 측도의 하한이기 때문이다. 최대 곱측도는 가산 집합의 곱으로 생성된 집합의 링에 \mu(A \times B) = \mu_1(A)\mu_2(B)인 가산 함수 \mu카라테오도리 확장 정리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11]

완비 측도 공간의 곱은 일반적으로 완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위 구간 I에 대한 르베그 측도와 그 자체의 곱은 사각형 I \times I에 대한 르베그 측도가 아니다. 완비 측도를 위한 푸비니 정리의 변형이 있는데, 이는 불완비 곱이 아닌 측도의 곱의 완비를 사용한다.

3. 2. 적분 가능 함수에 대한 푸비니 정리 (For integrable functions)

σ-유한 측도 공간 (X,\mathcal F,\mu)(Y,\mathcal G,\nu)가 주어졌고, (X\times Y,\mathcal F\times\mathcal G,\mu\times\nu)가 곱측도 공간일 때, '''푸비니 정리'''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12]

:\int_{X\times Y}f\mathrm d(\mu\times\nu)

=\int_X\mathrm d\mu(x)\int_Yf(x,y)\mathrm d\nu(y)

=\int_Y\mathrm d\nu(y)\int_Xf(x,y)\mathrm d\mu(x)



이는 f\colon X\times Y\to(\mathbb R,\mathcal B(\mathbb R))가측 함수이고, f의 적분이 확장된 실수로서 존재할 때 (특히, f(\mu\times\nu)-적분 가능할 때) 성립한다. 거의 모든 x\in X에 대하여 y\mapsto f(x,y)\nu-적분 가능하며, 거의 모든 y\in Y에 대하여 x\mapsto f(x,y)\mu-적분 가능하다.[12]

''X''와 ''Y''가 σ-유한 측도 공간이고, ''X'' × ''Y''가 곱 측도를 가지는 경우 (''X''와 ''Y''가 σ-유한이므로 유일), 푸비니 정리는 ''f''가 ''X'' × ''Y'' 적분 가능하다면, 즉 ''f''가 가측 함수이고

:\int_{X\times Y} |f(x,y)|\,\text{d}(x,y) < \infty,

다음이 성립한다고 말한다.

:\int_X\left(\int_Y f(x,y)\,\text{d}y\right)\,\text{d}x = \int_Y\left(\int_X f(x,y)\,\text{d}x\right)\,\text{d}y = \int_{X\times Y} f(x,y)\,\text{d}(x,y).

처음 두 적분은 각각 두 측도에 대한 반복 적분이고, 세 번째 적분은 곱 측도에 대한 적분이다. 부분 적분 \int_Y f(x,y)\,\text{d}y\int_X f(x,y)\,\text{d}x는 모든 곳에서 정의될 필요는 없지만, 정의되지 않은 점들이 측도 0인 집합을 이루므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만약 위 절댓값 적분이 유한하지 않다면, 두 반복 적분은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X''와 ''Y''가 σ-유한이라는 조건은 푸비니 정리를 사용하는 거의 모든 측도 공간이 σ-유한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3. 3. 비음 가측 함수에 대한 토넬리 정리 (Tonelli's theorem for non-negative measurable functions)

Tonelli's theorem영어은 레오니다 토넬리의 이름을 딴 것으로, 푸비니 정리의 후속 정리이다. 토넬리 정리의 결론은 푸비니 정리와 동일하지만, |f|가 유한한 적분을 갖는다는 가정이 f가 음이 아닌 가측 함수라는 가정으로 대체된다.[11]

(X, A, \mu) (Y, B, \nu) 가 σ-유한 측도 공간이고, f:X\times Y \to [0,\infty] 가 음이 아닌 가측 함수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int_X\left(\int_Y f(x,y)\,\text{d}y\right)\,\text{d}x = \int_Y\left(\int_X f(x,y)\,\text{d}x\right)\,\text{d}y = \int_{X\times Y} f(x,y)\,\text{d}(x,y).

토넬리 정리의 특수한 경우는 \sum_x \sum_y a_{xy} = \sum_y \sum_x a_{xy}와 같이 합의 순서 교환에서 나타나며, 여기서 a_{xy}는 모든 ''x''와 ''y''에 대해 음이 아니다. 이 정리의 핵심은 급수가 발산하는 경우에도 합의 순서 교환이 성립한다는 것이다. 합의 순서 변경이 합을 변경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infty로 발산하는 몇몇 부분 수열과 -\infty로 발산하는 다른 부분 수열이 존재할 때이다. 모든 요소가 음이 아니면, 이 예시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11]

측도 공간이 σ-유한하다는 조건이 없으면, 이 세 적분 모두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σ-유한하지 않은 일부 공간에 토넬리 정리의 확장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일반화는 추상 측도 이론 외부에서는 어떠한 중요한 응용도 찾지 못했는데, 이는 거의 모든 실용적인 측도 공간이 σ-유한하기 때문이다.[11]

3. 4. 푸비니-토넬리 정리 (Fubini–Tonelli theorem)

시그마 유한 측도 공간 (X, \mathcal{F}, \mu)(Y, \mathcal{G}, \nu)에 대해, 곱측도 공간 (X \times Y, \mathcal{F} \times \mathcal{G}, \mu \times \nu)에서 가측 함수 f가 주어졌을 때, 푸비니-토넬리 정리는 푸비니 정리와 토넬리 정리를 결합한 것이다.[11][12]

만약 f의 절댓값 |f|에 대한 이중 적분 또는 반복 적분 중 하나라도 유한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int_X\left(\int_Y |f(x,y)|\,\text{d}y\right)\,\text{d}x=\int_Y\left(\int_X |f(x,y)|\,\text{d}x\right)\,\text{d}y=\int_{X\times Y} |f(x,y)|\,\text{d}(x,y)

그리고 이중 적분과 반복 적분의 결과는 같다.

:\int_X\left(\int_Y f(x,y)\,\text{d}y\right)\,\text{d}x=\int_Y\left(\int_X f(x,y)\,\text{d}x\right)\,\text{d}y=\int_{X\times Y} f(x,y)\,\text{d}(x,y).

이는 |f|의 반복 적분이 이중 적분보다 계산하기 쉬운 경우에 유용하다. 비공식적으로, 이 조건들은 f의 이중 적분이 잘 정의되어 있고, 무한대일 가능성은 있지만 유한함을 의미한다.

3. 5. 완비 측도에 대한 푸비니 정리 (For complete measures)

푸비니 정리(Fubini's theorem)의 이 변형은 불완비 곱이 아닌 측도의 곱의 완비(completion)를 사용한다. 이는 수직 또는 수평 적분이 비가측 함수를 적분해야 할 가능성을 허용한다. 이 정리를 적용하려면 XY상의 측도가 완비되어 있다고 가정해야 한다.

  • 두 측도 공간의 곱 X \times Y 대신, 어떤 곱의 완비화를 취한다.
  • fX \times Y의 완비화에서 가측이면, 수직 또는 수평선에 대한 제한은 측도 0인 선의 부분 집합에 대해 비가측일 수 있다. 따라서 수직 또는 수평 적분은 비가측 함수를 적분해야 하므로 측도 0인 집합에서 정의되지 않을 가능성을 허용해야 한다. 하지만 이는 함수가 적분 가능하지 않아 이미 정의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큰 차이를 만들지 않는다.
  • 일반적으로 XY상의 측도가 완비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그렇지 않으면 수직 또는 수평선을 따라 두 부분 적분은 잘 정의될 수 있지만 가측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f가 가측 가능한 집합과 측도 0인 집합에 포함된 비가측 집합의 곱의 지시 함수이면, 단일 적분은 모든 곳에서 잘 정의되지만 가측 가능하지 않다.[1]


두 개의 완비 측도 공간의 곱은 일반적으로 완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위 구간 ''I''에 대한 르베그 측도와 그 자체의 곱은 사각형 ''I'' × ''I''에 대한 르베그 측도가 아니다.[1]

3. 6. 추이 측도로 유도된 측도의 경우

시그마 유한 측도 공간 (X,\mathcal F,\mu)가측 공간 (Y,\mathcal G), 그리고 시그마 유한 추이 측도 \nu\colon X\times\mathcal G\to[0,\infty]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러면 곱 가측 공간 (X\times Y,\mathcal F\times\mathcal G) 위에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측도 \mu\times\nu가 존재하며, 이는 시그마 유한 측도를 이룬다.

:(\mu\times\nu)(A\times B)=\int_A\nu(x,B)\mathrm d\mu(x)\qquad(\forall A\in\mathcal F,\;B\in\mathcal G)

구체적으로 이 측도는 다음과 같다.

:(\mu\times\nu)(S)=\int_X\nu(x,\{y\in Y\colon(x,y)\in S\})\mathrm d\mu(x)\qquad(\forall S\in\mathcal F\times\mathcal G)

또한, '''일반화 푸비니 정리'''(一般化-定理, generalized Fubini’s theorem영어)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10]

  • 임의의 음이 아닌 가측 함수 f\colon X\times Y\to([0,\infty),\mathcal B([0,\infty)))에 대하여, 다음 함수는 가측 함수이다.
  • :(X,\mathcal F)\to([0,\infty],\mathcal B([0,\infty]))
  • :x\mapsto\int_Yf(x,y)\mathrm d\nu(x,\cdot)(y)
  • 임의의 가측 함수 f\colon X\times Y\to(\mathbb R,\mathcal B(\mathbb R))에 대하여, 만약 f의 적분이 확장된 실수로서 존재한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특히, 만약 f(\mu\times\nu)-적분 가능하다면, 거의 모든 x\in X에 대하여, y\mapsto f(x,y)\nu(x,\cdot)-적분 가능하다.)
  • :\int_{X\times Y}f\mathrm d(\mu\times\nu)=\int_X\mathrm d\mu(x)\int_Yf(x,y)\mathrm d\nu(x,\cdot)(y)

3. 7. 리만 적분 (Riemann integrals)

직사각형 `[a,b]×[c,d]⊆ℝ` 위에 정의된 함수 `f:[a,b]×[c,d]→ℝ`가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고 가정한다.

  • `f`는 `[a,b]×[c,d]` 위에서 리만 적분 가능하다.
  • 임의의 `x∈[a,b]`에 대하여, `y↦f(x,y)`는 `[c,d]` 위에서 리만 적분 가능하다.
  • 임의의 `y∈[a,b]`에 대하여, `x↦f(x,y)`는 `[a,b]` 위에서 리만 적분 가능하다.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13]

  • `x↦∫c^df(x,y) dy`와 `y↦∫a^bf(x,y) dx`는 `[a,b]` 위에서 리만 적분 가능하다.
  • `∬[a,b]×[c,d]f(x,y) dx dy=∫a^b dx∫c^df(x,y) dy=∫c^d dy∫a^bf(x,y) dx`


다르부 적분의 정의에 따라, 임의의 `x∈[a,b]`에 대하여 리만 적분 `∫c^df(x,y) dy`가 존재한다는 가정 아래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일 수 있다.

`∫_L∬[a,b]×[c,d]f(x,y) dx dy ≤∫_L∫a^b dx∫c^df(x,y) dy ≤∫_U∫a^b dx∫c^df(x,y) dy ≤∫_U∬[a,b]×[c,d]f(x,y) dx dy`

여기서 `∫_U`와 `∫_L`은 각각 다르부 상적분과 다르부 하적분을 나타낸다. 따라서 `f`가 `[a,b]×[c,d]`에서 리만 적분 가능하면 위 네 식이 모두 같아지므로 리만 적분 `∫a^b dx∫c^df(x,y) dy`가 존재하며 `∬[a,b]×[c,d]f(x,y) dx dy=∫a^b dx∫c^df(x,y) dy`이다. 남은 절반의 증명은 유사하다.

확장된 실수 `a
  • `f`는 연속 함수이다.
  • 이상 적분 `∫a^bf(x,y) dx`는 `y∈[c,d]` 위에서 균등 수렴한다.


  •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13]

    • 이상 적분 `∫a^b dx∫c^df(x,y) dy`가 존재한다.
    • `∫c^d dy∫a^bf(x,y) dx=∫a^b dx∫c^df(x,y) dy`


    그 밖에도 다양한 꼴의 이상 적분에 대하여 유사한 결론이 성립한다.

    리만 적분의 경우, 푸비니 정리는 x축과 y축을 따라 분할을 세분화하여 `[x_i,x_{i+1}] × [y_j,y_{j+1}]` 형태의 결합 분할을 생성함으로써 증명되며, 이는 `X×Y`에 대한 분할이다. 이는 양쪽 순서의 이중 적분이 `X×Y`에 대한 적분과 같음을 보이는 데 사용된다.

    ''X''가 르베그 가측 집합과 르베그 측도를 갖는 단위 구간이고, ''Y''가 모든 부분 집합이 가측 집합이고 계수 측도를 갖는 단위 구간이라고 가정하면, ''Y''는 σ-유한하지 않다. 만약 ''f''가 ''X''×''Y''의 대각선의 지시 함수라면, ''X''를 따라 ''f''를 적분하면 ''Y''에서 0 함수가 되지만, ''Y''를 따라 ''f''를 적분하면 ''X''에서 1 함수가 된다. 따라서 두 반복 적분은 서로 다르다. 이는 토넬리 정리가 어떤 곱 측도를 선택하든 σ-유한하지 않은 공간에 대해 실패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측도는 모두 분해 가능 측도이므로, 토넬리 정리가 분해 가능 측도(σ-유한 측도보다 약간 더 일반적임)에 대해 실패함을 보여준다.

    4. 증명 (Proofs)

    푸비니 정리와 토넬리 정리의 증명은 σ-유한성과 관련된 가정을 사용하므로 다소 기술적인 부분이 있다. 대부분의 증명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점점 더 복잡한 함수에 대해 정리를 증명하여 전체 정리에 도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4][5][6]

    # 곱공간 상의 측도가 직사각형에 대해 곱셈적이라는 사실을 사용하여 직사각형의 지시 함수에 대해 정리를 증명한다.

    # 공간이 σ-유한하다는 조건(또는 이와 관련된 조건)을 사용하여 가측 집합의 지시 함수에 대해 정리를 증명한다. 이는 단순 가측 함수(유한 개의 값만 취하는 가측 함수)의 경우도 포함한다.

    # 함수가 가측이라는 조건을 사용하여 단순 가측 함수로 근사함으로써 양의 가측 함수에 대해 정리를 증명한다. 이로써 토넬리 정리가 증명된다.

    # 함수가 적분 가능하다는 조건을 사용하여 두 양의 적분 가능 함수의 차이로 함수를 표현하고, 토넬리 정리를 각 함수에 적용한다. 이로써 푸비니 정리가 증명된다.

    5. 적분 계산 예시 (Calculation examples)

    Fubini's theorem영어을 사용하여 여러 적분 계산 예시를 살펴본다.

    두 적분의 곱에서 하한이 0이고 공통 상한이 있는 경우 다음 공식을 사용한다.

    \biggl[\int_{0}^{u} v(x) \,\mathrm{d}x\biggr]\biggl[\int_{0}^{u} w(x) \,\mathrm{d}x\biggr] = \int_{0}^{1} \int_{0}^{u} x\,v(xy) \,w(x) + x\,v(x) \,w(xy) \,\mathrm{d}x \,\mathrm{d}y



    Arcsine Integral영어은 역 사인 적분이라고도 하며, 기본 함수로 나타낼 수 없는 함수이다. 그러나 아크사인 적분은 몇 가지 기본 함수 값을 가지고 있다. 이 함수를 적분하기 위해 푸비니 정리는 적분 매개변수의 순서를 교환하여 적분을 풀 수 있는 핵심 역할을 한다. 푸비니 정리를 올바르게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적분할 수 있다.

    \operatorname{Si}_{2}(1) = \int_{0}^{1} \frac{1}{x}\arcsin(x) \,\mathrm{d}x = \int_{0}^{1} \int_{0}^{1} \frac{\sqrt{1-x^2}\,y}{(1- x^2 y^2)\sqrt{1-y^2}} \,{\mathrm{d}y} \,{\mathrm{d}x} =

    = \int_{0}^{1} \int_{0}^{1} \frac{\sqrt{1-x^2}\ ,y}{(1-x^2 y^2)\sqrt{1-y^2}} {\mathrm{d}x} {\mathrm{d}y} =\int_{0}^{1} \frac{\pi\,y}{2\sqrt{1-y^2}(1+\sqrt{1-y^2}\,)} \,\mathrm{d}y =

    = \biggl\{ \frac{\pi}{2} \ln\bigl[2 \bigl(1 + \sqrt{1 - y^2}\,\bigr)^ {-1}\bigr] \biggr\}_{y = 0}^{y = 1} = \frac{\pi}{2}\ln(2)

    디리클레 에타 함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eta(s) = \sum_{n=1}^\infty \frac{(-1)^{n-1}}{n^s} = 1 - \frac{1}{2^ s} + \frac{1}{3^s} - \frac{1}{4^s} + \frac{1}{5^s} - \frac{1}{6^s} \pm \cdots

    η(2)의 값은 π²/12와 같으며, 이는 푸비니 정리를 사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1]

    \eta(2) = \sum_{n = 1}^\infty (-1)^{n-1}\frac{1}{n^2} = \sum_{n = 1}^\infty \int_{0}^{1} (-1)^{n-1}\frac{1}{n} {x}^{n-1} \,\mathrm{d}x = \int_{0}^{1} \sum_{n = 1}^\infty (-1)^{n-1}\frac{1}{n} {x}^{n-1} \,\mathrm{d}x = \int_{0}^{1} \frac{1}{x}\ln(x+1) \,\mathrm{d}x

    역수 함수와 '다음 함수'의 자연 로그의 곱의 적분은 폴리로그 적분이며, 기본 함수 표현식으로는 나타낼 수 없다. 푸비니 정리는 이 적분을 다음과 같이 풀어낸다.

    \int_{0}^{1} \frac{1}{x}\ln(x+1) \,\mathrm{d}x = \int_{0}^{1} \int_{0}^{1} \frac{4}{3(x^2+2xy+1)} + \frac{2x}{3(x^2y+1 )} - \frac{1}{3(xy+1)} \,{\mathrm{d}y} \,{\mathrm{d}x} =

    = \int_{0}^{1} \int_{0}^{1} \frac{4}{3(x^2+2xy +1)} + \frac{2x}{3(x^2y+1)} - \frac{1}{3(xy+1)} \,{\mathrm{d}x} \,{\mathrm{d}y} = \int_{0}^{1} \frac{2\arccos(y)}{3\sqrt{1-y^2}} \,\mathrm {d}y =

    = \biggl[\frac{\pi^2}{12}-\frac{1}{3}\arccos(y)^2 \biggr]_{y = 0} ^{y = 1}} = \frac{\pi^2}{12}

    '''제1종 완전 타원 적분''' '''K'''의 이상 적분은 카탈랑 상수의 두 배 값을 갖는다. 카탈랑 상수는 역탄젠트 적분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으며, 이는 푸비니 정리를 적용하여 얻는다.

    \int_{0}^{1} K(x) \,\mathrm{d}x = \int_{0}^{1} \int_ {0}^{1} \frac{1}{\sqrt{(1 - x^2 y^2)(1 - y^2)}} \,{\mathrm{d}y }\,{\mathrm{d}x} = \int_{0}^{1} \int_{0}^{1} \frac{1}{\sqrt{(1 - x^2 y^2)(1 - y^2)}} \,{\mathrm{d}x} \,{\mathrm{d}y}=

    = \int_{0}^{1} \frac{\arcsin(y)}{y\sqrt{1 - y^2}} \,\mathrm{d}y = \biggl\{ 2\,\mathrm{Ti}_{2} \bigl[ y\bigl(1 + \sqrt{1 - y^2}\,\bigr)^{-1} \bigr] \biggr\}_{y = 0}^{y = 1} = 2\,\mathrm{Ti}_{2}(1) =2\beta(2) =2\,C

    '''제2종 완전 타원 적분''' '''E'''에도 푸비니 정리를 적용할 수 있다.

    \int_{0}^{1} E(x) \,\mathrm{d}x = \int_{0}^{1} \int_ {0}^{1} \frac{\sqrt{1 - x^2 y^2}}{\sqrt{1 - y^2}} \,{\mathrm{d}y} \,{\mathrm{d}x} = \int_{0}^{1} \int_{0}^{1} \frac {\sqrt{1 - x^2 y^2}}{\sqrt{1 - y^2}} \,{\mathrm{d}x} \,{\mathrm {d}y}=

    = \int_{0}^{1} \biggl[\frac{\arcsin(y)}{2y\sqrt{1 - y^2}} + \frac{1}{2}\biggr] \,\mathrm{d}y = \biggl\{ \mathrm{Ti}_{2} \bigl[ y\bigl(1 + \sqrt{1 - y^2}\,\bigr )^{-1} \bigr] + \frac{1}{2} y \biggr\}_{y = 0}^{y = 1} = \mathrm{Ti}_{2}(1) + \frac{1}{2} =\beta(2) + \frac{1}{2} =C + \frac{1}{2}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는 음의 자연 로그와 지수 역수의 곱에 대한 적분에서 0부터 무한대까지의 이상 적분으로 나타난다.

    \gamma = \int_0^\infty \frac{-\ln(x)}{\exp(x)}\,\mathrm{d}x = \int_{0}^{\infty} \frac{1}{x}\biggl[\frac{1}{x + 1}-\exp(-x)\biggr] \,\mathrm{d}x

    이 두 적분은 푸비니 정리를 두번 적용하여 구할 수 있다.

    적분 지수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mathrm{E}_{1}(x) = \exp(-x)\int_{0}^{\infty} \frac{\exp(-xy)}{y+1} \, \mathrm{d}y

    푸비니 정리의 첫 번째 구현:

    \gamma= \int_{0}^{\infty} -\exp(-y)\ln(y) \,\mathrm{d}y = \int_{0}^{\infty} \int_{0}^{\infty} \exp(-y)\bigl(\frac{1}{x + y} - \frac{1}{x + 1}\bigr) \,{\mathrm{d}x} \,{\mathrm{d}y} =

    = \int_{0}^{\infty} \int_{0}^{\infty} \exp(-y)\bigl(\frac{1}{x + y} - \frac{1}{x + 1}\bigr) \,{\mathrm{d}y} \,{\mathrm{d}x} = \int_{0}^{\infty} \biggl[\exp(x)\,\mathrm{E}_{1}(x) - \frac{1}{x + 1}\biggr] \,\mathrm{d}x

    푸비니 정리의 두 번째 구현:

    \gamma = \int_{0}^{\infty} \biggl[\exp(x)\,\mathrm{E}_{1}(x) - \frac{1}{x + 1}\biggr] \,\mathrm{d}x} = \int_{0}^{\infty} \int_{0}^{\infty} \exp(-xz)\biggl[\frac{1}{z + 1}-\exp(-z)\biggr] \,{\mathrm{d}z} \,{\mathrm{d}x} =

    = \int_{0}^{\infty} \int_{0}^{\infty} \exp(-xz)\biggl[\frac{1}{z + 1}-\exp(-z)\biggr] \,{\mathrm{d}x} \,{\mathrm{d}z} = \int_{0}^{\infty} \frac{1}{z}\biggl[\frac{1}{z + 1}-\exp(-z)\biggr] \,\mathrm{d}z

    다음은 적분의 제곱에 대한 공식이다.

    \biggl[\int_{0}^{\infty} f(x) \,\mathrm{d}x\biggr]^2 = \int_{0}^{1} \int_{0}^{\infty} 2x\,f(x) \,f(xy)\,\mathrm{d}x \,\mathrm{d}y



    이 공식을 이용해 정규 분포의 적분을 계산할 수 있다.

    \biggl[\int_{0}^{\infty} \exp(-x^2) \,\mathrm{d}x\biggr]^2 = \int_{0}^{1} \int_{0}^{\infty} 2x\exp(-x^2)\exp(-x^2 y^2) \,\mathrm{d}x\,\mathrm{d}y = \int_{0}^{1} \int_{0}^{\infty} 2x\exp\bigl[-x^2 (y^2 + 1)\bigr] \,\mathrm{d}x\,\mathrm{d}y =

    = \int_{0}^{1} \biggl\{\frac{1}{y^2 + 1} - \frac{1}{y^2 + 1}\exp\biggl[-x^2(y^2 + 1)\biggr]\biggr\}_{x = 0}^{x = \infty} \,\mathrm{d}y = \int_{0}^{1} \frac{1}{y^2 + 1} \,\mathrm{d}y = \arctan(1) = \frac{\pi}{4}

    가우스 곡선에 대해 이 값을 생성할 수 있다.

    : \int_{0}^{\infty} \exp(-x^2) \,\mathrm{d}x = \frac{1}{2}\sqrt{\pi}

    다음은 적분의 제곱에 대한 또 다른 공식이다.

    :

    \biggl[\int_{0}^{1} g(x) \,\mathrm{d}x\biggr]^2 = \int_{0}^{1} \int_{0}^{1} 2x\,g(x) \,g(xy)\,\mathrm{d}x \,\mathrm{d}y



    이 공식을 이용해 바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frac{\pi^2}{4} = \arcsin(1)^2 = \biggl[\int_{0}^{1} \frac{1}{\sqrt{1 - x^2}} \,\mathrm{d}x\biggr]^2 = \int_{0}^{1} \int_{0}^{1} \frac{2x}{\sqrt{(1 - x^2)(1 - x^2 y^2)}} \,\mathrm{d}x \,\mathrm{d}y =

    = \int_{0}^{1} \biggl[\frac{2}{y}\operatorname{artanh}(y) - \frac{2}{y}\operatorname{artanh}\biggl(\frac{\sqrt{1 - x^2}\,y}{\sqrt{1 - x^2 y^2}}\biggr)\biggr]_{x = 0}^{x = 1}\,\mathrm{d}y = \int_{0}^{1} \frac{2}{y}\operatorname{artanh}(y) \,\mathrm{d}y =

    = \biggl[2\,\mathrm{Li}_{2}(y) - \frac{1}{2}\,\mathrm{Li}_{2}(y^2)\biggr]_{y = 0}^{y = 1} = \frac{3}{2}\,\mathrm{Li}_{2}(1)

    일의 이중대수에 대해 이 값이 나타납니다.

    : \mathrm{Li}_{2}(1) = \frac{\pi^2}{6}

    다음은 적분의 곱에 대한 일반화된 공식이다.

    :

    \biggl[\int_{0}^{1} v(x) \,\mathrm{d}x\biggr]\biggl[\int_{0}^{1} w(x) \,\mathrm{d}x\biggr]= \int_{0}^{1} \int_{0}^{1} \left(x\,v(xy) \,w(x) + x\,v(x)\,w(xy)\right) \,\mathrm{d}x \,\mathrm{d}y



    타원 적분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int_{0}^{1} \frac{1}{\sqrt{1 - x^4}} \,\mathrm{d}x =

    \biggl\{ - \frac{1}{2}\sqrt{2}\,F\biggl[\arccos(x);\frac{1}{2}\sqrt{2}\biggr] \biggr\}_{x = 0}^{x = 1} = \frac{1}{2}\sqrt{2}\,K\bigl(\frac{1}{2}\sqrt{2}\bigr)

    : \int_{0}^{1} \frac{x^2}{\sqrt{1 - x^4}} \,\mathrm{d}x =

    \biggl\{\frac{1}{2}\sqrt{2}\,F\biggl[\arccos(x);\frac{1}{2}\sqrt{2}\biggr] - \sqrt{2}\,E\biggl[\arccos(x);\frac{1}{2}\sqrt{2}\biggr] \biggr\}_{x = 0}^{x = 1} = \frac{1}{2}\sqrt{2}\biggl[2\,E\bigl(\frac{1}{2}\sqrt{2}\bigr) - K\bigl(\frac{1}{2}\sqrt{2}\bigr)\biggr]

    이 두 적분을 위의 형식에 삽입하면 다음과 같다.

    \biggl[\int_{0}^{1} \frac{1}{\sqrt{1 - x^4}} \,\mathrm{d}x\biggr]\biggl[\int_{0}^{1} \frac{x^2}{\sqrt{1 - x^4}} \,\mathrm{d}x\biggr] =\int_{0}^{1} \int_{0}^{1} \frac{x^3 (y^2+1)}{\sqrt{(1 - x^4)(1 - x^4 y^4)}} \,\mathrm{d}x\,\mathrm{d}y =

    = \int_{0}^{1} \biggl\{\frac{y^2 + 1}{2\,y^2}\biggl[\text{artanh}\bigl(y^2\bigr) - \text{artanh}\biggl(\frac{\sqrt{1 - x^4}\,y^2}{\sqrt{1 - x^4 y^4}}\biggr)\biggr]\biggr\}_{x = 0}^{x = 1}\,\mathrm{d}y = \int_{0}^{1} \frac{y^2 + 1}{2\,y^2}\,\mathrm{artanh}\bigl(y^2\bigr) \,\mathrm{d}y=

    = \biggl[\arctan(y) - \frac{1 - y^2}{2\,y}\,\mathrm{artanh}\bigl(y^2\bigr)\biggr]_{y = 0}^{y = 1} = \arctan(1) = \frac{\pi}{4}

    6. 반례 (Counterexamples)

    푸비니 정리와 토넬리 정리의 가정이 생략될 경우, 이 정리들이 성립하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 σ-유한이 아닌 경우: ''X''가 르베그 가측 집합과 르베그 측도를 갖는 단위 구간이고, ''Y''가 모든 부분 집합이 가측 집합이고 계수 측도를 갖는 단위 구간인 경우 (''Y''는 σ-유한이 아니다). ''f''가 ''X''×''Y''의 대각선의 지시 함수라면, ''X''를 따라 ''f''를 적분하면 ''Y''에서 0 함수가 되지만, ''Y''를 따라 ''f''를 적분하면 ''X''에서 1 함수가 된다. 따라서 두 반복 적분은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 이는 토넬리 정리가 σ-유한하지 않은 공간에 대해 실패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최대 곱 측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집합의 측도가 수평 단면의 르베그 측도의 합이 되도록 ''X''×''Y''에 곱 측도를 부여하면, |''f''|의 이중 적분은 0이 되지만 두 반복 적분은 여전히 다른 값을 갖는다. 이는 푸비니 정리가 실패하는 곱 측도의 한 예시이다.
    • 비가측 함수의 경우: 가측 공간 ''X''가 첫 번째 비가산 서수이고, 가측 집합이 가산 집합(측도 0) 또는 가산 여집합(측도 1)인 유한 측도를 갖는다고 가정하자. ''x''<''y''인 쌍 (''x'' , ''y'')로 주어진 ''X''×''X''의 (비가측) 부분 집합 ''E''에 대해, ''f''가 ''E''의 특성 함수이면 ''f''의 두 반복 적분은 정의되고 서로 다른 값 1과 0을 갖는다. 이는 토넬리 정리가 비가측 함수에 대해 실패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f|가 적분 가능하고 두 반복 적분이 잘 정의되어 있더라도 비가측 함수인 경우: ''f''를 ''E''에서 1, ''E''의 여집합에서 –1로 놓는다면, |''f''|는 적분 1을 갖는 곱집합에서 적분 가능하고, 두 반복 적분은 모두 잘 정의되어 있지만 1과 –1이라는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
    • 연속체 가설을 가정한 경우: 연속체 가설을 가정하면, ''X''를 단위 구간 ''I''와 동일시할 수 있으므로, 두 반복 적분(르베그 측도를 사용)이 모두 정의되어 있지만 같지 않은 ''I''×''I'' 상의 유계 비음수 함수가 존재한다.[7]


    체르멜로-프렝켈 공리의 표준 집합론에서, 르베그 측도를 갖는 두 단위 구간의 곱에 대한 푸비니 정리의 강력한 버전(두 반복 적분이 존재하고 정의되면 항상 같다는 것)은 독립적이다. 마틴 공리연속체 가설은 반복 적분이 같지 않은 함수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비 프리드먼은 ZFC와 [0,1]에 대한 강력한 푸비니 유형 정리가 성립하며, 두 반복 적분이 존재할 때마다 같다는 것을 보였다.[8]
    반복 적분이 다른 값을 갖는 예시 (절댓값 적분이 유한하지 않은 경우):

    • 두 개의 측도 공간을 양의 정수로 정의하고, 함수 ''f''(''x'',''y'')는 ''x''=''y''이면 1, ''x''=''y''+1이면 -1, 그 외에는 0이 되는 경우, 두 반복 적분은 각각 0과 1이라는 다른 값을 갖는다.
    • 함수 \frac{x^2-y^2}{(x^2+y^2)^2} = -\frac{\partial^2}{\partial x\partial y}\arctan(y/x)의 경우, 반복 적분은

    :\int_{x=0}^1\left(\int_{y=0}^1\frac{x^2-y^2}{(x^2+y^2)^2}\,\text{d}y\right)\,\text{d}x=\frac{\pi}{4}

    :\int_{y=0}^1\left(\int_{x=0}^1\frac{x^2-y^2}{(x^2+y^2)^2}\,\text{d}x\right)\,\text{d}y=-\frac{\pi}{4}

    로 서로 다른 값을 갖지만, 이중 적분은 절대 수렴하지 않는다.

    :\int_0^1\int_0^1 \left|\frac{x^2-y^2}{(x^2+y^2)^2}\right|\,\text{d}y\,\text{d}x=\infty

    7. 쿠라토프스키-울람 정리(Kuratowski–Ulam theorem)

    카지미에시 쿠라토프스키스타니스와프 울람의 이름을 딴 쿠라토프스키-울람 정리는 임의의 제2 가산 베어 공간에 대한 유사한 결과이며, "베어 범주에 대한 푸비니 정리"라고도 불린다.[9] ''X''와 ''Y''를 제2 가산 베어 공간(또는 특히, 폴란드 공간)이라고 하고, A\subset X\times Y라고 하자. 이때, ''A''가 베어 성질을 갖는다면, 다음 두 조건은 동치이다.

    # ''A''는 빈약 집합(meagre set)이다.

    # 집합 \{ x \in X :A_x \text{ is meager in Y} \}는 X 내의 보빈약 집합(comeagre set)이다. 단, A_x=\pi_Y[A\cap \lbrace x \rbrace \times Y]이고, \pi_Y는 Y 위로의 사영이다.

    각 조건의 빈약 집합은 각각 보빈약 집합으로 대체해도 성립한다. 만약 A가 베어 성질을 갖지 않더라도, 조건 2는 조건 1에서 유도된다.[9] 이 정리는 임의의 하우스도르프 공간 X 및 가산 n-기저를 갖는 하우스도르프 공간 Y에 대해서도 (공허한 의미일 수도 있지만) 성립한다.[9]

    이 정리는 생각하는 함수가 어떤 곱공간의 집합의 특성 함수인 경우의 일반적인 푸비니 정리와 유사하다. 그 경우, 빈약 집합은 측도 0의 집합, 보빈약 집합은 전체 측도(full measure)의 집합, 베어 성질을 갖는 집합은 가측 집합에 대응한다.[9]

    참조

    [1] 서적 Analysis I Springer
    [2] 서적 A course of modern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Real Analysis Prentice Hall
    [4] 서적 Leçons sur l'intégration et la recherche des fonctions primitives https://archive.org/[...] Gauthier-Villars
    [5] 간행물 Sugli integrali multipli
    [6] 간행물 Sull'integrazione per parti
    [7] 간행물 Sur un problème concernant les ensembles mesurables superficiellement https://eudml.org/do[...]
    [8] 간행물 A Consistent Fubini-Tonelli Theorem for Nonmeasurable Functions http://projecteuclid[...]
    [9] 서적 A course on Borel sets Springer
    [10] 서적 Measure theory. Volume II Springer
    [11] 서적 Real and Complex Analysis http://www.mcgraw-hi[...] McGraw-Hill 2014-10-06
    [12] 서적 Measure theory. Volume I Springer
    [13] 서적 해석학 입문 경문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