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막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처드 막스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작곡가, 프로듀서이다. 1987년 데뷔 앨범 《Richard Marx》를 발표하여 트리플 플래티넘을 기록했고, "Don't Mean Nothing", "Should've Known Better", "Endless Summer Nights", "Hold On to the Nights" 등의 히트곡을 냈다. 1989년 앨범 《Repeat Offender》는 빌보드 앨범 차트 1위를 차지했으며, "Satisfied", "Right Here Waiting" 등의 히트곡을 포함했다. 1990년대 중반부터 프로듀서로 활동하며 NSYNC, 루서 밴드로스 등과 협업했으며, 2004년에는 "Dance with My Father"로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노래상을 수상했다. 2016년에는 대한항공 기내 난동 사건에서 승객 제압을 도운 일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일랜드파크 (일리노이주) 출신 - 마이클 조던
마이클 조던은 1963년 뉴욕에서 태어나 시카고 불스에서 활약하며 NBA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로 평가받으며 6번의 NBA 챔피언십 우승, 5번의 MVP 수상, 10번의 득점왕을 차지했고, 은퇴 후 야구 선수로 활동하거나 샬럿 호네츠의 구단주로 활동하기도 했다. - 하일랜드파크 (일리노이주) 출신 - 마크 웨인 클라크
마크 웨인 클라크는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이탈리아 주둔 미군 최고사령관, 유엔군 사령관 등을 역임했으며, 몬테 카시노 전투 지휘와 한국 정전 협정 서명에 관여했다. - 말리부 (캘리포니아주) 출신 - 제이든 스미스
제이든 스미스는 미국의 배우, 래퍼, 가수, 패션 디자이너, 사업가이며, 영화 《행복을 찾아서》로 데뷔하여 《카라테 키드》에 출연하며 인지도를 얻었고, 음악 활동과 패션 브랜드 론칭, 환경 문제에 대한 사회 활동도 펼친다. - 말리부 (캘리포니아주) 출신 - 제임스 카메론
제임스 카메론은 캐나다 출신으로 *터미네이터*, *아바타* 등 흥행작들을 만든 할리우드 최고의 감독이자 제작자, 각본가이며, 혁신적인 3D 기술, 심해 탐험, 인공지능, 자연과의 갈등, 강인한 여성 캐릭터 등의 주제를 다루는 것으로 유명하다. - 미국의 록 키보드 연주자 - 제시 카마이클
제시 카마이클은 미국의 키보디스트이자 마룬 5의 멤버로, 카라스 플라워스 활동 후 애덤 리바인과 함께 마룬 5를 결성하여 활동했으며, 음악 공부를 위한 활동 중단 후 밴드에 복귀하여 솔로 프로젝트와 다양한 협업 및 프로듀싱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 미국의 록 키보드 연주자 - 프린스 (가수)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 출신의 가수, 작곡가, 멀티악기 연주자, 배우, 영화 제작자인 프린스는 펑크, R&B, 팝, 록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실험적인 음악과 화려한 퍼포먼스로 유명하며 1억 5천만 장 이상의 음반 판매고를 기록했고, 워너 브라더스와의 계약 분쟁 중에는 자신의 이름을 상징으로 변경, 독립적인 음악 활동을 통해 꾸준히 새로운 음악을 발표하다 2016년 펜타닐 과다 복용으로 사망했으나 그의 음악적 업적과 영향력은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리처드 막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리처드 노엘 막스 (Richard Noel Marx) |
출생지 |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
출신지 | 미국 일리노이주 하일랜드파크 |
직업 | 가수, 작곡가 |
장르 | 팝 록, 소프트 록 |
악기 | 보컬, 피아노, 기타 |
활동 기간 | 1968년 – 현재 |
레이블 | 캐피틀, EMI, Manhattan, Signal 21, Zanzibar, 프론티어, 코발트 레이블 서비스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관련 인물 | |
아버지 | 디크 막스 |
관련 인물 | 피 웨이빌, 매트 스캐널, 루서 밴드러스, 키스 어번, 링고 스타 & 히즈 올-스타 밴드 |
2. 초기 생애
리처드 막스는 1963년 9월 16일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태어났다.[4] 아버지 딕스 막스는 재즈 음악가이자 1960년대 초에 징글 회사를 설립했으며, 어머니 루스 막스는 전직 가수(결혼 전 성은 길두)였다. 그의 아버지는 독일계 유대인 후손이었다.[14][15] 막스는 노스 쇼어 컨트리 데이 스쿨에 다녔다.[16] 아버지의 이전 결혼으로 세 명의 이복 형제가 있었다.[17]
리처드 막스는 5세 때부터 아버지 회사가 작곡한 광고 노래를 부르며 음악 경력을 시작했다. 그의 광고 히트곡에는 Arm & Hammer, Ken-L Ration[18], Nestlé Crunch 등이 있다. 19세 무렵, 라이오넬 리치에게 인정받아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하여 그의 앨범 『라이오넬 리치』(1982년) 레코딩에 참여했다. 이후, 리치의 소개로 케니 로저스의 백업 싱어가 되었으며, 로저스와 공동 작업을 시작했다. 두 사람이 함께 작업한 「크레이지」는 1984년 로저스가 불러 빌보드 컨트리 싱글 차트 1위를 차지했다.
작곡가인 아버지와 가수인 어머니의 영향으로, 5세 때부터 아버지의 상업광고에 등장해 17세까지 CM송을 불렀다. 19세 무렵 라이오넬 리치에게 데모 테이프를 들려주어 인정을 받고 로스앤젤레스로 이주, 1982년 앨범 《라이오넬 리치》 레코딩에 참여했다. 이후 리치의 소개로 케니 로저스의 백업 싱어가 되었고, 로저스와 공동 작업을 통해 "크레이지"를 작곡했다. 이 곡은 1984년 로저스가 불러 빌보드 컨트리 싱글 차트 1위를 차지했다.
3. 음악 경력
막스는 로스앤젤레스에서 더 튜브스의 피 웨이빌과 협업하기도 했다. 막스와 베스타 윌리엄스는 고든 라이트풋과 데이비드 포스터가 작사한 곡인 "Anything for Love"에서 화음을 넣었으며, 이 곡은 라이트풋의 1986년 앨범 ''East of Midnight''에 수록되었다.
영화 《데킬라 선라이즈》의 주제곡을 작곡했으며, 여성 메탈그룹 빅슨, 포코, 에니모션 등에게 곡을 주어 능력을 인정받았다. 1988년 2월에는 첫 내한 공연을 가졌고, 일본 무도관에서도 공연했다.
3. 1. 데뷔 및 전성기 (1987-1994)
1987년 데뷔 앨범 《Richard Marx》를 발표해 1988년 더블 플래티넘을 기록했다.[7][8] 데뷔 싱글 "Don't Mean Nothing"은 ''빌보드'' 핫 100에서 3위, 앨범 록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다. 다음 두 싱글 "Should've Known Better"와 "Endless Summer Nights"는 각각 3위와 2위를 기록했다. 앨범에서 발매된 네 번째 싱글 "Hold On to the Nights"는 첫 번째 1위 히트를 기록했다.[9]
1988년, "Don't Mean Nothing"으로 그래미상 최우수 록 보컬 퍼포먼스 – 솔로 후보에 올랐다.[22]
1989년 두 번째 앨범 《Repeat Offender》를 발표하였다. 이 앨범은 ''빌보드'' 앨범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다. 첫 두 싱글인 "Satisfied"와 플래티넘을 기록한 "Right Here Waiting"은 모두 1위를 기록했다. "Right Here Waiting"은 여러 유럽 국가에서 1위를 기록했으며, 여러 번 리메이크되었다. 앨범의 또 다른 싱글 "Children of the Night"는 가출 청소년을 위한 단체를 지원하기 위해 작곡되었다.
1989년 말 베를린 장벽에서 비틀즈의 "Help"를 공연했다. 1990년 "Right Here Waiting"으로 최우수 팝 보컬 퍼포먼스 – 남성 부문에서 두 번째 그래미상 후보에 올랐다.[23]
1991년, 세 번째 앨범 《러시 스트리트(Rush Street)》를 발매했다. 이 앨범에는 루더 밴드로스와 빌리 조엘이 참여했다. 이 앨범의 첫 번째 싱글 "킵 커밍 백(Keep Coming Back)"은 핫 100에서 12위, 두 번째 싱글 "해저드(Hazard)"는 9위에 올랐다.
1994년 《페이드 베이케이션(Paid Vacation)》을 발매했다. 어쿠스틱 발라드 "나우 앤 포에버(Now and Forever)"는 핫 100에서 7위에 올랐다.
"Right Here Waiting"은 당시 교제하던 여배우 신시아 로즈에게 보낸 러브레터에 곡을 붙인 것으로[56], 본인의 최대 히트곡이 된 것을 계기로 로즈와 결혼했다(2014년 이혼).
3. 2. 프로듀서 활동 및 후기 (1995-현재)
1990년대 중반부터 프로듀서로서의 활동에 비중을 두면서, 자신의 창작 활동과 공연 횟수는 줄어들었다. 엔싱크, 백스트리트 보이즈에게 곡을 제공하기도 했다.[57] 1996년에는 일본 가수 CHAGE&ASKA의 곡을 세계적인 일류 가수들이 부르는 앨범 one voice THE SONGS OF CHAGE&ASKA에 참여했다.[57] 마르크스가 담당한 "Heart of My Own"은 영국반에는 수록되지 않았지만, 일본반의 추가곡으로 수록되었고, 그 인연으로 이듬해 발표한 "Every Day Of Your Life"는 ASKA와의 듀엣곡이 되었다.[57]
2000년, 마르크스는 여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데이즈 인 아발론''(Days in Avalon)을 발표했다.[57] 2004년에는 루서 밴드로스와 함께 작곡한 "Dance With My Father"로 그래미상 최우수 곡 부문을 수상했다.[57] 같은 해, 앨범 ''마이 오운 베스트 에너미(My Own Best Enemy)''를 발매했다.[57]
2006년에는 링고 스타 & 히즈 올 스타 밴드의 멤버로 이름을 올렸다.[57] 2008년에는 버티컬 호라이즌의 리드 싱어인 맷 스카넬과 협업한 ''듀오(Duo)''를 발매했다.[57] 같은 해 10월 31일, "감정적 잔해(Emotional Remains)"와 "선다운(Sundown)"을 디지털 다운로드로 출시했다.[57]
2009년 6월 26일 ''롤링 스톤''(Rolling Stone)에 게재된 인터뷰에서 마르크스는 싱글 맘 재미 토마스-라셋에 대한 192만 달러 벌금과 관련하여 자신이 "부끄럽다"고 말했다.[28]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는 2005년 라셋이 파일 공유 웹사이트 카자(Kazaa)에서 24곡을 공유했고, 마르크스의 "지금 그리고 영원히"(Now and Forever)가 그중 하나였다고 밝혔다.[28]
마르크스는 버티컬 호라이즌의 2009년 앨범 ''버닝 더 데이즈(Burning the Days)''에 수록된 "Here"라는 곡에서 피아노를 연주하고, 맷 스카넬의 보컬을 두 곡 프로듀싱했다.[29] 2014년 앨범 ''Beautiful Goodbye''는 미국 39위, 인디펜던트 앨범 차트 6위를 기록하며 20년 만에 미국 40위권 앨범에 진입했다.[57]
4. 사생활
1989년 1월 8일, 신시아 로즈와 결혼하여 브랜든(1990년생), 루카스(1992년생), 제시(1994년생) 세 아들을 두었다.[58]
2014년 4월 이혼을 발표했으며, 2015년 12월 2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데이지 푸엔테스와의 결혼을 발표했다.[58]
5. 대한항공 기내 난동 사건
주어진 소스에는 리처드 막스의 대한항공 기내 난동 사건에 대한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6. 음반 목록
리처드 막스는 다양한 아티스트들과 협업하고 음반을 프로듀싱하며 폭넓은 음악 활동을 펼쳐왔다. 1986년 마돈나의 앨범 ''True Blue''에 백 보컬로 참여했고,[1] 1988년에는 Vixen의 데뷔 싱글 "Edge of a Broken Heart"를 Fee Waybill과 공동 작사/작곡하고 키보드를 연주했다.[2] 1991년에는 셰어의 앨범 ''Love Hurts''에서 백 보컬을,[3] 1993년에는 존 팜햄의 곡 "The Reason Why"에서 피아노 연주를 맡았다.[4]
1997년에는 영화 ''아나스타샤''를 위해 도나 루이스와 "At the Beginning"을 녹음했고,[5] 라라 파비안과 "Surrender to Me"를 녹음했다.[6] 1999년에는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녹음 시설 "Renegade Studios"를 설립하여 필립 세이스, 키스 어번 등 여러 아티스트들의 음반 작업을 지원했다.[7]
2000년에는 NSYNC의 싱글 "This I Promise You"를 작사/작곡 및 프로듀싱했고,[8] 2002년에는 폴리나 루비오의 앨범 "Border Girl"을 공동 작업했다.[9] 2004년 제46회 그래미 상에서는 루서 밴드로스와 공동 작사/작곡한 "Dance with My Father"로 올해의 노래 부문 그래미 상을 수상했으며,[10] 셀린 디온이 "Dance with My Father"를 공연할 때 피아노 반주를 맡았다.[10]
2006년에는 링고 스타 & 히스 올스타 밴드와 투어를 함께 했고,[11] TV 쇼 ''Celebrity Duets''에 출연했다.[12] 2007년에는 컴필레이션 앨범 ''New Music from an Old Friend''를 발매했다.[13]
6. 1. 정규 앨범
1988년 7월 5일 (일본)1990년 5월 10일 (일본)
1991년 11월 6일 (일본)
1994년 1월 31일 (일본)
1997년 2월 26일 (일본)
2004년 8월 4일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