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크 지라르델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크 지라르델리는 룩셈부르크 국적의 전직 알파인 스키 선수이다. 5세에 스키를 시작하여 주니어 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냈으며, 1980년부터 FIS 월드컵에 참가하여 총 46회 우승을 기록했다. 1985년과 1986년 월드컵 종합 우승을 차지했으며, 1987년 세계 선수권 대회 복합 금메달, 1991년 슬라롬 금메달 등을 획득했다. 잦은 부상으로 1997년 은퇴했으며, 월드컵에서 100번의 포디움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마르크 지라르델리 - [인물]에 관한 문서
선수 정보
이름마르크 지라르델리
출생일1963년 7월 18일
출생지오스트리아 루스테나우
국적룩셈부르크
활동 기간1980년 - 1996년
선수 경력
총 우승 횟수46회
추가 포디움 횟수55회
총 포디움 횟수101회
월드컵 종합 우승5회
월드컵 종목별 우승10회
올림픽 메달
은메달1992 알베르빌: 슈퍼-G
1992 알베르빌: 대회전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
금메달1987 크랑-몬타나: 복합
1989 베일: 복합
1991 잘바흐: 회전
1996 시에라네바다: 복합
은메달1985 보르미오: 회전
1987 크랑-몬타나: 대회전
1987 크랑-몬타나: 슈퍼-G
1993 모리오카: 회전
동메달1985 보르미오: 대회전
1989 베일: 회전
1993 모리오카: 복합
월드컵 레이스 포디움
회전금 16, 은 4, 동 5
대회전금 7, 은 10, 동 9
슈퍼-G금 9, 은 4, 동 5
활강금 3, 은 8, 동 6
복합금 11, 은 2, 동 1
평행금 0, 은 0, 동 0
이미지
2014년 4월의 마르크 지라르델리

2. 초기 생애 및 경력

1980년부터 알파인 스키 월드컵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1981년, 스위스 벵엔에서 처음으로 월드컵 포디움(3위)에 오르며 슬라롬과 거대 회전 활강 종목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2]

1983년 2월 스웨덴에서 첫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지만, 불과 2주 후 캐나다 레이크 루이스에서 열린 활강 경기 도중 추락하여 왼쪽 무릎의 모든 인대, 연골, 힘줄이 파열되는 심각한 부상을 당했다.[1] 부상에서 복귀한 1984년 시즌에는 슬라롬에서 5번 우승하며 월드컵 종합 3위를 기록했다.[3]

1985년에는 11번의 레이스에서 우승하며 첫 월드컵 종합 우승을 차지했고, 이후 1986년과 1989년에도 다시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1990년에는 하반신 마비를 간신히 피할 정도의 큰 사고를 겪기도 했으나, 1991년과 1993년에 다시 종합 우승을 차지하며 통산 5번째 월드컵 종합 우승을 달성했다. 이는 2017년 마르셀 히르셔가 6번째 우승을 하기 전까지 남자 선수 최다 기록이었다. (여자 월드컵에서는 안네마리 모저-프뢸이 6회 우승했다.)

지라르델리는 월드컵 통산 46회 우승(역대 남자 선수 5위)과 100회 포디움 입상이라는 뛰어난 기록을 남겼다.[4]

2. 1. 오스트리아와의 갈등과 룩셈부르크 귀화

오스트리아 루스테나우에서 태어난 지라르델리는 5세에 스키를 시작하여 7세부터 대회에 참가했다. 주니어 시절 알파인 스키뿐만 아니라 스키 점프에서도 지역 대회를 우승하는 등 두각을 나타냈다. 초기에는 오스트리아 대표 선수로 활동했으나, 지도 방침을 둘러싸고 오스트리아 스키 연맹과 갈등을 겪었다. 연맹은 지라르델리가 루스테나우에서 약 48.28km 떨어진 슈룬스의 스키 기숙 학교에 다니기를 원했지만, 그의 부모는 아들이 고향에 머물기를 바랐다.[1] 또한, 당시 지라르델리가 소속했던 스키팀 코치와 지라르델리의 아버지가 지도 방식을 두고 대립하기도 했다.

결국 지라르델리는 1976년, 13세의 나이에 오스트리아 국가대표팀을 나와 아버지와 단둘이 훈련하는 길을 선택했고, 이로 인해 오스트리아 대표로 국제 대회 참가가 불가능해지자 룩셈부르크로 소속 국가를 변경하여 이후 룩셈부르크 대표로 국제 대회에 참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룩셈부르크 대표로 스키를 타는 동안에도 오스트리아 국적을 유지했기 때문에, 국적 문제로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과 1984년 사라예보 동계 올림픽에 참가할 수 없었으며, 1982년 FIS 알파인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 출전도 불가능했다. 반면, 알파인 스키 월드컵은 규정상 룩셈부르크 대표로 출전이 허용되었다.

1985년 FIS 알파인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 출전 역시 불투명했으나, 지라르델리가 룩셈부르크 국적 취득 절차를 밟고 있다는 증거를 제시하자 국제 스키 연맹(FIS)은 특별 허가를 내주었고, 이 대회에서 슬라롬 은메달과 대회전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1987년 FIS 알파인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에 참가할 수 있도록 정식으로 룩셈부르크 국적을 취득했다.

3. 선수 경력

오스트리아 Lustenau에서 이탈리아 Valsugana 출신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난 지라르델리는 5세에 스키를 시작하여 7세부터 대회에 참가했다. 주니어 시절에는 알파인 스키뿐만 아니라 스키 점프에서도 지역 대회를 우승하는 등 두각을 나타냈다. 1976년까지 오스트리아 대표로 활동했으나, 오스트리아 스키 연맹이 그가 집에서 약 48.28km 떨어진 Schruns의 스키 보딩 스쿨에 다니기를 원했던 반면, 그의 부모는 그가 고향에 머물기를 원하면서 코칭 방식에 대한 이견이 생겼다. 결국 그는 룩셈부르크로 소속 국가를 변경하게 되었다.[1]

1981년, 그는 스위스 벵겐에서 처음으로 월드컵 시상대(3위 이내)에 오르며 주목받기 시작했고, 이후 회전과 대회전에서 꾸준히 상위권 성적을 기록했다.[2] 1983년 2월 스웨덴에서 첫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지만, 불과 2주 후 캐나다 레이크 루이스에서 열린 활강 경기 도중 심각한 추락 사고를 당해 왼쪽 무릎의 모든 인대, 연골, 힘줄이 파열되는 큰 부상을 입었다.[1]

부상에서 복귀한 다음 시즌, 그는 회전에서 5번 우승하며 월드컵 종합 3위에 올랐다.[3] 이후 1985년, 1986년, 1989년, 1991년, 1993년에 월드컵 종합 우승을 차지하며, 마르셀 히르셔가 2017년 6번째 우승을 하기 전까지 남자 선수 역대 최다인 통산 5번의 종합 우승 기록을 세웠다. (여자부에서는 안네마리 모저-프뢸이 6회 우승했다.) 그는 월드컵에서 총 46번 우승(역대 남자 선수 5위)했으며, 100번 시상대에 올랐다.[4]

룩셈부르크 대표로 활동했지만 오스트리아 국적을 유지했기 때문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규정에 따라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과 1984년 사라예보 동계 올림픽에는 참가할 수 없었고, 1982년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도 불가능했다. 1985년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 역시 불투명했으나, 룩셈부르크 국적 취득 절차를 밟고 있다는 증거를 제시하여 국제 스키 연맹(FIS)의 특별 허가를 받아 참가, 회전 은메달과 대회전 동메달을 획득했다. 1987년 룩셈부르크 국적을 정식으로 취득하면서 1987년 세계 선수권 대회부터는 문제없이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

그의 첫 올림픽 무대는 1988년 캘거리 동계 올림픽이었으나 메달은 따지 못했다.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는 슈퍼대회전과 대회전에서 은메달 2개를 획득했는데, 이는 룩셈부르크 역사상 최초의 동계 올림픽 메달이자, 1952년 헬싱키 하계 올림픽에서 육상 선수 조시 바르텔이 1500미터에서 금메달을 딴 이후 40년 만의 올림픽 메달이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4개의 금메달(1991년 회전, 1987년, 1989년, 1996년 알파인 복합)을 포함하여 총 11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1990년에는 하반신 마비를 간신히 피할 정도의 큰 사고를 겪기도 했다. 그의 마지막 월드컵 경기는 1996년 12월 20일 발 가르데나에서 열린 활강 경기였으며, 다음 날 경기 출전을 준비하던 중 또다시 무릎 부상을 입었다. 결국 1997년 1월, 33세의 나이로 국제 대회 은퇴를 선언했다.

은퇴 후 지라르델리는 실업가로 변신하여 다양한 사업을 벌이고 있다. 불가리아의 스키 리조트 반스코의 명예 시민이며, 2015년부터 불가리아 관광부 장관 니콜리나 안젤코바의 겨울 관광 자문으로 활동하고 있다.[5] 2018년에는 반스코 스키장의 운영업체인 Yulen AD의 대주주임을 밝혔다.[6] 또한 유럽과 포르티요, 칠레 등지에서 스키 이벤트를 조직하고 있으며, 2005년부터는 자신의 이름을 딴 "Marc Girardelli Skiwear" 브랜드로 아동용 스포츠 패션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7] 이 외에도 중국을 상대로 맥주를 수출하거나 실내 스키장 경영에도 참여했다.

3. 1. 월드컵 경력

1980년부터 FIS 월드컵에 참전하기 시작했다. 1983년 스웨덴 옐리바레에서 열린 월드컵 회전 경기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 다음 1984 시즌에는 회전 종목 우승을 차지했고, 1985 시즌과 1986 시즌에는 2년 연속으로 월드컵 종합 우승을 달성했다. 특히 1985년에는 종합 우승과 함께 회전, 대회전 종목 우승까지 차지하며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그러나 이후 거듭된 부상과 라이벌인 피르민 추르브리겐의 등장으로 잠시 주춤했으나, 1989 시즌에 다시 월드컵 종합 우승을 차지하며 재기에 성공했다. 이 시즌에는 활강과 복합 종목 우승도 함께 달성했다. 1991 시즌에는 개인 통산 네 번째 월드컵 종합 우승을 차지했고, 회전 종목에서도 우승했다. 1993 시즌에는 통산 다섯 번째 종합 우승을 달성하며 알파인 스키 역사상 남자 선수 최다 종합 우승 기록을 세웠고, 복합 종목 우승도 차지했다.

지라르델리는 월드컵에서 총 46회 우승(활강 3회, 슈퍼 G 9회, 대회전 7회, 회전 16회, 복합 11회)을 기록했으며, 100번이나 포디움에 올랐다.

1995 시즌에는 복합 종목 우승을 차지하며 건재함을 과시했지만, 오랜 선수 생활로 인한 부상이 누적되었다. 결국 1996년 12월 활강 경기 도중 고질적인 무릎 부상이 악화되었고, 이를 계기로 1997년 2월 10일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월드컵 종목별 우승'''

시즌종목
1984회전
1985종합
회전
대회전
1986종합
1989종합
활강
복합
1991종합
회전
1993종합
복합
1994활강
1995복합



'''월드컵 개인전 우승 (46회)'''

시즌날짜장소경기
19831983년 2월 27일옐리바레, 스웨덴회전
19841984년 1월 16일파르판, 스위스회전
1984년 1월 22일키츠부엘, 오스트리아회전
1984년 2월 15일보로베츠, 불가리아회전
1984년 3월 18일오레, 스웨덴회전
1984년 3월 24일오슬로, 노르웨이회전
19851984년 12월 2일세스트리에, 이탈리아회전
1984년 12월 11일대회전
1984년 12월 17일마돈나 디 캄필리오, 이탈리아슈퍼 G
1985년 1월 4일바트 비스제, 서독회전
1985년 1월 13일키츠부엘, 오스트리아회전
1985년 1월 21일벵겐, 스위스회전
1985년 1월 27일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서독슈퍼 G
1985년 2월 16일크란스카 고라, 유고슬라비아1회전
1985년 3월 10일애스펜, 미국대회전
1985년 3월 20일파크 시티, 미국회전
1985년 3월 23일헤븐리 밸리, 미국회전
19861985년 12월 15일알타 바디아, 이탈리아복합
1986년 2월 5일크랑스-몽타나, 스위스슈퍼 G
1986년 2월 7일장크트 안톤, 오스트리아복합
19871987년 3월 1일후라노, 일본슈퍼 G
1987년 3월 15일캘거리, 캐나다슈퍼 G
1987년 3월 22일사라예보, 유고슬라비아2대회전
19891988년 12월 6일세스트리에, 이탈리아회전
1988년 12월 17일크란스카 고라, 유고슬라비아1회전
1989년 1월 13일키츠부엘, 오스트리아활강
1989년 1월 15일복합
1989년 1월 17일아델보덴, 스위스대회전
1989년 1월 20일벵겐, 스위스활강
1989년 1월 21일활강
1989년 1월 22일복합
1989년 2월 26일휘슬러, 캐나다슈퍼 G
19911991년 1월 13일키츠부엘, 오스트리아회전
복합
1991년 1월 15일아델보덴, 스위스대회전
19921991년 12월 8일발 디제르, 프랑스슈퍼 G
19931992년 12월 13일알타 바디아, 이탈리아대회전
1992년 12월 20일크란스카 고라, 슬로베니아대회전
1993년 1월 10일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독일복합
1993년 1월 12일장크트 안톤, 오스트리아슈퍼 G
1993년 1월 17일복합
1993년 1월 24일베이소나, 스위스복합
19941994년 1월 23일벵겐, 스위스슈퍼 G
19951995년 1월 15일키츠부엘, 오스트리아복합
1995년 1월 22일벵겐, 스위스복합
19961996년 1월 21일베이소나, 스위스복합



:1 현재 슬로베니아

:2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시즌별 월드컵 종합 순위'''

198019811982198319841985198619871988198919901991199219931994199519961997
842664311251251312422115


3. 2. 세계 선수권 대회 경력

알파인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총 11개의 메달(금메달 4개, 은메달 4개, 동메달 3개)을 획득했다.

연도나이슬라롬대회전슈퍼-G활강복합
19852123개최되지 않음
19872342271
19892534141
199127159DNF
19932927취소됨*3
199632DNS1DNF118181


  • 1993년 슈퍼-G 종목은 여러 차례의 기상 악화로 인해 취소되었다.

3. 3. 올림픽 경력

오스트리아 국적을 유지하며 룩셈부르크 대표로 활동했기 때문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규정에 따라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1984년 사라예보 동계 올림픽에는 참가할 수 없었다.[1] 1987년 룩셈부르크 국적을 취득한 후에야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었다.

그의 첫 동계 올림픽 참가는 1988년 캐나다 캘거리에서 이루어졌지만,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대회전 9위, 활강 9위, 슈퍼대회전 실격). 1992년 프랑스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는 슈퍼대회전과 대회전에서 은메달 2개를 획득했다. 이는 룩셈부르크 역사상 최초의 동계 올림픽 메달이었으며, 1952년 헬싱키 하계 올림픽에서 육상 선수 조시 바르텔이 1500미터 금메달을 딴 이후 40년 만에 룩셈부르크에 안겨진 올림픽 메달이었다.

지라르델리는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에도 참가했지만 메달을 추가하지는 못했다(슈퍼대회전 4위, 활강 5위, 알파인 복합 9위). 그는 올림픽 금메달과는 인연을 맺지 못하고 은메달 2개에 만족해야 했다.

연도나이회전대회전슈퍼대회전활강알파인 복합
1988249DNF9
199228DSQ122DNFDNF1
199430DSQ1DNF1459


4. 부상과 은퇴

선수 생활 동안 여러 차례 부상에 시달렸으며, 특히 1985년1986년 월드컵 종합 우승 이후에는 부상과 라이벌 피르민 추르브리겐의 등장으로 잠시 주춤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상을 극복하며 1989년, 1991년, 1993년에 다시 월드컵 종합 우승을 차지하는 등 꾸준히 최정상급 기량을 유지했다.

1995년에는 은퇴가 거론되기 시작했지만, 알파인 복합 종목별 타이틀을 획득하며 여전히 경쟁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오랜 선수 생활로 인해 몸 상태는 좋지 않았고, 1996년 12월 활강 경기 도중 고질적인 무릎 부상이 악화되었다. 이 부상이 결정적인 원인이 되어 1997년 2월 10일 현역 은퇴를 공식 선언했다.은퇴 후에는 실업가로 활동하며 중국에 맥주를 수출하고 실내 스키장을 경영하는 등 사업가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2005년에는 불가리아에 자신의 이름을 딴 스포츠 센터를 열었으며, 같은 해 스키 의류 브랜드 Marc Girardelli영어를 출시하기도 했다.

5. 은퇴 후 활동

1996년 12월 발 가르데나에서 열린 활강 경기 도중 오랜 부상이었던 무릎을 다시 다쳤고, 이것이 계기가 되어 1997년 2월 10일 33세의 나이로 국제 대회 은퇴를 발표했다.

은퇴 후에는 실업가로 변신하여, 중국을 상대로 맥주를 수출하거나 실내 스키장 경영에 나섰다. 또한 여러 유럽 겨울 스포츠 리조트와 칠레의 포르티요에서 스키 이벤트를 조직하기도 한다. 2005년에는 불가리아에 자신의 이름을 딴 스포츠 센터를 설립했으며, 같은 해부터 스포츠 관련 아동 패션 분야에서 IBO(Independent Business Owner)로 활동하며, Marc Girardelli Skiwear|마르크 지라르델리 스키웨어de라는 스키 의류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7]

특히 불가리아와 인연이 깊어 스키 리조트 반스코의 명예 시민이 되었다. 2015년부터는 불가리아 관광부 장관 니콜리나 안젤코바의 겨울 관광 관련 자문으로 활동하고 있으며,[5] 2018년 12월 17일에는 반스코 스키장의 논란이 많은 운영업체인 Yulen AD의 대주주임을 밝히기도 했다.[6]

참조

[1] 간행물 The Mouse May Roar https://www.si.com/v[...] 1988-01-27
[2] 웹사이트 COMPETITORS HAVING MORE THAN ONE PODIUM https://data.fis-ski[...] fis-ski.com 2018-02-05
[3] 웹사이트 COMPETITORS HAVING MORE THAN ONE TOP 10 POSITION https://data.fis-ski[...] fis-ski.com 2018-02-05
[4] 웹사이트 Marc Girardelli ar ski-db.com http://www.ski-db.co[...] 2009-03-14
[5] 웹사이트 Marc Girardelli became advisor of Minister of Tourism http://www.banskoski[...] Bansko.bg 2015-01-05
[6] 웹사이트 Marc Girardelli claims to be the majoritary owner of Yulen AD https://www.dnevnik.[...] economedia.bg 2018-12-17
[7] 웹사이트 Marc Girardelli's Kinder-Skibekleidung http://www.skiinfo.d[...] skiinfo.de 2010-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