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틴 하인리히 클라프로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틴 하인리히 클라프로트는 1743년 독일에서 태어난 약사이자 화학자이다. 그는 분석화학과 광물학에 기여했으며, 우라늄, 지르코늄, 세륨, 티타늄 등을 발견하거나 확인했다. 클라프로트는 베를린 과학 아카데미의 유급 소장과 베를린 대학교 화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1795년에는 왕립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또한, 달의 크레이터와 식물 속의 이름으로 그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세기 화학자 - 윌리엄 하이드 울러스턴
영국의 과학자 윌리엄 하이드 울러스턴은 의학에서 과학으로 전향하여 팔라듐과 로듐을 발견하는 화학적 업적과 더불어 태양 스펙트럼 흑선 발견, 카메라 루시다와 윌러스턴 프리즘 발명 등 물리학 및 광학 분야에도 기여했으며 왕립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나, 체계적인 발표 부족으로 덜 알려졌다. - 18세기 화학자 - 요한 고틀리브 간
요한 고틀리브 간은 1745년에 태어나 광물학을 배우고 망가니즈를 분리하는 데 성공했으며, 광산 대학교 감독관으로 활동하며 화학 공장을 설립하고 신분제 의회 의원을 역임하다 1818년에 사망했다. - 1817년 사망 - 샤를 메시에
샤를 메시에는 프랑스의 천문학자로, 혜성 발견과 메시에 천체 목록을 만들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달의 크레이터와 소행성에 이름이 붙여졌다. - 1817년 사망 - 표도르 우샤코프
표도르 우샤코프는 러시아 제국의 해군 제독으로, 혁신적인 해전술로 러시아-튀르크 전쟁과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 공을 세웠으며 43회의 해전에서 무패를 기록, 이후 러시아 정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어 러시아 해군의 수호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희토류 과학자 -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는 스웨덴의 화학자로, 세륨과 셀레늄을 발견하고 규소 등을 분리했으며, 화학 용어 도입 및 근대적 원소 표기법 확립, 원자량 개념 발전에 기여하여 '근대 화학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불린다. - 희토류 과학자 - 윌러드 리비
윌러드 리비는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을 개발하여 196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물리화학자로, 맨해튼 계획 참여, 미국 원자력 위원회 활동, UCLA 교수 재직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마르틴 하인리히 클라프로트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마르틴 하인리히 클라프로트 |
출생일 | 1743년 12월 1일 |
출생지 | 베르니게로데, 프로이센 왕국, 신성 로마 제국 |
사망일 | 1817년 1월 1일 |
사망지 | 베를린, 프로이센 왕국 |
국적 | 베르니게로데 |
민족 | 독일인 |
학문 | |
분야 | 화학 |
알려진 업적 | 우라늄, 지르코늄 및 기타 원소 발견 |
인물 | |
기타 |
2. 생애
1743년 브란덴부르크주 베르니게로데에서 재봉사의 아들로 태어났다.[9] 베르니게로데의 라틴어 학교에 4년 동안 다녔다.[6] 그는 생애 대부분을 조제약사로 일했다. 1759년 16세에 크베들린부르크에서 도제 생활을 시작하여 1764년에 숙련공이 되었다. 크베들린부르크(1759~1766), 하노버(1766~1768, 아우구스트 헤르만 브란데와 함께), 베를린(1768), 단치히(1770)의 약국에서 훈련을 받았다.[6]
클라프로트는 정확하고 성실한 연구를 통해 분석 화학과 광물학의 과정을 개선하고 체계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정량적 방법의 가치를 인식하여 프랑스 외 지역에서 앙투안 라부아지에의 이론을 가장 먼저 받아들인 사람 중 한 명이었다.[7][3]
1771년 베를린으로 돌아와 발렌틴 로제 1세의 사업 관리자로 일했다. 로제가 사망하자 수석 관리자가 되기 위한 시험을 통과했다. 1780년 결혼 후 자신의 사업체인 아포테케 춤 바렌(Apotheke zum Baren)을 인수했다. 1782년부터 1800년까지 아포테케의 실험실에서 수행한 연구를 바탕으로 84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그의 가게는 당시 유럽에서 가장 생산적인 수공업 화학 연구 장소였다.[6]
1782년부터 오베르-콜레기움 메디쿰(Ober-Collegium Medicum)의 시험 위원회 약학 평가관이었으며, 1787년에는 프로이센 왕립 포병의 화학 강사로 임명되었다.[7][8][6] 1788년 클라프로트는 베를린 과학 아카데미의 무보수 회원이 되었고, 1800년에는 유급 소장이 되었다. 그는 약국을 팔고 아카데미로 이사하여 대학에 새로운 실험실을 건설하도록 설득했고, 1802년 완공 후 약국 실험실의 장비를 새 건물로 옮겼다.[6]
1810년 베를린 대학교가 설립되었을 때 화학 교수로 선정되었다.[7] 그는 1817년 새해 첫날 베를린에서 사망했다.[9]
그의 아들 율리우스 하인리히 클라프로트(Julius Heinrich Klaproth)는 19세기 유럽을 대표하는 동양학자였다.[34]
3. 업적
클라프로트는 ''Beiträge zur chemischen Kenntnis der Mineralkörper''(5권, 1795-1810)과 ''Chemische Abhandlungen gemischten Inhalts''(1815)에 200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Chemisches Wörterbuch''(1807-1810)을 출판했고, F. A. C. 그렌의 ''Handbuch der Chemie''(1806) 개정판을 편집하기도 했다.
1795년 런던 왕립 학회의 외국인 회원[28][29]이 되었고, 1804년에는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이 되었다.[30] 그는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에도 속해 있었다.[30]
달의 클라프로트 크레이터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1] 1823년 식물학자 칼 지기스문트 쿤트는 중앙 아메리카산 꽃식물 속(과: 로아과)을 그의 명예를 기리기 위해 ''Klaprothia''로 발표했다.[32] 그의 아들 율리우스는 유명한 동양학자였다.[33]
3. 1. 원소 발견 및 확인
클라프로트는 당대 독일의 선도적인 화학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분석화학과 광물학에 큰 기여를 하였고, 정량적 분석을 강조하여 프랑스 외에서 앙투안 라부아지에의 이론을 따르는 사람 중 한 명이 되었다.[7][3]
클라프로트는 우라늄, 지르콘, 티타늄을 처음으로 발견하였고, 이들 물질을 독립된 금속 형태로 분리해내지는 못하였지만 독립된 화학 원소로는 인식하였다.[5] 1789년 9월 24일, 그는 베를린 왕립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에 우라늄 발견을 발표했다.[10][11] 그는 또한 1789년에 지르코늄을 발견했으며,[12][5] 산화 지르코늄(ZrO2)인 "지르코니아" 형태의 산화물로 분리했다.[13] 클라프로트는 실론산 "히아신스"라는 선명한 색깔의 광물을 분석하여 새로운 원소에 페르시아어 이름인 "자르군"(황금색)을 따서 지르코늄이라는 이름을 붙였다.[14]
콘월의 윌리엄 그레고르는 1791년에 처음으로 티타늄 원소를 확인했고, 메나칸 계곡의 광석 일메나이트에서 새로운 원소를 발견했다는 결론을 내리고 "메나카나이트"라는 이름을 제안했지만, 그의 발견은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14] 클라프로트는 1795년 헝가리산 광석 루틸에서 알려지지 않은 원소의 산화물이 존재함을 확인하고 "티타늄"이라는 이름을 제안했다. 나중에 메나카나이트와 티타늄이 서로 다른 광물에서 발견된 동일한 원소임이 밝혀졌고, 클라프로트가 제안한 이름이 채택되었다.[16]
클라프로트는 1803년 겨울,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와 빌헬름 히징거와 거의 동시에 희토류 원소인 세륨을 독자적으로 발견했다.[15]
클라프로트는 그 당시까지 불완전하게 알려졌던 수많은 물질, 즉 새롭게 인식된 원소 텔루륨, 스트론튬, 그리고 크로뮴의 화합물을 포함한 물질들의 구성을 명확히 했다.[6] 크로뮴은 1797년 루이 니콜라 보클랭이 발견했고, 1798년 클라프로트와 토비아스 로위츠가 우랄 산맥의 광물에서 독립적으로 발견했다.[14] 클라프로트는 크로뮴이 원소로서 독립적인 지위를 가짐을 확인했다.[5][17][18][6]
텔루륨의 존재는 1783년 트란실바니아 금 샘플을 조사하던 오스트리아 광산 기사 프란츠-요제프 뮐러 폰 라이헨슈타인이 처음으로 제안했다. 텔루륨은 1789년 헝가리의 팔 키타이벨이 독립적으로 발견하기도 했다. 뮬러는 1796년 자신의 광물 일부를 클라프로트에게 보냈다. 클라프로트는 새로운 물질을 분리하여 1798년 새로운 원소 텔루륨의 확인을 확정했다. 그는 뮬러를 발견자로 인정했고, 이 중금속을 '지구'를 뜻하는 라틴어 '텔루스'에서 따서 "텔루륨"이라고 명명할 것을 제안했다.[19][20][5][25][14][26]
1790년 에이더 크로포드와 윌리엄 크룩섐크는 스코틀랜드 스트론티언 근처에서 발견된 광물 스트론티아나이트가 바륨 기반 광물과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21] 클라프로트는 스트론튬 화합물과 광물의 특성 규명에 참여한 여러 과학자 중 한 명이었다.[22] 클라프로트, 토마스 찰스 호프, 그리고 리처드 커완은 스트론티아나이트의 특성, 스트론튬 화합물의 제조, 그리고 바륨 화합물과의 차별화에 대해 독립적으로 연구하고 보고했다. 1793년 9월, 클라프로트는 바륨으로부터 스트론튬을 분리하는 방법을 발표했고, 1794년에는 스트론튬 산화물과 스트론튬 수산화물의 제조 방법을 발표했다.[5][22] 1808년, 험프리 데이비는 순수한 원소를 성공적으로 분리한 최초의 사람이 되었다.[23][24]
3. 2. 기타 업적
클라프로트는 당대 독일의 뛰어난 화학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분석화학과 광물학에 큰 공헌을 하였고, 정량적 분석을 강조하여 프랑스 외에서 앙투안 라부아지에의 이론을 따르는 초기 인물 중 한 명이 되었다.[7][3] 우라늄, 지르콘, 티타늄을 처음으로 발견하였고, 이들 물질을 독립된 금속 형태로 분리해내지는 못하였지만 독립된 화학 원소로는 인식하였다. 또한 그는 당시 정확한 조성이 알려지지 않았던 텔루륨, 스트론튬, 세륨, 크롬 화합물의 조성을 결정하기도 하였다.
정확하고 성실한 연구자였던 클라프로트는 분석 화학과 광물학의 과정을 개선하고 체계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7][3] 1795년 런던 왕립 학회의 외국인 회원[28][29]이 되었고, 1804년에는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이 되었다.[30] 그는 또한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에도 속해 있었다.[30]
달의 클라프로트 크레이터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1] 1823년 식물학자 칼 지기스문트 쿤트는 중앙 아메리카산 꽃식물 속(과: 로아과)을 그의 명예를 기리기 위해 ''Klaprothia''로 발표했다.[32] 그의 아들 율리우스는 유명한 동양학자였다.[33]
4. 평가 및 영향
마르틴 하인리히 클라프로트는 분석화학과 광물학 분야에 큰 업적을 남겼다. 우라늄, 지르코늄, 세륨을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텔루르와 티타늄의 발견을 확인하고 이들 원소의 이름을 명명하기도 했다.[34] 1789년에는 피치블렌드에서 산화 우라늄을 정제하여 새로운 원소임을 밝혀내고, 같은 해 9월 24일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에서 발표했다.[34]
1987년 4월, Hoppe, Damaschun, Wappler는 Pharmazie 저널에 기고한 논문에서 클라프로트를 광물 화학자로서 재평가했다.[34] 1953년 9월, Dann은 Pharmazie 저널에 기고한 논문에서 화학 발전에 대한 클라프로트의 공헌을 다루었다.[34]
그의 아들 율리우스 하인리히 클라프로트는 19세기 유럽을 대표하는 동양학자였다.[34]
참조
[1]
논문
The pharmacist Martin Klaproth (1743–1817), pioneer of modern analytical chemistry, discoverer of uranium. On the 150th anniversary of his death
1967-02-00
[2]
서적
Techniques in Archaeological Geology
Springer
2003
[3]
논문
Rediscovery of the elements: Klaproth
http://www.chem.unt.[...]
2019-12-08
[4]
서적
Uranium Ore Deposits
https://books.google[...]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9-12-08
[5]
서적
Mining and selling radium and uranium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12-08
[6]
서적
New narratives in eighteenth-century chemistry : contributions from the First Francis Bacon Workshop, 21–23 April 2005,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Pasadena, California
Springer
2019-12-08
[7]
서적
History of Chemistry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19-12-08
[8]
웹사이트
KLAPROTH, Martin Heinrich. (1743 - 1817)
https://mineralogica[...]
2019-12-08
[9]
문서
Klaproth, Martin Heinrich
[10]
논문
The discovery of uranium by Martin Heinrich Klaproth 200 years ago
https://inis.iaea.or[...]
1989
[11]
논문
Chemische Untersuchung des Uranits, einer neuentdeckten metallische Substanz
1789
[12]
서적
The Elements: Zirconium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2008
[13]
웹사이트
Zirconium
https://www.rsc.org/[...]
2019-12-08
[14]
서적
Encyclopedia of the elements : technical data, history, processing,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Wiley-VCH
2004-07-27
[15]
서적
The Development of Modern Chemistry
https://books.google[...]
Harper and Row/Dover
1970
[16]
서적
Machining difficult-to-cut materials : basic principles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
[17]
서적
The discovery of the elements
https://archive.org/[...]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1956
[18]
논문
The discovery of the elements. V.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and uranium
1932-03-00
[19]
서적
Nature's building blocks : an A-Z guide to the element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0]
논문
The discovery of tellurium
1935-09-00
[21]
웹사이트
Thomas Charles Hope, MD, FRSE, FRS (1766–1844)
http://www.chem.ed.a[...]
2019-12-08
[22]
논문
The early history of strontium
https://www.tandfonl[...]
2019-12-08
[23]
논문
Science and Celebrity: Humphry Davy's Rising Star
https://www.scienceh[...]
2018-03-22
[24]
논문
Electrochemical Researches, on the Decomposition of the Earths; With Observations in the Metals Obtained from the Alkaline Earths, and on the Amalgam Procured from Ammonia
1808
[25]
웹사이트
A Periodic Table of Rejected Element Names
https://www.compound[...]
2019-12-08
[26]
서적
The lost elements : the periodic table's shadow sid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27]
서적
Patty's toxicolog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2
[28]
서적
History of the Royal Society: From Its Institution to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R. Baldwin
1812
[29]
웹사이트
Fellowship of the Royal Society 1660–2015
https://docs.google.[...]
Royal Society
[30]
논문
Martin Klaproth
https://physicstoday[...]
2017-12-01
[31]
웹사이트
Klaproth H (Moon)
http://wenamethestar[...]
2019-12-08
[32]
웹사이트
'Klaprothia' Kunth
https://powo.science[...]
2021-05-22
[33]
논문
Julius Klaproth. His Life and Works with Special Emphasis on Japan
https://edoc.hu-berl[...]
2006
[34]
서적
東洋学の系譜 欧米篇
大修館書店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