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쩌허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쩌허우는 1930년 중국에서 태어나 2021년 사망한 철학자이자 미학자이다. 그는 베이징 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중국 사회과학원 철학연구소에서 연구했으며, 1980년대 '문화 열'을 주도하며 미학 분야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다. 1989년 톈안먼 사건 이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콜로라도 대학교 등에서 강의했으며, 마르크스주의와 칸트 철학을 통합한 독창적인 사상을 전개했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미의 여정』, 『중국 미학사』, 『혁명과의 작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철학자 - 슝스리
슝스리는 신해혁명과 호법운동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불교와 유교를 융합한 독자적인 철학 체계를 구축하여 중국 근현대 사상계에 큰 영향을 미친 후베이성 출신의 철학자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철학자 - 펑유란
펑유란은 중국의 철학자이며, 칭화 대학 철학과 학과장을 역임하고, 《중국 철학사》를 저술했으며, 신이학 체계를 구축하고, 중일 전쟁과 문화 대혁명 시기를 거쳐 학술 활동을 지속했다. - 1989년 톈안먼 사건 관련자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 1989년 톈안먼 사건 관련자 - 자오쯔양
조자양은 중국 공산당 지도자로서 1980년대 중국 경제 개혁과 개방 정책을 주도하며 중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1989년 톈안먼 사건으로 인해 정치적으로 몰락하여 가택 연금 생활을 하였고 사후 복권되지 못했다.
| 리쩌허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리쩌허우 |
| 로마자 표기 | Lǐ Zéhòu |
| 다른 이름 | Z.H. Li |
| 출생 | 1930년 6월 13일 |
| 출생지 | 다오린, 닝샹 현, 후난 성, 중국 |
| 사망 | 2021년 11월 2일 |
| 사망지 | 볼더, 콜로라도, 미국 |
| 사망 원인 | 알 수 없음 |
| 학력 | |
| 모교 | 후난 제1사범대학 |
| 경력 | |
| 직업 | 역사가, 작가 |
| 활동 기간 | 1954년–2021년 |
| 소속 | 알 수 없음 |
| 에이전트 | 알 수 없음 |
| 사상과 업적 | |
| 알려진 업적 | 알 수 없음 |
| 주요 저서 | 알 수 없음 |
| 사상적 경향 | 알 수 없음 |
| 영향 | 알 수 없음 |
| 영향 받은 인물 | 이마누엘 칸트 마르크스주의 |
| 가족 | |
| 배우자 | 알 수 없음 |
| 파트너 | 알 수 없음 |
| 자녀 | 알 수 없음 |
| 부모 | 알 수 없음 |
| 친척 | 알 수 없음 |
| 수상 | |
| 수상 내역 | 알 수 없음 |
| 기타 정보 | |
| 서명 | 알 수 없음 |
| 중화미학회 | 알 수 없음 |
2. 생애
195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리쩌허우는 주광첸과 미학 논쟁을 벌였다.[32] 문화 대혁명 중이던 1970년대 초, 하방된 농촌(五七干校|우치간부학교중국어)에서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영문판(Everyman's Library|에브리맨 라이브러리영어판)을 『마오쩌둥 선집』 틈에 숨겨 읽으며 때를 기다렸다.[33] 1980년대에는 문화 대혁명이 끝나고 외국 사상이 중국에 소개되어 활기를 띠었던 "문화 열()"의 중심에서 류샤오보 등과 논쟁을 벌였다.[32] 전인대 문교 위원, 중국 사회과학원 철학연구소 소원, Institut International de Philosophie|파리 국제 철학 연구소de 소원, 미국과 싱가포르 대학 객원 교수 등을 역임했다.[30]
톈안먼 사건 당시 정부와 반체제파 사이의 중재에 나섰으나,[30] 사건 이후 반체제파 선동자로 몰려 정부의 비판을 받았다.[34] 이는 5·4 운동을 "불충분하게 끝난 계몽"으로 본 그의 주장이 반체제파의 "신계몽"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34] 1990년대에는 류자이푸와의 공저 『혁명이여, 안녕』()에서 개량주의 입장을 취했다.[35]
2. 1. 유년 시절과 교육
리쩌허우는 1930년 6월 13일 후난성 닝샹현 다오린에서 태어났다.[11][12][13] 다른 설에 따르면, 한커우에서 태어났지만 4살 때 가족이 창사로 이사했다.[14] 그의 할아버지 리차오빈(李朝斌)은 증국번 휘하의 샹군 장군이었다.[15] 아버지는 우체국 직원이었다가 다른 성에서 병으로 사망했고, 어머니 타오마오란(陶懋兰)은 고향의 초등학교 교사였다.[16]리쩌허우는 닝샹 제4고등학교에서 초등학교 과정을, 후난 제1사범대학에서 중등학교 과정을 마쳤다.[17] 1954년 베이징 대학 철학과를 졸업한 후, 중국 사회과학원 철학연구소로 파견되었다.[13]
2. 2. 학문적 활동과 망명
1992년, 리쩌허우는 미국 콜로라도주 볼더로 이주했다.[13] 이후, 콜로라도 칼리지, 미시간 대학교,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스워스모어 칼리지,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 등에서 강의했다.[37] 그는 때때로 중국으로 돌아가면서 볼더에서 평온하게 생활했다.[36]2. 3. 사망과 유산
1992년, 리쩌허우는 미국 콜로라도주 볼더로 이주했다.[36] 이후, 콜로라도 칼리지, 미시간 대학교,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스와스모어 칼리지,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 등에서 강의했다.[37] 그 사이, 때때로 중국으로 돌아가면서 볼더에서 평온하게 살았다.[36]2021년 사망했다.[30] 향년 91세였다.[30] 그의 머리는 알코어 생명 연장 재단에 의해 냉동보존되었다.[18][19]
3. 사상
리쩌허우는 카를 마르크스가 제시한 물질적, 역사적 현실에 기반하면서도, 개인의 지적, 도덕적, 미적 능력을 인정하는 이마누엘 칸트의 관점을 지지하는 인간 철학을 옹호하고자 했다. 그는 중국 철학 사상을 통합하여, 문화 대혁명 시기와 그 이후의 인간관에 대한 균형추 역할을 하는 낙관적인 인간관을 제시했다.
리쩌허우는 마르크스주의 철학 및 정치 이론을 분석하여 독자적인 철학적 개념을 발전시켰다. 1980년대까지 정통 사상이었던 마르크스주의·유물사관을 따르면서도 얽매이지 않고, 서양 철학·인문학을 폭넓게 원용했다.[38] 동시대 龐朴 등과 마찬가지로, "신유가"에 속하지 않는 입장에서 유교를 재평가했으며,[38] 루쉰·장빙린 등도 재평가했다.[38] 또한, 중국에는 분석철학적 수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리쩌허우는 전후 일본에서 마루야마 마사오가 수행한 역할에 필적한다고 평가받는다.[38] 그는 마루야마의 저작을 적극 수용하고 소개했으며, 1989년 3월에는 곤도 구니야스의 중재로 마루야마와 대담을 가지기도 했다.
3. 1. 주체성의 실천 철학
리쩌허우는 카를 마르크스가 제시한 물질적, 역사적 현실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개인의 지적, 도덕적, 미적 능력을 인정하는 이마누엘 칸트의 관점을 지지하는 인간 철학을 옹호했다. 그는 중국 철학의 거장들의 사상을 통합하여, 문화 대혁명 시기와 그 이후의 인간관에 대한 균형추 역할을 하는 낙관적인 인간관을 제시했다.리쩌허우의 마르크스주의 철학 및 정치 이론 분석은 "주체성의 실천 철학"이라는 철학적 개념으로 발전되었다. 이 개념은 두 가지 수준에서 인간을 연구한다.
# 기술-사회 구조와 "문화-심리적" 형성을 모두 갖춘 인류의 수준
# 사회, 사회 계층, 민족 등의 일원인 동시에 독자적인 신체와 정신을 가진 개인의 수준
이 네 가지 차원은 상호 작용하고 얽혀 있다. 이 중 가장 기본적인 차원은 기술 사회적 차원이다. 리쩌허우는 "인간은 다른 문제에 몰두하기 전에 먼저 육체적 생존을 보장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문화-심리적 측면, 즉 의례, 공동체, 언어적 차원은 인간을 동물과 구분한다.
그의 사상은 1980년대까지 정통 사상이었던 마르크스주의·유물사관의 관점을 따르면서도 얽매이지 않고, 서양 철학·인문학을 폭넓게 원용했다.[38] 동시대의 龐朴 등과 마찬가지로, "신유가"에 속하지 않는 입장에서 유교를 재평가했으며,[38] 루쉰·장빙린 등도 재평가했다.[38] 또한, 중국에는 분석철학적 수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3. 2. 운동적 사고
운동적 사고는 도구를 사용하는 의식적인 조절이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구의 사용은 본능적인 생물학적 활동이 아니라 "경험을 통한 오랜 후험적 학습을 통해 획득되고 통합된" 활동이다.[23] 운동적 사고 과정은 도구 제작에 기울이는 주의에서 비롯된 자의식을 창출한다. 원시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도구 기반 활동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면 의미적 사고가 발생한다. "운동적 사고의 형태는 점차 언어 주도적 사고의 형태로 길을 열었다."[23] 원시적인 언어와 결합된 운동적 사고는 궁극적으로 "공동체 의식의 모호하고 일반적인 의식"을 창출하며, 이는 "원시 인류 사회를 확립하는 주술 의식과 의례의 상징적 도구"로 발전하여 "동물의 사회와 근본적으로 다르다".[23]3. 3. 중국 미학과 자유
리쩌허우는 중국 미학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요약하는 네 가지 특징을 제시한다. 첫째, 음악/즐거움(乐: Yue/Le) 개념은 중국 문화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음악은 즐거움이다." 음악은 문명화 효과를 가지며 "인간의 감정이 동물과 같은 방식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아준다." 음악은 "사람들이 서로 좋은 관계를 맺게 하고 사회의 조화를 증진시킨다." 둘째, 음악은 선형적이며, 시간 속에서 흐르며, 감정을 표현한다. 이러한 선형성에서 중국 미학의 두 번째 특징인 중국 예술에서 선의 중요성이 파생된다. 리쩌허우는 임마누엘 칸트 역시 이것이 우수한 미적 시각 형식이라고 생각했다고 회상한다. (중국 예술은 또한 감정의 표현을 강조하고 리듬, 운율, 풍미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인다.) 셋째, 감정과 이성의 조화를 설명한다. "상상적 현실은 감각적 현실보다 더 중요하다." 넷째, "천인합일(天人合一)"을 나열하며 이를 "중국 철학의 근본 정신... 인간과 인간의 관계, 그리고 인간과 자연의 관계"라고 설명한다. 그러고 나서 그는 "예술과 함께 방랑하는 것"이 자유를 얻는 데 필수적이라고 선언한다. 자유는 루소가 제시한 것처럼 하늘이 내려준 것도 아니고 태어날 때부터 주어지는 것도 아니다. 자유는 인류에 의해 확립된다. 리쩌허우에게 미학은 중요하다.[24]3. 4. 서양은 본질, 중국은 응용
리쩌허우는 1987년 에세이 "서양은 본질이고, 중국은 응용이다"에서 당시의 일반적인 중국 사상을 뒤집었다. 그는 서양 학문이 기술뿐만 아니라 마르크스주의를 포함한 개념 체계와 철학을 포괄하며, 현대 중국 현실의 다원적이고 다양한 기술 사회적 기반이라고 주장했다. 리쩌허우는 중국의 응용은 중국 전통과 함께 서양 학문을 적용해야 하며, 결과에 영향을 미치되 지배해서는 안 된다고 결론 내렸다. 즉, 윤리 측면에서 자신보다 타인을 먼저 생각하는 강점과 숭고함을 보존하고, 추론 과정에서 직관의 가치를 보존하며, 인간관계 처리와 관련하여 풍부한 중국 문화를 보존해야 한다는 것이다.[25]리쩌허우는 "계몽과 민족주의의 이중 변동"에서 1919년 이후 버려진 자유, 독립, 인권과 같은 모든 현대 개념과 모든 중국 전통을 분석하고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계몽을 압도하는 구원"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그는 비교적 긴 평화, 발전하는 번영, 근대화 이후 중국은 서구의 "삼권 분립과 같은 정치 법적 이론과 실천에서 수세기에 걸친 경험"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것이라고 썼다. 또한 법에 의해 제한되는 자유의 개념이 약자를 보호하고 당 간부들이 법 위에 서는 것을 막을 것이라고 예측했다.[26]
3. 5. 계몽과 구원의 이중 변주
리쩌허우는 1987년 에세이 "서양은 본질이고, 중국은 응용이다"에서 당시의 일반적인 중국 사상을 뒤집었다. 그는 서양 학문이 기술뿐 아니라 마르크스주의를 포함한 개념 체계와 철학을 포괄하며, 현대 중국 현실의 다원적이고 다양한 기술 사회적 기반이라고 주장했다. 리쩌허우는 중국의 응용은 중국 전통과 함께 서양 학문을 적용해야 하며, 결과에 영향을 미치되 지배해서는 안 된다고 결론 내렸다. 즉, 윤리적으로 타인을 먼저 생각하는 강점과 숭고함을 보존하고, 추론 과정에서 직관의 가치를 보존하며, 인간관계에서 풍부한 중국 문화를 보존해야 한다는 것이다.[25]"계몽과 민족주의의 이중 변동"에서 리쩌허우는 1919년 이후 버려진 자유, 독립, 인권과 같은 모든 현대 개념과 모든 중국 전통을 분석하고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계몽을 압도하는 구원"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그는 비교적 긴 평화, 발전하는 번영, 근대화 이후 중국은 서구의 "삼권 분립과 같은 정치 법적 이론과 실천에서 수세기에 걸친 경험"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것이라고 썼다. 그는 법에 의해 제한되는 자유의 개념이 약자를 보호하고 당 간부들이 법 위에 서는 것을 막을 것이라고 예측했다.[26]
4. 평가와 영향
리쩌허우가 중국 문화에 미친 영향에 대해 프린스턴 대학교의 위잉스는 "그의 저서를 통해 젊은 중국 지식인 세대 전체를 공산주의 이데올로기로부터 해방시켰다"고 평가했다.[10] 리쩌허우는 "우리 젊은 세대는 철학 분야에 기여하고자 열망하며, 국가의 전반적인 현대화 목표를 달성하고 세계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한 새로운 길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20]
리쩌허우는 1980년대까지의 정통 사상이었던 마르크스주의·유물사관의 관점을 따르면서도 얽매이지 않고, 서양 철학·인문학을 폭넓게 활용했다. 동시대의 팡푸 등과 마찬가지로, '신유가'에 속하지 않는 입장에서 유교를 재평가했다. 때로는 신유가 중 한 명으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리쩌허우 자신은 그러한 위치 부여를 원하지 않았다.[38]
리쩌허우가 중국에서 수행한 역할은 전후 일본에서 마루야마 마사오가 수행한 역할에 필적한다고 평가된다. 리쩌허우는 마루야마의 저작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소개했다. 1989년 3월에는 리쩌허우 본인의 희망으로, 곤도 구니야스의 중재로 마루야마와의 방일 대담이 이루어졌다.
리쩌허우는 루쉰·장빙린 등도 재평가했다. 또한 중국에는 분석철학적 방법이 필요하다고도 말했다.
5. 저서
- , 류강지 공저, 중국 사회 과학 출판사, 1984년 (1권) 및 1987년 (2권)
- The Path of Beauty: A Study of Chinese Aesthetics영어,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1988년
- , 류자이푸 공저, 코스모스 북스, 1995년
- Four Essays on Aesthetics: Toward a Global Perspective영어, 제인 카우벨 공저, 렉싱턴 북스, 2006년
- The Chinese Aesthetic Tradition영어, 마이아 벨 사메이 공저, 하와이 대학교 출판부, 2010년
- , 1981년
- "중국 사상사 삼부작"( ), 1979년 ~ 1987년
참조
[1]
웹사이트
Obituary {{!}} Star of 1980s ‘Chinese enlightenment’ dies in the US at 91
https://www.scmp.com[...]
2021-11-04
[2]
웹사이트
https://www.bjnews.c[...]
The Beijing News
2021-11-03
[3]
문서
Li Zehou, Confucius and Continuity with the Past in Contemporary China
http://digital.libra[...]
Centre for Asian Studies. University of Adelaide
1993
[4]
서적
Li Zehou and Confucian Philosophy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8
[5]
간행물
The Transformative Power of Art: LI Zehou's Aesthetic Theory
1999
[6]
웹사이트
中华美学学会
http://philosophy.ac[...]
2009-07-10
[7]
간행물
The Path of Beauty: A Study of Chinese Aesthetics by Li Zehou, Gong Lizeng
https://www.tandfonl[...]
1997
[8]
서적
Following His Own Path: Li Zehou and Contemporary Chinese Philosophy
https://muse.jhu.edu[...]
SUNY Press
2019-01
[9]
간행물
Introduction: “Proper Measure”—In Memoriam of Li Zehou
https://www.tandfonl[...]
2023-04-03
[10]
웹사이트
Li Zehou, The Confucian World
http://www.coloradoc[...]
2010-10-08
[11]
뉴스
http://ent.sina.com.[...]
2005-10-11
[12]
뉴스
http://hunan.voc.com[...]
2016-03-23
[13]
뉴스
http://hunan.ifeng.c[...]
2014-08-14
[14]
서적
Following his Own Path: Li Zehou and Contemporary Chinese Philosophy
SUNY
2019
[15]
뉴스
https://new.qq.com/o[...]
2021-11-27
[16]
뉴스
https://hnrb.voc.com[...]
2021-11-27
[17]
뉴스
https://www.icswb.co[...]
2021-11-03
[18]
웹사이트
Leading Chinese Philosopher’s Brain Cryopreserved in the US
https://www.sixthton[...]
Sixth Tone
2024-02-08
[19]
웹사이트
Complete List of Non-Confidential Cryopreserved Alcor Patients
https://www.alcor.or[...]
2024-02-08
[20]
문서
Contemporary Chinese Thought
From M.E Sharp, Inc., book publishers
1999–2000
[21]
문서
A biographical introduction from a Source Cultures in the 21st Century:Conflicts &Convergences A Symposium Celebrating the 125th Anniversary of The Colorado College
1999-02-04
[22]
문서
A Supplementary Explanation of Subjectivity
M.E Sharp, Inc.
1987
[23]
문서
An Outline of the Origin of Humankind
M.E Sharp, Inc.
1985
[24]
문서
A few Questions Concerning the History of Chinese Aesthetics
M.E Sharp, Inc.
1985
[25]
문서
The Western is the Substance and the Chinese is for Application
M.E Sharp, Inc.
1987
[26]
문서
Dual Variation of Enlightenment and Nationalism
M.E Sharp, Inc.
1987
[27]
간행물
「矛盾」という概念 : 近代中国と近代日本の文脈において
https://doi.org/10.1[...]
2007
[28]
뉴스
著名哲学家李泽厚去世 享年91岁
http://www.nbd.com.c[...]
2021-11-08
[29]
웹사이트
先生们之李泽厚:以美为脉络,叙述源远流长的中国文化 {{!}} 李辉_手机搜狐网
https://m.sohu.com/a[...]
2021-11-08
[30]
웹사이트
中国思想家、李沢厚氏が死去 米国で、80年代をリード | 共同通信
https://web.archive.[...]
2021-11-06
[31]
문서
李沢厚
[32]
웹사이트
表象文化論学会ニューズレター〈REPRE〉:第2回大会報告:パネル1
https://www.repre.or[...]
2021-11-08
[33]
문서
中国の文化心理構造 現代中国を解く鍵
[34]
간행물
座談 日本人は五四運動をどう捉えてきたか
https://aichiu.repo.[...]
東方書店 (発売)
2000-05
[35]
간행물
中国当代文学 : 九十年代における長編小説の基本傾向
https://nishogakusha[...]
二松学舎大学人文学会
2001-10
[36]
웹사이트
寂寞思想者李泽厚:忆长沙忆故乡
http://hunan.ifeng.c[...]
2021-11-12
[37]
간행물
A biographical introduction from a Source Cultures in the 21st Century:Conflicts &Convergences A Symposium Celebrating the 125th Anniversary of The Colorado College 4–6 February 1999
[38]
서적
海外學界動向 中國における宋明理學史研究
https://hdl.handle.n[...]
早稻田大學東洋哲學會
[39]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オンライン検索結果
https://ndlonline.nd[...]
[40]
웹인용
七届全国人大专门委员会组成人员名单(156人)
http://www.people.co[...]
2019-0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