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타니 작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타니 작전은 1978년 3월 이스라엘이 레바논 남부를 침공한 군사 작전이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배경 속에서, 1978년 3월 11일 텔아비브 근처 해안 도로에서 팔레스타인 무장 세력이 버스를 납치하여 민간인 38명이 사망하는 사건인 해안 도로 학살 사건이 발생하자 이스라엘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 리타니 작전을 개시했다. 작전은 남부 레바논에 대한 공습과 지상 공격으로 시작되었으며, 이스라엘군은 리타니 강까지 진격하여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의 기지를 파괴하고, 레바논 민간인 사상자와 난민을 발생시켰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425호와 426호에 따라 이스라엘군은 1978년 말 철수했지만, 레바논의 불안정한 상황은 지속되었으며, 이스라엘은 2000년에 완전 철수를 완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8년 전투 - NDF 반란
    NDF 반란은 1978년 아흐마드 알-가쉬미 암살과 알리 압둘라 살레 집권 후 북예멘에서 국민민주전선이 일으킨 반란으로, 남예멘과 리비아의 지원을 받았으나, 외국의 지원 감소와 북예멘 군대의 재편, 지진 피해 등으로 진압되어 북예멘 정부가 국경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확립했다.
  • 1978년 이스라엘 - 캠프 데이비드 협정
    캠프 데이비드 협정은 1978년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의 주도하에 이집트와 이스라엘이 체결한 중동 평화 협정으로, 중동 평화 체제 구축과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조약 체결을 목표로 했으나 팔레스타인 문제 해결 미흡으로 논란을 낳았다.
  • 1978년 이스라엘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78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78은 파리에서 개최된 유럽 최대 가요 경연 대회로, 20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이스라엘이 "A-Ba-Ni-Bi"로 우승하며 최초로 이스라엘에 유로비전 우승을 안겨주었다.
리타니 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분쟁 개요
이스라엘군의 레바논 침공
침공 중인 이스라엘군
분쟁 명칭1978년 남부 레바논 분쟁 (제1차 이스라엘 레바논 침공)
분쟁의 일부팔레스타인 남부 레바논 반란
이스라엘-레바논 분쟁
시기1978년 3월 14일 ~ 21일
장소남부 주 및 나바티에 주
원인PLO의 이스라엘 공격
결과이스라엘의 승리
영토 변경남부 레바논으로부터 팔레스타인 철수
교전 세력
교전국 1이스라엘
SLA
교전국 2PLO
지휘관
지휘관 1모르데하이 구르
아비그도르 벤-갈
사드 하닷
앙투안 라하드
지휘관 2야세르 아라파트
피해 규모
이스라엘군 피해18명 사망, 113명 부상
PLO 피해300–550명 사망
총 피해 (전투원 및 민간인)1,100–2,000명 사망
국내 실향민100,000–250,000명

2. 배경

1968년 이후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를 비롯한 팔레스타인 무장 단체들은 남부 레바논에 준국가를 건설하고 이스라엘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검은 9월 사건으로 요르단에서 추방된 PLO 무장 세력이 남부 레바논으로 유입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이들은 이스라엘-레바논 국경을 넘어 이스라엘을 공격했고, 이스라엘은 이에 대응하여 PLO 기지에 공습을 가했다.

2. 1.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리타니 작전은 이스라엘군의 남부 레바논 침공 형태로 이루어졌지만, 그 배경에는 오랜 기간 지속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이 자리 잡고 있었다. 1968년 이후,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를 구성한 무장 단체들과 기타 팔레스타인 단체들은 남부 레바논준국가를 건설하고, 이곳을 북부 이스라엘의 민간인 대상 공격뿐만 아니라, 해외 이스라엘인 및 기타 목표물을 대상으로 한 테러 공격의 기지로 삼았다. 검은 9월 사건 당시 요르단군에 팔레스타인 단체가 패배한 후 요르단에서 도주한 약 3,000명의 PLO 무장 세력이 유입되면서 이러한 폭력 행위는 더욱 심화되었다.[4] 팔레스타인 정치 세력은 남부 레바논에서 재결집하기 시작했고, 공격의 초점을 이스라엘 목표로 재조정했으며, 이는 이스라엘-레바논 국경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스라엘은 레바논에서 시작된 팔레스타인 공격에 대한 대응으로 PLO 작전 기지에 대한 대규모 공습을 감행했다.

1976년 레바논의 세력 균형을 보여주는 지도:
짙은 녹색 – 시리아 통제:
자주색 – 마론파 단체 통제;
연두색 – 팔레스타인 민병대 통제


1968년부터 1977년까지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인해 남부 레바논의 일부 팔레스타인 마을과 난민촌은 완전히 파괴되었다. 1977년 10월까지 약 30만 명의 난민(주로 레바논 시아파 무슬림)이 남부 레바논을 떠난 것으로 추산된다.[4]

1977년 11월, 교전으로 인해 이스라엘-레바논 국경 양쪽에서 여러 명이 사망했고, 이스라엘은 남부 레바논의 목표물을 폭격하여 주로 레바논인 70명이 사망했다.[5]

2. 2. 해안 도로 학살 사건

1978년 3월 11일, 달랄 무그라비가 이끄는 11명의 팔레스타인 파타 대원이 레바논에서 이스라엘로 건너가 해변에서 미국인 관광객을 살해한 후, 하이파 근처 해안 도로에서 버스를 납치했다. 이들은 텔아비브로 향하는 두 번째 버스도 납치했다. 긴 추격전과 총격전 끝에 어린아이 13명을 포함한 이스라엘 민간인 38명이 사망하고 76명이 부상을 입었다.[7] 이 사건은 해안 도로 학살로 알려져 있으며, 리타니 작전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6]

3. 작전 경과

1978년 3월 14일, 이스라엘은 해안 고속도로 학살 이후 PLO를 이스라엘 국경에서 몰아내고 남 레바논군을 지원하기 위해 리타니 작전을 개시했다. 이 작전은 레바논 기독교인과 유대인에 대한 공격과 북부 이스라엘에 대한 끊임없는 포격 때문이었다.[8] 리타니 강 남쪽 지역은 티레를 제외하고 1주일간의 공세를 통해 점령되었다.

이스라엘군은 약 25,000명의 병력을 동원하여 남 레바논을 침공했다. 레바논 내부에 배치된 시리아군은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다. PLO는 리타니 강 북쪽으로 후퇴하여 이스라엘에 계속 포격을 가했다. 이 과정에서 이스라엘은 집속탄을 사용하는 등 미국과의 법적 합의를 위반했다.[14]

3. 1. 이스라엘군의 공세

이스라엘군은 1978년 3월 14일, PLO를 이스라엘 국경에서 몰아내고 남 레바논군을 지원하기 위해 리타니 작전을 개시했다. 작전은 공중, 포병, 해상 폭격으로 시작되었으며, 약 25,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이스라엘 방위군(IDF) 보병 및 기갑 부대가 남부 레바논으로 진입했다.[8] 이스라엘군은 먼저 이스라엘과의 레바논 국경을 따라 모든 PLO 진지에 대한 지상 공격을 개시하여 약 10km 깊이의 토지대를 점령했다. 지상군은 두 사단 사령관이 이끌었고, 전선 전체에서 동시 공격을 감행했다. 헬리콥터에서 낙하한 공수부대는 리타니 강 위의 모든 다리를 점령하여 PLO의 퇴각 가능성을 차단했으며, 이후 북쪽으로 리타니 강까지 확장했다. 셰예테트 11 선박은 헬리콥터를 위한 항공 모함 플랫폼으로 사용되어 레바논 북부 해안의 목표물을 공격했다.[8]

IDF는 다수의 PLO 부대와 교전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고, PLO는 북쪽으로 후퇴했다.[9] 이스라엘의 맹렬한 포격과 공습으로 많은 레바논 민간인이 사망했으며, 막대한 재산 피해와 국내 실향민이 발생했다.[9] 어거스터스 리차드 노턴에 따르면, IDF의 군사 작전으로 약 1,100명이 사망했으며, 대부분은 팔레스타인과 레바논인이었다.[10] IDF 보고서 및 내부 조사에 따르면, 최소 550명의 사상자는 처음 전선을 지키다가 IDF 지상 작전에 의해 사망한 팔레스타인 무장 세력이었다.[10][11] 다른 자료에 따르면 약 2,000명의 레바논인과 팔레스타인인이 사망했다.[12][13]

3. 2. 피해 상황

이스라엘군의 공격으로 약 1,100명에서 2,000명의 레바논인과 팔레스타인인이 사망했다.[10][11][12][13] 보스턴 대학교의 국제 관계 교수인 어거스터스 리차드 노턴에 따르면, 이스라엘군의 군사 작전으로 약 1,100명이 사망했으며, 대부분은 팔레스타인과 레바논인이었다.[10] IDF 보고서 및 내부 조사에 따르면, 최소 550명의 사상자는 처음 전선을 지키다가 IDF 지상 작전에 의해 사망한 팔레스타인 무장 세력이었다.[10][11]

군사 작전으로 인해 최소 100,000명에서 250,000명의 국내 실향민이 발생했다.[12][2] 이스라엘군은 미국에서 제공한 집속탄을 사용했는데,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에 따르면 이는 미국과 이스라엘 간의 법적 합의를 위반한 것이었다.[14] 또한 이스라엘은 미국 무기를 사드 하다드의 레바논 민병대에 이전했는데, 이 역시 미국 법을 위반하는 것이었다.[14]

4. 유엔의 개입과 결의안

1978년 이스라엘의 남부 레바논 철수 이후 UN이 설정한 레바논과 이스라엘 사이의 청색선 경계


이스라엘의 침공에 대응하여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1978년 3월 19일 결의안 425와 결의안 426을 채택하여 이스라엘군의 레바논 철수를 요구했다. 이 결의안에 따라 유엔 레바논 임시군(UNIFIL)이 창설되어 이스라엘군 철수 확인, 국제 평화 및 안보 회복, 레바논 정부의 해당 지역 통치권 회복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16][15]

이스라엘군은 1978년 말에 철수하면서 레바논 내 점령지를 사드 하닷 소령이 이끄는 동맹 세력인 남 레바논 군대(SLA)에게 넘겨주었다. 그러나 SLA는 UNIFIL 본부를 포격하고 UN 군인을 납치, 살해하는 등 UNIFIL에 대한 공격을 지속했다.[16] 팔레스타인 세력 역시 UNIFIL을 공격하고 남부 레바논 지역을 계속 점령했다.[17]

레바논 내전이 격화되면서 남부 레바논에서의 전투는 계속되었고, 레바논에 기반을 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의 이스라엘에 대한 지속적인 공격[18][19][20]은 결국 1982년 이스라엘의 두 번째 침공으로 이어졌고, 이후 10년 동안 남 레바논 분쟁이 발생했다.

4. 1.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425호 및 426호

결의안 425와 결의안 426은 1978년 3월 19일에 채택되었으며, 이스라엘군의 레바논 철수를 요구했다. 유엔 레바논 임시군(UNIFIL)은 "이스라엘군의 철수를 확인하고, 국제 평화와 안보를 회복하며, 레바논 정부가 해당 지역에서 효과적인 권위를 회복하는 것을 지원할 목적"으로 창설되었다.[16][15] UNIFIL군은 1978년 3월 23일 레바논에 도착하여 나쿠라에 본부를 설치했다.

결의안 425는 즉각적인 적대 행위 중단을 가져오지 못했다.[16] 이스라엘군은 2일 더 군사 작전을 수행하다가 휴전을 명령했다.[16]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의 초기 반응은 결의안이 PLO를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에게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16] PLO 지도부는 결국 1978년 3월 28일, UNIFIL 사령관 엠마누엘 어스킨 장군과 야세르 아라파트베이루트에서 만난 후 휴전을 명령했다.[16] 헬레나 코반은 이 합의를 "팔레스타인 저항 운동의 역사에서 전환점"이라고 묘사했는데, 이는 모든 공식 PLO 기구에 의해 승인된 이스라엘과의 휴전 협정에 대한 최초의 공개적인 수용이었기 때문이다.[16]

팔레스타인 저항 운동의 일부는 이 합의에 반대하고 휴전을 위반하려 했다.[16] 1978년 4월, 2급 파타 지도자 모하마드 다우드 오데(아부 다우드)는 휴전을 깨뜨릴 목적으로 약 70~80명의 전투원 세포를 조직했다.[16] 아라파트와 칼릴 알-와지르는 관련된 모든 사람을 체포하라고 명령했고, 아부 다우드는 나중에 휴전을 깨뜨리기 위해 파타 반역자 아부 니달과 협력한 혐의를 받았다.[16]

4. 2. UNIFIL의 역할과 활동

유엔 레바논 임시군(UNIFIL)은 이스라엘군의 철수를 확인하고, 국제 평화와 안보를 회복하며, 레바논 정부가 해당 지역에서 효과적인 권위를 회복하는 것을 지원할 목적으로 창설되었다.[16][15] UNIFIL군은 1978년 3월 23일 레바논에 도착하여 나쿠라에 본부를 설치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425는 즉각적인 적대 행위 중단을 가져오지 못했다.[16] 이스라엘군은 2일 더 군사 작전을 수행하다가 휴전을 명령했다.[16]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의 초기 반응은 결의안이 PLO를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에게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16] PLO 지도부는 1978년 3월 28일, UNIFIL 사령관 엠마누엘 어스킨 장군과 야세르 아라파트베이루트에서 만난 후 휴전을 명령했다.[16] 헬레나 코반은 이 합의를 "팔레스타인 저항 운동의 역사에서 전환점"이라고 묘사했는데, 이는 모든 공식 PLO 기구에 의해 승인된 이스라엘과의 휴전 협정에 대한 최초의 공개적인 수용이었기 때문이다.[16]

팔레스타인 저항 운동의 일부는 이 합의에 반대하고 휴전을 위반하려 했다.[16] 1978년 4월, 파타 지도자 아부 다우드는 휴전을 깨뜨릴 목적으로 약 70~80명의 전투원을 조직했다.[16] 아라파트와 칼릴 알-와지르는 관련된 모든 사람을 체포하라고 명령했고, 아부 다우드는 나중에 휴전을 깨뜨리기 위해 파타 반역자 아부 니달과 협력한 혐의를 받았다.[16]

이스라엘군은 1978년 말에 철수하여 레바논 내의 진지를 동맹국인 남 레바논 군대(SLA)에게 넘겨주었고, SLA는 사드 하닷 소령의 지휘를 받았다. 1978년 4월 19일, SLA는 UNIFIL 본부에 포격을 가해 UN 군인 8명이 부상을 입었다.[16] 1980년 4월, 아일랜드 출신 UN 군인 3명(바렛, 스몰혼, 오마호니 이병)이 기독교 무장 세력에 의해 납치되었고 그중 2명이 살해되었다. 오마호니 이병은 SLA 영토에서 살아남았고(사건 중 기관총에 맞아), 또 다른 아일랜드 군인 S. 그리핀 이병은 하닷의 부하들에게 총격을 받았으며, 의료 후송되어 이스라엘로 후송되었지만 치료를 받던 중 사망했다. 당시 이스라엘 언론, 특히 ''예루살렘 포스트''는 아일랜드군이 친PLO 편향을 보였다고 비난했다.[16]

팔레스타인 세력 또한 UNIFIL을 공격하여 1981년 아일랜드 UNIFIL 군인을 납치하고 남부 레바논 지역을 계속 점령했다.[17]

4. 3. 휴전 협정

결의안 425는 즉각적인 적대 행위 중단을 가져오지 못했다.[16] 이스라엘군은 2일 더 군사 작전을 수행하다가 휴전을 명령했다.[16] PLO의 초기 반응은 결의안이 PLO를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에게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16] PLO 지도부는 결국 1978년 3월 28일, UNIFIL 사령관 엠마누엘 어스킨 장군과 야세르 아라파트베이루트에서 만난 후 휴전을 명령했다.[16] 헬레나 코반은 이 합의를 "팔레스타인 저항 운동의 역사에서 전환점"이라고 묘사했는데, 이는 모든 공식 PLO 기구에 의해 승인된 이스라엘과의 휴전 협정에 대한 최초의 공개적인 수용이었기 때문이다.[16]

팔레스타인 저항 운동의 일부는 이 합의에 반대하고 휴전을 위반하려 했다.[16] 1978년 4월, 2급 파타 지도자 모하마드 다우드 오데(아부 다우드)는 휴전을 깨뜨릴 목적으로 약 70~80명의 전투원 세포를 조직했다.[16] 아라파트와 칼릴 알-와지르는 관련된 모든 사람을 체포하라고 명령했고, 아부 다우드는 나중에 휴전을 깨뜨리기 위해 파타 반역자 아부 니달과 협력한 혐의를 받았다.[16]

5. 이스라엘군 철수와 그 이후

이스라엘군은 1978년 말 철수하면서 레바논 내 진지를 사드 하닷 소령이 지휘하는 동맹 세력인 남 레바논 군대(SLA)에 넘겨주었다.[16] 결의안 425와 결의안 426 채택에도 불구하고, SLA와 팔레스타인 세력 간의 충돌은 계속되었다.[16] 유엔 레바논 임시군(UNIFIL)도 공격을 받는 등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졌다.[16][15]

레바논 내전이 격화되면서 남부 레바논 지역의 전투는 더욱 심해졌고, 레바논에 기반을 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의 이스라엘에 대한 지속적인 공격은[18][19][20] 결국 1982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재침공으로 이어졌다.

2000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이스라엘이 결의안 425에 따라 2000년 6월 16일 기준으로 레바논에서 병력을 철수했다고 결론 내렸다.[21]

헤즈볼라는 이스라엘이 (쉬바 농장 참조) 완전히 철수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UN 사무총장의 보고서에 의해 명시적으로 거부되었고, 이는 결의안 1583으로 이어졌다. 레바논의 시리아 점령으로 인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559가 발효되어 남아있는 14,000명(원래 50,000명 중)의 시리아 군대 철수와 헤즈볼라 및 팔레스타인인 민병대의 해체를 요구했다. 2005년 4월 26일, 레바논에 29년간 주둔했던 마지막 시리아 군대가 결의안에 따라 철수했다.

5. 1. 남레바논군(SLA)으로의 권한 이양

이스라엘군은 1978년 말 철수하면서 레바논 내 진지를 동맹 세력인 남 레바논 군대(SLA)에 넘겨주었으며, SLA는 사드 하닷 소령이 지휘했다.[16]

5. 2. 지속되는 분쟁

결의안 425와 결의안 426 채택에도 불구하고, 남 레바논 군대(SLA)와 팔레스타인 세력 간의 충돌은 계속되었다.[16] 유엔 레바논 임시군(UNIFIL)도 공격을 받는 등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졌다.[16][15] 1978년 4월 19일, SLA는 UNIFIL 본부에 포격을 가해 UN 군인 8명이 부상을 입었다.[16] 1980년 4월에는 아일랜드 출신 UN 군인 3명이 기독교 무장 세력에 의해 납치되어 2명이 살해되었고, 1명은 중상을 입은 채 발견되었다.[16] 팔레스타인 세력 또한 UNIFIL을 공격하여 1981년 아일랜드 UNIFIL 군인을 납치하기도 했다.[17]

레바논 내전이 격화되면서 남부 레바논 지역의 전투는 더욱 심해졌다. 레바논에 기반을 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의 이스라엘에 대한 지속적인 공격은[18][19][20] 결국 1982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재침공으로 이어졌고, 이는 1985년부터 2000년까지의 남 레바논 분쟁으로 이어졌다.

5. 3. 이스라엘의 완전 철수 (2000년)

2000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이스라엘이 결의안 425에 따라 2000년 6월 16일 기준으로 레바논에서 병력을 철수했다고 결론 내렸다.[21]

레바논은 남부 레바논에 대한 통제를 확대하지 않았고, 2002년 결의안 1391과 결의안 1496에 따라 통제 확대를 요구받았다. 이스라엘은 레바논의 행동에 대해 여러 차례 불만을 제기했다.[22]

헤즈볼라는 이스라엘이 (쉬바 농장 참조) 완전히 철수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UN 사무총장의 보고서에 의해 명시적으로 거부되었고, 이는 결의안 1583으로 이어졌다. 레바논의 시리아 점령으로 인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559가 발효되어 남아있는 14,000명(원래 50,000명 중)의 시리아 군대 철수와 헤즈볼라 및 팔레스타인인 민병대의 해체를 요구했다. 2005년 4월 26일, 레바논에 29년간 주둔했던 마지막 시리아 군대가 결의안에 따라 철수했다.

참조

[1] 서적 Israel's Wars of Attrition: Attrition Challenges to Democratic States
[2] 서적 Politics of Conflict: A Survey Routledge 2010
[3] 서적 An Introduction to Middle East Politics: Continuity, Change, Conflict and Co-operation Sage Publishing 2013
[4] 서적 The Newest Explosions of Terrorism: Latest Sites of Terrorism in the 1990s and Beyond https://archive.org/[...] New Horizon Press
[5] 서적 The Fateful Triangle: The United States, Israel, and the Palestinians https://books.google[...] Pluto Press
[6] 문서
[7] 웹사이트 Statement to the press by Prime Minister Begin on the massacre of Israelis on the Haifa-Tel Aviv Road http://www.mfa.gov.i[...] Israeli Ministry of Foreign Affairs 1978-03-12
[8] 서적 Pity the Nation: The Abduction of Lebanon Nation Books
[9] 서적 Risk taking and decisionmaking: foreign military intervention decisions Stanford University Press
[10] 간행물 (In)security Zones in South Leban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 서적 Israeli Violations of Human Rights of Lebanese Civilians http://www.btselem.o[...] B'Tselem
[12] 서적 The Encyclopedia of Middle East Wars Bloomsbury Academic
[13] 서적 The Fateful Triangle https://archive.org/[...] South End Press
[14] 서적 The blood of Abraham: insights into the Middle East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Arkansas Press
[15] 웹사이트 Extracts relating to Article 98 of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Supplement No 5 (1970–1978) http://legal.un.org/[...] United Nations
[16] 서적 The Palestinian Liberation Organisation: People, Power, and Politic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뉴스 20-year hunt for kidnapped Irish soldier almost over http://observer.guar[...] The Observer
[18]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Arab-Israeli Conflict.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ABC-CLIO
[19] 서적 The Arab-Israeli Conflict: A History Bloomsbury Publishing
[20] 서적 Understanding Terrorism: Challenges, Perspectives, and Issues Sage Publications
[21]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Endorses Secretary-General's Conclusion on Israeli Withdrawal From Lebanon as of 16 June https://www.un.org/N[...] 2016-03-14
[22] 웹사이트 A/56/898-S/2002/345 Letter dated 2 April 2002 from the Permanent Representative of Israel to the United Nations addressed to the Secretary-General http://domino.un.org[...] 2002-0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