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니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처드 니버는 1894년에 태어나 1962년에 사망한 미국의 신학자이자 윤리학자이다. 그는 절대적인 하나님의 주권과 역사적 상대주의에 대한 관심을 평생 동안 가졌으며, 칼 바르트와 에른스트 트뢸치를 주요 사상적 영향으로 여겼다. 니버는 기독교 윤리학자로 활동하며 인간과 하나님, 인간과 인간, 인간과 공동체, 세상 간의 관계를 탐구했다. 그의 대표작 《그리스도와 문화》는 기독교 문화관을 다섯 가지 유형으로 제시하며, 그의 사상은 문화 다원주의와 관용에 대한 관심사를 보여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주리주 출신 작가 - 러시 림보
러시 림보는 미국의 보수 성향 라디오 토크쇼 진행자였으며, 자유주의와 페미니즘을 비판하고 인종차별 및 여성 혐오 관련 발언으로 논란을 빚었으며, 약물 중독과 불법 거래로 체포되기도 했고, 2021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 미주리주 출신 작가 - 로이 토머스
미주리주 잭슨 출신의 미국 만화 작가이자 편집자인 로이 토머스는 DC 코믹스와 마블 코믹스에서 다수의 슈퍼히어로 만화를 집필하며 만화계에 큰 영향을 미쳤고, 특히 마블 코믹스에서는 '어벤져스'와 '언캐니 엑스맨' 연재를 통해 실버 에이지 만화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DC 코믹스에서는 미국의 정의 사단(JSA)을 부활시키는 등 폭넓은 활동을 펼쳤다. - 미국의 개신교 신학자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비폭력 저항으로 미국 시민권 운동을 이끈 미국의 목사이자 사회 운동가, 인권 운동가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워싱턴 대행진 등을 주도하며 인종차별 철폐를 위해 투쟁했고, 그의 업적과 비폭력 저항 사상은 미국 사회와 전 세계 인권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미국의 개신교 신학자 - 피터 L. 버거
피터 L. 버거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사회학자로서, 사회학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사회적 현실 구성 과정을 설명했으며, 종교 사회학 분야에서 현대 사회의 종교적 역할을 탐구했다. - 워싱턴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동문 - J. C. R. 리클라이더
J. C. R. 리클라이더는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로, 심리음향학을 연구하고 인간-컴퓨터 공생 개념을 제시했으며, ARPANET 개발에 기여했다. - 워싱턴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동문 - 진념
진념은 대한민국의 경제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경제기획원 등에서 주요 보직과 다섯 차례의 장관직을 역임하며 한국 경제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고 경제부총리, 장관 등을 지냈으며 경기도지사 선거에 낙선 후 학계와 재계에서 활동하고 있다.
| 리처드 니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헬무트 리처드 니버 |
| 출생 | 1894년 9월 3일 |
| 출생지 | 미국 미주리주 라이트 시티 |
| 사망 | 1962년 7월 5일 |
| 사망지 | 미국 매사추세츠주 그린필드 |
| 배우자 | 플로렌스 미텐도르프 (1920년 결혼) |
| 종교 | 기독교 (개신교) |
| 소속 교단 | 북미 복음주의 시노드 |
| 직업 | |
| 직업 | 목사 |
| 신학 분야 | 윤리학 |
| 교수 | 예일 대학교 |
| 학력 | |
| 학력 | 엘름허스트 대학교 에덴 신학대학원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 예일 대학교 |
| 학위 논문 제목 | 에른스트 트뢸치의 종교 철학 |
| 학위 논문 연도 | 1924년 |
| 지도교수 | 더글러스 클라이드 매킨토시 |
| 사상과 영향 | |
| 신학 전통 | 신정통주의 |
| 영향을 준 인물 | 칼 바르트 조너선 에드워즈 쇠렌 키르케고르 프레데리크 데니슨 모리스 조지 허버트 미드 조지아 로이스 파울 틸리히 에른스트 트뢸치 |
| 영향을 받은 인물 | 제임스 W. 파울러 제임스 거스타프슨 스탠리 하우어워스 고든 카우프만 |
| 주요 저서 | |
| 주요 저서 | 그리스도와 문화 (1951년) 책임있는 자아 (1963년) |
2. 생애
리처드 니버는 1894년 9월 3일 미주리 라이트시티에서 북미 복음주의 시노드 목사인 구스타프 니버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가족은 1902년 일리노이 링컨으로 이사했다.[4] 1912년 엘름허스트 대학교를 졸업하고 1915년 에덴 신학대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1918년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1924년 예일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리처드 니버는 평생 동안 절대적인 하나님의 주권과 역사적 상대주의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칼 바르트와 에른스트 트뢸치를 주요 영향력으로 여겼으며, 바르트와 신정통주의로부터 하나님의 절대적인 초월성을 받아들였다. 하나님은 역사의 위에 있으며, 인간에게 명령을 내리고, 모든 역사는 이 하나님의 통제 아래 있다고 믿었다. 니버는 파울 틸리히의 하나님 개념을 빌려, 하나님을 존재 자체, 하나, 또는 존재의 근거로 묘사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하여 니버는 칼 바르트의 독단적이지만 변증법적인 신학과 파울 틸리히의 철학적으로 지향적인 수정 자유주의 사이에서 일종의 중간 입장을 취했다.
1915년부터 1916년까지 링컨에서 기자로 일했다. 1916년 복음주의 시노드에서 목사로 안수를 받았으며, 1918년까지 미주리 세인트루이스에서 활동했다. (시노드는 1934년 미국 독일 개혁 교회와 합병되었으며, 이후 형성된 복음주의 개혁 교회는 1957년 회중 기독교 교회와 연합하여 그리스도 연합 교회를 형성했다.) 세인트루이스에 살면서 미주리주 웹스터그로브에 있는 복음주의 그리스도 연합 교회의 회원 겸 지도자였으며, 1919년부터 1924년까지, 1927년부터 1931년까지 에덴 신학대학교에서 가르쳤다. 1924년과 1927년 사이에는 엘름허스트 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1931년부터 1962년까지 예일 대학교에서 신학과 기독교 윤리를 가르쳤다.
니버는 1962년 7월 5일 매사추세츠 그린필드에서 사망했다.
3. 사상
니버는 역사적 상대주의에도 관심을 가졌다. 하나님은 절대적이고 초월적이지만, 인간은 그렇지 않으며 세상의 흐름과 움직임의 일부이다. 따라서 하나님이 어떻게 이해되는지는 결코 영구적이지 않고, 역사 속의 서로 다른 시기와 서로 다른 사회적 위치에 있는 사람들에 의해 항상 다르게 이해된다. 니버의 신학은 신앙의 표현이 한 종교 공동체에서 다른 종교 공동체로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높은 민감성을 보여준다. 그의 사상은 문화 다원주의와 관용에 대한 후기 자유주의 개신교의 관심사를 예상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는 『미국의 하나님의 왕국』(1937)에서 당시 자유주의적이었던 사회 복음을 비판하며 그 메시지를 "분노 없는 하나님이 죄 없는 사람들을 십자가 없는 그리스도의 봉사를 통해 심판 없는 왕국으로 인도했다"고 묘사했다.[5][6]
니버는 기독교 윤리학자로서 인간이 하나님, 서로, 그들의 공동체, 그리고 세상과 어떻게 관계를 맺는가에 관심을 가졌다. 그의 신학적 윤리는 대략 관계적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그의 윤리 논문인 『책임 있는 자아』는 사후에 출판되었는데, 원래 더 큰 책의 서문으로 의도되었으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인해 완성되지 못했다. 『책임 있는 자아』에서 니버는 인간을 응답하는 행위자로 다루었다. 인간은 항상 다른 인간, 공동체, 자연 질서 또는 역사, 무엇보다도 하나님과 같은 어떤 영향력에 "응답"한다.
3. 1. 《그리스도와 문화》의 다섯 가지 유형
리처드 니버는 그의 대표작 《그리스도와 문화》에서 기독교 문화관을 다섯 가지 유형으로 제시하였다.[8]
니버는 《그리스도와 문화》에서 기독교가 문화에 어떻게 반응해 왔는지에 대한 역사를 제시하며,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관점을 설명했다.3. 2. 적자 교회와 폐위된 자의 교회
니버는 신을 절대적인 존재로 보는 한편, 인간은 변하기 쉬운 존재라고 인정하면서, 문화 상대주의와 다양성, 관용의 정신을 주장했다. 또한, 기독교와 인간 문화를 분리하여 생각하며, "그리스도와 문화", "그리스도 대 문화", "문화를 초월하는 그리스도", "문화를 변형시키는 그리스도"라는 형태로 기독교가 인간 문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논했다. 저서 《미국형 기독교의 사회적 기원》에서 적자 교회와 폐위된 자의 교회를 고찰하고 있다.
4. 주요 저서
| 제목 | 출판 연도 | 비고 |
|---|---|---|
| 《교파주의의 사회적 기원》 | 1929 | |
| 《미국의 하나님 나라》 | 1937 | |
| 《계시의 의미》 | 1941 | |
| 《그리스도와 문화》 | 1951 | 1949년 텍사스주 오스틴 신학교 강연 재구성 |
| 《교회와 그 사역의 목적》 | 1956 | |
| 《급진적 일신론과 서구 문화》 | 1960 | |
| 《책임적인 자아》 | 1963 | |
| 《지상의 신앙: 인간 신앙의 구조에 대한 탐구》 | 1989 | |
| 《미국형 기독교의 사회적 기원》 | ||
| 《현대 문화의 붕괴와 유일신 신앙》 | 1929 |
5. 영향
니버는 평생 동안 절대적인 하나님의 주권과 역사적 상대주의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칼 바르트와 에른스트 트뢸치를 주요 영향력으로 여겼다. 바르트와 신정통주의로부터 하나님의 절대적인 초월성을 받아들였으며, 하나님이 역사의 위에 있으며 인간에게 명령을 내리고 모든 역사는 이 하나님의 통제 아래 있다고 믿었다. 니버는 파울 틸리히의 하나님 개념을 빌려 하나님을 존재 자체, 하나 또는 존재의 근거로 묘사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하여 칼 바르트의 독단적이지만 변증법적인 신학과 파울 틸리히의 철학적으로 지향적인 수정 자유주의 사이에서 일종의 중간 입장을 취했다.
니버는 역사적 상대주의에도 관심을 가졌다. 하나님은 절대적이고 초월적이지만 인간은 세상의 흐름과 움직임의 일부이기 때문에, 하나님이 어떻게 이해되는지는 결코 영구적이지 않으며 역사 속의 서로 다른 시기와 사회적 위치에 있는 사람들에 의해 항상 다르게 이해된다고 보았다. 니버의 신학은 신앙의 표현이 한 종교 공동체에서 다른 종교 공동체로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높은 민감성을 보여준다. 그의 사상은 문화 다원주의와 관용에 대한 후기 자유주의 개신교의 관심사를 예상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는 『미국의 하나님의 왕국』(1937)에서 당시 자유주의적이었던 사회 복음을 비판하며 그 메시지를 "분노 없는 하나님이 죄 없는 사람들을 십자가 없는 그리스도의 봉사를 통해 심판 없는 왕국으로 인도했다"고 묘사했다.[5][6]
니버는 훈련을 통해 기독교 윤리학자였다. 그는 인간이 하나님, 서로, 그들의 공동체, 그리고 세상과 어떻게 관계를 맺는가에 가장 큰 관심을 가졌다. 니버의 신학적 윤리는 대략 관계적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그의 가장 위대한 윤리 논문은 사후에 출판된 『책임 있는 자아』인데, 이는 윤리에 관한 더 큰 책의 서문으로 의도되었으나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인해 완성되지 못했다. 『책임 있는 자아』에서 니버는 인간을 응답하는 행위자로 다루었다. 인간은 항상 다른 인간, 공동체, 자연 질서나 역사, 또는 무엇보다도 하나님과 같은 어떤 영향력에 "응답"한다고 보았다.
참조
[1]
간행물
F.D. Maurice and the Unitarians
https://web.archive.[...]
2019-05-21
[2]
서적
Teaching for Spiritual Growth: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Education
Zondervan Publishing House
[3]
웹사이트
James Fowler
https://www.biola.ed[...]
Biola University
2020-08-27
[4]
서적
Reinhold Niebuhr
https://archive.org/[...]
Harper & Row
[5]
서적
The Kingdom of God in America
Harper & Row
[6]
뉴스
The Comforting Doctrine of Hell
http://www.touchston[...]
[7]
웹인용
그리스도와 문화(리처드 니버)
http://blog.daum.net[...]
2020-01-23
[8]
뉴스
http://www.christi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