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분석화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석화학은 물질의 조성, 구조, 성질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화학의 한 분야이다. 화학의 초기부터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유스투스 폰 리비히의 원소 분석 개발 등 1900년 이전에도 중요한 발전이 있었다. 20세기 들어 기기 분석이 발전하면서 분광학, 질량 분석법, 분리 분석, 전기화학, 현미경 등 다양한 분석 방법이 개발되었다. 분석 대상에 따라 생분석, 재료분석, 화학분석, 환경분석, 법과학 등으로 분류되며, Lab On A Chip과 같은 새로운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분석화학은 노벨상 수상 업적을 통해 그 중요성을 인정받았으며, 현재 한국에서도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 역량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분석화학 - 도가니
    도가니는 금속이나 기타 물질을 고온에서 가열, 용융, 정련하는 데 사용되는 용기로, 기원전 6~5천년경에 등장하여 구리 제련에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제작되어 화학 분석, 금속 제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분석화학 - 미량 원소
    미량 원소는 지구과학에서 지각 내 극미량 원소를, 생물학에서 생명 활동에 필수적이나 함량이 적은 원소를 뜻하며, 두 분야의 정의는 다르나 극소량으로 존재하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공통점이 있고, 생물학적으로는 철보다 함량이 적은 원소를 지칭하며, 인체 필수 미량 원소 결핍 및 과다 섭취는 건강 문제를 야기하므로 적정량 섭취가 중요하다.
분석화학
분석 화학
학문 분야화학
하위 분야정성 분석
정량 분석
분석 방법
분리 방법분별 결정
추출
증류
침전
승화
크로마토그래피
전기 영동
장 흐름 분리
분석 방법적정
중량 분석법
열 분석
분광법
전기화학
질량 분석법
방사 화학 분석
현미경

2. 역사

분석화학은 화학의 초기부터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어떤 물질에 어떤 원소와 화학 물질이 존재하는지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해 왔다. 이 기간 동안 분석화학에 대한 중요한 공헌으로는 유스투스 폰 리비히의 체계적인 원소 분석 개발과 작용기의 특정 반응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유기 분석이 포함된다.

구스타프 키르히호프(왼쪽)와 로베르트 분젠(오른쪽)


최초의 기기 분석은 로베르트 분젠구스타프 키르히호프가 1860년에 루비듐세슘을 발견하면서 개발한 불꽃 방출 분광법이었다.[4]

19세기 전반에 마이클 패러데이 등에 의해 전기 분해 연구가 진행되면서 많은 원소가 단체로 얻어졌다. 19세기 후반에는 분젠과 키르히호프에 의해 분광법이 발전하여 스펙트럼으로부터 화학 분석이 가능해졌다. 1849년에는 루이 파스퇴르가 주석산 연구를 통해 키랄성을 발견했다.

1900년 이후 분석화학의 주요 발전이 이루어졌다. 이 기간 동안 기기 분석은 이 분야에서 점차적으로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특히 많은 기본적인 분광 및 분광 분석 기술은 20세기 초에 발견되어 20세기 후반에 정제되었다.[5]

분리 과학은 유사한 발전 시기를 따르며 고성능 기기로 점점 더 변모되었다.[6] 1970년대에는 이러한 기술 중 많은 기술이 혼합 기술로 함께 사용되기 시작하여 샘플의 완벽한 특성 분석을 달성하였다.

1970년대부터 분석화학은 생물학적 질문(생체분석화학)을 점진적으로 더 많이 포함하게 되었는데, 이전에는 주로 무기물이나 저분자에 중점을 두었다. 레이저는 점점 더 많은 탐침으로 사용되었고 심지어 다양한 반응을 시작하고 영향을 미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20세기 후반에는 다소 학문적인 화학적 질문에서 법과학, 환경화학, 화학 산업 및 임상 화학적 질문(예: 조직학)으로 분석화학의 응용이 확장되었다.[7]

1895년에 빌헬름 뢴트겐이 X선을, 1896년 전후에 빌헬름 비엔이 질량 분석법의 원리를, 1906년미하일 츠베트크로마토그래피의 원리를 각각 발견하였고, 이들은 분석 화학에 응용되었다. 1913년에는 브래그 부자가 X선 회절을 확립하여 결정 구조 분석도 활발해졌다.

1925년 루이 드 브로이에 의해 전자의 파동성이 제창되면서, 이 개념에 기초하여 1931년에 어니스트 러스카와 막스 크놀에 의해 전자 현미경이 발명되었고, 현재에도 극미세 구조 관찰 방법으로 없어서는 안 될 주사 전자 현미경과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발전하였다.

1938년에는 이시도르 아이작 라비가 핵자기 공명을 발견하고, 펠릭스 블로흐 등에 의한 개량을 거쳐 핵자기 공명 분광법이 개발되어 유기 화학에 없어서는 안 될 분석법으로 발전하였다.

1982년에는 게르트 비니히 등에 의해 주사 터널링 현미경이 발명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원자간력 현미경을 비롯한 많은 주사 프로브 현미경이 개발되어 오늘날 나노 기술의 발전을 뒷받침하는 중요 기술이 되었다.

현대 분석화학은 기기 분석이 주를 이룬다. 많은 분석 화학자들은 단일 유형의 기기에 집중한다. 학계는 새로운 응용 및 발견이나 새로운 분석 방법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2. 1. 한국의 분석화학 발전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의 분석화학 발전'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3. 분류

분석화학은 크게 분석 대상과 분석 방법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는 정성 분석과 정량 분석으로 나누어 왔다. 정성 분석은 그 양을 분석하지 않고 원소 번호나 화학 구성물을 알아내는 것을 말하며, 정량 분석은 그 구성 성분의 양을 알아내는 분석이다.

오늘날에는 분석화학을 분석 대상과 분석 방법, 두 가지 관점에서 나눈다.

이 정성 분석에서 구리의 존재는 푸른빛을 띤 녹색 불꽃 색깔로 나타난다.


현대 분석 화학은 정교한 기기 분석이 주를 이루지만, 분석 화학의 기초와 현대 기기에서 사용되는 원리 중 일부는 전통적인 기법에서 유래했으며, 그중 많은 기법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법들은 또한 대부분의 학부 분석 화학 교육 실험의 기반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정성 분석은 특정 화합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지만, 질량이나 농도는 측정하지 않는다. 정의상 정성 분석은 양을 측정하지 않는다.

수많은 정성 화학 시험법이 있는데, 예를 들어 금에 대한 산 시험과 혈흔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카슬-마이어 시험이 있다.

자극과 반응 측정을 보여주는 기기 분석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

3. 1. 분석 대상에 따른 분류

분석화학은 분석 대상에 따라 생분석, 재료분석, 화학분석, 환경분석, 법의학 등으로 나뉜다.

  • 생분석: 생체 내 물질(핵산,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등)을 분석하며, 유전체학(Genomics), 단백질체학(Proteomics) 등으로 세분화된다.
  • 재료분석: 반도체 및 나노기술 발전에 따라 미세 구조, 조성, 격자 구조 등을 분석한다.
  • 화학분석: 유기/무기 화합물의 화학 구조와 양을 분석하며, 습식/기기 분석법을 사용한다.
  • 환경분석: 대기, 수질, 토양 내 오염 물질을 분석하며, 미국 환경청(EPA)의 시험 방법을 표준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 법의학: 국립과학수사연구소나 CSI과학수사대에서처럼 범죄 수사나 친자 확인 등 법적 문제와 관련된 분석을 수행한다.

3. 1. 1. 생분석

생분석화학은 생체 내의 핵산,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등의 정보를 정성·정량적으로 분석하는 학문이다. 분석화학 분야 중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분야이다. 특히 인간 게놈 프로젝트 등을 진행하면서 시작된 유전체학(Genomics)을 시작으로, 생분석화학은 그 분석 분야에 따라서 OMICS라는 이름을 붙여서 그 분야를 나누고 있다. 생분석 분야는 많은 경우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과 깊게 연관되어 발전하고 있다.

  • 염기서열분석: Genomics (Genomics)
  • 단백질 분석: Proteomics (Proteomics)
  • mRNA 분석: Transcriptomics (Transcriptomics)
  • 대사물질 분석: Metabolomics (Metabolomics)

3. 1. 2. 재료분석

반도체 산업과 나노 과학의 발달로 인해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는 분야이다. 투과 전자 현미경(TEM)과 주사 전자 현미경(SEM)을 비롯한 XRD, AES, XPS, SIMS 등의 장비가 주로 이용되며 미세 구조와 조성 그리고 격자 구조 등을 알아내는 분야이다.[24] 전자 현미경 및 주사 탐침 현미경을 통해 과학자들은 화학적 특성 분석과 함께 원자 구조를 시각화할 수 있다.

3. 1. 3. 화학분석

유기화학이나 무기화학으로 합성한 물질의 화학 구조와 그 양을 알아보는 방법으로, 습식분석적 방법과 기기 분석적 방법으로 정성 및 정량 분석을 하는 것을 말한다. 분석화학은 산업 전반에 걸쳐 매우 중요한 도구 역할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시료 분석, 식품 분석 등 생활 환경에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순수 화학이라기보다는 응용 화학에 가깝다.

수많은 정성 화학 시험법이 있는데, 예를 들어 금에 대한 산 시험과 혈흔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카슬-마이어 시험이 있다.

적정은 분석 대상 용액의 정확한 부피에 측정 가능한 반응물을 특정 당량점에 도달할 때까지 서서히 첨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는 분석 대상 물질의 농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여러 가지 기법 중 하나이다.[8] 적정을 반 당량점 또는 종말점에 정확하게 도달하도록 하면 화학자는 사용된 몰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적정제의 농도 또는 조성을 파악할 수 있다. 중등 교육 과정에서 화학을 공부한 사람들에게 가장 익숙한 것은 페놀프탈레인과 같은 색 변화 지시약을 포함하는 산-염기 적정일 것이다. 전위차 적정 또는 침전 적정과 같이 다른 많은 유형의 적정도 존재한다. 화학자는 적정제의 다양한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매 방울마다 pH를 체계적으로 테스트하여 적정 곡선을 생성하기도 한다.

3. 1. 4. 환경분석

환경분석화학은 대기, 수질, 토양 등에 포함된 원소 및 유기 물질의 양을 파악하는 분야이다. 환경 분석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정해진 방법에 따라 분석하도록 권장된다. 특히 미국 환경청(EPA)가 정한 시험방법을 표준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24]

3. 1. 5. 법의학

국립과학수사연구소나 미국 TV 프로그램인 CSI과학수사대 등을 통해서 일반인에게 널리 알려진 분석화학의 한 분야로, 범죄 수사를 하거나 친자 확인 등의 법정 소송과 관련된 분석화학을 총괄적으로 일컫는다.

분석화학은 법과학 등 다양한 실용적인 응용 분야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25] 컴퓨터 자동화 및 정보 기술의 발전은 분석화학을 여러 새로운 생물학적 분야로 확장했는데, 자동화된 DNA 시퀀싱 기계는 인간 게놈 프로젝트를 완료하는 기반이 되었고, 이는 유전체학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질량 분광법에 의한 단백질 식별 및 펩티드 시퀀싱은 프로테오믹스라는 새로운 분야를 열었다.[26]

3. 2. 분석 방법에 따른 분류

분석화학에서 분석 방법은 크게 분광학적 분석법, 질량 분석법, 분리 분석, 결정학적 분석법, 전기화학, 현미경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분광학적 분석법: 물질과 빛의 상호작용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원자흡수 분광법,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 적외선 분광법, 핵자기 공명 분광법 등이 있다. 19세기 후반 로베르트 분젠구스타프 키르히호프에 의해 분광법이 발전하면서 스펙트럼을 이용한 화학 분석이 가능해졌다.
  • 질량 분석법: 시료를 이온화시켜 질량 대 전하 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전자 이온화, 화학적 이온화, 매트릭스 보조 레이저 탈착 이온화법 등 다양한 이온화 방식이 사용된다. 1896년 전후 빌헬름 비엔이 질량 분석법의 원리를 발견하였다.
  • 분리 분석: 혼합물을 각 성분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크로마토그래피, 전기영동 등이 있다. 1906년 미하일 츠베트크로마토그래피의 원리를 발견하여 분석 화학에 응용되었다.
  • 결정학적 분석법: X선 결정학, 전자빔 결정학 등이 있다. 1913년 브래그 부자가 X선 회절을 확립하여 결정 구조 분석이 활발해졌다.
  • 전기화학: 전기화학 전지에서 전위(볼트) 및/또는 전류(암페어)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전위차법, 쿠론법, 암페로메트리, 볼탐메트리 등으로 분류된다.
  • 현미경: 광학 현미경, 전자 현미경, 주사 탐침 현미경 등으로 분류된다. 1931년 어니스트 러스카와 막스 크놀이 전자 현미경을 발명하였고, 1982년 게르트 비니히 등이 주사 터널링 현미경을 발명하였다.


이 외에도, 여러 분석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하이픈 기법도 활용된다. 예를 들어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 등이 있다.

3. 2. 1. 분광학적 분석법

물질과 빛(전자기파)의 상호작용을 이용하는 분석법이다. 분광법에는 원자흡수 분광법, 원자 방출 분광법,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 X선 분광법, 형광 분광법, 적외선 분광법, 라만 분광법, 이중 편광 간섭법, 핵자기 공명 분광법, 광전자 분광법, 뫼스바우어 분광법 등 많은 다양한 응용 분야가 있다.[8]

  • 핵자기 공명법 (NMR)
  • 적외선 분광법 (IR)
  • 라만 분광법
  • X-선 분광법 (XRF)
  •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 (UV-Vis)
  • 근적외선 분광법 (NIR)
  • Auger 전자분광법 (AES)
  • X-선 광전자분광법 (XPS)
  • 원소분광법 (AAS)
  • 유도플라즈마분광법 (ICP-AES)

3. 2. 2. 질량 분석법

질량 분석법은 시료를 이온화시켜 질량 대 전하 비를 측정하는 분석 방법이다.[8] 이온화 방식과 검출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 이온화 방식에 따른 분류
  • * 전자 이온화 (Electron Impact: EI)
  • * 화학적 이온화 (Chemical Ionization: CI)
  • * 전자 분무 이온화 (Electrospray Ionization: ESI)
  • * 매트릭스 보조 레이저 탈착 이온화법 (MALDI)
  • * 2차 이온화법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 SIMS)
  • * 유도플라즈마이온화법 (Inductivly Coupled Plasma: ICP)

  • 검출 방식에 따른 분류
  • * Magnetic Sector (자기장에 의한 분리)
  • * Quadrupole (전기장에 의한 분리)
  • * Ion Trap (원형 전기장에 의한 분리)
  • * Time Of Flight (비행시간형 질량분석법)
  • * Fourier Transform (강한 자기장에 의하여 회전하는 이온의 분자량을 푸리에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는 방법)
  • 질량분석현미경 (Mass Spectral Imaging)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 및 기타 분석에 사용되는 가속기 질량 분석기

3. 2. 3. 분리 분석

분리 분석은 혼합물을 각 성분으로 분리하는 분석법이다.[8] 크로마토그래피(기체, 액체, 초임계 유체, 평판), 모세관 전기 영동, 겔 전기 영동 등이 있다.

크로마토그래피는 혼합물의 서로 다른 성분들이 고정상에 흡착되거나 이동상에 용해되는 경향이 다르기 때문에 시료 내 물질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혼합물의 서로 다른 성분들은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하며, 각 성분은 물질의 이동 거리와 용매 전선의 이동 거리의 비인 R''ƒ'' 값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기 분석법과 함께 크로마토그래피는 물질의 정량적 결정에 사용될 수 있다. 크로마토그래피는 분석물질을 시료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하여 다른 화합물의 간섭 없이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8]

섬유상 크로마토그래피 판에서 검정 잉크 분리

  • 기체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 * 기체-고체 크로마토그래피(Gas-Solid Chromatograph)
  • *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Gas-Liquid Chromatography)
  •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iquid Chromatography)
  • * 정상 크로마토그래피(Normal Phase Chromatography)
  • * 역상 크로마토그래피(Reverse Phase Chromatography)
  • *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Filtration Chromatography)
  •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 평판 크로마토그래피(Planar Chromatography)
  • 모세관 전기 영동(Capillary Elelctrophoresis)
  • 겔 전기 영동(Gel Electrophoresis)


분석물질과 시료를 분리하는 데 사용하는 매체가 다른 여러 유형의 크로마토그래피가 있다.[13]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서는 분석물질 혼합물이 휘발성 이동상 아래에서 코팅된 시트를 따라 위로 이동하여 분리된다.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는 기체가 휘발성 분석물질을 분리한다. 이동상으로 액체를 사용하는 크로마토그래피의 일반적인 방법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이다.

위 기술들의 조합은 "하이브리드" 또는 "하이픈" 기법을 생성한다.[14][15][16][17][18] 예를 들어,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 가스크로마토그래피-적외선 분광법,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 액체크로마토그래피-핵자기공명 분광법, 액체크로마토그래피-적외선 분광법, 모세관 전기영동-질량분석법 등이 있다.

하이픈 분리 기술은 용액에서 화학 물질을 검출하고 분리하기 위해 두 가지(이상) 기술을 결합한 것을 말한다. 대부분 다른 기술은 어떤 형태의 크로마토그래피이다.

3. 2. 4. 결정학적 분석법


  • X선 결정학
  • 전자빔 결정학

3. 2. 5. 전기화학

전기분석법은 분석물질이 들어있는 전기화학 전지에서 전위(볼트) 및/또는 전류(암페어)를 측정하는 방법이다.[9][10] 전지의 어떤 측면이 제어되고 어떤 측면이 측정되는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전위차법: 전극 전위의 차이를 측정한다.
  • 쿠론법: 전달된 전하량을 시간에 따라 측정한다.
  • 암페로메트리: 전지의 전류를 시간에 따라 측정한다.
  • 볼탐메트리: 전지의 전위를 적극적으로 변경하면서 전류를 측정한다.[11][12]

3. 2. 6. 현미경

단일 분자, 단일 세포, 생물 조직 및 나노물질(nanomaterial)의 시각화는 분석 과학에서 중요하고 매력적인 접근 방식이다. 또한, 다른 전통적인 분석 도구와의 하이브리드화는 분석 과학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다. 현미경(Microscopy)은 광학 현미경(optical microscopy), 전자 현미경(electron microscopy), 주사 탐침 현미경(scanning probe microscopy)의 세 가지 다른 분야로 분류될 수 있다. 최근 컴퓨터 및 카메라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이 분야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19]

  • 광학 현미경(Optical Microscopy)
  • 형광 현미경(Fluorescence Microscopy)
  •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 투과 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 원자 탐침 현미경(Scanning Probe Miscroscopy)


1931년 어니스트 러스카(Ernst Ruska)와 막스 크놀(Max Knoll)은 전자 현미경을 발명하였고, 이는 현재 극미세 구조 관찰 방법으로 널리 쓰이는 주사 전자 현미경과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발전하였다.

1982년 게르트 비니히(Gerd Binnig) 등은 주사 터널링 현미경을 발명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원자간력 현미경을 비롯한 많은 주사 프로브 현미경이 개발되어 오늘날 나노 기술 발전을 뒷받침하고 있다.

4. 분자 이미지

분자 이미지는 기존의 분석 장비를 현미경에 연결하여 분자 정보를 가진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으로 2000년대 들어 매우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초기에는 전자 현미경 안에 설치된 각종 모듈을 이용하여 원자 정보나 작은 영역의 결정 정보를 가진 이미지를 만들었는데, 오늘날에는 광학 현미경이나 원자 탐침 현미경 등에 분광학 모듈을 결합하여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차이온 질량분석기(SIMS)와 MALDI-TOF, 아주 최근에는 Electrospary를 이용하는 방법까지 개발되었다.

하지만 분자 이미지 분야는 아직 초기 단계이다. 미량을 분석하는 데 적합하지 않고 공간 분해능이 현미경에 비하여 아직은 많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개는 만들어진 이미지가 대용량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고 분석이 쉽지 않다. 그래서 컴퓨터 분야의 발전과 함께 앞으로 더 많은 발전이 기대되는 분야이다.


  • 분광학 현미경 (Vibrational Imaging)
  • 라만 분광학 현미경
  • Surface Enhanced Raman Spectroscopy (SERS) Imaging
  • Coherent Anti-Stoke Raman Spectroscopy (CARS) Imaging
  • 적외선 분광학 현미경
  • 질량 분석 현미경 (Mass Spectral Imaging)
  • Matrix Assisted Laser Desoprtion Ionization (MALDI) Imaging
  •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 (SIMS) Imaging


5. Lab On A Chip & µTAS

Lab On A Chip은 소형화된 총체적분석(µTAS)을 목표로 보다 효율적인 분석화학을 만들려는 새로운 노력이다. 여러 가지 분석 방법을 서로 결합하고 이를 소형화해서 동전 하나 크기만한 작은 칩에 집적하는 일에 많은 중요성을 두고 있다.[24] 이러한 소형화된 시스템은 대개 현미경과 연결되며 분자 수를 셀 수 있는 수준의 아주 미량을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분자 한개, 세포 한개, 나노소자 등을 분석하려는 것을 목표로 한다. Lab On A Chip은 컴퓨터 산업에서 마치 진공관이었던 초기 컴퓨터가 현재는 수많은 집적회로로 구성됨으로써 컴퓨터 혁명이 이뤄졌던 것처럼 커다란 크기의 화학장비들을 집적하여 새로운 혁명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24]

분석 기술을 크기로 축소하기 위한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 중 기존 분석 기술과 경쟁력을 갖춘 예는 거의 없지만, 크기/휴대성, 속도 및 비용과 같은 잠재적 이점이 있는 총 분석 시스템(μTAS) 또는 랩온어칩과 같은 마이크로 단위의 분석 시스템 개발이 진행 중이다.[24] 마이크로 스케일 화학은 사용되는 화학 물질의 양을 줄인다.[24]

6. 분석화학 분야의 주요 업적

분석화학은 화학, 생물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그 업적은 여러 노벨상 수상을 통해 인정받았다. 특히 2002년 노벨 화학상은 일본의 다나카 고이치가 MALDI-TOF를 이용한 단백질 분자량 검출로 수상하여 분석화학 분야의 위상을 높였다.

수상 연도수상자분야업적
1914막스 폰 라우에노벨 물리학상결정체에 의한 X-선 회절현상 발견
1915윌리엄 헨리 브래그, 윌리엄 로런스 브래그노벨 물리학상X-선을 이용한 결정 구조 분석
1921알베르트 아인슈타인노벨 물리학상광전자효과와 오제전자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 Auger Electron Spectroscopy)
1923프리츠 프레글노벨 화학상미량 유기물 분석방법 개발 (연소에 의한 원소분석)
1924카를 만네 예오리 시그반노벨 물리학상X-선 분광학
1930찬드라세카라 벵카타 라만노벨 물리학상라만 분광학
1936피터 디바이노벨 화학상X-선 회절에 의한 분자 구조 규명
1937클린턴 조지프 데이비슨, 조지 패짓 톰슨노벨 물리학상결정체에 의한 전자회절현상 발견
1948아르네 티셀리우스노벨 화학상전기영동
1952아처 존 포터 마틴, 리처드 로런스 밀링턴 싱노벨 화학상분별 크로마토그래피
1953프리츠 제르니커노벨 물리학상상대조 현미경
1959야로슬라프 헤이로프스키노벨 화학상폴라로그래피
1964도로시 호지킨노벨 화학상X선 결정학
1979앨런 코맥, 고드프리 하운스필드노벨 생리학·의학상컴퓨터 단층촬영
1980월터 길버트, 프레더릭 생어노벨 화학상DNA 서열분석
1981니콜라스 블룸베르헌, 아서 숄로, 카이 시그반노벨 물리학상레이저분광학, 고분해능 전자 분광학
1982아론 클루그노벨 화학상전자결정학
1986에른스트 루스카, 게르트 비니히, 하인리히 로러노벨 물리학상주사전자현미경, 원자탐침현미경
1989한스 게오르크 데멜트, 볼프강 파울노벨 물리학상이온트랩(질량분석기)
1991리하르트 에른스트노벨 화학상FT-NMR
1994버트럼 브록하우스, 클리퍼드 슐노벨 물리학상중성자 분광학, 중성자 회절
2002쿠르트 뷔트리히, 존 펜, 다나카 고이치노벨 화학상NMR(단백질 구조분석), 전기분사법(단백질 분자량 검출), MALDI-TOF(단백질 분자량 검출)
2003폴 라우터버, 피터 맨스필드노벨 생리학·의학상자기공명영상



18세기에는 앙투안 라부아지에조지프 프리스틀리 등에 의해 원소가 발견되기 시작했다. 19세기에는 마이클 패러데이전기 분해 연구, 로베르트 분젠구스타프 키르히호프의 분광법 발전, 루이 파스퇴르의 키랄성 발견 등이 이루어졌다.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은 분석화학의 중요한 발견이 이어진 시기였다. 빌헬름 뢴트겐의 X선 발견(1895년), 빌헬름 빈질량 분석법 원리 발견(1896년 전후), 미하일 츠베트크로마토그래피 원리 발견(1906년) 등이 분석화학에 응용되었다. 브래그 부자는 X선 회절을 확립하여 결정 구조 분석을 활성화했다(1913년).

1925년 루이 드 브로이전자의 파동성을 제창하면서, 1931년 어니스트 러스카와 막스 크놀이 전자 현미경을 발명했다. 이는 주사 전자 현미경과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발전했다.

1938년 이시도르 아이작 라비가 핵자기 공명을 발견하고, 펠릭스 블로흐 등에 의해 개량되어 핵자기 공명 분광법이 개발되었다.

1982년 게르트 비니히 등이 주사 터널링 현미경을 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원자간력 현미경 등 다양한 주사 프로브 현미경이 개발되었다.

6. 1. 주요 저널


  • Analytical Chemistry|애널리티컬 케미스트리영어
  • Nature Biotechnology|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영어
  • Nature Methods|네이처 메서드영어
  • Lab on a Chip|랩 온 어 칩영어
  • 분석과학

6. 2. 학회


  • 한국분석과학회[1]
  • Pittsburgh Conference|피츠버그 컨퍼런스영어 미국 분석 전시회[2]
  • Analytica|아날리티카de 독일 분석 전시회[3]
  • JAIMASHOW|자이마쇼일본어(分析展) 일본 분석 전시회[4]

참조

[1] 서적 Fundamentals of Analytical Chemistry Brooks/Cole, Cengage Learning
[2] 서적 Principles of Instrumental Analysis Brooks/Cole, Thomson
[3] 웹사이트 Analytical technique http://www.wavesigna[...] 2013-01-17
[4] 학술지 Basic Education in Analytical Chemistry https://www.jstage.j[...] 2014-01-10
[5] 학술지 Review of analytical measurements facilitated by drop formation technology
[6] 학술지 History of gas chromatography
[7] 학술지 History of analytical chemistry in the U.S.A
[8] 서적 Fundamentals of analytical chemistry 2014
[9] 서적 Electrochemical Methods: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10] 서적 Fundamentals of Analytical Chemistry Saunders College Publishing
[11] 서적 Fundamentals of analytical chemistry Saunders College Pub 1996
[12] 서적 Electrochemical methods :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2001
[13] 백과사전 CHROMATOGRAPHY https://www.scienced[...] Academic Press 2022-10-07
[14] 학술지 Hyphenated techniques for analysis of complex organic mixtures
[15] 학술지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NMR Spectrometry/Mass Spectrometry:Further Advances in Hyphenated Technology
[16] 학술지 Chromatographic and hyphenated methods for elemental speciation analysis in environmental media
[17] 학술지 Hyphenated techniques in anticancer drug monitoring
[18] 학술지 Hyphenated techniques in anticancer drug monitoring
[19] 학술지 Subdiffraction Multicolor Imaging of the Nuclear Periphery with 3D Structured Illumination Microscopy
[20] 서적 Analytical Chemistry
[21] 서적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https://www.worldcat[...] 2015-05-29
[22] 서적 Principles of instrumental analysis Thomson Brooks/Cole
[23] 웹사이트 Health Concerns associated with Energy Efficient Lighting and their Electromagnetic Emissions http://www.emrpolicy[...] Trent University, Peterborough, ON, Canada 2011-11-12
[24] 학술지 Prospects in analytical atomic spectrometry
[25] 웹사이트 Analytical Chemistry - American Chemical Society https://www.acs.org/[...] 2017-05-26
[26] 학술지 Indicators for the use of robotic labs in basic biomedical research: A literature analysis
[27] 서적 Fundamentals of analytical chemistry Nelson Education
[28] 서적 Modern analytical chemistry McGraw-Hill
[29] 서적 Principles and practice of analytical chemistry Blackwell Science
[30] 서적 Analytical chemistry of food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31] 서적 Analytical chemistry of PCBs CRC Press
[32] 학술지 Theranostics in the growing field of personalized medicine: an analytical chemistry perspective
[33] 학술지 New safe medicines faster: the role of analytical chemistry
[34] 서적 General chemistry with qualitative analysis Collier Macmillan
[35] 서적 Chemistry: with inorganic qualitative analysis Elsevier
[36] 서적 Analytical chemistry and quantitative analysis Prentice Hall 2011
[37] 서적 Chromatography Elsevier 2013
[38] 서적 The essence of chromatography Elsevier 2003
[39] 서적 Chromatography today Elsevier 2012
[40] 서적 Electrophoresis in practice Wiley-Vch 2001
[41] 서적 Near-infrared spectroscopy: principles, instruments,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2008
[42] 논문 Principles, techniques, and limitations of near infrared spectroscopy 2004
[43] 서적 Concepts and methods of 2D infrared spectroscop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44] 서적 Understanding voltammetry World Scientific 2018
[45] 간행물 화학과 소식 http://chem.sci.ehim[...] 애히메 대학 이학부 화학과 2015
[46] 웹사이트 カリキュラム・学びの流れ http://www.teu.ac.jp[...] 도쿄공과대학 공학부 응용화학과 2014
[47] 웹사이트 古典的分析化学から現在の分析化学へ http://www.chem.toku[...] 도쿠시마 대학 대학원 첨단기술과학 교육부 물질생명시스템공학전공 분석·환경화학 B-1강좌 2015
[48] 서적 The contributions of Faraday and Maxwell to electrical science Elsevier 2013
[49] 논문 Bunsen, Kirchhoff, Steinheil and the Elaboration of Analytical Spectroscopy 2003
[50] 논문 酒石酸の化學 1944
[51] 논문 Louis Pasteur's discovery of molecular chirality and spontaneous resolution in 1848, together with a complete review of his crystallographic and chemical work 2009
[52] 논문 The discovery of biological enantioselectivity: Louis Pasteur and the fermentation of tartaric acid, 1857—a review and analysis 150 yr later 2008
[53] 논문 The early history of x-ray diagnosis with emphasis on the contributions of physics 1895-1915 1995
[54] 논문 The first clinical X-ray made in America--100 years 1995
[55] 서적 Wilhelm Conrad Röntgen and the early history of the Roentgen rays Norman Publishing 1993
[56] 논문 WC Roentgen and the discovery of the Roentgen rays 1995
[57] 논문 A note on Roentgen's X-ray absorption measurements in 1895 1986
[58] 논문 MS Tswett and the discovery of chromatography I: Early work (1899–1903) 1993
[59] 논문 MS Tswett and the discovery of chromatography II: Completion of the development of chromatography (1903–1910) 1993
[60] 논문 MS Tswett and Chromatography 1972
[61] 논문 The reflection of X-rays by crystals 1913
[62] 논문 The birth of X-ray crystallography 2012
[63] 논문 Disputed discovery: the beginnings of X-ray diffraction in crystals in 1912 and its repercussions 2012
[64] 서적 전자현미경의 이론과 응용 마루젠 1959
[65] 서적 전자현미경 기술 마루젠유마츠도 1989
[66] 논문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on microscope and of electron microscopy 1987
[67] 서적 Practical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electron and ion microprobe analysi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
[68] 서적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physics of image formation and microanalysis Springer 2013
[69] 논문 A new method of measuring nuclear magnetic moment 1938
[70] 논문 핵자기공명의 과학에의 응용 1957
[71] 서적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Elsevier 1988
[72] 서적 Principles of nuclear magnetic resonance in one and two dimensions Clarendon press 1987
[73] 특허 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1982-08-10
[74] 논문 Theory of the 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1985
[75] 논문 走査型トンネル顕微鏡 1987
[76] 논문 走査型トンネル顕微鏡 2020
[77] 논문 原子間力顕微鏡 1990
[78] 서적 Scanning probe microscopy and spectroscopy: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79] 서적 Scanning probe microscopy: the lab on a tip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