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기타 구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기타 구멜은 동독의 육상 선수로, 포환던지기 선수로 활동했다.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19m 이상을 던진 최초의 여성이 되었고,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여러 차례 입상했으며, 1966년 도르트문트 대회에서 1위를 차지했다. 또한,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도 여러 차례 메달을 획득했다. 구멜은 동독 정부 주도의 도핑 프로그램에 연루되어 투리나볼을 복용한 사실이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독의 여자 포환던지기 선수 - 일로나 슬루피아네크
    일로나 슬루피아네크는 동독의 포환던지기 선수로,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금메달, 1978년과 1982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우승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나 도핑 논란이 있었다.
  • 동독의 여자 포환던지기 선수 - 카트린 나임케
    카트린 나임케는 독일의 포환던지기 선수로서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국제 대회에서 활약하며 올림픽 메달과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금메달을 획득했고 은퇴 후에는 독일 스포츠 협회에서 활동한다.
  • 마그데부르크 출신 - 필리프 비그라츠
    필리프 비그라츠는 2005년 영화 《찰리와 초콜릿 공장》으로 데뷔하여 《야생닭 클럽》 시리즈, 《로어》, 《루비 레드》 등 다수의 독일 영화와 TV 프로그램에 출연한 독일의 배우이다.
  • 마그데부르크 출신 - 오토 폰 게리케
    오토 폰 게리케는 진공 펌프와 정전기 발전기를 발명하고 마그데부르크 반구 실험을 통해 기압의 힘을 입증하며 진공과 대기압, 정전기 연구에 기여했으며, 저서 『신기한 실험들』을 통해 자신의 업적을 기록했다.
  • 독일의 도핑 위반 선수 - 클라우디아 페히슈타인
    클라우디아 페히슈타인은 동독 출신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로, 1992년부터 2022년까지 8번의 동계 올림픽에 출전하여 여러 차례 메달을 획득했으며, 특히 여자 5000m에서 3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하고 세계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 독일의 도핑 위반 선수 - 루트 푸흐스
    죄송합니다. 본문 내용이 제공되지 않아 루트 푸흐스에 대한 한 문장 요약을 할 수 없습니다.
마르기타 구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71년의 마르기타 구멜
본명마르기타 헬름볼트
출생일1941년 6월 29일
출생지마그데부르크, 작센, 프로이센, 독일
사망일2021년 1월 26일
사망지비트마르셴, 니더작센, 독일
신장1.77m
체중90kg
종목포환던지기
소속 클럽SC DHfK, 라이프치히
개인 최고 기록20.22m (1972년)
올림픽 메달
1968년 멕시코 시티금메달 (포환던지기)
1972년 뮌헨은메달 (포환던지기)
유럽 선수권 대회 메달
1966년 부다페스트은메달 (포환던지기)
1969년 아테네은메달 (포환던지기)
1971년 헬싱키동메달 (포환던지기)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메달
1966년 도르트문트금메달 (포환던지기)
1968년 마드리드은메달 (포환던지기)
1971년 소피아은메달 (포환던지기)

2. 선수 경력

마르기타 구멜은 동독의 육상 선수로, 포환던지기 종목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1964년 도쿄 올림픽에 처음 출전한 이후, 올림픽, 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등 주요 국제 대회에서 활약했다.

구멜은 1968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할 때까지 매일 10mg의 투리나볼을 투여받았고, 3개월 만에 기록이 17m에서 19m로 향상되었다. 이후 투리나볼 복용량이 증가하면서 기록은 더욱 향상되어 20m를 넘어섰다.[8][9]

1997년 베르너 프랑케 보고서에 따르면, 동독 연구원들은 여성의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사용이 훈련보다 훨씬 우수한 운동 능력 향상을 가져온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후 동독은 어린 여성들을 대상으로 투리나볼 실험을 시작했다.[9]

연도대회개최지종목결과기록
1966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도르트문트(서독)포환던지기1위17.3m
1966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부다페스트(헝가리)포환던지기2위17.05m
1968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마드리드(스페인)포환던지기2위17.62m
1968올림픽멕시코시티(멕시코)포환던지기1위19.61m
1969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아테네(그리스)포환던지기2위19.58m
1971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소피아(불가리아)포환던지기2위19.5m
1971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헬싱키(핀란드)포환던지기3위19.22m
1972올림픽뮌헨(서독)포환던지기2위20.22m


2. 1. 올림픽

구멜은 1964년 도쿄 올림픽 육상 포환던지기 종목에 출전하여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4] 이후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포환던지기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19m 이상을 던진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5] 4년 뒤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는 라이벌 나데즈다 치조바에게 져 은메달을 획득했다.[4]

연도대회개최지종목결과기록
1968올림픽멕시코시티(멕시코)포환던지기1위19.61m
1972올림픽뮌헨(서독)포환던지기2위20.22m


2. 2. 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구멜은 동독 대표로 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 여러 차례 출전했다. 1966년 도르트문트 대회에서 포환던지기 1위를 차지했다.[4] 1968년 마드리드 대회와 1971년 소피아 대회에서는 나데즈다 치조바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4]

연도대회개최지종목결과기록
1966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도르트문트(서독)포환던지기1위17.3m
1968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마드리드(스페인)포환던지기2위17.62m
1971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소피아(불가리아)포환던지기2위19.5m


2. 3.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구멜은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 여러 차례 출전했다. 1966년 부다페스트(헝가리) 대회와 1969년 아테네(그리스) 대회 여자 포환던지기에서 나데즈다 치조바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6] 1971년 헬싱키(핀란드) 대회에서는 치조바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7]

연도대회개최지종목결과기록
1966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부다페스트(헝가리)포환던지기2위17.05m
1969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아테네(그리스)포환던지기2위19.58m
1971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헬싱키(핀란드)포환던지기3위19.22m


3. 도핑 논란

구멜은 동독 정부 주도의 도핑 프로그램에 연루된 사실이 밝혀졌다.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을 앞두고 투리나볼을 복용한 것으로 알려졌다.[8] 1997년 ''임상 화학'' 저널의 논문은 1973년 DVfl 과학 보고서의 차트를 재현하여 1968년, 1969년, 1972년 그녀의 투리나볼 복용량과 경기 거리를 비교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1968년 훈련된 운동선수가 올림픽 금메달을 따기까지 3개월 동안 2미터의 기록 향상을 보였다.[9]

구멜은 1968년 올림픽까지 매일 10mg의 투리나볼을 투여받았고, 3개월 동안 17m에서 19m로 기록이 향상되었다. 이후 투리나볼 복용량이 증가하면서 성과가 용량에 따라 증가했으며, 그녀의 기록은 20m를 훨씬 넘어섰다. 1997년 베르너 프랑케 보고서에 제시된 과학적 그래프는 스테로이드 복용을 중단했을 때에도 여러 번의 스테로이드 사이클에서 상당한 "잔여" 효과가 있었고, 구멜의 경기력은 약물 복용을 중단했을 때 1968년 약물 복용 전보다 훨씬 더 좋았음을 보여준다. 동독 연구원들은 여성의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사용이 자연적인 수년간의 훈련보다 훨씬 우수한 운동 능력의 상당한 향상을 가져온다고 언급했다. 그 후 동독은 13~14세의 어린 여성, 특히 수영과 같은 스포츠를 대상으로 투리나볼 실험을 시작했다.

4. 주요 성적

연도대회개최지종목결과기록
1966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Dortmund|도르트문트de (서독)포환던지기1위17.30m
1966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Budapest|부다페스트hu (헝가리)포환던지기2위17.05m
1968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Madrid|마드리드es (스페인)포환던지기2위17.62m
1968올림픽멕시코시티 (멕시코)포환던지기1위19.61m
1969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아테네 (그리스)포환던지기2위19.58m[6]
1971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소피아 (불가리아)포환던지기2위19.50m
1971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헬싱키 (핀란드)포환던지기3위19.22m[7]
1972올림픽뮌헨 (서독)포환던지기2위20.22m[4]


참조

[1] 뉴스 Kugelstoß-Olympiasiegerin Margitta Gummel gestorben https://www.zeit.de/[...]
[2] 웹사이트 Margitta Helmbold-Gummel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Margitta Gummel http://www.sporting-[...] 2009-05-03
[4] 웹사이트 Athletics at the 1972 München Summer Games: Women's Shot Put https://web.archive.[...] 2009-05-03
[5] 웹사이트 Margitta Gummel http://www.sporting-[...] 2009-05-03
[6] 웹사이트 Athens 69, Women's Results https://archive.toda[...] 2009-05-03
[7] 웹사이트 Helsinki 71, Women's Results https://archive.toda[...] 2009-05-03
[8] 서적 The Complete Book of the Olympics: 2008 Edition Aurum Press Limited 2008
[9] 논문 Hormonal doping and androgenization of athletes: a secret program of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government http://www.clinchem.[...]
[10] 뉴스 Kugelstoß-Olympiasiegerin Margitta Gummel gestorben https://www.zeit.de/[...] 2021-0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