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는 스웨덴의 화학자이자 의사로, 현대 원소 기호 체계를 만들고, 원자량 측정 및 정량 분석을 통해 원자설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그는 셀레늄, 토륨, 세륨을 발견하고 규소, 지르코늄, 탄탈럼을 분리했으며, 유기화학과 무기화학을 구분하고 촉매, 동소체 등 화학 용어를 정립했다. 또한, 전기화학적 이원론을 제시하고, 화학 교과서를 저술하여 화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베르셀리우스는 절주 운동에도 참여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스웨덴과 여러 나라에서 기념 사업이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기론자 - 앙리 베르그손
앙리 베르그손은 20세기 과정철학의 선구자로서 '지속' 개념으로 형이상학을 비판하고 '생기' 개념으로 기계론적 세계관에 도전했으며, 의식, 기억, 진화, 도덕, 종교 등을 탐구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1927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서 후대 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생기론자 - 조르주 캉길렘
조르주 캉길렘은 의학과 생물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상과 병리 개념을 재정의하고 생물학의 특수성을 강조한 프랑스의 과학철학자이자 과학사가로서, 미셸 푸코 등 후대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스웨덴의 화학자 - 스반테 아레니우스
스반테 아레니우스는 이온 해리 이론을 정립하여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고 전해질 용액의 전기 전도도 연구, 활성화 에너지 개념 제시, 아레니우스 방정식 개발, 지구 온난화 예측 등 다양한 과학 분야에 기여했으나, 우생학 운동 참여 논란도 있는 스웨덴의 물리화학자이다. - 스웨덴의 화학자 - 요한 고틀리브 간
요한 고틀리브 간은 1745년에 태어나 광물학을 배우고 망가니즈를 분리하는 데 성공했으며, 광산 대학교 감독관으로 활동하며 화학 공장을 설립하고 신분제 의회 의원을 역임하다 1818년에 사망했다. - 19세기 스웨덴 사람 - 페르 알빈 한손
스웨덴 사회민주당 소속 정치인 페르 알빈 한손은 1936년부터 1946년 사망할 때까지 스웨덴의 총리를 역임하며 "폴크헴메트" 비전을 제시, 스웨덴 복지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스웨덴의 중립 정책을 유지했다. - 19세기 스웨덴 사람 - 요한 고틀리브 간
요한 고틀리브 간은 1745년에 태어나 광물학을 배우고 망가니즈를 분리하는 데 성공했으며, 광산 대학교 감독관으로 활동하며 화학 공장을 설립하고 신분제 의회 의원을 역임하다 1818년에 사망했다.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 |
출생 이름 |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 |
출생일 | 1779년 8월 20일 |
출생지 | 스웨덴 외스테르예틀란드 베베르순다 |
사망일 | 1848년 8월 7일 |
사망지 | 스웨덴 스톡홀름 |
국적 | 스웨덴 |
분야 | 화학, 전기화학 |
소속 기관 | 카롤린스카 연구소 |
모교 | 웁살라 대학교 |
박사 제자 | 하인리히 로제 프리드리히 뵐러 |
영향 | 앙투안 라부아지에 존 돌턴 조제프 루이 게이뤼삭 험프리 데이비 |
영향을 받은 사람 | 클로드 루이 베르톨레 아메데오 아보가드로 유스투스 폰 리비히 장바티스트 뒤마 프리드리히 뵐러 제르망 앙리 헤스 |
주요 업적 | 동소체 연구 원자량 연구 비드 시험 개발 화학식 표기법 개발 촉매 연구 세륨 발견 셀레늄 발견 규소 발견 토륨 발견 지르코늄 분리 시험관 개발 베르셀리우스 비커 개발 알파벳의 원소 기호 고안 "유기물", "이성질체", "촉매", "단백질" 명명 할로젠 정리 |
수상 | |
퓌르 르 메리트 훈장 | 1842년 |
코플리 메달 | 1836년 |
왕립학회 외국인 회원 | 1813년 |
스웨덴 한림원 회원 | |
직위 | 스웨덴 한림원 회원 (제5석) |
임기 시작 | 1837년 12월 20일 |
임기 종료 | 1848년 8월 7일 |
이전 회원 | 칼 폰 로젠스타인 |
다음 회원 | 요한 에리크 뤼드크비스트 |
2. 생애
1779년 8월 20일, 스웨덴 린셰핑 근처 교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예터랜드 고등학교 교장이자 목사였으나, 그가 4세 때 사망했다. 이후 어머니가 재혼하여 생긴 계부 역시 목사였는데, 계자식들에게 차별 없이 대해주었고, 어린 아들에게 스웨덴의 박물학자 칼 폰 린네의 발자취를 따를 수 있도록 격려했다고 전해진다.[54] 1793년 린셰핑 김나지움(gymnasium)에 입학했지만, 곤충과 식물 채집에 열중하며 자연 관찰에 흥미를 갖게 되었다. 1797년 3월 웁살라 대학교 의학부에 입학하여 화학 실험에 매달렸고, 1800년 메데비 온천수 분석을 담은 졸업 논문을 제출했다. 1802년 갈바니 장치의 전기에 관한 연구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1804년 스톡홀름에서 개업했다. 의사 일을 하면서 화학 연구를 계속하다가 카롤린스카 연구소에서 무급 조교로 채용되었고, 1807년 교수로 승진했다. 1808년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고, 1810년에는 회장을 역임했으며, 1818년 종신 회원으로 임명되었다. 1837년에는 스웨덴 아카데미 종신 회원이 되었다.
프로이센 황태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러시아 황태자 알렉산드르 2세, 프랑스 국왕 루이 필리프에게 강의를 했다. 연구에 몰두하여 1835년까지 독신으로 지냈으나, 친구의 여동생과 결혼하면서 스웨덴 국왕 칼 14세 요한으로부터 남작 작위를 받았다. 자신이 생각해낸 전기화학적 이원론의 논리적 모순을 목격하면서 1848년 스톡홀름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베르셀리우스는 1779년 8월 20일 스웨덴 외스터예탈란드 주 베베르순다 교구에서 태어났다.[9][54] 그의 아버지 사무엘 베르셀리우스는 린셰핑의 교사였고, 어머니 엘리자베스 도로테아 쇠스테엔은 가정주부였다.[9] 부모 모두 성직자 가문 출신이었으나, 베르셀리우스는 어린 나이에 부모를 모두 잃었다.[9] 아버지는 1779년에 사망했고, 어머니는 안데르스 에크마르크라는 목사와 재혼하여 베르셀리우스에게 자연에 대한 지식을 포함한 기본적인 교육을 제공했다.[9] 1787년 어머니가 사망한 후, 린셰핑의 친척들이 그를 돌보았다.[10] 그는 카테드랄스콜란에서 수학했고,[10] 십대 시절에는 집 근처 농장에서 가정교사로 일하며 꽃과 곤충을 수집하고 분류하는 데 관심을 가졌다.[11]1793년 린셰핑 김나지움에 입학하여 자연 관찰에 흥미를 가졌고, 1796년부터 1801년까지 웁살라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했다.[54][11] 웁살라 대학교에서 탄탈럼을 발견한 안데르스 구스타프 에케베르크에게서 화학을 배웠고,[11] 약국 견습생으로 일하며 실험실 실무를 익혔다.[11] 또한, 칼 빌헬름 셸레가 수행한 실험을 재현하여 셸레의 산소 발견 실험을 성공적으로 반복했다.[10] 학업 중 메데비 광천에서 의사와 함께 일하며 광천수를 분석했고,[11] 1800년에는 메데비 온천수 분석에 관한 졸업 논문을 제출했다.[54] 이 분석은 이전에 토르비외른 베리만이 수행한 분석 결과를 참고한 것이었다. 1800년에 알레산드로 볼타의 볼타 전지에 대해 알게 된 후, 직접 구리와 아연 원판을 쌓아 전지를 만들었고, 이는 전기화학 분야에서 그의 초기 연구의 시작이었다.[8][11] 1802년 갈바니 장치의 전기에 관한 연구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54] 의학 연구의 일환으로 갈바니 전류가 여러 질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지만, 명확한 증거를 찾지는 못했다.[11] 졸업 후 스톡홀름 근처에서 의사로 일하던 중, 화학자이자 광산주인 빌헬름 히징거가 그의 분석 화학 능력을 알아보고 실험실을 제공했다.[7]
2. 2. 학문적 경력
1807년, 베르셀리우스는 카롤린스카 연구소에서 화학 및 약학 교수로 임명되었다.[8] 1808년부터 1836년까지 베르셀리우스는 그의 조교였던 안나 순드스트롬(Anna Sundström)과 함께 일했는데, 그녀는 스웨덴 최초의 여성 화학자였다.[12]1808년 그는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당시 아카데미는 스웨덴의 낭만주의 시대 이후 과학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면서 수년 동안 침체되어 있었다. 1818년 베르셀리우스는 아카데미의 서기로 선출되어 1848년까지 그 직책을 유지했다. 베르셀리우스의 재임 기간 동안 그는 아카데미를 활성화시키고 두 번째 황금기를 맞이하게 한 공로를 인정받았다.[13] 그는 1822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4] 1827년 그는 네덜란드 왕립 연구소의 통신 회원이 되었고, 1830년 준회원이 되었다.[15] 1837년 그는 5번 의석으로 스웨덴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2. 3. 말년
베르셀리우스는 평생 동안 반복되는 편두통과 후기의 통풍을 포함한 여러 가지 질병을 앓았으며, 우울증을 겪기도 했다.[11] 1818년에는 업무 스트레스로 인한 신경 쇠약을 겪었다.[10] 의사의 권고로 휴가를 내어 프랑스로 여행을 가서 클로드 루이 베르톨레의 화학 연구실에서 일했다.[11]1835년, 56세의 나이에 스웨덴 내각 장관의 딸인 24세의 엘리자베스 포피우스와 결혼했다.[11] 친구의 여동생과 결혼하면서 스웨덴 국왕 칼 14세 요한으로부터 남작 작위를 받았다.
1848년 8월 7일, 1806년부터 살았던 스톡홀름 자택에서 사망했으며, 솔나 묘지에 묻혔다.[10][18] 자신이 생각해낸 전기화학적 이원론의 논리적 모순을 목격하면서 사망했다고 전해진다.
3. 주요 업적
베르셀리우스는 현대의 원소 기호를 만든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55] 라부아지에가 원소의 정의를 내리기 전에도 연금술사들은 여러 개의 원소를 발견하고, 그 원소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했다. 이후 라부아지에는 기하학적인 모양으로, 돌턴은 원 안에 문자나 그림을 넣어 원소를 표현했다. 하지만, 많은 원소가 발견되자 돌턴의 원소 표기법은 불편해졌다. 그래서 베르셀리우스가 다음과 같은 원소를 표현하는 방법을 고안해냈다.[55]
- 원소의 영어나 라틴어의 이름의 알파벳 첫 번째 글자를 대문자로 나타낸다. (수소: '''H'''ydrogen → '''H''')
- 첫 번째 글자가 같은 다른 원소가 이미 있을 때, 뒤의 글자들 중 하나를 소문자로 대문자의 뒤에 이어서 나타낸다. (헬륨: '''He'''lium → '''He''', 비소: '''A'''r'''s'''enicum → '''As''') 단, 리튬(원소 기호: Li)과 같이 첫 번째의 알파벳이 같은 원소가 없으면서도 두 글자를 쓰는 경우가 있다.
또한, 베르셀리우스는 원자량을 정밀하게 계산하여 구하고, 여러 가지 연구를 통해 원자설의 개념의 정확성을 높였다. 그는 특정 화합물을 구성하는 원소에 산소(O)나 철(Fe)과 같이 간단한 기호를 부여하고, 화합물 내 비율은 숫자로 표시하는 화학 기호 체계를 개발했다. 오늘날 사용하는 아래첨자(예: H₂O 또는 Fe₂O₃) 대신 위첨자(H²O 또는 Fe²O³)를 사용했다는 점이 주요 차이점이다.[55]
베르셀리우스는 원소를 전기적으로 음성인 원소와 양성인 원소로 분류하고, 원자는 반대 전하 사이의 전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하여 분자를 형성한다는 전기화학적 이원론을 생각했다.[55] 더 나아가, 게이뤼삭의 기체 반응의 법칙을 근거로 화합물 속 원소의 구성비를 추정하고, 1828년까지 당시 알려진 43개의 원소의 원자량을 2000개 이상의 화합물을 정제·분석함으로써 결정했다.[55] 이는 돌턴이 구한 값보다 훨씬 정확도가 높았다.[55] 베르셀리우스는 정확한 정량 분석이 이론 체계 확립에 필수적이라고 생각했다.[55] 새로운 원소로 셀레늄, 토륨, 세륨을 발견했다. 그리고 탄탈럼, 규소, 지르코늄을 단체로 분리하고, 리튬을 명명했다. 또한, 원소 기호를 라틴어 또는 그리스어 명칭의 알파벳 머리글자로 표기하는 현재의 방법을 1813년경에 제안했는데, 이는 곧 널리 보급되었다.[55]


화학을 유기화학과 무기화학의 두 가지로 나누고, 할로겐, 동소체, 이성질체, 유기물, 촉매, 비정질 (Amorphie) 등 화학적으로 중요한 용어와 개념을 창안했다. 카롤린스카 의학 외과 대학 조교 시절부터 스웨덴어 교과서 집필을 계획했다. 대학에서 화학을 가르치기 위해 저술한 『화학 교과서 (Lärbok i Kemien)』 전 6권(1808년~1830년)은 나중에 제자인 프리드리히 뵐러에 의해 『화학 교과서 (Lehrbuch der Chemie)』 전 5권으로 독일어로 번역되었다. 이 책은 당시 최고 수준의 화학 교과서였다.
3. 1. 화학 기호 및 표기법 확립
라부아지에가 원소의 정의를 내리기 전, 연금술사들은 여러 원소를 발견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했다. 라부아지에는 기하학적인 모양으로, 돌턴은 원 안에 문자나 그림을 넣어 원소를 표현했다. 하지만, 많은 원소가 발견되자 돌턴의 원소 표기법은 불편해졌다. 그래서 베르셀리우스가 원소를 표현하는 방법을 고안해냈다.- 원소의 영어나 라틴어 이름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나타낸다. (예: 수소: '''H'''ydrogen → '''H''')
- 첫 글자가 같은 다른 원소가 이미 있을 때, 뒤의 글자들 중 하나를 소문자로 대문자 뒤에 이어서 나타낸다. (예: 헬륨: '''He'''lium → '''He''', 비소: '''A'''r'''s'''enicum → '''As''') 단, 리튬(원소 기호: Li)과 같이 첫 글자가 같은 원소가 없으면서도 두 글자를 쓰는 경우가 있다.
베르셀리우스는 원자량을 정밀하게 계산하고, 여러 연구를 통해 원자설의 개념의 정확성을 높였다. 그는 특정 화합물을 구성하는 원소에 산소(O)나 철(Fe)과 같이 간단한 기호를 부여하고, 화합물 내 비율은 숫자로 표시하는 화학 기호 체계를 개발했다. 오늘날 사용하는 아래첨자(예: H₂O 또는 Fe₂O₃) 대신 위첨자(H²O 또는 Fe²O³)를 사용했다는 점이 주요 차이점이다.
베르셀리우스는 원소를 전기적으로 음성인 원소와 양성인 원소로 분류하고, 원자는 반대 전하 사이의 전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하여 분자를 형성한다는 전기화학적 이원론을 제시하였다. 게이뤼삭의 기체 반응의 법칙을 근거로 화합물 속 원소의 구성비를 추정하고, 1828년까지 당시 알려진 43개 원소의 원자량을 2000개 이상의 화합물을 정제·분석하여 결정했다. 이는 돌턴이 구한 값보다 훨씬 정확했다. 베르셀리우스는 정확한 정량 분석이 이론 체계 확립에 필수적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1813년경에 원소 기호를 라틴어 또는 그리스어 명칭의 알파벳 머리글자로 표기하는 현재의 방법을 제안했는데, 이는 곧 널리 보급되었다.
3. 2. 원자량 측정 및 정량 분석
베르셀리우스는 원자량을 정밀하게 계산하고, 여러 연구를 통해 원자설 개념의 정확성을 높였다.[55] 그는 산소를 100으로 설정하고, 다른 원소들의 상대적 원자 질량을 나타내는 표를 작성했다.[23][24][25] 이 연구는 존 돌턴이 제안한 원자설, 즉 무기 화합물이 정수비로 결합된 서로 다른 원소의 원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제공했다.[26] 또한, 베르셀리우스는 원자량이 수소 원자량의 정수배가 아니라는 것을 발견하여, 원소가 수소 원자로 구성된다는 프라우트의 가설을 반증했다.[26]베르셀리우스는 정확한 정량 분석이 이론 체계 확립에 필수적이라고 생각했다.[55] 1813~1814년에 그는 화합물에서 원소의 비율에 대한 장문의 논문을 제출했다.[19][20] 그는 게이뤼삭의 기체 반응의 법칙을 근거로 화합물 속 원소의 구성비를 추정하고, 1828년까지 당시 알려진 43개 원소의 원자량을 2000개 이상의 화합물을 정제·분석하여 결정했다.[55] 이는 돌턴이 구한 값보다 훨씬 정확도가 높았다. 베르셀리우스의 원자량표 개정판은 1826년 그의 ''화학 교과서''의 독일어 번역본에서 처음 출판되었다.[27]
3. 3. 새로운 원소 발견 및 분리
베르셀리우스는 화학 원소인 세륨(1803년)[28], 셀레늄(1817년)[29]을 발견하고 규소(1824년)[30], 토륨(1824년)[31][32], 티타늄, 지르코늄을 최초로 분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6] 베르셀리우스는 플루오르규산칼륨을 칼륨과 가열하여 생성된 규소화칼륨을 물에 넣어 비교적 순수한 규소 분말을 얻었고, 이를 새로운 원소인 규소(실리시움/silicium영어)[34]라고 명명했다.[35]베르셀리우스 연구실에서 일하던 학생들은 리튬, 란타넘, 바나듐도 발견했다.[33] 베르셀리우스는 원소를 전기적으로 음성인 원소와 양성인 원소로 분류하고, 원자는 반대 전하 사이의 전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하여 분자를 형성한다는 전기화학적 이원론을 주장했다.[55] 또한, 화합물 속 원소의 구성비를 추정하고, 2000개 이상의 화합물을 정제·분석하여 당시 알려진 43개 원소의 원자량을 결정했다.[55] 이는 돌턴이 구한 값보다 훨씬 정확했다. 새로운 원소로 셀레늄, 토륨, 세륨을 발견했다. 그리고 탄탈럼, 규소, 지르코늄을 단체로 분리하고, 리튬을 명명했다.
3. 4. 화학 용어 정립
베르셀리우스는 현대의 원소 기호를 만든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55] 라부아지에가 원소의 정의를 내리기 전, 연금술사들은 여러 원소를 발견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했다. 라부아지에는 기하학적인 모양으로, 돌턴은 원 안에 문자나 그림을 넣어 원소를 표현했지만, 많은 원소가 발견되자 돌턴의 방식은 불편해졌다. 베르셀리우스는 원소의 영어나 라틴어 이름 첫 글자를 대문자로, 첫 글자가 같으면 뒤의 글자 중 하나를 소문자로 표기하는 방식을 고안했다. (예: 수소: '''H'''ydrogen → '''H''', 헬륨: '''He'''lium → '''He''')[55] 또한, 원자량을 정밀하게 계산하고, 원자설의 개념을 정확성을 높였다.베르셀리우스는 "촉매작용", "폴리머", "이성질체", "단백질", "동소체" 등의 화학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했다.[37] 그러나 초기 정의는 현대적 용법과 다른 경우가 있었다. 1833년, 그는 동일한 실험식을 가지지만 분자량이 다른 유기 화합물을 설명하기 위해 "폴리머" 용어를 만들었다. 당시 화학 구조 개념이 없었기에, 각 원소의 원자 수만을 고려하여, 포도당(C6H12O6)을 포름알데히드(CH2O)의 폴리머로 보았다.[38][39]
베르셀리우스는 유기 화합물과 무기 화합물을 처음으로 구분했다. 그는 게라르두스 요하네스 뮬더의 유기 화합물 원소 분석을 조언했고, "단백질"이라는 용어를 1838년에 만들었다. 뮬더가 모든 단백질이 같은 실험식을 가진다고 관찰하고, 매우 큰 단일 분자로 구성될 것이라고 결론내린 후였다. "단백질"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최고의"라는 뜻으로, 베르셀리우스는 단백질이 생명체에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제안했다.[40]
1808년, 베르셀리우스는 젖산이 우유뿐만 아니라 근육 조직에도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빌리베르딘"이라는 용어는 1840년 베르셀리우스가 만들었지만, "빌리루빈"(빨간색)보다 "빌리풀빈"(노란색/빨간색)을 선호했다.[41]
베르셀리우스는 원소를 전기적으로 음성, 양성으로 분류하고, 원자는 반대 전하 사이의 전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하여 분자를 형성한다는 전기화학적 이원론을 생각했다. 게이뤼삭의 기체 반응의 법칙을 근거로 화합물 속 원소의 구성비를 추정하고, 1828년까지 알려진 43개 원소의 원자량을 2000개 이상 화합물을 정제·분석하여 결정했다. 이는 돌턴이 구한 값보다 훨씬 정확했다.[55] 그는 정확한 정량 분석이 이론 체계 확립에 필수적이라고 생각했다.
새로운 원소로 셀레늄, 토륨, 세륨을 발견하고, 탄탈럼, 규소, 지르코늄을 단체로 분리하고, 리튬을 명명했다. 원소 기호를 라틴어 또는 그리스어 명칭의 알파벳 머리글자로 표기하는 현재의 방법을 1813년경에 제안해 널리 보급되었다. 화학을 유기화학과 무기화학으로 나누고, 할로겐, 동소체, 이성질체, 유기물, 촉매, 비정질 (Amorphie) 등 화학적으로 중요한 용어와 개념을 만들었다.
카롤린스카 의학 외과 대학 조교 시절부터 스웨덴어 교과서 집필을 계획했다. 대학에서 화학을 가르치기 위해 저술한 『화학 교과서 (Lärbok i Kemien)』 전 6권(1808년~1830년)은 프리드리히 뵐러에 의해 『화학 교과서 (Lehrbuch der Chemie)』 전 5권으로 독일어로 번역되었다. 이 책은 당시 최고 수준의 화학 교과서였다.
4. 전기화학적 이원론
베르셀리우스는 원소를 전기적으로 음성인 원소와 양성인 원소로 분류하고, 원자는 반대 전하 사이의 전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하여 분자를 형성한다는 전기화학적 이원론을 생각했다.[55] 더 나아가, 게이뤼삭의 기체 반응의 법칙을 근거로 화합물 속 원소의 구성비를 추정하고, 1828년까지 당시 알려진 43개의 원소의 원자량을 2000개 이상의 화합물을 정제·분석함으로써 결정했다.[55] 이는 돌턴이 구한 값보다 훨씬 정확도가 높았다. 베르셀리우스는 정확한 정량 분석이 이론 체계 확립에 필수적이라고 생각했다. 새로운 원소로 셀레늄, 토륨, 세륨을 발견했다. 그리고 탄탈럼, 규소, 지르코늄을 단체로 분리하고, 리튬을 명명했다. 또한, 원소 기호를 라틴어 또는 그리스어 명칭의 알파벳 머리글자로 표기하는 현재의 방법을 1813년경에 제안했는데, 이는 곧 널리 보급되었다. 화학을 유기화학과 무기화학의 두 가지로 나누고, 할로겐, 동소체, 이성질체, 유기물, 촉매, 비정질/Amorphie영어 등 화학적으로 중요한 용어와 개념을 창안했다.
4. 1. 전기화학적 이원론의 개념
베르셀리우스는 원소를 전기적으로 음성인 원소와 양성인 원소로 분류하고, 원자는 반대 전하 사이의 전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하여 분자를 형성한다는 전기화학적 이원론을 제시했다.[55] 더 나아가, 게이뤼삭의 기체 반응의 법칙을 근거로 화합물 속 원소의 구성비를 추정하고, 1828년까지 당시 알려진 43개의 원소의 원자량을 2000개 이상의 화합물을 정제·분석함으로써 결정했다.[55] 이는 돌턴이 구한 값보다 훨씬 정확도가 높았다.[55]4. 2. 전기화학적 이원론의 한계
베르셀리우스는 원소를 전기적으로 음성인 원소와 양성인 원소로 분류하고, 원자는 반대 전하 사이의 전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하여 분자를 형성한다는 전기화학적 이원론을 제시했다.[55] 게이뤼삭의 기체 반응의 법칙을 바탕으로 화합물 속 원소의 구성비를 추정하고, 1828년까지 당시 알려진 43개 원소의 원자량을 2000개 이상의 화합물을 정제·분석하여 결정했다.[55] 이는 돌턴이 구한 값보다 훨씬 정확도가 높았다. 베르셀리우스는 정확한 정량 분석이 이론 체계 확립에 필수적이라고 생각했다. 새로운 원소로 셀레늄, 토륨, 세륨을 발견했다. 그리고 탄탈럼, 규소, 지르코늄을 단체로 분리하고, 리튬을 명명했다. 또한, 원소 기호를 라틴어 또는 그리스어 명칭의 알파벳 머리글자로 표기하는 현재의 방법을 1813년경에 제안했는데, 이는 곧 널리 보급되었다. 화학을 유기화학과 무기화학의 두 가지로 나누고, 할로겐, 동소체, 이성질체, 유기물, 촉매, 비정질 (Amorphie) 등 화학적으로 중요한 용어와 개념을 창안했다.5. 생기론 논쟁
베르셀리우스는 1810년에 생명체는 어떤 신비로운 "생기(vital force)"에 의해 작동한다고 주장했는데,[42] 이 가설을 생기론이라고 한다. 생기론은 베르셀리우스 이전의 연구자들에 의해 처음 제기되었지만, 베르셀리우스는 화합물을 합성(생합성)에 생물체가 필요한지(유기화합물) 아니면 필요하지 않은지(무기화합물)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1828년 프리드리히 뵐러는 시안산암모늄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요소라는 유기화합물을 얻었다. 이는 요소와 같은 유기화합물이 생물체에 의해서만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인공적으로 합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베르셀리우스는 요소 합성 결과에 대해 뵐러와 서신을 주고받았다. 그러나 유기화합물의 비생물적 합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생기론에 대한 상당한 반증을 제공할 때까지 생기론이라는 개념은 계속해서 지속되었다.[43][44]
5. 1. 베르셀리우스의 생기론
베르셀리우스는 1810년에 생명체는 어떤 신비로운 "생기(vital force)"에 의해 작동한다고 주장했는데,[42] 이 가설을 생기론이라고 한다. 베르셀리우스는 화합물을 합성(생합성)에 생물체가 필요한지(유기화합물) 아니면 필요하지 않은지(무기화합물)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그러나 1828년 프리드리히 뵐러는 시안산암모늄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요소라는 유기화합물을 얻었다. 베르셀리우스는 요소 합성 결과에 대해 뵐러와 서신을 주고받았다. 그러나 유기화합물의 비생물적 합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생기론에 대한 상당한 반증을 제공할 때까지 생기론이라는 개념은 계속해서 지속되었다.[43][44]
5. 2. 뵐러의 요소 합성과 생기론의 쇠퇴
베르셀리우스는 1810년에 생명체는 어떤 신비로운 "생기(vital force)"에 의해 작동한다는 생기론을 주장했다.[42] 생기론은 베르셀리우스 이전의 연구자들에 의해 처음 제기되었지만, 베르셀리우스는 화합물을 합성(생합성)에 생물체가 필요한지(유기화합물) 아니면 필요하지 않은지(무기화합물)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1828년 프리드리히 뵐러는 시안산암모늄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요소라는 유기화합물을 얻었다. 이는 요소와 같은 유기화합물이 생물체에 의해서만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인공적으로 합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베르셀리우스는 요소 합성 결과에 대해 뵐러와 서신을 주고받았다. 그러나 유기화합물의 비생물적 합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생기론에 대한 상당한 반증을 제공할 때까지 생기론이라는 개념은 계속해서 지속되었다.[43][44]6. 저술 활동 및 교육적 영향
카롤린스카 의학 외과 대학 조교 시절부터 스웨덴어 교과서 집필을 계획했다.[55] 대학에서 화학을 가르치기 위해 저술한 『화학 교과서 (Lärbok i Kemiensv)』 전 6권(1808년~1830년)은 나중에 제자인 프리드리히 뵐러에 의해 『화학 교과서 (Lehrbuch der Chemie)』 전 5권으로 독일어로 번역되었다. 이 책은 프랑스어, 영어, 이탈리아어로도 번역되어 화학의 보급에 기여했다. 이 책은 당시 최고 수준의 화학 교과서였다.
베르셀리우스는 원소를 전기적으로 음성인 원소와 양성인 원소로 분류하고, 원자는 반대 전하 사이의 전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하여 분자를 형성한다는 전기화학적 이원론을 생각했다.[55] 더 나아가, 게이뤼삭의 기체 반응의 법칙을 근거로 화합물 속 원소의 구성비를 추정하고, 1828년까지 당시 알려진 43개의 원소의 원자량을 2000개 이상의 화합물을 정제·분석함으로써 결정했다.[55] 이는 돌턴이 구한 값보다 훨씬 정확도가 높았다. 베르셀리우스는 정확한 정량 분석이 이론 체계 확립에 필수적이라고 생각했다. 새로운 원소로 셀레늄, 토륨, 세륨을 발견했다. 그리고 탄탈럼, 규소, 지르코늄을 단체로 분리하고, 리튬을 명명했다. 또한, 원소 기호를 라틴어 또는 그리스어 명칭의 알파벳 머리글자로 표기하는 현재의 방법을 1813년경에 제안했는데, 이는 곧 널리 보급되었다. 화학을 유기화학과 무기화학의 두 가지로 나누고, 할로겐, 동소체, 이성질체, 유기물, 촉매, 비정질 (Amorphie) 등 화학적으로 중요한 용어와 개념을 창안했다.
6. 1. 화학 교과서 (Lärbok i Kemien)
카롤린스카 의학 외과 대학 조교 시절부터 스웨덴어 교과서 집필을 계획했다.[55] 대학에서 화학을 가르치기 위해 저술한 『화학 교과서 (Lärbok i Kemien)』 전 6권(1808년~1830년)은 프리드리히 뵐러에 의해 『화학 교과서 (Lehrbuch der Chemie)』 전 5권으로 독일어로 번역되었다. 이 책은 프랑스어, 영어, 이탈리아어로도 번역되어 화학 보급에 기여했으며, 당시 최고 수준의 화학 교과서였다. 베르셀리우스는 이 책에서 원소를 전기적으로 음성인 원소와 양성인 원소로 분류하고, 원자는 반대 전하 사이의 전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하여 분자를 형성한다는 전기화학적 이원론을 제시했다.[55] 또한 게이뤼삭의 기체 반응의 법칙을 근거로 화합물 속 원소의 구성비를 추정하고, 1828년까지 당시 알려진 43개의 원소의 원자량을 2000개 이상의 화합물을 정제·분석함으로써 결정했다. 이는 돌턴이 구한 값보다 훨씬 정확도가 높았다. 베르셀리우스는 정확한 정량 분석이 이론 체계 확립에 필수적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새로운 원소로 셀레늄, 토륨, 세륨을 발견했다. 그리고 탄탈럼, 규소, 지르코늄을 단체로 분리하고, 리튬을 명명했다. 또한, 원소 기호를 라틴어 또는 그리스어 명칭의 알파벳 머리글자로 표기하는 현재의 방법을 1813년경에 제안했는데, 이는 곧 널리 보급되었다. 화학을 유기화학과 무기화학의 두 가지로 나누고, 할로겐, 동소체, 이성질체, 유기물, 촉매, 비정질 (Amorphie) 등 화학적으로 중요한 용어와 개념을 창안했다.6. 2. 기타 저술 활동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는 카롤린스카 의학 외과 대학 조교 시절부터 스웨덴어 교과서 집필을 계획했다. 대학에서 화학을 가르치기 위해 저술한 『화학 교과서 (Lärbok i Kemien)』 전 6권(1808년~1830년)은 나중에 제자인 프리드리히 뵐러에 의해 『화학 교과서 (Lehrbuch der Chemie)』 전 5권으로 독일어로 번역되었다. 이 책은 당시 최고 수준의 화학 교과서였다. 프랑스어, 영어, 이탈리아어로도 번역되어 화학의 보급에 기여했다.1818년에는 "Tabell, som utvisar vigten af större delen vid den oorganiska Kemiens studium märkvärdiga enkla och sammansatta kroppars atomer, jemte deras sammansättning, räknad i procent"를 출판했다. 베르셀리우스는 원소를 전기적으로 음성인 원소와 양성인 원소로 분류하고, 원자는 반대 전하 사이의 전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하여 분자를 형성한다는 전기화학적 이원론을 생각했다.[55] 게이뤼삭의 기체 반응의 법칙을 근거로 화합물 속 원소의 구성비를 추정하고, 1828년까지 당시 알려진 43개의 원소의 원자량을 2000개 이상의 화합물을 정제·분석함으로써 결정했다.[55]
그는 1893년에는 유스투스 폰 리비히 와의 서신 교환 내용을, 1900년에는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히 쇤바인과의 서신 교환 내용을 책으로 출판했다. 1903년에는 자서전적 기록을 출판했다.
7. 과학계와의 교류
베르셀리우스는 게라르두스 요하네스 멀더, 클로드 루이 베르톨레, 험프리 데이비, 프리드리히 뵐러, 아이하르트 미처리히 그리고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히 쇤바인 등과 활발하게 서신을 교환했다.
1812년, 베르셀리우스는 영국 런던을 여행했는데, 그리니치를 포함한 여러 곳을 방문하여 당시 저명한 영국 과학자들을 만났다. 여기에는 화학자 험프리 데이비, 화학자 윌리엄 워러스트, 의학과학자 토머스 영,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 화학자 스미스손 테넌트, 그리고 발명가 제임스 와트 등이 포함되었다. 베르셀리우스는 또한 데이비의 실험실도 방문했다. 데이비의 실험실 방문 후, 베르셀리우스는 "깔끔한 실험실은 게으른 화학자의 표시다."라고 말했다.[45]
1810년 험프리 데이비는 염소가 원소라고 주장했다. 베르셀리우스는 모든 산은 산소를 기반으로 한다는 자신의 믿음 때문에 이 주장을 거부했다. 염소는 강산(염산, 현대 화학식 HCl)을 형성하기 때문에, 염소는 산소를 포함해야 하며 따라서 원소가 될 수 없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1812년, 베르나르 쿠르투아는 요오드가 원소임을 증명했다. 그 후 1816년 조제프 루이 게이뤼삭은 청산(시안화수소)에는 수소, 탄소, 질소만 포함되어 있고 산소는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보였다. 이러한 발견들은 베르셀리우스가 모든 산이 산소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데이비와 게이뤼삭이 옳았다는 것을 납득하게 만들었다. 즉, 염소와 요오드는 실제로 원소였다.
7. 1. 험프리 데이비와의 관계
베르셀리우스는 게라르두스 요하네스 멀더, 클로드 루이 베르톨레, 험프리 데이비, 프리드리히 뵐러, 아이하르트 미처리히,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히 쇤바인 등 당대 저명한 과학자들과 활발하게 서신을 교환했다.[45] 1812년 영국 런던을 여행하며 그리니치 등지를 방문, 데이비를 비롯한 여러 과학자들을 만났고, 데이비의 실험실을 방문한 후에는 "깔끔한 실험실은 게으른 화학자의 표시다."라고 언급했다.[45]1810년 험프리 데이비는 염소가 원소라고 주장했으나, 베르셀리우스는 모든 산이 산소를 기반으로 한다는 자신의 믿음 때문에 이 주장을 처음에는 거부했다. 염소가 강산(염산, 현대 화학식 HCl)을 형성하기 때문에, 염소는 산소를 포함해야 하며 따라서 원소가 될 수 없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45] 그러나 베르나르 쿠르투아가 요오드가 원소임을 증명하고, 조제프 루이 게이뤼삭이 청산(시안화수소)에 산소가 없음을 보이면서, 베르셀리우스는 자신의 오류를 인정하고 염소와 요오드가 원소라는 데이비의 주장이 옳았음을 인정하게 되었다.
7. 2. 기타 과학자들과의 교류
베르셀리우스는 게라르두스 요하네스 멀더, 클로드 루이 베르톨레, 험프리 데이비, 프리드리히 뵐러, 아이하르트 미처리히,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히 쇤바인 등 당대의 저명한 과학자들과 활발하게 서신을 교환했다.[45]1812년 런던을 여행하면서 그리니치 등 여러 곳을 방문하여 험프리 데이비, 윌리엄 워러스트, 토머스 영, 윌리엄 허셜, 스미스손 테넌트, 제임스 와트 등 저명한 영국 과학자들을 만났고, 데이비의 실험실도 방문했다. 데이비의 실험실 방문 후, 베르셀리우스는 "깔끔한 실험실은 게으른 화학자의 표시다."라고 말했다.[45]
1810년 험프리 데이비는 염소가 원소라고 주장했으나, 베르셀리우스는 모든 산은 산소를 기반으로 한다는 자신의 믿음 때문에 이 주장을 거부했다. 염소는 강산(염산, 현대 화학식 HCl)을 형성하기 때문에, 염소는 산소를 포함해야 하며 따라서 원소가 될 수 없다는 것이었다.[45] 그러나 1812년, 베르나르 쿠르투아는 요오드가 원소임을 증명했다. 그 후 1816년 조제프 루이 게이뤼삭은 청산(시안화수소)에는 수소, 탄소, 질소만 포함되어 있고 산소는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보였다. 이러한 발견들은 베르셀리우스가 모든 산이 산소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데이비와 게이뤼삭이 옳았다는 것을 납득하게 만들었다. 즉, 염소와 요오드는 실제로 원소였다.
8. 사회 활동
베르셀리우스는 절주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837년 벵트 프랑크-스파레, 아우구스트 폰 하르트만스도르프, 안데르스 레치우스, 새뮤얼 오웬, 조지 스콧 등과 함께 스벤스카 뉘크테르헤트셀스카페트(스웨덴 절주 협회)를 설립하고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16] 베르셀리우스는 카를 아프 에켄스탐의 절주 관련 저서 서문을 썼으며, 이 책은 5만 부가 인쇄되었다.[17]
9. 평가 및 유산
1818년 베르셀리우스는 카를 14세 요한 국왕에 의해 귀족 작위를 받았으며, 1835년에는 프리헤레 작위를 받았다.[46] 1820년에는 미국철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47]
런던 왕립학회는 1836년 베르젤리우스에게 "그의 《새로운 광물학 체계》(Nouveau Systeme de Mineralogie) 및 다른 저서들에 담긴, 광물 분석에 대한 일정 비율 이론의 체계적인 적용"이라는 업적으로 코플리 메달을 수여했다. 1840년 베르젤리우스는 레오폴드 훈장 기사 작위를 받았다.[48] 1842년에는 과학 및 예술 분야의 푸르 르 메리트 훈장을 받았다.[49]
1850년에 발견된 셀렌화구리 광물인 베르젤리아나이트는 제임스 드와이트 다나에 의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0][51]
1852년 스웨덴 스톡홀름은 베르젤리우스를 기리기 위해 공원과 동상을 건립했다. 그의 모교인 카테드랄스콜란 옆에 위치한 학교인 베르젤리우스스콜란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890년 예테보리의 거리 이름이 그의 명예를 기리기 위해 베르젤리이가탄(Berzeliigatan, 베르젤리우스 거리)으로 명명되었다.
1898년 스웨덴 과학 아카데미는 베르젤리우스 박물관을 개관했다. 박물관 소장품에는 그의 실험실의 많은 물품들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베르젤리우스 사후 50주년을 기념하여 개관하였다. 이 행사에는 11개 유럽 국가와 미국의 과학계 주요 인사들이 초청되었고, 그중 많은 사람들이 베르젤리우스를 기리는 공식 연설을 했다.[52] 베르젤리우스 박물관은 나중에 스웨덴 과학 아카데미의 일부인 천문대(관측소)로 이전되었다.[7]
1939년 그의 초상화는 스웨덴 과학 아카데미 창립 200주년을 기념하는 우표 시리즈에 등장했다.[53] 스웨덴 외에도 그레나다도 그를 기렸다.[11]
예일 대학교의 베르젤리우스 비밀결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9. 1. 훈장 및 서훈
1818년 베르젤리우스는 카를 14세 요한 국왕에 의해 귀족 작위를 받았으며, 1835년에는 프리헤레 작위를 받았다.[46] 1820년에는 미국철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47]런던 왕립학회는 1836년 베르젤리우스에게 "그의 《새로운 광물학 체계》(Nouveau Systeme de Mineralogie) 및 다른 저서들에 담긴, 광물 분석에 대한 일정 비율 이론의 체계적인 적용"이라는 업적으로 코플리 메달을 수여했다. 1840년 베르젤리우스는 레오폴드 훈장 기사 작위를 받았다.[48] 1842년에는 과학 및 예술 분야의 푸르 르 메리트 훈장을 받았다.[49]
1850년에 발견된 셀렌화구리 광물인 베르젤리아나이트는 제임스 드와이트 다나에 의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0][51]
1852년 스웨덴 스톡홀름은 베르젤리우스를 기리기 위해 공원과 동상을 건립했다. 그의 모교인 카테드랄스콜란 옆에 위치한 학교인 베르젤리우스스콜란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890년 예테보리의 거리 이름이 그의 명예를 기리기 위해 베르젤리이가탄(Berzeliigatan, 베르젤리우스 거리)으로 명명되었다.
1898년 스웨덴 과학 아카데미는 베르젤리우스 박물관을 개관했다. 박물관 소장품에는 그의 실험실의 많은 물품들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베르젤리우스 사후 50주년을 기념하여 개관하였다. 이 행사에는 11개 유럽 국가와 미국의 과학계 주요 인사들이 초청되었고, 그중 많은 사람들이 베르젤리우스를 기리는 공식 연설을 했다.[52] 베르젤리우스 박물관은 나중에 스웨덴 과학 아카데미의 일부인 천문대(관측소)로 이전되었다.[7]
1939년 그의 초상화는 스웨덴 과학 아카데미 창립 200주년을 기념하는 우표 시리즈에 등장했다.[53] 스웨덴 외에도 그레나다도 그를 기렸다.[11]
예일 대학교의 베르젤리우스 비밀결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9. 2. 현대 화학에 미치는 영향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는 1818년 카를 14세 요한 국왕에 의해 귀족 작위를 받았으며, 1835년에는 프리헤레 작위를 받았다.[46] 1820년에는 미국철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47]런던 왕립학회는 1836년 베르젤리우스에게 "그의 《새로운 광물학 체계》(Nouveau Systeme de Mineralogie) 및 다른 저서들에 담긴, 광물 분석에 대한 일정 비율 이론의 체계적인 적용"이라는 업적으로 코플리 메달을 수여했다. 1840년에는 레오폴드 훈장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48] 1842년에는 과학 및 예술 분야의 푸르 르 메리트 훈장을 받았다.[49]
1850년에 발견된 셀렌화구리 광물 베르젤리아나이트는 제임스 드와이트 다나에 의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0][51] 1852년 스웨덴 스톡홀름은 베르젤리우스를 기리기 위해 공원과 동상을 건립했다. 그의 모교인 카테드랄스콜란 옆에 위치한 학교인 베르젤리우스스콜란과 예테보리의 베르젤리이가탄(Berzeliigatan, 베르젤리우스 거리)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898년 스웨덴 과학 아카데미는 베르젤리우스 박물관을 개관하여 그의 실험실 물품 등을 소장하였다. 박물관은 베르젤리우스 사후 50주년을 기념하여 개관하였으며, 11개 유럽 국가와 미국의 과학계 주요 인사들이 초청되어 베르젤리우스를 기리는 연설을 했다.[52] 베르젤리우스 박물관은 나중에 스웨덴 과학 아카데미의 일부인 천문대(관측소)로 이전되었다.[7]
1939년 그의 초상화는 스웨덴 과학 아카데미 창립 200주년을 기념하는 우표 시리즈에 등장했다.[53] 스웨덴 외에도 그레나다도 그를 기렸다.[11] 예일 대학교의 베르젤리우스 비밀결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참조
[1]
비디오
KI:s grundare Jöns Jacob Berzelius
https://youtube.com/[...]
Karolinska Institute
2013-09-09
[2]
서적
Structural integrity assessment: examples and case studies
Elsevier
2023
[3]
백과사전
Jöns Jacob Berzelius
http://www.britannic[...]
2008-08-03
[4]
웹사이트
Svenska akademien, ledamotsregister (Swedish Akademy, register of members)
https://www.svenskaa[...]
2020-11-19
[5]
웹사이트
Jöns Jacob Berzelius
https://www.britanni[...]
2023-11-03
[6]
웹사이트
Jons Jacob Berzelius – discoverer of thorium&cerium elements
https://www.worldofc[...]
World of Chemicals
[7]
웹사이트
Rediscovery of the Elements: Jöns Jacob Berzelius
http://www.chem.unt.[...]
University of North Texas Department of Chemistry
[8]
웹사이트
Jöns Jakob Berzelius
https://www.scienceh[...]
Science History Institute
2016-06
[9]
서적
Jakob Berzelius: Selbstbiographische Aufzeichnungen
Forgotten Books
2016-06-23
[10]
웹사이트
Jacob Berzelius
https://www.famoussc[...]
Famous Scientists
[11]
학술지
Jöns Jacob Berzelius – A Father of Chemistry
https://www.mayoclin[...]
2018-05
[12]
웹사이트
Karolinska Institutet 200 År – 1810–2010
http://issuu.com/kar[...]
2010-10-20
[13]
웹사이트
KVA och Berzelius
http://www.center.kv[...]
[14]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B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15]
웹사이트
Jöns Jacob Berzelius (1779–1848)
http://www.dwc.knaw.[...]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16]
서적
Nordisk familjebok
[17]
서적
1800-talets mediesystem
Kungliga biblioteket
[18]
백과사전
Berzelius, Johan Jakob, Baron
[19]
학술지
Essay on the Cause of Chemical Proportions, and on some Circumstances relating to them: together with a short and easy Method of expressing them. I. On the Relation between Berthollet's Theory of Affinities and the Laws of Chemical Proportions. II. On the Cause of Chemical Proportions
https://books.google[...]
1813
[20]
학술지
Essay on the Cause of Chemical Proportions, and on some Circumstances relating to them: together with a short and easy Method of expressing them. I. On the Relation between Berthollet's Theory of Affinities and the Laws of Chemical Proportions. II. On the Cause of Chemical Proportions
https://www.biodiver[...]
1813
[21]
학술지
Essay on the Cause of Chemical Proportions, and on some Circumstances relating to them: together with a short and easy Method of expressing them. III. On the Chemical Signs, and the Method of Employing them to Express Chemical Proportions. IV. Weight of elementary Volumes compared with that of Oxygen Gas
https://books.google[...]
1814a
[22]
학술지
Essay on the Cause of Chemical Proportions, and on some Circumstances relating to them: together with a short and easy Method of expressing them. III. On the Chemical Signs, and the Method of Employing them to Express Chemical Proportions. IV. Weight of elementary Volumes compared with that of Oxygen Gas
https://www.biodiver[...]
1814b
[23]
학술지
Essay on the Cause of Chemical Proportions, and on some Circumstances relating to them: together with a short and easy Method of expressing them. IV. Weight of elementary Volumes compared with that of Oxygen Gas (Comparative Table of the Specific Weights of Elementary Bodies.)
https://books.google[...]
1814c
[24]
학술지
Essay on the Cause of Chemical Proportions, and on some Circumstances relating to them: together with a short and easy Method of expressing them. IV. Weight of elementary Volumes compared with that of Oxygen Gas (Comparative Table of the Specific Weights of Elementary Bodies.)
https://www.biodiver[...]
1814d
[25]
학술지
Essay on the Cause of Chemical Proportions, and on some Circumstances relating to them: together with a short and easy Method of expressing them. III. On the Chemical Signs, and the Method of Employing them to Express Chemical Proportions. IV. Weight of elementary Volumes compared with that of Oxygen Gas (Comparative Table of the Specific Weights of Elementary Bodies.)
https://web.lemoyne.[...]
1814e
[26]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History of Modern Sc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27]
백과사전
Jöns Jacob Berzelius Swedish chemist
https://www.britanni[...]
[28]
웹사이트
Cerium
https://www.rsc.org/[...]
[29]
웹사이트
Selenium
https://www.rsc.org/[...]
[30]
웹사이트
Silicon
https://www.rsc.org/[...]
[31]
웹사이트
Thorium
https://www.rsc.org/[...]
[32]
학술지
Jöns Jakob Berzelius (1779–1848)
1948
[33]
웹사이트
Jons Jacob Berzelius
http://www.brooklyn.[...]
City University of New York
[34]
학술지
On the mode of obtaining silicium, and on the characters and properties of that substance
https://zenodo.org/r[...]
1825
[35]
웹사이트
Silicon
http://www.wordorigi[...]
[36]
웹사이트
Zirconium
https://www.rsc.org/[...]
2020-01-01
[37]
일반텍스트
[38]
논문
The Origin of the Polymer Concept
2008
[39]
서적
Hierarchical Macromolecular Structures: 60 Years after the Staudinger Nobel Prize I
Springer
2014
[40]
웹사이트
Searching for protein composition and function
https://bioinformati[...]
2019-12-30
[41]
서적
International Symposium on Chemistry and Physiology of Bile Pigments
https://books.google[...]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Public Health Servic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1977
[42]
서적
New Beer in an Old Bottle. Eduard Buchner and the Growth of Biochemical Knowledge
https://books.google[...]
Universitat de València
[43]
논문
History of Clinical Chemistry
2002
[44]
서적
The Quiet Revolution: Hermann Kolbe and the Science of Organic Chemistry
https://books.google[...]
1993
[45]
논문
Sir Humphry Davy: Natural Philosopher, Discoverer, Inventor, Poet, and Man of Action
2013
[46]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Scientists
A. & C. Black
1969
[47]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4-05
[48]
일반텍스트
[49]
서적
Die Mitglieder des Ordens. 1 1842–1881.
https://web.archive.[...]
Gebr. Mann Verlag
1975
[50]
웹사이트
Handbook of mineralogy Berzelianite
http://www.handbooko[...]
[51]
웹사이트
Berzelianite: Berzelianite mineral information and data.
http://www.mindat.or[...]
2016-10-23
[52]
서적
Jac. Berzelius: His Life and Work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0
[53]
웹사이트
Sweden – Circa 1939: stamp printed by Sweden, shows Jons Jakob Berzelius
https://www.123rf.co[...]
123RF
2019-12-26
[54]
일반텍스트
[55]
일반텍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