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키아 (콤모두스의 정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키아는 로마 황제 콤모두스의 첩으로, 콤모두스가 암살되기 전까지 그의 정부였다. 그녀는 콤모두스의 누이 루킬라의 콤모두스 암살 시도에 연루되었으나 처벌받지 않았으며, 콤모두스가 기독교 옹호 정책을 채택하도록 설득하고 교황 빅토르 1세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콤모두스가 자신을 처형하려 하자, 퀸투스 아에밀리우스 라에투스, 에클레투스와 공모하여 콤모두스를 암살했다. 콤모두스 사후 에클레투스와 결혼했으나, 193년 디디우스 율리아누스에 의해 처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제국의 노예 - 디오클레티아누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3세기 위기 이후 로마 제국을 안정시키기 위해 군사, 행정, 경제 개혁을 단행하고 사두정치 체제를 도입하는 등 중앙집권화를 추진했으나, 최고가격령 실패와 기독교 박해라는 어두운 면도 남겼으며, 그의 통치는 로마 제국의 전환점이자 후대 제국에 영향을 미쳤다.
  • 로마 제국의 노예 - 에픽테토스
    에픽테토스는 프리기아 출신의 스토아 철학자로, 노예 생활을 겪었으나 철학을 공부하여 자유민이 되었고, 로마에서 철학을 가르치다 추방 후 니코폴리스에 학교를 세워 자기 인식, 선택, 구분을 강조하는 윤리학을 중심으로 철학을 펼치며 후대에 영향을 미쳤다.
  • 마르키우스 씨족 - 마르키아 (트라야누스의 어머니)
    마르키아는 로마 노빌레스 계급의 마르키아 씨족 출신으로 트라야누스의 어머니이며, 아들 트라야누스는 로마 제국의 오현제 중 한 명으로 제국을 번영으로 이끌었다.
  • 마르키우스 씨족 - 가이우스 마르키우스 코리올라누스
    가이우스 마르키우스 코리올라누스는 고대 로마의 군사 영웅으로, 평민과의 갈등으로 추방당한 후 적대 세력에 가담하여 로마를 공격했으나 가족의 설득에 물러섰다.
  • 193년 사망 - 위유
    위유는 후한 말 유우의 동조연으로, 유우가 공손찬을 공격하려 할 때 만류했으며 이민족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정책을 건의했으나 193년에 병사한 인물이다.
  • 193년 사망 - 페르티낙스
    페르티낙스는 콤모두스 암살 후 로마 황제가 되었으나, 재정 개혁과 군 기강 확립 시도 중 프라이토리아니의 반발로 87일 만에 암살당한 인물이다.
마르키아 (콤모두스의 정부)
기본 정보
마르키아의 흉상
"마르키아의 흉상"
이름마르키아
로마자 표기Marcia
사망193년
활동 기간콤모두스 재위 기간 (180년 ~ 192년)
직업콤모두스의 정부, 권력자
국적로마
생애
배경마르키아는 콤모두스의 정부가 되기 전 노예였다. 그녀는 이전에 콤모두스의 회계 담당관인 콰르투스의 배우자였다.
콤모두스와의 관계마르키아는 콤모두스와 오랜 관계를 유지했으며, 콤모두스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녀는 콤모두스의 학대와 변덕스러운 성격에도 불구하고 그의 곁을 지켰다.
영향력마르키아는 콤모두스의 정부로서 상당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녀는 황제의 신뢰를 얻어 정치적 결정을 내리는 데 관여했으며, 많은 이들이 그녀에게 호의를 구했다.
죽음마르키아는 콤모두스를 암살한 음모에 가담하여 193년에 처형되었다. 그녀의 죽음은 콤모두스 시대의 종말을 알리는 사건 중 하나였다.

2. 콤모두스의 애첩

마르키아는 콤모두스의 첩이 되기 전, 마르쿠스 움미디우스 콰드라투스 안니아누스의 첩이었으며, 이후에는 그의 하인 에클레투스의 아내였다.[2] 182년 콤모두스의 누나 루킬라는 콤모두스를 암살할 계획을 세웠고, 마르키아와 콰드라투스도 이 계획에 참여하도록 설득했다. 암살 계획은 실패했고, 콤모두스의 아내 브루티아 크리스피나가 간통죄로 추방되어 살해된 후, 콤모두스는 재혼하지 않고 마르키아를 첩으로 삼았다.[4]

마르키아는 콤모두스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아나니에서 발견된 비문에는 시의회가 목욕탕 복원에 기여한 그녀를 기념하기 위해 기념비를 세우기로 결정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2. 1. 루킬라의 암살 음모 가담

182년 콤모두스의 누나 루킬라는 콤모두스를 암살할 계획을 세웠고, 마르키아를 설득해 콰드라투스도 이 계획에 참여하도록 했다.[4] 마르키아는 콤모두스의 정부가 되기 전, 콤모두스의 사촌인 원로원 의원 콰드라투스의 연인이자 정부였다.[2]

이 음모는 발각되었고 루킬라와 콰드라투스는 처형되었으나, 마르키아는 기소되지 않았다.[4]

2. 2. 콤모두스의 첩이 되다



마르키아는 콤모두스의 정부가 되기 전, 콤모두스의 사촌인 로마 원로원 의원 마르쿠스 움미디우스 콰드라투스 안니아누스의 연인이자 정부였다. 이후에는 그의 하인 에클렉투스의 아내가 되었다.[2] 182년, 콤모두스의 누이 루킬라는 마르키아를 설득하여 콰드라투스와 함께 콤모두스 암살 음모에 가담하게 했다. 이 음모는 발각되었고 루킬라와 콰드라투스는 처형되었다. 마르키아는 기소되지 않았다. 콤모두스의 아내 브루티아 크리스피나가 간통죄로 추방되어 살해된 후, 콤모두스는 재혼하지 않고 마르키아를 으로 삼았다.[4]

마르키아는 기독교인에 대한 동정심이 있었고, 콤모두스가 기독교인을 옹호하는 정책을 채택하도록 설득했으며, 교황 빅토르 1세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2] 빅토르가 그녀에게 사르데냐의 광산으로 유배된 모든 기독교인들의 명단을 건네자, 그녀는 콤모두스를 설득하여 그들이 로마로 돌아오도록 허락했다.[2][5] 마르키아는 콤모두스의 정식 아내는 아니었지만, 콤모두스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아나니에서 발견된 비문에는 시의회가 목욕탕 복원에 기여한 그녀를 기념하기 위해 기념비를 세우기로 결정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2. 3. 기독교 옹호

마르키아는 기독교인에게 동정심을 가졌고, 콤모두스가 기독교인을 옹호하는 정책을 채택하도록 설득했으며, 교황 빅토르 1세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2] 빅토르가 그녀에게 사르데냐의 광산으로 유배된 모든 기독교인들의 명단을 건네자, 그녀는 콤모두스를 설득하여 그들이 로마로 돌아오도록 허락했다.[2][5]

3. 콤모두스 암살

192년, 콤모두스는 새해를 맞아 검투사 숙소에서 검투사들의 호위를 받으며 로마 백성 앞에 나타나려 했다. 마르키아는 콤모두스에게 이러한 행동이 로마 제국에 불명예를 가져다줄 것이라며 간청했지만, 콤모두스는 분노하여 마르키아, 아에밀리우스 라에투스, 에클레투스 등을 처형할 명단을 작성했다.[2] 콤모두스가 목욕을 하는 동안 그의 시종 소년 필로코모두스가 명단이 적힌 태블릿을 발견하고 마르키아에게 가져갔다.[2][6]

마르키아는 라에투스와 에클레투스를 만나 콤모두스를 암살하기로 결심하였다. 마르키아가 독을 탄 술을 콤모두스에게 건넸고, 콤모두스는 구토를 멈추지 않았다. 세 공모자는 그가 모든 독을 토해낼까 봐 나르키수스를 시켜 콤모두스를 목 졸라 죽이게 했다.

콤모두스가 살해된 후 마르키아와 에클레투스는 결혼했지만, 193년 디디우스 율리아누스에 의해 살해되었다.[2][7]

3. 1. 암살 주도



192년, 콤모두스가 새해 첫날에 검투사 차림으로 행진하려는 계획을 세우자, 마르키아는 로마 제국에 불명예를 가져다주지 말라고 간청했다.[2] 콤모두스는 분노하여 아에밀리우스 라에투스와 시종 에클레투스에게 계획을 말했고, 그들마저 만류하자 처형 명단에 이들과 원로원 의원들의 이름을 올렸다.[2]

콤모두스의 시종 소년 필로코모두스가 이 명단을 발견해 마르키아에게 가져왔다.[2][6] 마르키아는 자신의 이름이 명단 맨 위에 있는 것을 보고, 헤로디안에 따르면 "정말 잘했네, 콤모두스. 이것이 내가 당신에게 쏟은 친절과 애정과 지난 수년 동안 당신에게서 견뎌온 술 취한 모욕에 대한 좋은 보답이로군."이라고 외쳤다고 한다.[2]

마르키아는 라에투스, 에클레투스와 함께 콤모두스를 암살하기로 결심했다. 마르키아는 평소처럼 콤모두스에게 목욕 후 독을 섞은 첫 잔을 건넸다. 콤모두스가 독으로 인해 구토를 멈추지 않자, 이들은 나르키수스에게 콤모두스를 목 졸라 죽이도록 명령했다.[2]

4. 암살 이후

콤모두스가 살해된 후, 마르키아는 에클레투스와 결혼했다. 그러나 서기 193년 디디우스 율리아누스에 의해 살해되었다.[2][7]

5. 관련 사료

마르키아에 관한 사료는 1차 사료와 2차 사료로 구분된다.

'''1차 사료'''


  • 카시우스 디오, ''로마사''[1]
  • 헤로디아누스, ''로마 제국사''[2]


'''2차 사료'''

  • 에드워드 챔플린, "콤모두스의 상속자들에 대한 주석" (''The American Journal of Philology'', 1979년 여름)[1]
  • J. Gage, ''라틴 연구 검토''[2]
  • 사이먼 혼블로어와 앤터니 스포포스, 《옥스퍼드 고전 사전》 제3판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1996년)[3]
  • 마조리 라이트먼과 벤저민 라이트먼, ''고대 그리스와 로마 여성 전기 사전: 사포에서 헬레나까지의 주목할 만한 여성들'' (Facts On File, 뉴욕, 2000년)[4]
  • A.G. Roos, "헤로디아누스의 작문 방법" (''The Journal of Roman Studies'', 1915년)[5]
  • 조이스 E. 샐즈버리, ''고대 세계 여성 백과사전'' (Abc-Clio, 캘리포니아주 산타바바라, 2001년)[6]

5. 1. 1차 사료


  • 카시우스 디오, ''로마사''[1]
  • 헤로디아누스, ''로마 제국사''[2]

5. 2. 2차 사료


  • 에드워드 챔플린(Edward Champlin)은 1979년 여름에 ''The American Journal of Philology''에 "콤모두스의 상속자들에 대한 주석"을 기고했다.[1]
  • J. Gage는 ''라틴 연구 검토''를 저술했다.[2]
  • 사이먼 혼블로어(Simon Hornblower)와 앤터니 스포포스(Antony Spawforth)는 《옥스퍼드 고전 사전》 제3판을 1996년에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를 통해 출판했다.[3]
  • 마조리 라이트먼(Marjorie Lightman)과 벤저민 라이트먼(Benjamin Lightman)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 여성 전기 사전: 사포에서 헬레나까지의 주목할 만한 여성들''을 저술하여 2000년에 뉴욕의 Facts On File을 통해 출판했다.[4]
  • A.G. Roos는 1915년에 ''The Journal of Roman Studies''에 "헤로디아누스의 작문 방법"을 기고했다.[5]
  • 조이스 E. 샐즈버리는 ''고대 세계 여성 백과사전''을 저술하여 2001년에 캘리포니아주 산타바바라의 Abc-Clio를 통해 출판했다.[6]


[1][2][3][4][5][6]


참조

[1]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Greek and Roman women: notable women from Sappho to Helena Facts On File 2000
[2] 서적 Poczet cesarzowych Rzymu Iskry 2006
[3] 서적 Handbook of Engraved Gems George Bell and Sons
[4] 서적 Encyclopedia of women in the ancient world ABC-Clio 2001
[5] 문서 Lightman
[6] 서적 Herodian Harvard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