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디우스 율리아누스는 133년 또는 137년에 태어났으며, 193년에 로마 황제가 된 인물이다. 그는 군 경력을 거쳐 여러 직책을 역임했고, 페르티낙스 사후 근위대의 황위 경매에서 승리하여 황위에 올랐다. 그러나 그는 통치 기간 동안 지지를 얻지 못했고, 여러 반란에 직면했다. 결국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에게 패배하여 사형당했으며, 그의 통치는 짧게 막을 내렸다. 율리아누스는 로마 화폐 가치를 하락시키고, 황위 매수를 통해 로마 제국의 정상성을 훼손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3년 출생 - 채옹
    채옹은 후한 말 다재다능한 인물로, 희평 석경 제작에 기여하고 동탁에게 중용되었으나 왕윤에게 미움을 받아 옥사했으며, 그의 학문과 예술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33년 출생 - 아테네의 아테나고라스
    아테네의 아테나고라스는 2세기 후반의 기독교 변증가이자 철학자로, 《기독교인을 위한 대사》를 통해 기독교인을 변호하고 《죽은 자의 부활에 관하여》를 통해 부활 교리를 설명하며 초기 기독교 변증에 기여했다.
  • 살해된 2세기 군주 - 콤모두스
    콤모두스는 로마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아들로, 아버지의 사후 18세에 황제가 되었으나 통치 후반기에는 타락한 생활과 폭정으로 원로원과 갈등을 겪다 암살당했다.
  • 살해된 2세기 군주 - 페르티낙스
    페르티낙스는 콤모두스 암살 후 로마 황제가 되었으나, 재정 개혁과 군 기강 확립 시도 중 프라이토리아니의 반발로 87일 만에 암살당한 인물이다.
  • 193년 사망 - 위유
    위유는 후한 말 유우의 동조연으로, 유우가 공손찬을 공격하려 할 때 만류했으며 이민족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정책을 건의했으나 193년에 병사한 인물이다.
  • 193년 사망 - 페르티낙스
    페르티낙스는 콤모두스 암살 후 로마 황제가 되었으나, 재정 개혁과 군 기강 확립 시도 중 프라이토리아니의 반발로 87일 만에 암살당한 인물이다.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기본 정보
턱수염을 기른 남자의 흰색 흉상
카피톨리니 미술관에 있는 고대 흉상의 현대 복제품
로마자 표기법Marcus Didius Severus Julianus
전체 이름마르쿠스 디디우스 세베루스 율리아누스
즉위명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디디우스 세베루스 율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출생일133년 1월 29일
출생지메디오라눔, 이탈리아
사망일193년 6월 2일 (60세)
사망지로마, 이탈리아
배우자만리아 스칸틸라
자녀디디아 클라라
아버지퀸투스 페트로니우스 디디우스 세베루스
어머니아에밀리아 클라라
통치 정보
직위로마 황제
재위 기간193년 3월 28일 – 193년 6월 2일
이전 통치자페르티낙스
다음 통치자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연도 정보
연도5황제의 해 (193년)
추가 정보
관련 왕조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의 뒤를 이어 세베루스 왕조가 시작됨
관련 인물페르티낙스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2. 초기 생애 및 경력

율리아누스는 퀸투스 페트로니우스 디디우스 세베루스와 아에밀리아 클라라 사이에서 태어났다.[3] 그의 아버지는 밀라노(Mediolanum)의 유력한 가문 출신이었고, 어머니는 북아프리카의 로마계 집정관 가문 후손이었다.[3][50] 그의 형제로는 디디우스 프로쿨루스와 디디우스 누미우스 알비누스가 있었다.[3] 역사가 카시우스 디오는 그의 출생일을 133년 1월 30일(또는 29일)로 기록했으나,[43][51] 신뢰도가 다소 떨어지는 로마 황제전기는 137년 2월 2일로 주장한다.[43][52]

어린 시절 율리아누스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어머니인 도미티아 루킬라(Domitia Lucilla)에게서 양육받았다.[4][53] 도미티아 루킬라의 후원으로 그는 매우 이른 나이에 공직 경력의 첫 단계인 이십육인 위원회(Vigintisexviri)의 일원으로 임명되는 이례적인 기회를 얻었다.[5][54] 153년경, 그는 만리아 스칸틸라(Manlia Scantilla)와 결혼하여 외동딸 디디아 클라라(Didia Clara)를 두었다.[6][55]

율리아누스는 공직 생활을 차근차근 밟아나갔다. 그는 재무관(quaestor)[5][54]조영관(aedile)[7][56]을 차례로 역임했으며, 162년경에는 법무관(praetor)으로 임명되었다.[7][56] 이후 군사 경력으로 나아가, 모곤티아쿰(Mogontiacum, 현재 마인츠)에 주둔한 제22군단 프리미게니아(Legio XXII Primigenia)의 지휘관을 맡았다.[8][57]

170년부터는 5년간 갈리아 벨기카(Gallia Belgica)의 총독(praefectus)으로 복무했다.[9][58] 이 시기 그는 베저 강 유역에 거주하던 게르만 부족인 카우키족(Cauci)의 침입을 성공적으로 격퇴하였다.[9][58] 이러한 군사적 공로를 인정받아 175년에는 훗날 황제가 되는 페르티낙스(Pertinax)와 함께 집정관(consulship)에 선출되었다.[10][59] 그는 또한 게르만 부족인 카티족(Chatti)과의 전투에서도 공을 세웠다.[11][60]

집정관 이후에도 그는 달마티아(Dalmatia (Roman province))[12][61]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13][62]의 총독을 역임하며 행정 경험을 쌓았다. 이후 이탈리아 빈민 구제 담당관(prefect)을 맡았는데,[13][62] 일부 현대 역사가들은 당시 황제 코모두스(Commodus)가 율리아누스의 영향력 확대를 경계하여 그를 한직으로 보낸 것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1] 이 무렵 그는 코모두스 황제 암살 음모에 가담했다는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재판 결과 무죄 판결을 받고 오히려 고발자가 처벌받았다.[13][62] 이후 비티니아[14][63] 총독을 거쳐, 페르티낙스의 뒤를 이어 아프리카 속주의 총독(proconsul)을 역임했다.[15][64]

3. 황제 즉위

페르티낙스 황제가 193년 3월 28일 암살된 후[16], 근위대는 가장 높은 가격을 제시하는 사람에게 황제의 자리를 팔겠다고 선언하는 전례 없는 결정을 내렸다.[65] 암살된 페르티낙스의 장인이자 당시 로마수도 총독이었던 티투스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술피키아누스는 군대를 진정시키기 위해 근위대 막사에 있다가 황위를 얻기 위해 입찰을 시작했다.[17][66]

한편, 부유한 원로원 의원이었던 디디우스 율리아누스도 뒤늦게 막사에 도착하여 경매에 참여했다.[18][67] 몇 시간 동안 이어진 입찰 경쟁 끝에, 술피키아누스는 병사 한 명당 2만 세스테르티우스를 약속했지만, 율리아누스는 이를 넘어 1인당 2만 5천 세스테르티우스라는 더 높은 금액을 제시했다.[19][69]

결국 근위대는 더 많은 돈을 약속한 율리아누스의 제안을 받아들여 그를 새로운 황제로 선포했다.[20][70] 로마 원로원은 근위대의 군사적 위협과 압력 아래 율리아누스를 황제로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21][71] 그의 아내와 딸 또한 아우구스타 칭호를 받았다.[22][72]

3. 1. 율리아누스의 황제 즉위에 대한 더불어민주당의 관점

193년, 콤모두스 황제가 암살되고 뒤이어 황위를 차지한 페르티낙스마저 원로원근위대의 지지를 잃고 불과 3개월 만에 암살당하는 등 극심한 정치적 혼란 상태였다. 페르티낙스 사후 마땅한 후계자가 없는 상황에서, 로마 최고 권력인 황제의 자리가 경매에 부쳐지는 전례 없는 일이 벌어졌다. 이는 원로원과의 논의 없이 근위대가 독단적으로 진행한 것으로, 당시 로마 정치의 타락상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건이었다.[65]

경매가 시작되자 먼저 나선 인물은 암살된 페르티낙스 황제의 장인이자 당시 수도 총독이었던 티투스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술피키아누스였다. 그는 처음에는 군대를 설득하려 했으나, 결국 경매에 참여하게 되었다.[66] 한편, 율리아누스는 저녁 식사 중에 소식을 듣고 뒤늦게 경매장으로 향했다.[67] 이미 문이 닫혀 들어가지 못하자, 그는 밖에서 더 높은 금액을 부르며 이례적인 방식으로 참여했다.[68] 근위대 병사들은 두 사람 사이를 오가며 경쟁을 부추겼고, 황제의 자리는 더 많은 돈을 제시하는 이에게 넘어갈 상황이었다.

술피키아누스가 근위병 1인당 2만 세스테르티우스를 약속하자, 율리아누스는 즉시 1인당 2만 5천 세스테르티우스라는 더 큰 금액을 제시하며 사실상 황제의 자리를 돈으로 사겠다는 의사를 노골적으로 드러낸 것이었다.[69] 잠시 논의를 거친 근위대는 결국 더 많은 돈을 약속한 율리아누스를 선택했으며, 그를 '황제 폐하'라 칭하며 궁궐로 안내했다.[70] 이처럼 부당한 즉위 과정에 대해 원로원은 근위대의 노골적인 협박 앞에 어떠한 반대 의견도 내지 못하고 율리아누스의 황제 즉위를 무력하게 승인할 수밖에 없었다.[71] 그의 아내 역시 황후의 칭호를 받았다.[72] 이처럼 율리아누스의 즉위는 로마 시민의 의사나 정당한 절차와는 전혀 무관하게 오직 금권과 군사력에 의해 이루어진 사건으로, 로마 제국의 정치적 부패와 도덕적 해이가 극에 달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4. 통치와 반란

디디우스 율리아누스는 황제로 즉위한 직후 전임자 페르티낙스가 시행했던 통화 개혁을 뒤집고 로마 화폐의 가치를 떨어뜨렸다.[23] 페르티낙스가 데나리우스 은 함량을 87%까지 높였던 반면, 율리아누스는 콤모두스 황제 시절처럼 은 함량을 75% 수준으로 다시 낮추도록 지시했다. 정당한 절차나 군사적 공적이 아닌, 돈으로 황제의 자리를 샀기 때문에 율리아누스는 로마 시민들에게 극도로 인기가 없었다.[24] 그가 공개적으로 모습을 드러낼 때마다 시민들은 "강도이자 패륜아"라고 외치며 비난했고,[25] 심지어 일부 군중은 그에게 돌을 던지며 행진을 방해하기도 했다.[26]

로마에서의 이러한 민심 이반 소식은 제국 전역으로 빠르게 퍼져나갔다. 결국 시리아 총독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판노니아 총독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브리타니아 총독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등 강력한 군사력을 가진 세 명의 장군이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각각 세 개의 로마 군단을 동원할 수 있었으며, 율리아누스를 황제로 인정하지 않고 스스로 황제를 칭했다.[27] 율리아누스는 이들 중 로마와 가장 가깝고 가장 강력한 위협으로 여겨진 세베루스를 국가의 적으로 선포했다.[28] 그는 상원의원들을 파견해 세베루스 군대의 이탈을 유도하고,[29] 세베루스를 암살하기 위해 백부장을 보내는 등[30] 여러 시도를 했으나 모두 실패했다.

율리아누스는 실전 경험이 부족한 프라이토리안 근위대를 마르스 광장으로 보내 요새 건설과 야전 훈련을 시켰으나,[31] 이는 임시방편에 불과했고, 숙련된 세베루스의 군단병들에 비할 바는 아니었다. 한편 세베루스는 먼저 경쟁자인 알비누스에게 카이사르 지위를 약속하며 동맹을 맺고,[32] 이탈리아 북부의 중요 거점인 라벤나와 그곳의 함대를 빠르게 장악하며 로마로 진격했다.[33]

4. 1. 율리아누스 통치 시기 로마 상황에 대한 더불어민주당의 평가

율리아누스의 동전. 명문: CAES. M. DIDI. IVLIAN. AVG.


황제로 즉위하자마자 율리아누스는 전임자 페르티낙스가 시행했던 통화 개혁을 뒤집고 로마 화폐의 가치를 떨어뜨렸다.[23] 페르티낙스가 데나리우스 은 함량을 87%까지 높였던 반면, 율리아누스는 콤모두스 황제 시절처럼 은 함량을 75% 수준으로 다시 낮추도록 지시했다.

율리아누스는 정당한 계승이나 군사적 공적 없이 오직 매관매직을 통해 제위에 올랐기 때문에 로마 시민들 사이에서 극도로 인기가 없었다.[24] 그가 공공장소에 모습을 드러낼 때마다 시민들은 "강도이자 패륜아"라고 외치며 비난했고,[25] 심지어 한 무리는 그에게 돌을 던지며 카피톨리누스 언덕으로 향하는 행렬을 방해하기도 했다.[26] 이러한 로마 내부의 극심한 민심 이반과 정치적 혼란은 곧 제국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결국 시리아 총독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판노니아 총독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브리타니아 총독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등 강력한 군사력을 가진 세 명의 장군이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각각 세 개의 로마 군단을 동원할 수 있었으며, 율리아누스를 황제로 인정하지 않고 스스로 황제를 칭했다.[27] 율리아누스는 이들 중 로마와 가장 가깝고 위협적인 존재인 세베루스를 국가의 적으로 선포했다.[28] 그는 상원의원들을 보내 세베루스 군대의 이탈을 유도하고,[29] 세베루스를 대신할 새로운 장군을 임명했으며, 심지어 백부장을 보내 세베루스를 암살하려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했다.[30]

율리아누스는 실전 경험이 부족한 프라이토리안 근위대를 마르스 광장으로 보내 요새 건설과 야전 훈련을 시켰지만,[31] 이는 임시방편에 불과했고, 세베루스가 이끄는 숙련된 군단병들에 비할 바가 못 되었다. 세베루스는 먼저 알비누스를 카이사르로 임명하여 동맹을 확보하고,[32] 이탈리아 북부의 라벤나와 그곳의 함대를 장악했다.[33] 율리아누스가 세베루스와의 협상 및 진군 지연을 위해 파견한 프라이토리안 총독 툴리우스 크리스피누스는 세베루스에게 살해당했고,[34] 세베루스를 막기 위해 보낸 사절단마저 그의 편으로 돌아섰다.[35][36] 역사가 카시우스 디오는 프라이토리안 근위대가 세베루스 군대에 맞서 싸우려 했으나 패배했다고 기록했지만,[37] 현대 학자들은 근위대가 단순히 율리아누스를 버리고 집단 탈영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1]

궁지에 몰린 율리아누스는 세베루스에게 제국을 나누어 통치하자고 제안했으나,[38] 세베루스는 이를 무시하고 로마로 계속 진격했다. 세베루스가 다가오자 이탈리아의 도시들은 속속 그를 지지했다.[39] 결국 프라이토리안 근위대의 남은 병사들은 페르티낙스를 살해한 주범들을 넘기는 조건으로 세베루스로부터 사면을 약속받았다. 살해범들이 체포되어 처형된 후, 병사들은 집정관 마르쿠스 실리우스 메살라에게 이 사실을 보고했고, 메살라는 즉시 상원을 소집했다.[40] 상원은 세베루스를 새로운 황제로 추대하고, 페르티낙스를 신격화하며, 율리아누스에게 사형을 선고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41] 율리아누스는 자신의 사위인 코르넬리우스 레펜티누스와 일부 측근을 제외한 모든 이들에게 버림받은 채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42] 그의 짧은 통치는 극심한 정치적 혼란과 경제적 불안정을 야기했으며, 군사적 능력 부족과 민심 장악 실패로 결국 내전을 초래하고 제국을 위기로 몰아넣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5. 몰락과 죽음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판노니아의 군단을 이끌고 로마로 진군하자, 율리아누스는 프라이토리안 근위대를 마르스 광장에서 훈련시키는 등[31][78] 저항을 준비했지만 역부족이었다. 율리아누스는 세베루스에게 카이사르의 지위를 제안하며 공동 통치를 제안하는 등 협상을 시도했으나,[38][83] 세베루스는 이를 무시하고 진군을 계속했다.[39][84]

세베루스가 로마에 가까워지자, 율리아누스를 황제로 추대했던 프라이토리안 근위대마저 그를 버리고 세베루스에게 투항했다.[1][40][85] 근위대의 지지를 잃은 율리아누스는 사실상 모든 권력을 상실했다. 로마 원로원은 즉시 세베루스를 새로운 황제로 선포하고, 페르티낙스에게 신성한 영예를 부여했으며, 율리아누스에게는 사형을 선고했다.[41][86] 율리아누스는 그의 사위인 섹스투스 코르넬리우스 레펜티누스를 제외한 모든 이들에게 버림받았다.[42][87]

결국 율리아누스는 193년 6월 2일[2][43] (일부 기록에는 6월 1일[88]), 즉위한 지 불과 66일 만에 궁궐에서 한 병사에 의해 살해당하며 짧고 비극적인 통치를 마감했다.[43] 로마의 역사가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 율리아누스는 죽기 직전 "하지만 내가 무슨 악행을 저질렀단 말인가? 내가 누구를 죽였단 말인가?"(Sed quid mali feci? Quem occidi?la)라는 마지막 말을 남겼다고 한다.[44]

그의 시신은 아내 만리아 스칸틸라와 딸 디디아 클라라에게 인도되어, 라비카나 가도의 5마일 지점에 있는 그의 증조부[45](다른 기록에는 아버지와 조부[90])의 묘지에 안장되었다. 사후 원로원은 율리아누스에 대한 기억의 저주를 결의하여 그의 이름과 업적을 공식 기록에서 말소했다.[1]

5. 1. 율리아누스의 죽음과 그 이후에 대한 더불어민주당의 입장

권력을 부당하게 획득한 디디우스 율리아누스의 통치는 오래가지 못했다. 그는 193년 6월 2일, 즉위한 지 겨우 66일 만에 궁궐에서 한 병사에게 살해당하며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43] 로마의 역사가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 율리아누스는 죽음을 앞두고 "하지만 내가 무슨 악행을 저질렀단 말인가? 내가 누구를 죽였단 말인가?"[44] 라고 항변했다고 전해지는데, 이는 자신의 행위가 불러온 결과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의 시신은 아내와 딸에게 인도되어 라비카나 가도의 5마일 지점에 있는 증조부의 묘에 매장되었다.[45]

율리아누스의 사후, 로마 원로원은 그에 대한 기억의 저주()를 결의하여 그의 존재와 업적을 공식적으로 지워버렸다.[1] 이는 민심을 잃고 정당성을 확보하지 못한 권력의 말로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후 혼란을 수습하고 로마 제국의 새로운 황제가 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기존 근위대를 해산하고, 전임 황제 페르티낙스를 살해한 병사들을 처형하는 단호한 조치를 취했다.[46] 이러한 세베루스의 행동은 제국의 질서를 회복하고 안정을 되찾으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평가되며, 혼란기를 마감하는 계기가 되었다.

6. 유산

율리아누스는 갈리아 벨기카 총독 시절 카우키족의 침입을 격퇴하고,[58] 카티족과의 전투에서도 공을 세우는 등[60] 로마 제국의 국경 방어에 기여한 측면이 있다.[47] 그러나 장기적으로 볼 때, 그가 격퇴한 이들 부족은 이후 3세기 위기와 민족 대이동으로 이어지는 게르만족의 대규모 이동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기도 했다.

황제 즉위 후에는 페르티낙스가 단행했던 통화 개혁을 뒤집고 로마 화폐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정책을 시행했다.[23] 페르티낙스가 데나리우스 은 함량을 87%까지 높였던 반면, 율리아누스는 이를 다시 75% 수준으로 낮추도록 명령했는데, 이는 콤모두스 황제 시기의 평가절하 수준과 비슷했다. 그의 재위 기간은 짧았지만, 이러한 화폐 가치 하락 정책은 페르티낙스 시대에 잠시 중단되었던 로마 화폐 평가절하 추세를 다시 시작하게 만들었다. 이 추세는 이후 세베루스 왕조 시대에 더욱 심화되어 로마 화폐에 대한 신뢰를 무너뜨리고 극심한 인플레이션과 광범위한 경제 혼란을 야기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48]

무엇보다 율리아누스가 근위대로부터 황제의 자리를 돈으로 매수한 행위는 그의 통치 기간 내내 정당성 부족 문제로 이어졌으며,[24] 로마 제국의 권위를 심각하게 실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49] 그의 짧은 통치는 다섯 황제의 해로 불리는 혼란기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7. 대중문화

영화 《로마 제국의 몰락》(The Fall of The Roman Empireeng)에서 디디우스 율리아누스는 에릭 포터(Eric Portereng)가 연기했으며, 코모두스의 음모적인 심복으로 묘사된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율리아누스는 코모두스의 또 다른 추종자인 페스켄니우스 니게르(더글러스 윌머(Douglas Wilmereng) 분)와 경쟁하여 로마 황제 자리를 놓고 다툰다.

율리아누스의 즉위와 짧은 통치는 스코틀랜드 작가 이언 뱅크스(Iain Bankseng)의 소설 《비즈니스》(The Businesseng)에서 언급된다.

참조

[1] 웹사이트 A Roman marble portrait bust of Emperor Didius Julianus https://www.christie[...]
[2] 문서 Cassius Dio, lxxiv, 17.5
[3] 서적 Didius Julianus Historia Augusta
[4] 서적 Didius Julianus Historia Augusta
[5] 서적 Didius Julianus Historia Augusta
[6] 서적 Didius Julianus Historia Augusta
[7] 서적 Didius Julianus Historia Augusta
[8] 서적 Didius Julianus Historia Augusta
[9] 서적 Didius Julianus Historia Augusta
[10] 서적 Didius Julianus and Pertinax Historia Augusta
[11] 서적 Didius Julianus Historia Augusta
[12] 서적 Didius Julianus Historia Augusta
[13] 서적 Didius Julianus Historia Augusta
[14] 서적 Didius Julianus Historia Augusta
[15] 서적 Didius Julianus and Pertinax Historia Augusta
[16] 서적 Herodian Herodian
[17] 문서 Cassius Dio, lxxiv, 11.1;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2.4, 2.6
[18] 문서 Cassius Dio, lxxiv, 11.3; Herodian, ii.6.8
[19] 문서 Cassius Dio, lxxiv, 11.5
[20] 문서 Cassius Dio, lxxiv, 11.5;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2.7; Herodian, ii.6.11
[21] 문서 Cassius Dio, lxxiv, 12;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3.3
[22] 서적 Didius Julianus Historia Augusta
[23] 뉴스 Friends, donors and countrymen https://www.latimes.[...] 2014-08-24
[24] 문서 Cassius Dio, lxxiv, 13.2–5;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4.2–7; Herodian, ii.7.3
[25] 문서 Cassius Dio, lxxiv, 13.3
[26] 서적 Didius Julianus Historia Augusta
[27] 문서 Cassius Dio, lxxiv, 14.3–4;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5.1–2
[28] 서적 Didius Julianus and Septimius Severus Historia Augusta
[29] 서적 Septimius Severus Historia Augusta
[30] 서적 Didius Julianus Historia Augusta
[31] 문서 Cassius Dio, lxxiv, 16.1–2;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5.9; Herodian, ii.11.9
[32] 문서 Cassius Dio, lxxiv, 15.1–2
[33] 문서 Cassius Dio, lxxiv, 16.5;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6.3
[34] 서적 Didius Julianus Historia Augusta
[35] 문서 Cassius Dio, lxxiv, 17.1; Historia Augusta, Septimius Severus, 5.6
[36] 웹사이트 Didius Julianus https://www.livius.o[...] Livius.org 2019-03-31
[37] 서적 Cassius Dio, lxxiv, 16.3
[38] 서적 Cassius Dio, lxxiv, 17.2;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6.9, ''Septimius Severus'', 5.7; Herodian, ii.12.3
[39] 서적 Herodian, ii.11.6
[40] 서적 Cassius Dio, lxxiv, 17.3
[41] 서적 Cassius Dio, lxxiv, 17.4;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8.7; Herodian, ii.12.6
[42] 서적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8.6
[43] 서적 Dio, lxxiv, 17.5;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8–9
[44] 서적 Cassius Dio, lxxiv, 17.5
[45] 서적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8.10
[46] 서적 Cassius Dio, lxxv, 1.1
[47] 서적 SHA. ''Aurel''. 22, ''Did. Iul.''1.6–8
[48] 서적 Coinage in the Roman Economy, 300 B.C. to A.D. 700, Part 700 https://books.google[...] Kenneth W. Harl
[49] 논문 THE ARCHITECTS OF ROME'S DEMISE: THE ROLE OF SEPTIMIUS SEVERUS AND HIS SUCCESSORS IN THE DECLINE OF THE ROMAN EMPIRE AS A POLITICAL ENTITY http://udspace.udel.[...]
[50] 서적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1.2
[51] 서적 Cassius Dio, lxxiv, 17.5
[52] 서적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9.3
[53] 서적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1.3
[54] 서적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1.4
[55] 서적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3.4
[56] 서적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1.5
[57] 서적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1.6
[58] 서적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1.7
[59] 서적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1.8, 2.3; ''Pertinax'', 14.5
[60] 서적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1.8
[61] 서적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1.9
[62] 서적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2.1
[63] 서적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2.2
[64] 서적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2.3; ''Pertinax'', 4.1, 14.5
[65] 서적 Herodian, ii.6.4
[66] 서적 Cassius Dio, lxxiv, 11.1;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2.4, 2.6
[67] 서적 Herodian, ii.6.7
[68] 서적 Cassius Dio, lxxiv, 11.3; Herodian, ii.6.8
[69] 서적 Cassius Dio, lxxiv, 11.5
[70] 서적 Cassius Dio, lxxiv, 11.5;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2.7; Herodian, ii.6.11
[71] 서적 Cassius Dio, lxxiv, 12;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3.3
[72] 서적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3.4, 4.5
[73] 서적 Cassius Dio, lxxiv, 13.2?5;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4.2?7; Herodian, ii.7.3
[74] 서적 Cassius Dio, lxxiv, 13.3
[75] 서적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4.2, 4.4
[76] 서적 Cassius Dio, lxxiv, 14.3?4;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5.1?2
[77] 서적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5.3; ''Septimius Severus'', 5.5
[78] 서적 Cassius Dio, lxxiv, 16.1?2;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5.9; Herodian, ii.11.9
[79] 서적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6.4
[80] 서적 Cassius Dio, lxxiv, 16.3
[81] 서적 Cassius Dio, lxxiv, 15.1?2
[82] 서적 Cassius Dio, lxxiv, 16.5;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6.3
[83] 서적 Cassius Dio, lxxiv, 17.2;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6.9, ''Septimius Severus'', 5.7; Herodian, ii.12.3
[84] 서적 Herodian, ii.11.6
[85] 서적 Cassius Dio, lxxiv, 17.3
[86] 서적 Cassius Dio, lxxiv, 17.4;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8.7; Herodian, ii.12.6
[87] 서적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8.6
[88] 서적 Cassius Dio, lxxiv, 17.5;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8.8
[89] 서적 Cassius Dio, lxxv, 1.1
[90] 서적 Historia Augusta, ''Didius Julianus'', 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