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유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유가는 1920년대 5·4 운동에 대한 반발로 등장한 유교 철학 학파로, 슝스리, 량수밍 등이 대표적이다. 1세대는 서양 철학과의 융합을 통해 유교의 부활을 모색했고, 2세대는 중국 공산 정권 수립 이후 홍콩에서 신아시아 대학을 설립하여 유교 철학의 현대적 의의를 강조했다. 3세대는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중국 본토에서는 개혁개방 이후 중국 본토 신유가가 등장했다. 신유가는 '조화로운 사회' 개념을 통해 현대 중국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한국 사회에도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유가 - 조화로운 사회
    조화로운 사회는 중국 문화의 화해 개념에서 비롯되어 사회 구성원 간 협력과 조화를 중시하는 사상으로, 유교적 이상을 반영하여 개인, 자연, 사회의 균형을 추구하며 중국 공산당의 국가 전략으로 제시되었으나, 검열 및 억압의 수단으로 활용된다는 비판과 함께 한국에서는 특정 정당의 대중국 정책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 신유가 - 고사변
    고사변은 1920년대 중국에서 구제강, 첸쉬안퉁, 후스 등이 유교 경전과 역사서에 기록된 중국 고대사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고대사를 재해석하고자 한 사학 사상 운동이다.
  • 중국 철학 -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은 시진핑이 중국 최고 지도자가 된 이후 발전하여 중국공산당의 지도 이념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중국 특색 사회주의를 강조하고 권력 집중, 인권 침해 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 중국 철학 - 마오쩌둥 사상
    마오쩌둥 사상은 중국 공산주의 운동의 지도 이념으로, 모순론, 실천론, 계속혁명론 등을 핵심 내용으로 하며, 반수정주의, 반제국주의, 인민전쟁 등의 이론을 제시했다.
신유가
개요
별칭현대 신유가
기원 및 발전
시작 시기20세기
주요 목표유교 가치의 재해석 및 현대 사회 적용
중국 문화의 정체성 확립
서구 사상과의 조화 추구
발전 배경서구 문명의 영향과 중국 전통 문화의 위기 의식
유교적 가치에 대한 재평가
중국 근대화 과정에서의 문화적 고민
주요 인물
1세대슝스리
량수밍
펑유란
허린
2세대무종산
탕쥔이
쉬푸관
장쥔마이
3세대류수셴
청중잉
두웨이밍
차이런후오
사상적 특징
핵심 가치




주요 주장유교적 가치의 현대적 재해석 및 적용
서구 민주주의와 과학 기술의 수용과 비판적 통합
도덕적 이상주의와 사회 참여 강조
인간의 내면적 수양과 사회적 책임의 조화
학파
주요 학파심성학파 (心性學派): 인간 본성의 도덕적 근원 탐구
문화철학파 (文化哲學派): 유교 문화의 현대적 의미 해석
정치철학파 (政治哲學派): 유교적 이상에 기반한 정치 체제 모색
영향
사회적 영향중국 사회의 도덕 및 윤리 의식에 영향
교육 및 문화 분야에 영향
중국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
학문적 영향유교 연구의 심화 및 확장
동아시아 철학 연구에 영향
현대 사회 문제에 대한 유교적 관점 제시
비판
주요 비판보수적 성향에 대한 비판
현대 사회와의 괴리 지적
추상적 이론에 치중한다는 비판

2. 역사

신유가의 역사는 크게 세 세대로 구분할 수 있다.

신문화 운동 이후, 전면적인 서구화 흐름 속에서 중국 전통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려는 학자들이 등장했다. 이들은 유교뿐만 아니라 불교, 도교 등 다양한 사상을 서양 학문, 특히 서양 철학과 융합하여 중국 전통 문화의 가치를 현대에 되살리고자 했다.

신유가 사상가들은 중국, 홍콩, 대만 및 해외에서 활동했으며, 이들에 대한 정의와 평가는 정치적, 문화적 문제와 복잡하게 얽혀 있어 중국어권에서 일치하지 않는다.


  • '''세대별 구분'''


세대기간주요 인물
제1세대1921년-1949년슝스리, 량수밍, 마이푸, 장쥔마이, 펑유란, 첸무
제2세대1950년-1979년팡둥메이, 탕쥔이, 무쭝산, 쉬푸관
제3세대1980년-청중잉, 류수셴, 두웨이밍, 훠타오후이, 위잉스 등



첸무와 그의 제자 위잉스는 자신을 신유가가 아닌 사상사가로 인식하여 신유가에 포함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18][19]

2. 1. 제1세대 (1921-1949)

5·4 운동의 반유교적, 전면적 서구화 흐름에 대한 반발로 신유가 1세대(1921-1949)가 등장했다. 이들은 유교가 비과학적이며 현대 중국의 발전에 반한다는 주장에 반대했다. 슝스리는 왕양명 학파의 영향을 받아 신유가 운동의 형이상학적 체계를 개발하고, 중국 학문이 서양 학문보다 우월하다고 주장했다. 펑유란주희의 신유학을 바탕으로 서양 철학의 영향을 받은 중국 철학의 부활을 모색했다.[3]

세대기간주요 인물
제1세대1921년-1949년슝스리, 량수밍, 장쥔마이, 펑유란


2. 2. 제2세대 (1950-1979)

1949년 중국 공산 정권이 들어서면서, 주요 지식인들은 중국 본토를 떠나 대만, 홍콩, 미국 등지로 이주했다. 이 시기(1950–1979)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탕쥔이, 무쭝산, 쉬푸관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슝스리의 제자이다.[3] 무쭝산은 고전 중국 철학 전통에 기반을 두고, 이마누엘 칸트를 서양의 공자라고 비유하며 유교 철학의 현대적 의의를 강조했다.[3]

탕쥔이, 무쭝산, 쉬푸관, 장쥔마이는 홍콩에서 신아시아 대학을 설립하고, 1958년 "중국학 재평가 및 중국 문화 재건 선언"을 발표하여 신유가의 철학적 입장을 천명했다.[3] 이 선언문은 중국 문화가 역사적으로 유교를 중심으로 통일성을 가지며, 서구로부터 현대 과학과 민주주의를 배워야 하지만, 서구는 중국, 특히 유교 전통으로부터 "보다 포괄적인 지혜"를 배워야 한다고 주장했다.[3]

2. 3. 제3세대 (1980-)

1980년대 이후 신유가 운동은 여러 학자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이 세대에 속하는 대표적인 학자들로는 청중잉, 류수셴, 뚜웨이밍, 훠타오후이, 위잉스 등이 있다.[18][19] 뚜웨이밍은 유교가 고전 한나라 이전의 유교, 송나라-명나라의 신유학, 그리고 현대의 신유가라는 세 시대를 거쳤다고 주장했다.[3] 그는 유교의 현대적 의미와 역할을 강조하며, 유교가 비아시아적 맥락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3]

첸무와 그의 제자 위잉스는 자신을 신유가가 아닌 사상사가로 인식하여 신유가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18][19]

2. 4. 중국 본토 신유가

1978년 덩샤오핑개혁개방 이후 중국 본토에서 유교 사상이 부활했다. 초기에는 장칭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 본토 신유학'이 부상하며 '해외 신유학'과 뚜렷한 차별성을 보였다. 장칭은 유교 사상을 '심학 유교'와 '정치 유교'로 나누고, 유교가 1000년 이상 정치 유교를 희생하면서 심학 유교에 갇혀 공자의 진정한 사상이 '훼손'되었다고 주장한다.[4] 그는 유교 사상의 핵심으로 정치적 정당성의 회복, 유교적 헌법 구조에 대한 새로운 관심, 그리고 유교를 공식적인 국교로 제정하는 것을 주장한다.[5]

다른 중국 본토 신유학자들은 유교에 대한 더욱 자유주의적인 정치적 태도에 대해 논쟁했다. 천밍은 베이징 세계 종교 연구소의 학자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6] 그는 유교가 현대 중국 사회의 세 가지 주요 문제, 즉 정치 재건, 문화적 정체성, 종교적 신앙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했다고 썼다.[6] 천밍은 '해외 신유학'의 형이상학적 강조를 장칭이 거부하는 데 동의하면서도, 유교를 민주주의와 양립할 수 있는 미국식 시민 종교로 보는 것이 가장 좋으며, 정치 생활은 공식적인 국교 없이 종교적 측면을 표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7]

천밍은 몇몇 경쟁자들과 거리를 두었다. 모우 종산의 유교가 '완전한 가르침'이라는 것은 감정에 너무 치우쳐 보였고, 중국이 정치와 종교를 통합하는 유교 국가가 되어야 한다는 장칭의 생각은 너무 단순했으며, 캉샤오광의 유교를 국교로 바꾸는 계획은 "거의 적용할 수 없었다".[7][8]

3. 주요 철학

신유가는 유교의 영향을 받은 철학 학파로서, 서양 철학과 동양 철학의 형이상학적 아이디어를 활용하는 정치, 윤리, 사회 철학이다.[9] 1919년 5·4 운동 이후, 슝스리유교를 재건하고 재구성하여 신유가를 발전시켰다. 신유가는 슝스리와 펑유란을 시작으로 하는 1세대, 슝스리의 제자들인 모쭝산, 탕쥔이, 쉬푸관으로 구성된 2세대, 그리고 1980년대 이후의 신유가를 의미하는 3세대로 분류된다.

민국 시대 신문화 운동 이후, 중국의 전통 문화를 보존하고 발전시키려는 학자들이 등장했다. 이들은 유교뿐만 아니라 불교, 노장사상 등 다양한 동양 사상을 서양 철학과 융합하여 중국 전통 문화의 가치를 현대에 되살리고자 했다.

3. 1. 슝스리의 철학

슝스리(熊十力, 1885–1968)는 20세기 신유학 부활의 토대를 마련한 사상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9] 신유학의 많은 부분은 슝의 《신유식론》에서 비롯되었다. 불교 경전에 정통했던[9] 슝은 동양 철학의 고전이 더 견고한 현대 중국 철학에 통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9] 슝은 불교의 어두운 인간 본성에 대한 견해를 인정했지만, 인간 본성에는 더 밝은 면도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 이러한 이유로 그는 어두운 본성을 억누르는 수행이 필요하다고 규정하는 "매일의 감소"에 대한 불교의 가르침을 거부했다.[9]

그는 고전 유학을 연구한 후 그러한 결론에 도달했다. 유학 역시 인간 본성의 부정적인 측면을 탐구하여 예(禮)로 자신을 익숙하게 만들 필요성을 강조하지만, 예의 수행과 '인(仁)'의 달성은 인간 본성의 어두운 측면을 제한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맹자가 쓴 인간의 '단(端)' 즉, "근본적인 선"을 발전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다.

다양한 동양 철학을 포괄하는 현대 중국 철학의 일부로 유학을 불교와 통합하기 위해 슝은 매일 감소에 대한 불교의 가르침을 수정할 것을 제안했다. 슝은 "매일 감소"의 근본적인 배경을 절대적이고 변하지 않는 현실(법성 또는 파싱)과 끊임없이 변화하고 조건적인 현상 세계(법상 또는 파싱) 사이의 "넘을 수 없는 분열"(Xiong, 1994, pp. 69–77, 84–5, 111–12)에 대한 불교의 형이상학적 믿음으로 이해했다.[9]

위지위는 슝에 대한 연구에서 이를 "분리 이론"이라고 설명한다. 한편, "매일 감소"를 수정하려는 슝의 이론은 위가 "동일성 테제"라고 설명하는 것에 크게 의존했다.[9] 슝은 《신유식론》에서 이 법성을 '체(體)'라고 부르고 법상을 '용(用)'이라고 부른다. 슝은 불교가 이 두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과는 달리, 이 두 세계는 하나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통일성에 대한 그의 견해는 《의식의 유일성에 관한 신론》과 같은 그의 초기 작품에서 볼 수 있다. 《신유식론》에서 그는 현실은 마음과 같다고 주장한다. 이 마음은 개인의 마음이 아니라 모든 존재 사이에 마음의 보편성이 있는 보편적인 현존을 의미하며, 따라서 현실이 된다. 슝은 욕망과 개별적인 마음을 다스리는 유교와 불교의 개념을 통합하여 자신의 욕망과 개별적인 마음을 통제하지 못하면 "죽은 물질의 덩어리"가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슝의 견해는 외부적인 것은 궁극적으로 내부적인 것이며 마음과 현실 모두 하나이기 때문에 세상의 대상을 내적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3. 2. 무쭝산의 철학

무쭝산은 슝스리의 철학을 발전시켜 사회정치적 측면에 적용했다. 그는 모든 철학적 진리에 보편성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며, 세계의 정치 및 사회 이론이 본질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강의에서 특수성이 서로 다른 문화에서 확립된 다양한 시스템 때문에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서로 다른 시스템은 일련의 철학적 추론과 해석을 거쳐 동일한 철학적 진리에 도달한다. 그는 우리의 신체적 제약, 즉 우리의 신체적 존재가 이러한 서로 다른 시스템과 문화를 만들어낸다고 믿는다. 우리의 마음, 즉 형식은 여전히 이 물리적 세계 내에서 나타나고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는 이러한 제약이 우리가 철학적 추론을 실천하는 것을 방해하도록 해서는 안 된다.

무쭝산의 정치 철학은 인간의 특수성에 따른 역사적 필연성을 논하면서 더욱 분명하게 드러난다. 서로 다른 국가와 서로 다른 시스템의 존재는 주로 이러한 역사적 필연성 때문에 설명될 수 있다. 무쭝산은 역사적 필연성이 논리적 필연성이나 형이상학적 필연성 때문이 아니라, 그가 변증법적 필연성이라고 명명한 정신의 발달 때문에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역사를 역사적 필연성, 즉 변증법적 필연성과 도덕적 필연성을 모두 가진 것으로 인식하고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도덕적 판단과 역사적 판단, 두 가지 유형의 판단이 있기 때문이다. 무쭝산은 그리스인이든 중국인이든, 역사와 기본적인 인간 성격의 배후에 있는 이러한 기본적인 필연성은 동일하며, 따라서 정치와 역사 뒤에도 철학적 진리에는 보편성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4. 용어

신유가의 영어 번역은 일반적으로 'New Confucianism'이지만, 중국어 번역에는 다양한 표현이 있다. 대만에서는 - 신유학과의 연속성을 강조하기 위해 '당대신유가(當代新儒家)' (當代新儒家|당대신유가중국어) 또는 '당대신유학(當代新儒學)' (當代新儒學|당대신유학중국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2]

중국 본토에서는 5·4 운동 이후의 현대화 시기에 중점을 두고 '현대신유가(現代新儒家)' (現代新儒家|현대신유가중국어) 또는 '현대신유학(現代新儒學)' (現代新儒學|현대신유학중국어)이라는 용어를 선호한다.[2]

5. 현대적 의의

후진타오 전 중국 공산당 총서기는 2000년대 중반 과학적 발전관의 핵심 특징으로 '조화로운 사회' 개념을 제시했다.[16] 이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후-원 행정부에 의해 제시되었으며, 통제되지 않은 경제 성장으로 인한 사회적 불평등 증가에 대응하여 경제 성장 중심에서 사회적 균형과 조화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적당히 번영하는 사회와 함께, "조화로운 사회"는 공산당의 국가적 목표 중 하나가 되었다.[16]

후진타오는 이 이념을 국제적 차원으로 확장하여 국제 평화와 협력을 강조하는 "조화로운 세계" 개념으로 발전시켰으나, 시진핑 행정부는 이 철학을 다소 신중하게 사용하고 있다.

5. 1. 조화로운 사회

'조화로운 사회'()라는 개념은 공자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래된 개념이다. 이 철학은 신유교에서 파생된 것으로 특징지어진다.[10][11][12][13][14][15] 현대에 와서는 2000년대 중반 후진타오 전 중국 공산당 총서기의 대표적인 이념인 과학적 발전관의 핵심 특징으로 재도입되었다. 이는 2005년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후-원 행정부에 의해 제시되었다.

이 철학은 통제되지 않은 경제 성장으로 인해 중국 사회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불평등 증가에 대한 대응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통치 철학은 경제 성장 중심에서 전반적인 사회적 균형과 조화로 전환되었다.[16] 적당히 번영하는 사회와 함께, "조화로운 사회"는 집권 공산당의 국가적 목표 중 하나가 되었다.

"조화로운 사회" 이념의 홍보는 후진타오의 통치 철학이 그의 전임자들과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7] 2011년 임기 말, 후진타오는 이 이념을 국제적 차원으로 확장하여 국제 평화와 협력을 강조하는 "조화로운 세계" 개념으로 발전시켰다. 후진타오의 후임자인 시진핑 행정부는 이 철학을 다소 신중하게 사용하고 있다.

일부 학자들, 특히 옌쉐퉁과 다니엘 A. 벨은 새로운 유교 정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중국과 다른 곳에서 어사와 같은 능력주의적 유교 제도의 부활을 옹호한다. 반면, 야나 S. 로슈커와 같은 학자들은 유교가 결코 획일적이거나 정적인 사상이 아니라, 현대 이데올로기에 의해 임의적이고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흐름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국가 권력을 정당화하는 기능을 한다고 강조한다. 조화 개념의 역사적 발전을 고려할 때, 우리는 철학적 전통이 역사적 가정에 어느 정도 기반을 두고 있는지, 아니면 단순히 현재 시기의 이념적, 정치적 요구의 산물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참조

[1] 학술지 Harmony in Contemporary New Confucianism and in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2] 서적 New Confucianism: A Critical Examination Palgrave
[3] 서적 Reinventing Confucianism: The New Confucian Movement Taipei Ricci Institute
[4] 서적 The Renaissance of Confucianism in Contemporary China https://archive.org/[...] Springer
[5] 서적 The Renaissance of Confucianism in Contemporary China https://archive.org/[...] Springer
[6] 학술지 Modernity and Confucian Political Philosophy in a Globalizing World 2009
[7] 학술지 The Contemporary Revival of Confucianism: "Anshen liming" or the Religious Dimension of Confucianism
[8] 간행물 Kang Xiaoguang: Social Science, Civil Society, and Confucian Religion http://journals.open[...] 2009-04
[9] 서적 Contemporary Chinese Philosophy Blackwell
[10] 서적 China in Search of a Harmonious Society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08-08-15
[11] 서적 Reconstructionist Confucianism: Rethinking Morality after the West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0-03-11
[12] 뉴스 China's Leaders Rediscover Confucianism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6-09-14
[13] 웹사이트 Confucian concept of harmonious society https://www.koreatim[...] 2011-09-18
[14] 학술지 Modern Confucianism and the Concept of Harmony https://www.academia[...]
[15] 문서 Music as Propaganda: Art at the Command of Doctrine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Ethnomusicology 1983
[16] 뉴스 China's Party Leadership Declares New Priority: 'Harmonious Society' https://www.washingt[...] 2011-01-20
[17] 뉴스 China yearns for Hu's 'harmonious society' https://web.archive.[...] Asia Times 2006-10-11
[18] 서적 儒教の歴史 山川出版社
[19] 서적 中国倫理思想の考え方 山川出版社
[20] 학술지 Harmony in Contemporary New Confucianism and in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21] 서적 New Confucianism: A Critical Examination https://archive.org/[...] Palgra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