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 폰 베체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 폰 베체라는 1871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났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 루돌프와 함께 1889년 마이얼링 사냥 별장에서 사망한 사건으로 유명하다. 루돌프 황태자의 사촌을 통해 황태자를 만난 마리는 이후 연인 관계로 발전했으나, 루돌프는 아버지와의 갈등과 다른 여성과의 관계 속에서 마리에게 자살을 제안했다. 1889년 1월 30일, 마이얼링에서 두 사람은 시신으로 발견되었으며, 이 사건은 당시 유럽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2015년에는 마리가 어머니에게 쓴 유서가 발견되어 황태자에 대한 사랑과 그의 뜻에 따라 죽음을 선택했다는 내용이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자살한 사람 - 루트비히 볼츠만
루트비히 볼츠만은 통계역학의 창시자로, 맥스웰-볼츠만 분포 확립, 볼츠만 관계식 유도, 슈테판-볼츠만 법칙 증명, 볼츠만 방정식 개발 등 열역학 및 통계역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원자론 옹호로 인한 논쟁과 정신적 고통 속에 생을 마감한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이자 철학자이다. - 오스트리아의 자살한 사람 - 겔리 라우발
아돌프 히틀러의 조카인 겔리 라우발은 1925년부터 히틀러와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다 1931년 히틀러의 아파트에서 권총 자살로 사망하여 당시 큰 파장을 일으켰다. - 그리스계 오스트리아인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20세기 후반 오스트리아의 대표적인 지휘자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은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과 빈 국립음대 출신으로 베를린 필하모닉 종신 지휘자를 역임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나 나치 시대 활동으로 논란이 있으며, 독특한 지휘 스타일과 음악적 완성도로 다양한 레퍼토리를 해석하고 잘츠부르크 음악제 음악감독으로도 활동하며 클래식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그리스계 오스트리아인 - 리하르트 니콜라우스 폰 코우덴호페칼레르기
오스트리아의 정치 사상가이자 외교관인 리하르트 니콜라우스 폰 코우덴호페칼레르기는 유럽 통합 운동의 선구자로서 국제 범유럽 연합을 창설하여 유럽 통합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유럽 통합 운동에 헌신했으며, 《환희의 송가》를 유럽가로 제안하고 유럽의 날 제정을 제안하는 등 유럽 통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 왕의 정부 - 디안 드 푸아티에
디안 드 푸아티에는 프랑수아 1세와 앙리 2세 시대에 영향력을 행사한 귀족 여성으로, 앙리 2세의 총애를 받으며 왕실 정책에 관여하고 건축 사업에 참여했으나, 앙리 2세 사후 권력에서 물러나 여생을 보냈으며, 그녀의 삶은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왕의 정부 - 잔 베퀴 뒤 바리 백작부인
잔 베퀴 뒤 바리 백작부인은 평민 출신이었지만 뛰어난 미모와 사교술로 루이 15세의 총애를 받은 프랑스 귀족이자 마지막 공식 정부로, 마리 앙투아네트와의 갈등, 예술 후원, 프랑스 혁명 중 단두대 처형 등으로 역사에 기록된 인물이다.
마리 폰 베체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마리 알렉산드리네 폰 베체라 |
작위 | 남작 영애 폰 베체라 |
출생일 | 1871년 3월 19일 |
출생지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빈 |
사망일 | 1889년 1월 30일 |
사망지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니더외스터라이히주 마이어링 |
매장지 | 니더외스터라이히주 하일리겐크로이츠 |
부모 | 알빈 폰 베체라 남작 |
어머니 | 헬레네 발타치 |
직업 | 귀족 |
관련된 사건 | 마이어링 사건 연루,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황태자 루돌프 폰 외스터라이히의 정부 |
교육 | |
교육 기관 | 살레시오 수녀회 귀족 여학교 |
2. 생애
1888년 11월, 마리 폰 베체라는 루돌프 폰 외스터라이히웅가른 황태자를 만나 연인 관계로 발전했지만, 1889년 1월 30일 마이얼링의 사냥용 별장에서 황태자가 권총으로 자살할 때 동반 자살했다.[2]
2. 1. 가족 및 성장 배경
1871년 3월 19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외교관 알빈 폰 베체라(Albin von Vetsera) 남작과 헬레네 발타지(Helene Baltazzi)의 막내딸로 태어났다. ‘마리’라는 이름은 외할아버지의 후처 메리(Mary)의 독일어식 이름이다.[2][3]아버지 알빈은 1870년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로부터 남작 작위를 받았으며 오스트리아 궁정에서 외교관으로 근무했다. 어머니 헬레네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던 그리스 히오스섬에 거주했던 부유한 그리스인 가문 출신이다. 형제자매로는 언니 요하나(Johanna), 오빠 라디슬라우스(Ladislaus), 프란츠 알빈(Franz Albin)이 있었다.
베체라 가문의 주된 목표는 사회적으로 성공하는 것이었고, 황실의 지원을 받았다. 헬레네는 새로 귀족이 된 남편의 아내로서의 "벼락부자" 신분에서 벗어나고 싶어했고, 딸들이 가능한 최고의 가문과 결혼하기를 바랐다. 마리는 엄격한 가정에서 사회적으로 성공하고 어머니의 꿈을 이루라는 압박 속에서 자랐다. 교육을 위해 빈 3구역에 있는 살레시안 수녀원의 귀족 자녀들을 위한 학원에 보내졌다.[8]
1887년 겨울, 베체라 가족은 아버지의 병 때문에 이집트 케디비에트 카이로로 여행을 갔다. 그곳에서 마리는 영국인 장교와 불륜 관계를 가졌다고 한다.[11]
2. 2. 루돌프 황태자와의 만남
1888년 11월, 마리는 루돌프 폰 외스터라이히웅가른 황태자의 사촌인 마리 라리슈 폰 뫼니히 백작부인을 통해 황태자를 소개받았다. 마리는 당시 17세, 루돌프 황태자는 30세로, 두 사람은 곧 연인 관계로 발전했다. 마리의 가족은 이 관계를 부정적으로 바라봤다. 마리의 여동생 한나는 마리를 어리석다고 불렀고,[9] 어머니 헬레네는 마리가 자신과 가족 모두의 삶을 파멸시켰다고 비난하며 격노했다.[12] 그러나 역사가 루시 코트만은 헬레네와 한나가 비극이 일어나기 전까지 마리와 루돌프의 관계를 알지 못했다는 마리의 편지와 가족 내 편지를 인용하며, 마리 폰 라리쉬 백작 부인의 주장에 이의를 제기했다.[13]
마리는 루돌프 황태자에게 깊이 빠져 있었으며, 황태자비 스테파니에게 위협을 느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4] 한편, 루돌프는 미치 카스파르와 장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고,[15] 그녀에게 먼저 동반 자살을 제안했다가 거절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6][17]
3. 마이얼링 사건
1888년 11월, 루돌프 폰 외스터라이히웅가른 황태자는 사촌 마리 라리슈 폰 뫼니히 백작부인(루돌프 황태자의 어머니 엘리자베트 폰 외스터라이히웅가른 황후의 큰오빠인 루트비히 빌헬름 바이에른 공작의 딸)을 통해 마리아 폰 베체라를 소개받고 가까워졌다. 1889년 1월 30일,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와의 불화로 마이얼링의 사냥용 별장에서 권총 자살을 택한 루돌프 황태자와 함께 마리아 폰 베체라도 목숨을 잃었다.
루돌프 황태자는 카스파르가 동반 자살을 거부하자 베체라에게 자살 협정을 제안했다. 황태자는 혼자 죽음을 맞이하고 싶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나, 베체라는 이를 불운한 연인처럼 극적인 죽음으로 함께하는 것으로 받아들인 듯하다.[9] 베체라는 "제 목숨을 바칠 수 있다면 기꺼이 그러겠어요. 제게 삶이 무슨 의미가 있겠어요?"라고 썼으며,[18] 여동생에게 보낸 작별 편지에서는 "우리는 둘 다 미지의 세계로 행복하게 갈 거예요."라고 적었다.[19]
3. 1. 사건의 경과
1889년 1월 29일, 루돌프 황태자는 헝가리 왕국 부다페스트로 떠나기 전 가족 만찬을 열었다. 황태자는 양해를 구하고 마이에르링의 사냥 별장으로 가서 1월 30일에 사냥을 하기로 했다. 아침 일찍 그의 시종 요한 로셰크가 그를 깨우기 위해 문을 두드렸지만 아무런 대답이 없었다. 루돌프의 사냥 동료인 백작 요제프 폰 호요스-슈티히슈테인이 그와 합류하여 문을 열려고 했다.[20]결국 로셰크는 망치로 문을 부수고 안으로 들어갔다. 어두운 방에서 그는 침대 옆에 움직임 없이 앉아 입에서 피를 흘리고 있는 황태자를 발견했다. 베체라의 시신은 침대에 누워 있었고, 이미 시체 경직이 시작된 상태였다.[20] 이후 황태자가 먼저 베체라를 쏜 후 자살한 것으로 밝혀졌다.[21]
3. 2. 사건의 진상과 논란
두 사람의 죽음에 대한 공식 발표는 루돌프 황태자가 심장 질환으로 사망했다는 것이었다.[20] 그러나 검시 결과, 마리가 루돌프보다 몇 시간 전에 사망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0] 이는 루돌프가 마리를 살해한 후 자신이 죽을 때까지 시신 곁에 앉아 있었다는 것을 의미했다.[20]이 사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혹이 제기되었다.
마리의 임신설, 낙태 후 사망설 등도 제기되었으나,[21] 명확하게 밝혀진 사실은 없다.
1993년 재조사에서 베체라의 유해에 총상 흔적이 발견되지 않아 의문은 더욱 증폭되었다. 사건의 진상은 지금도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3. 3. 유서 발견
2015년 7월, 오스트리아 국립 도서관은 오스트리아 빈에 있는 은행 금고에서 마리 폰 베체라가 어머니에게 쓴 유서가 발견되었다고 발표했다.[26] 이 유서는 1926년부터 베체라 가문의 사적인 편지와 사진이 들어있는 가죽 폴더 안에 보관되어 있었다. 유서에는 어머니에 대한 사과, 루돌프 폰 외스터라이히웅가른 황태자에 대한 사랑, 그리고 황태자의 뜻에 따르겠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26]4. 사후
베체라의 시신은 하일리겐크로이츠 수도원에 안장되었다.[11] 그녀의 어머니는 장례식 참석이 금지되었고, 베체라의 죽음이 자살로 여겨졌기 때문에 기독교식 장례를 치르도록 수도원장을 설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11] 결국 삼촌들은 수도원장에게 그녀가 일시적인 정신 이상으로 인해 자살을 저질렀다고 설득하여 허가를 받았다.[11] 1889년 5월 16일, 베체라의 어머니는 딸의 시신을 발굴하여 구리 관으로 옮겨 다시 매장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 군대가 베체라의 묘지를 훼손했고, 1955년 묘지 보수 중 수도사들은 관 안에서 작은 뼈대와 머리뼈에 총알 자국이 없는 시신을 발견했다.[21] 1959년, 의사 게르트 홀러와 베체라 가문의 한 구성원은 그녀의 유해를 검사했는데, 뼈는 흩어져 있었지만 총상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두개골강에는 외상의 흔적이 있었는데, 이는 묘지 도굴꾼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베체라가 머리에 강타를 받아 사망했을 수도 있음을 나타낸다.[21]
1991년, 헬무트 플라첼슈타이너가 베체라의 유해를 훼손하여 법의학적 검사를 받게 했다.[22] 그는 유해가 100년 전 사망한 친척의 것이며, 머리에 총을 맞았거나 칼에 찔렸을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두개골이 심하게 부패하여 총알 구멍 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다.[23] 베체라의 뼈는 1993년 10월 28일에 다시 매장되었다.[23]
5. 대중문화
마리 폰 베체라와 루돌프 황태자의 이야기는 여러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1930년, 클로드 아네는 이 사건을 소재로 소설 『덧없는 사랑(Mayerling)을 썼다. 이 소설은 1936년과 1968년에 영화로 제작되었다. 첫 번째 영화에서는 다니엘 다리유가, 두 번째 영화에서는 카트린 드뇌브가 마리 역을 연기했다. 1957년에는 미국에서 『마이얼링』이라는 제목으로 텔레비전 영화화되었고, 오드리 헵번이 마리 역을 맡았다. 1982년, 다카라즈카 가극단 유키구미는 『덧없는 사랑』을 초연했으며, 마리 역은 하루카 클라라가 맡았다. 이후 이 작품은 반복적으로 재연되어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대표작으로 자리매김했다.
참조
[1]
서적
Crime at Mayerling: The Life and Death of Mary Vetsera
Ariadne Press
[2]
서적
Constantinople
Penguin Books Ltd
[3]
서적
A woman of Vienna
Cassell
[4]
웹사이트
Baltazzi, Alexander
http://www.xs4all.nl[...]
[5]
웹사이트
Baron Albin Vetsera
http://www.christoph[...]
[6]
서적
The Last Days of Archduke Rudolph
Dodd, Mead & Co
[7]
간행물
The Mayerling Tragedy: How and Why did Prince Rudolf and Mary Vetsera Die?
[8]
서적
Crime at Mayerling
Ariadne
[9]
학술지
Mayerling Revisited: The Short Life and Death of Mary Vetsera
https://digitalcommo[...]
2011-05-15
[10]
서적
My Past
[11]
서적
Sisi udvarában. A múltam. Emlékiratok
Európa
[12]
서적
Crime at Mayerling: The Life and Death of Mary Vetsera: With New Expert Opinions Following the Desecration of Her Grave
Ariadne Press
[13]
웹사이트
Scandal in the House of Habsburg: The Mayerling Incident
https://m.youtube.co[...]
2023-02-14
[14]
서적
My Past
[15]
뉴스
Mayerling Journal; Lurid Truth and Lurid Legend: A Hapsburg Tale
https://www.nytimes.[...]
2022-05-21
[16]
서적
A Nervous Splendour
Penguin Press
[17]
웹사이트
Love is Dead History Today
https://www.historyt[...]
[18]
서적
Crime at Mayerling: The Life and Death of Mary Vetsera: With New Expert Opinions Following the Desecration of Her Grave
Ariadne Press
[19]
학술지
Love is Dead
https://www.historyt[...]
2022-02-00
[20]
학술지
"<italic>Elizabeth, Empress of Austria</italic>. By Count Egon Corti. Translated by Catherine Alison Phillips.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36. Pp. xii, 518. $4.00.)"
http://dx.doi.org/10[...]
1937-07-00
[21]
서적
Mayerling: Die Loesung des Ratsels
Molden
[22]
간행물
Murder at Mayerling?
2008-11-00
[23]
서적
Crime at Mayerling: The Life and Death of Mary Vetsera: With New Expert Opinions Following the Desecration of Her Grave
Ariadne Press
[24]
웹사이트
Press release
http://www.onb.ac.at[...]
[25]
웹사이트
https://www.geni.com[...]
[26]
웹사이트
オーストリア皇太子と心中した女性の遺書を発見
https://www.afpbb.co[...]
2024-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