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가 기술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가 기술대학교(RTU)는 1862년 러시아 제국의 리가에 리가 공과대학으로 설립된 라트비아의 공과대학이다. 러시아 제국 최초의 폴리테크닉이었으며,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1990년 현재의 이름으로 확정되었다. 현재 9개의 학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축, 공학, 컴퓨터 과학 등 다양한 분야를 교육한다. 또한, 리가 비즈니스 스쿨을 운영하고 있으며, 유럽 기술 대학교(EUt+)의 회원으로 국제 협력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빌헬름 오스트발트, 조지 아미스테드, 안드리스 베르진슈 등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트비아의 대학교 - 라트비아 대학교
    라트비아 대학교는 1919년 리가 폴리테크닉을 기반으로 설립된 라트비아의 국립 대학교로, 소련 및 나치 점령 기간 동안 명칭이 변경되었으나 독립 후 원래 명칭을 회복하여 학술 교육, 과학,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있지만 최근 평판 문제에 직면해 있다.
  • 1862년 설립 - 러시아 국립도서관 (모스크바)
    러시아 국립도서관은 1862년 모스크바에 설립되어 루먄체프 백작의 소장품을 기반으로 시작, 소련 V. I. 레닌 국립도서관을 거쳐 현재 4,700만 점 이상의 자료를 소장하며 도서관학 연구 및 출판을 수행한다.
  • 1862년 설립 - 라뒤레
    라뒤레는 1862년 프랑스 파리에서 설립된 파티스리 브랜드로, 특히 "마카롱 파리지앵"으로 유명하며, 국제적인 브랜드로 성장하여 다양한 문화적 활동을 통해 인지도를 높였다.
리가 기술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리가 기술대학교 로고
설립일1862년
총장탈리스 유흐나
유형공립
예산EUR 85,339,354 (2021년)
교직원 수882명 (2022년)
학생 수10,689명 (2022년, 외국 국적 22%)
학부생 수7696명 (2022년)
대학원생 수2993명 (2022년)
도시리가
국가라트비아
주소Ķīpsalas Street 6A
캠퍼스도심
캠퍼스 크기11.8 헥타르
이전 명칭리가 폴리테크닉 연구소 (1862–1918)
색상짙은 초록색
소속
소속 기관EUA
AESOP
BSRUN
BALTECH
NORDTEK
EUt+
NAFSA
APAIE
ASM
웹사이트rtu.lv
순위
QS EECA 순위 (2022)57위

2. 역사

1862년 러시아 제국 최초의 폴리테크닉(Polytechnic)인 리가 공과대학(Rīgas Politehnikums)이 설립되었다. 교육은 독일어로 이루어졌으며, 건축, 공학, 기계 공학, 화학의 4개 기술 학부 외에도 농학부와 상학부가 설치되었다.

1896년 Rīgas Politehniskais institūts로 개칭되었다.

1919년 Latvijas Augstskola(라트비아 응용과학대학교, 1923년 이후 라트비아 대학교)에 기술 학부로 편입되었다.

1958년 라트비아 대학교에서 분리되어 리가 공과대학교로 재독립했다.

1983년 소련 공산당의 정치인 아르비드 펠세를 기념하여 아르비드 펠세 리가 공과대학교(Arvīda Pelšes vārdā nosauktais Rīgas politehniskais institūts|아르비다 펠셰스 바르다 노사우크타이스 리가스 폴리테흐니스카이스 인스티투츠lv)로 개칭되었다.

1990년 리가 공과대학교(라트비아어: Rīgas Tehniskā universitāte, 영어: Riga Technical University)로 명칭이 환원되었다.

2. 1. 리가 공과대학 (1862-1918)

1862년 러시아 제국 최초의 폴리테크닉(Polytechnic)으로 설립된 리가 공과대학(Rīgas Politehnikums)은 독일어로 수업이 진행되었으며, 농업, 화학, 공학, 기계, 상업 및 건축 분야의 학위를 제공했다.[10]

초기에는 건축, 공학, 기계 공학, 화학의 4개 기술 학부 외에도 농업 및 상업 학부가 있었고, 강사진은 주로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헝가리 출신이었다. 1869년 새로운 건물로 이전했다.

당시 러시아 제국 내 기술 대학 부족으로, 많은 학생들이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칼스루에 공과대학교 등에서 유학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1874년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2세는 징병제를 도입, 대학 졸업생의 복무 기간을 단축하여 학생 수가 증가했다.

1896년 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는 대학을 국유화하고 리가 공과대학교(Rīgas Politehniskais institūts – RPI)로 개칭, 수업 언어를 러시아어로 변경했다. 이 시기 건축 학부 설립은 리가의 아르누보 건축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10]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리가 공과대학교는 모스크바로 이전했다가, 1918년 일부 학부가 라트비아로 돌아와 라트비아 대학교에 합류했다.

2. 2. 라트비아 대학교 기술 학부 (1919-1958)

1919년 Latvijas Augstskola (라트비아 응용과학대학교, 1923년 이후는 라트비아 대학교)에 기술 학부로 편입되었다.[1]

2. 3. 리가 공과대학교 (1958-1990)

1958년 9월 1일, 라트비아 대학교의 기술 학부들이 분리되어 독립된 대학교로 승격되었다. 1958년부터 1983년까지 리가 공과대학교라고 불렸으며, 그 후 아르비드 펠셰를 기념하여 아르비드 펠셰 리가 기술 연구소(Arvīda Pelšes vārdā nosauktais Rīgas politehniskais institūts|아르비드 펠셰스 바르다 노사우크타이스 리가스 폴리테흐니스카이스 인스티투츠lv)로 개칭되었다.[11][12] 1970년대 중반에 이 대학은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가장 큰 대학이 되었다. 1990년 3월부터는 리가 기술 대학교로 불리고 있다. 1992년 4월 23일, 학생 의회가 설립되었으며, 이는 라트비아에서 가장 오래된 학생 자치 기구이다.

2. 4. 리가 기술 대학교 (1990-현재)

1990년, 리가 공과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현재 이 대학교는 9개의 학부로 구성되어 있다.[11][12]

  • 건축학도시 계획 학부
  •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 학부
  • 통신 연구소
  • 마이크로파 공학 및 전자 공학 연구소
  • e-러닝 기술 및 인문학 학부
  • 전기 및 환경 공학 학부
  • 산업 전자 및 전기 공학 연구소
  • 전력 공학 연구소
  • 에너지 시스템 및 환경 연구소
  • 컴퓨터 과학 및 정보 기술 학부
  • 정보 기술 연구소
  • 스마트 컴퓨터 기술 연구소
  • 응용 컴퓨터 시스템 연구소
  • 응용 수학 연구소
  • 재료 과학 및 응용 화학 학부
  • 고분자 재료 연구소
  • 일반 화학 공학 연구소
  • 기술 물리학 연구소
  • 응용 화학 연구소
  • 유기 화학 기술 연구소
  • 설계 기술 연구소
  • 재료 및 표면 공학 연구소
  • 입자 물리학 및 가속기 기술 연구소
  • 기계 공학, 운송 및 항공 학부
  • 항공 연구소
  • 생체 의학 공학 및 나노 기술 연구소
  • 운송 연구소
  • 기계 및 기계 공학 연구소
  • 공학 경제 및 경영 학부
  • 토목 공학 학부
  • 운송 기반 시설 공학 연구소
  • 구조 공학 연구소
  • 열, 가스 및 수도 기술 연구소
  • 건설 기술 연구소
  • 재료 및 구조 연구소
  • 수자원 시스템 및 생명 공학 연구소
  • 라트비아 해양 아카데미
  • RTU 리예파야


2020년 기준으로 14,006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이 중 3,525명이 외국인 학생이며, 514명이 박사 과정 학생이다. 1990년에 리가 공과대학교로 명칭이 환원되었다(라트비아어 명칭은 Rīgas Tehniskā universitāte, 영어 명칭은 Riga Technical University).

3. 학부 구성

리가 기술대학교는 9개의 학부로 구성되어 있다.[11][12]


  • 건축학도시 계획 학부
  •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 학부
  • e-러닝 기술 및 인문학 학부
  • 전기 및 환경 공학 학부
  • 컴퓨터 과학 및 정보 기술 학부
  • 재료 과학 및 응용 화학 학부
  • 기계 공학, 운송 및 항공 학부
  • 공학 경제 및 경영 학부
  • 토목 공학 학부


학부별 연구소
학부연구소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 학부통신 연구소
마이크로파 공학 및 전자 공학 연구소
전기 및 환경 공학 학부산업 전자 및 전기 공학 연구소
전력 공학 연구소
에너지 시스템 및 환경 연구소
컴퓨터 과학 및 정보 기술 학부정보 기술 연구소
스마트 컴퓨터 기술 연구소
응용 컴퓨터 시스템 연구소
응용 수학 연구소
재료 과학 및 응용 화학 학부고분자 재료 연구소
일반 화학 공학 연구소
기술 물리학 연구소
응용 화학 연구소
유기 화학 기술 연구소
설계 기술 연구소
재료 및 표면 공학 연구소
입자 물리학 및 가속기 기술 연구소
기계 공학, 운송 및 항공 학부항공 연구소
생체 의학 공학 및 나노 기술 연구소
운송 연구소
기계 및 기계 공학 연구소
토목 공학 학부운송 기반 시설 공학 연구소
구조 공학 연구소
열, 가스 및 수도 기술 연구소
건설 기술 연구소
재료 및 구조 연구소
수자원 시스템 및 생명 공학 연구소


4. 리가 비즈니스 스쿨

1991년 뉴욕 주립 대학교 버팔로 캠퍼스(미국) 및 오타와 대학교(캐나다)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발트 3국 최초로 영어경영학 석사(MBA)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고등 교육 기관이었다.[13]

현재 이 학교는 800명 이상의 MBA 졸업생을 배출했으며, 이들 대부분은 라트비아 및 해외에서 중간 및 고위 관리자로 재직 중이다. 교육 표준 및 구조는 사례 연구, 그룹 활동, 강의실 내 적극적인 참여 등 북미 스타일의 MBA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5. 국제 협력

리가 기술대학교는 유럽 기술 대학교(EUt+)[21]의 8개 기관 중 하나이며, 소피아 기술 대학교(불가리아), 키프로스 기술 대학교(키프로스), 다름슈타트 응용과학 대학교(독일), 더블린 기술 대학교(아일랜드), 카르타헤나 공과대학교(스페인), 트루아 기술 대학교(프랑스), 클루지-나포카 기술 대학교(루마니아)와 협력 관계에 있다.

유럽 기술 대학교(EUt+)는 8개 유럽 파트너 간의 협력 결과이다.

6. 평가

2017년 3월, 리가 기술대학교(RTU)는 국제적인 U-Multirank 평가에서 라트비아 대학 중 1위를 차지했다. 리가 기술대학교 졸업생들의 취업률은 최고 수준(A 레벨)으로 평가받았다. 영어 학사 과정, 자체 설립 또는 스핀오프 회사, 박사 후 연구 과정 및 과학 분야의 창의성에 대해서도 동일한 평가를 받았다.[16]

2020년 지속 가능한 개발 분야에서 대학의 성과를 평가하는 THE 세계 대학 랭킹의 지속 가능성 부문에서 라트비아 고등 교육 기관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아 최고 평가 대학 그룹에 속했다.[17] 리가 기술대학교는 "행성 보호" 부문에서 최고 등급을 받았으며, 2020년에는 이 분야에서 세계 14위로 인정받았다.[18]

리가 기술대학교는 "QS 세계 대학 랭킹", "Eduniversal", "GreenMetric" 등 다른 유럽 및 세계적인 대학 랭킹에도 포함되어 있다.

7. 저명한 동문

리가 기술대학교의 저명한 동문은 다음과 같다.

이름분야비고
빌헬름 오스트발트화학노벨 화학상 수상자, 1881–1887년 교수
알프레드 로젠베르크정치독일 정치인, 나치 점령 동부 영토부 장관, 전범 혐의로 처형, 졸업생
파울 발덴화학최초의 이온 액체인 에틸암모늄 질산염 발명, 졸업생
프리드리히 잔더로켓 공학, 우주 비행로켓 공학 및 우주 비행 개척자, 졸업생
이그나치 모시치키정치폴란드 대통령 (1922–1939), 졸업생
브루노 아바카노비치수학, 전기 기술폴란드 수학자이자 전기 기술자, 졸업생
브와디스와프 안데르스군사, 정치폴란드 군 장군이자 망명 폴란드 정부 정치인
즈비그네프 스탄케비치스종교로마 가톨릭 리가 대교구 대주교 (2010–), 졸업생
모이세이 긴즈부르크건축구성주의 건축가 (1892–1946), 졸업생
브세볼로트 미하일로비치 켈디시과학, 공학과학자, 교수, 공학 및 기술 서비스 장군, 건축 구조 계산 방법론 창시자, 므스티슬라프 켈디시의 아버지, 모스크바 지하철, 모스크바-볼가 운하 건설 주요 참여자.[19][20]
에두아르드 판체르잔스키군사소비에트 해군 지도자, 졸업생.[19]
조지 아미스테드공학, 경영, 정치엔지니어, 기업가이자 제4대 리가 시장 (1901–1912), 1869년 졸업 (우등)
라자르 마르코비치 리시츠키예술, 건축예술가이자 건축가, 졸업생.[19]
미하일 프리슈빈문학러시아 작가, 졸업생.[19]
바실리 울리흐정의 대장, 소련 최고 법원 군사 위원회 의장 (1926-1948), 졸업생.[19]
미하일 돌리보-도브로볼스키공학, 발명엔지니어이자 발명가, 3상 교류 전력 전송 시스템 개발자, 1878–1881년 학생
에른스트 엔노문학에스토니아 시인이자 작가, 1896–1904년 학생
유한 쿠크정치에스토니아 국가지도자 (정부 수반) (1922–1923), 1904–1910년 졸업생
지그프리드 안나 메이에로비츠정치라트비아 공화국 초대 외무부 장관이자 제2대 총리, 1911년 졸업
후고 셀민슈정치, 농업정치인, 사회 운동가, 농업학자, 두 번 라트비아 총리 역임, 1903년 졸업
안드리스 베르진슈정치라트비아 공화국 대통령, 2011년 6월 2일에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 1971년 졸업
발디스 돔브로브스키스정치라트비아 정치인, 2009–2014년 라트비아 총리, 1995년 졸업


8. 캠퍼스

참조

[1] 웹사이트 RTU Yearbook 2021 https://www.rtu.lv/w[...]
[2] 웹사이트 Riga Technical University https://www.topunive[...] 2023-04-15
[3] 웹사이트 Riga Technical University https://www.topunive[...] 2023-04-15
[4] 웹사이트 Riga Technical University https://www.topunive[...] 2023-04-15
[5] 웹사이트 Riga Technical University https://www.topunive[...] 2023-04-15
[6] 웹사이트 Membership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 Riga Technical University https://www.rtu.lv/e[...] 2023-04-15
[7]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Emerging Europe & Central Asia https://www.topunive[...] 2023-01-15
[8] 웹사이트 EECA University Rankings 2022 https://www.topunive[...] 2023-04-15
[9] 웹사이트 Riga Technical University https://www.topunive[...] 2023-04-15
[10] 학술지 Architecture and Urban Development of Art Nouveau – Metropolis Riga 2006
[11] 문서 Structure and administration: RTU Structure https://www.rtu.lv/w[...]
[12] 웹사이트 RTU_struktura_1.pielikums_11.04.2023_eng.pdf (RTU structure) https://www.rtu.lv/w[...] 2023
[13] 웹사이트 History of RBS http://www.rbs.lv/ab[...]
[14]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Latvia https://www.topunive[...] 2023-06-29
[15]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4: Latvia https://www.timeshig[...] 2023-09-28
[16] 뉴스 Starptautiskajā «U-Multirank» reitingā RTU — pirmajā vietā starp universitātēm Latvijā. http://www.rtu.lv/lv[...] rtu.lv
[17] 웹사이트 Impact Rankings 2020 https://www.timeshig[...]
[18] 웹사이트 RTU Reitingi https://www.rtu.lv/l[...]
[19] 웹사이트 Риж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РПИ) - Иван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https://ivgpu.ru/ob-[...] 2024-04-16
[20] 웹사이트 Mstislav Vsevolodovich Keldysh. Russian Virtual Computer Museum https://www.computer[...] 2024-04-16
[21] 웹사이트 European University of Technology, EUt+ Website https://www.univ-tec[...] 2020-05-13
[22] 웹사이트 Riga Technical University https://www.topunive[...] Top Universities
[23] 문서 Structure and administration: RTU Structure https://www.rtu.lv/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