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카오니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카오니아는 고대 아나톨리아에 위치했던 지역으로, 현재 터키의 일부이다.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리카온에서 유래되었으며, 히타이트어에서 "루카족의 땅"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기원했다는 설이 있다. 지리적으로는 소아시아 내륙 고원의 일부로, 물 부족과 염분 토양으로 인해 불모지가 많았지만, 고대에는 관개 시설을 통해 경작지를 확보했다. 역사를 살펴보면, 페르시아 제국으로부터 독립적인 시기를 거쳐 로마 제국 시기에 다양한 행정 구역으로 편입되었으며, 4세기에는 기독교가 전파되었다. 리카오니아인들은 스트라본 시대에도 뚜렷한 민족성을 유지했으며, 사도행전에 리카오니아어가 언급된 기록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카오니아 - 카라만
    카라만은 튀르키예의 도시로, 카라만 왕조의 통치자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히타이트, 로마 제국 등의 지배를 받다가 1256년 카라만 베이에 의해 개명되었고, 카라만 아나톨리아 베이릭의 수도였으나 오스만 제국에 정복된 후 수도가 이전되었으며 냉대 반건조 기후를 보인다.
  • 리카오니아 - 콘야
    콘야는 터키 코냐 평원 중심부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룸 술탄국의 수도였으며 잘랄 웃딘 루미가 메블레비 교단을 개창한 곳이자 현재는 경제 중심지이다.
  • 콘야주의 역사 - 룸 술탄국
    룸 술탄국은 1077년부터 1308년까지 소아시아를 중심으로 존속하며 비잔티움 제국과 대립하고 투르크-페르시아 문화와 그리스-로마 문화가 융합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 오스만 제국으로 이어지는 아나톨리아 튀르크 문화의 토대를 마련한 셀주크 투르크 계열의 술탄국이다.
  • 콘야주의 역사 - 차탈회위크
    차탈회위크는 터키에 있는 신석기 시대 유적으로, 1958년에 발견되어 1961년부터 1965년까지 발굴을 통해 아나톨리아 지역의 고대 문화 중심지였음이 밝혀졌으며, 201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리카오니아
개요
위치아나톨리아 남동부, 튀르키예
존속 기간기원전 200년경까지 준독립
속주카파도키아
아나톨리아의 리카오니아 위치
아나톨리아의 리카오니아 위치
아나톨리아의 리카오니아 위치
아나톨리아의 리카오니아 위치
일반 정보
영어Lycaonia
튀르키예어Likaonya

2. 명칭

"리카오니아"라는 이름은 리카온의 영향을 받아 그리스어화된 것으로, 고대 아나톨리아어의 일종인 히타이트어와 관련된 언어에서 "루카족의 땅"을 의미하는 원래의 ''루카와나''(Lukkawanna)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3. 지리

스트라본은 리카오니아를 야생 당나귀와 양에게 목초지를 제공하는 춥고 고지대의 평원으로 묘사한다. 오늘날에는 양이 풍부하지만 당나귀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한때 이 지역을 지배했던 갈라티아의 왕 아민타스는 그곳에서 300개 이상의 양떼를 유지했다.[1] 이곳은 소아시아 내륙 고원의 일부를 형성하며 해발 1000m 이상이다. 물 부족으로 고통받으며, 토양에 염분이 많아 일부 지역에서는 악화된다. 따라서 이코니움 근처에서 타타 호수와 갈라티아의 국경까지 뻗어 있는 북부 지역은 거의 완전히 불모지이며, 이코니움과 큰 마을 근처에서만 작은 지역이 경작된다.[1] 물이 공급되는 토양은 생산적이다. 고대에는 물을 저장하고 분배하는 데 큰 주의를 기울여 현재 불모지가 된 많은 토지가 예전에는 경작되었고 많은 도시를 지원했다.[1]

평원은 화산성 산맥의 작은 무리에 의해 방해받는데, 그중 남쪽의 카라 다그는 카라만에서 북쪽으로 몇 마일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해발 2288m까지 솟아 있고, 그 북동쪽에 있는 카라자 다그는 고도가 낮지만 인상적인 화산 원뿔 모양을 보여준다.[1] 이코니움과 라오디케아 콤부스타 근처의 북서쪽 산들은 프리기아의 많은 부분을 가로지르는 술탄 다그 산맥의 종착점이다.[1]

4. 역사

리카오니아는 초기에는 페르시아 제국으로부터 상당 부분 독립적이었으며, 이웃 이사우리아인들처럼 야만적이고 무법적인 해적과 같은 존재들이었다. 그러나 리카오니아는 사르디스에페소스에서 킬리키아 관문에 이르는 소아시아의 주요 도로에 위치해 있었고, 이 도로를 따라 여러 도시들이 성장했다. 이코니움은 리카오니아에서 가장 비옥한 곳에 위치한 가장 중요한 도시였으며, 로마인들은 이곳을 수도로 여겼다. 이코니움은 현재 코냐로 불리며, 셀주크 투르크 술탄국의 수도였다. 라우디케아 콤부스타(라디크)는 프리지아 경계 근처에 있었고, 라란다는 타우루스 산 기슭에 있었다. 데르베와 리스트라는 이코니움과 라란다 사이에 있는 큰 도시였다. 리카오니아는 초기 기독교화되었으며, 4세기에 교계 제도가 잘 조직되었다.[1]

안티오코스 3세가 패배한 후, 리카오니아는 페르가몬의 왕 에우메네스 2세에게 주어졌다. 기원전 160년경 리카오니아의 일부인 테트라르키가 갈라티아에, 기원전 129년에는 동쪽 절반이 카파도키아에 스트라테기아로 주어졌다. 미트리다테스 전쟁 이후 폼페이우스는 테트라르키의 북쪽을 갈라티아에, 동쪽을 카파도키아에 주었고 나머지는 킬리키아에 속하게 했다. 371년, 리카오니아는 별도의 주로 형성되었다.[1]

리카오니아의 고대 주화는 매우 제한적이며, 중요한 행사를 위해 발행된 것으로 보인다.[1]

스트라보 시대에 리카오니아인들은 뚜렷한 민족성을 유지했지만, 그들의 민족적 유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사도행전 (14:11)에 따르면 리카오니아어는 기원 50년경 리스트라에서 사용되었다. 이후 기독교의 영향으로 그리스어가 리카오니아어를 대체했을 것으로 보인다. 사도행전에서 바나바는 제우스로, 바울은 헤르메스로 여겨졌다는 점에서 리카오니아어가 카파도키아 그리스어와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주장도 존재한다.[1]

4. 1. 고대

리카오니아인들은 초창기에는 페르시아 제국으로부터 상당 부분 독립적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웃인 이사우리아인들처럼 야만적이고 무법한 해적들이었다. 그러나 그들의 나라는 사르디스에페소스에서 킬리키아 관문에 이르는 소아시아를 가로지르는 주요 자연 도로 중 하나에 위치해 있었으며, 이 노선을 따라 몇몇 상당한 규모의 도시들이 성장했다. 가장 중요한 곳은 나라에서 가장 비옥한 지점에 위치한 이코니움으로, 비록 민족적으로는 프리지아였지만 로마인들은 항상 이곳을 수도로 여겼다. 이곳은 현재도 코냐라고 불리며, 셀주크 투르크 술탄국의 수도로 수 세기 동안 존재했다. 조금 더 북쪽, 프리지아의 경계 바로 옆에는 라우디케아 콤부스타(라디크)가 있었는데, 같은 이름의 프리지아 도시와 구별하기 위해 '콤부스타'라는 별칭이 붙었다. 남쪽, 타우루스 산의 기슭 근처에는 현재 카라만이라고 불리는 라란다가 있었으며, 이곳은 카라만주의 이름을 부여했다. 사도행전에 따르면 상당한 규모의 도시였던 데르베와 리스트라는 이코니움과 라란다 사이에 있었다. 비잔틴 시대에 주교구가 된 다른 많은 도시들이 있었다. 리카오니아는 매우 초기에 기독교화되었으며, 그 교계 제도는 4세기에 다른 소아시아 지역보다 더 완벽하게 조직되었다.[1]

안티오코스 3세가 패배한 후, 리카오니아는 로마인들에 의해 페르가몬의 왕 에우메네스 2세에게 주어졌다. 기원전 160년경, 리카오니아의 일부인 테트라르키가 갈라티아에 추가되었고, 기원전 129년에는 동쪽 절반(이후 200년 동안 리카오니아 자체로 불림)이 카파도키아에 11번째 스트라테기아로 주어졌다. 미트리다테스 전쟁 이후 폼페이우스에 의한 기원전 64년의 주 재조정에서 그는 테트라르키의 북쪽 부분을 갈라티아에, 11번째 스트라테기아의 동쪽 부분을 카파도키아에 주었다. 나머지는 킬리키아에 속하게 되었다. 로마 시대에 그 행정과 구역이 자주 바뀌었다. 371년, 리카오니아는 처음으로 별도의 주로 형성되었다.[1]

리카오니아의 고대 주화는 매우 제한적이다. 알려진 유형/발행 횟수를 보면 주화는 산발적으로 발행되었으며, 아마도 명성이나 황제의 방문과 같은 중요한 행사를 위해 발행된 것으로 보인다.[1]

리카오니아인들은 스트라보 시대에도 뚜렷한 민족성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그들의 민족적 유대 관계는 알려져 있지 않다. 사도행전 (14:11)에 리카오니아어가 언급된 것은 기원 50년경 리스트라에서 일반 사람들이 모국어를 사용했음을 보여준다. 아마도 나중, 기독교의 영향 아래에서야 그리스어가 그 자리를 대신했을 것이다. 그러나 사도행전에서 바나바가 제우스로 불렸고, 바울은 리카오니아인들에게 헤르메스로 여겨졌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로 인해 일부 연구자들은 리카오니아어가 실제로 카파도키아 그리스어에서 여전히 발견될 수 있는 그리스 방언의 잔재라고 믿게 만들었다.[1]

4. 2. 헬레니즘 시대

안티오코스 3세가 패배한 후, 리카오니아는 로마인들에 의해 페르가몬의 왕 에우메네스 2세에게 주어졌다. 기원전 160년경, 리카오니아의 일부인 테트라르키가 갈라티아에 추가되었고, 기원전 129년에는 동쪽 절반(이후 200년 동안 리카오니아 자체로 불림)이 카파도키아에 11번째 스트라테기아로 주어졌다. 미트리다테스 전쟁 이후 폼페이우스에 의한 기원전 64년의 주 재조정에서 그는 테트라르키의 북쪽 부분을 갈라티아에, 11번째 스트라테기아의 동쪽 부분을 카파도키아에 주었다. 나머지는 킬리키아에 속하게 되었다. 로마 시대에 그 행정과 구역이 자주 바뀌었다. 371년, 리카오니아는 처음으로 별도의 주로 형성되었다.

리카오니아의 고대 주화는 매우 제한적이다. 알려진 유형/발행 횟수를 보면 주화는 산발적으로 발행되었으며, 아마도 명성이나 황제의 방문과 같은 중요한 행사를 위해 발행된 것으로 보인다.[1]

리카오니아인들은 스트라보 시대에도 뚜렷한 민족성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그들의 민족적 유대 관계는 알려져 있지 않다. 사도행전 (14:11)에 리카오니아어가 언급된 것은 기원 50년경 리스트라에서 일반 사람들이 모국어를 사용했음을 보여준다. 아마도 나중, 기독교의 영향 아래에서야 그리스어가 그 자리를 대신했을 것이다. 그러나 사도행전에서 바나바가 제우스로 불렸고, 바울은 리카오니아인들에게 헤르메스로 여겨졌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로 인해 일부 연구자들은 리카오니아어가 실제로 카파도키아 그리스어에서 여전히 발견될 수 있는 그리스 방언의 잔재라고 믿게 만들었다.[1]

4. 3. 로마 시대

안티오코스 3세가 패배한 후, 리카오니아는 로마인들에 의해 페르가몬의 왕 에우메네스 2세에게 주어졌다. 기원전 160년경, 리카오니아의 일부인 테트라르키가 갈라티아에 추가되었고, 기원전 129년에는 동쪽 절반(이후 200년 동안 리카오니아 자체로 불림)이 카파도키아에 11번째 스트라테기아로 주어졌다. 미트리다테스 전쟁 이후 폼페이우스에 의한 기원전 64년의 주 재조정에서 그는 테트라르키의 북쪽 부분을 갈라티아에, 11번째 스트라테기아의 동쪽 부분을 카파도키아에 주었다. 나머지는 킬리키아에 속하게 되었다. 로마 시대에 그 행정과 구역이 자주 바뀌었다. 371년, 리카오니아는 처음으로 별도의 주로 형성되었다.

리카오니아의 고대 주화는 매우 제한적이다. 알려진 유형/발행 횟수를 보면 주화는 산발적으로 발행되었으며, 아마도 명성이나 황제의 방문과 같은 중요한 행사를 위해 발행된 것으로 보인다.

4. 4. 중세 이후

리카오니아인들은 초창기에는 페르시아 제국으로부터 상당 부분 독립적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웃인 이사우리아인들처럼 야만적이고 무법한 해적들이었다. 그러나 그들의 나라는 사르디스에페소스에서 킬리키아 관문에 이르는 소아시아를 가로지르는 주요 자연 도로 중 하나에 위치해 있었으며, 이 노선을 따라 몇몇 상당한 규모의 도시들이 성장했다. 가장 중요한 곳은 나라에서 가장 비옥한 지점에 위치한 이코니움으로, 비록 민족적으로는 프리지아였지만 로마인들은 항상 이곳을 수도로 여겼다. 이곳은 현재도 코냐라고 불리며, 셀주크 투르크 술탄국의 수도로 수 세기 동안 존재했다. 조금 더 북쪽, 프리지아의 경계 바로 옆에는 라우디케아 콤부스타(라디크)가 있었는데, 같은 이름의 프리지아 도시와 구별하기 위해 '콤부스타'라는 별칭이 붙었다. 남쪽, 타우루스 산의 기슭 근처에는 현재 카라만이라고 불리는 라란다가 있었으며, 이곳은 카라만주의 이름을 부여했다. 사도행전에 따르면 상당한 규모의 도시였던 데르베와 리스트라는 이코니움과 라란다 사이에 있었다. 비잔틴 시대에 주교구가 된 다른 많은 도시들이 있었다. 리카오니아는 매우 초기에 기독교화되었으며, 그 교계 제도는 4세기에 다른 소아시아 지역보다 더 완벽하게 조직되었다.[1]

안티오코스 3세가 패배한 후, 리카오니아는 로마인들에 의해 페르가몬의 왕 에우메네스 2세에게 주어졌다. 기원전 160년경, 리카오니아의 일부인 테트라르키가 갈라티아에 추가되었고, 기원전 129년에는 동쪽 절반(이후 200년 동안 리카오니아 자체로 불림)이 카파도키아에 11번째 스트라테기아로 주어졌다. 미트리다테스 전쟁 이후 폼페이우스에 의한 기원전 64년의 주 재조정에서 그는 테트라르키의 북쪽 부분을 갈라티아에, 11번째 스트라테기아의 동쪽 부분을 카파도키아에 주었다. 나머지는 킬리키아에 속하게 되었다. 로마 시대에 그 행정과 구역이 자주 바뀌었다. 371년, 리카오니아는 처음으로 별도의 주로 형성되었다.[1]

리카오니아의 고대 주화는 매우 제한적이다. 알려진 유형/발행 횟수를 보면 주화는 산발적으로 발행되었으며, 아마도 명성이나 황제의 방문과 같은 중요한 행사를 위해 발행된 것으로 보인다.[1]

리카오니아인들은 스트라보 시대에도 뚜렷한 민족성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그들의 민족적 유대 관계는 알려져 있지 않다. 사도행전 (14:11)에 리카오니아어가 언급된 것은 기원 50년경 리스트라에서 일반 사람들이 모국어를 사용했음을 보여준다. 아마도 나중, 기독교의 영향 아래에서야 그리스어가 그 자리를 대신했을 것이다. 그러나 사도행전에서 바나바가 제우스로 불렸고, 바울은 리카오니아인들에게 헤르메스로 여겨졌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로 인해 일부 연구자들은 리카오니아어가 실제로 카파도키아 그리스어에서 여전히 발견될 수 있는 그리스 방언의 잔재라고 믿게 만들었다.[1]

5. 언어

"리카오니아"라는 이름은 그리스 남성 이름인 리카온의 영향을 받아 그리스어화된 것으로, 고대 아나톨리아어의 일종인 히타이트어와 관련된 언어에서 "루카족의 땅"을 의미하는 원래의 ''루카와나''(Lukkawanna)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6. 아나톨리아의 고대 왕국 및 민족 (참고)

리카오니아인들은 초창기에 페르시아 제국으로부터 상당 부분 독립적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웃인 이사우리아인들처럼 야만적이고 무법한 해적들이었다. 그러나 이들의 나라는 사르디스에페소스에서 킬리키아 관문에 이르는 소아시아를 가로지르는 주요 자연 도로 중 하나에 위치해 있었으며, 이 노선을 따라 몇몇 상당한 규모의 도시들이 성장했다.

안티오코스 3세가 패배한 후, 리카오니아는 로마인들에 의해 페르가몬의 왕 에우메네스 2세에게 주어졌다. 기원전 160년경, 리카오니아의 일부인 테트라르키가 갈라티아에 추가되었고, 기원전 129년에는 동쪽 절반(이후 200년 동안 리카오니아 자체로 불림)이 카파도키아에 11번째 스트라테기아로 주어졌다. 미트리다테스 전쟁 이후 폼페이우스에 의한 기원전 64년의 주 재조정에서 그는 테트라르키의 북쪽 부분을 갈라티아에, 11번째 스트라테기아의 동쪽 부분을 카파도키아에 주었다. 나머지는 킬리키아에 속하게 되었다. 로마 시대에 그 행정과 구역은 자주 바뀌었다. 371년, 리카오니아는 처음으로 별도의 주로 형성되었다.

리카오니아인들은 스트라보 시대에도 뚜렷한 민족성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그들의 민족적 유대 관계는 알려져 있지 않다. 사도행전 (14:11)에 리카오니아어가 언급된 것은 기원 50년경 리스트라에서 일반 사람들이 모국어를 사용했음을 보여준다. 아마도 나중, 기독교의 영향 아래에서야 그리스어가 그 자리를 대신했을 것이다. 그러나 사도행전에서 바나바가 제우스로 불렸고, 바울은 리카오니아인들에게 헤르메스로 여겨졌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로 인해 일부 연구자들은 리카오니아어가 실제로 카파도키아 그리스어에서 여전히 발견될 수 있는 그리스 방언의 잔재라고 믿게 만들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