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리안 폴즈 라부아지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안 폴즈 라부아지에는 18세기 프랑스의 과학자로, 남편 앙투안 라부아지에의 연구를 돕고, 그의 업적을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 그녀는 화학, 언어, 회화에 능숙했으며, 남편의 실험을 돕고, 논문을 번역하고, 실험 기구 그림을 제작하여 『화학 원론』 출간에 기여했다. 프랑스 혁명으로 남편이 처형된 후, 그의 유산을 지키고 럼퍼드 백작과 재혼했으나 이혼했다. 그녀는 살롱을 운영하며 학문적 교류를 지원했고, 여성 과학자로서 과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틴어-프랑스어 번역가 - 아베 프레보
    아베 프레보는 격정적인 삶을 바탕으로 인간 심리를 탐구하는 작품을 남긴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사제, 번역가이다.
  • 라틴어-프랑스어 번역가 - 프랑수아 드 말레르브
    프랑수아 드 말레르브는 프랑스 고전주의 문학 발전에 기여한 시인이자 문학 평론가이며, 앙리 4세의 궁정 시인으로 활동하다가 그의 이름을 딴 축구 클럽이 존재한다.
  • 프랑스의 라틴어학자 - 테오도르 드 베즈
    테오도르 드 베즈는 프랑스 개신교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법학을 공부했으나 개혁 신앙에 귀의하여 제네바 아카데미 교수로 활동하며 칼뱅의 후계자가 되어 제네바 교회를 이끌었고, 칼뱅주의 신학 발전에 기여하다가 1605년에 사망했다.
  • 프랑스의 라틴어학자 - 아베 프레보
    아베 프레보는 격정적인 삶을 바탕으로 인간 심리를 탐구하는 작품을 남긴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사제, 번역가이다.
  • 루아르주 출신 - 알랭 프로스트
    알랭 프로스트는 프랑스 출신의 전 F1 드라이버로, 네 번의 월드 챔피언을 차지했으며 아일톤 세나와의 라이벌리, 뛰어난 레이스 전략과 차분한 주행 스타일로 '프로페서'라는 별명을 얻었고 은퇴 후 포뮬러 E 팀 오너로도 활동했다.
  • 루아르주 출신 - 에드몽 로카르
    프랑스의 법의학자이자 범죄학자인 에드몽 로카르는 유럽 최초의 법과학 연구소를 설립하고 '로카르의 교환 원리'를 정립하여 현대 법과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마리안 폴즈 라부아지에
기본 정보
라부아지에 부부의 초상화
'라부아지에 부부의 초상화에 그려진 마리안 (1788년), 자크루이 다비드 작품,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본명Marie-Anne Pierrette Paulze
출생일1758년 1월 20일
출생지, 몽브리종
사망일1836년 2월 10일
사망지, 파리
안장지페르 라셰즈 묘지
분야화학
번역
그림
삽화
영향앙투안 라부아지에 (화학)
자크루이 다비드 (회화)
업적플로지스톤설 부정
앙투안 라부아지에 저 '화학요론' 출판
영어 화학 논문 프랑스어 번역
살롱 주최
배우자앙투안 라부아지에 (1771년~1794년)
럼퍼드 백작 (벤자민 톰프슨, 1804년~1809년)

2. 어린 시절과 교육

1758년, 프랑스 오베르뉴의 몽브리존에서 태어났다.[13] 아버지 자크 폴즈(Jacques Paulze프랑스어)는 왕실 검사였으며, 1768년부터는 프랑스 왕실을 대신해 특정 세금을 징수하는 민간 컨소시엄인 페르메 제네랄의 징세청부인으로 활동하며 수입의 상당 부분을 얻었다.[1][13][14] 어머니 클로딘 투아네 폴즈(Claudine Thoynet Paulze)는 부르주아 가문 출신이었으나,[13] 1761년 마리안이 3살 때 세상을 떠났다.[1][13]

어머니가 사망한 후, 마리안은 수녀원 부속 학교에 맡겨져 정규 교육을 받았다.[1][17] 또한, 그녀는 화가 자크 루이 다비드로부터 그림을 배우기도 했다.[2]

2. 1. 결혼

마리안 폴즈는 열세 살 때 50세의 드 아메르발 백작으로부터 결혼 제안을 받았다.[3][16] 아버지 자크 폴즈는 이 결혼에 반대했으나, 페르메 제네랄에서의 직위를 잃을 수 있다는 압력을 받았다.[3][18][19] 이 원치 않는 결혼을 피하고자 자크 폴즈는 동료이자 프랑스 귀족이며 과학자앙투안 라부아지에에게 딸과의 결혼을 제안했다.[3][17][21] 당시 28세로 장래가 유망한 징세청부인[17] 이었던 라부아지에는 이 제안을 받아들였고, 이전의 불쾌한 혼담을 겪었던 마리안 역시 이에 동의했다.[3][17] --두 사람은 만난 지 4주 만인 1771년 12월 16일에 결혼식을 올렸다.[1] 이때 마리안은 13세, 라부아지에는 28세였으며, 이는 당시 기준으로도 이른 결혼이었다.[1][16]

3. 앙투안 라부아지에의 연구 협력

thumb'' (''Portrait of M. and Mme Lavoisier'') 1788년작 자크 루이 다비드,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맨해튼, 뉴욕)]]

1771년 13세의 나이로 28세의 앙투안 라부아지에와 결혼한 후[1], 마리안은 남편의 화학 연구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실험실 작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다. 그녀는 당시 라부아지에의 동료였던 장 바티스트 미셸 부케와 필리프 쟁젭르로부터 정식으로 화학 교육을 받았다.[1] 부부는 대부분의 시간을 실험실에서 함께 보내며 연구를 수행했고, 마리안은 남편의 실험을 돕고 실험 결과를 꼼꼼히 기록하는 역할을 했다.[26]

thumb

마리안은 결혼 후 영어, 이탈리아어, 라틴어를 습득했다.[27] 영어를 구사하지 못했던 남편을 위해 영어로 된 화학 문헌들을 프랑스어로 번역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녀는 조지프 프리스틀리, 헨리 캐번디시 등 당대 주요 화학자들의 논문을 번역했으며[8], 특히 리처드 커원의 저서 '플로지스톤과 산의 구성에 관한 에세이'(Essay on Phlogiston and the Constitution of Acidseng) 번역은 플로지스톤설을 비판하고 산소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연소 이론을 확립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마리안은 단순히 번역하는 데 그치지 않고, 원문의 화학적 오류를 지적하는 비판적인 각주를 직접 달았다.[7][5] 이러한 번역 작업은 라부아지에가 외국의 최신 화학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키는 데 필수적이었다. 그녀의 번역과 비평은 라부아지에가 플로지스톤설의 오류를 확신하고 연소 연구를 통해 산소 기체를 발견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68] 오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와 같은 플로지스톤설 지지자들도 마리안의 번역과 주석을 읽고 생각을 바꾸기도 했다.[76]

앙투안 라부아지에의 ''화학 원론''에 실린 폴즈 라부아지에의 삽화, 웰컴 컬렉션


또한 마리안은 화가 자크 루이 다비드에게서 배운 그림 실력을 발휘하여 남편의 연구에 기여했다.[2][28][29] 그녀는 라부아지에의 대표 저서인 ''화학 원론''(Traité élémentaire de chimiefra, 1789년)에 실린 실험 기구 삽화 13개를 직접 그렸다.[28][29][77] 이 삽화들은 실험 장치를 매우 정확하고 정밀하게 묘사하여, 그림만 보고도 장치를 조립할 수 있을 정도라는 평가를 받았으며[78], 라부아지에의 실험 방법과 결과를 동시대 연구자들이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5] 마리안은 실험 과정을 상세히 기록하고 실험 장비를 시각적으로 재현함으로써 라부아지에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1. 라부아지에 살롱

마리안은 남편 앙투안 라부아지에화학 연구를 돕는 동시에, 20세 무렵부터 자택에서 살롱을 열었다.[30] 이 살롱에는 남편의 화학자로서의 명성을 듣고 프랑스 국내외에서 많은 저명인사들이 찾아왔다. 방문객 중에는 영국의 농학자 아서 영과 미국의 벤자민 프랭클린 등이 있었다.[30]

아서 영은 마리안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생기에 넘치고 분별 있는 지적인 여성, 라부아지에 부인은 홍차와 커피가 있는 영국식 식사를 준비해 주셨다. 하지만 최고의 환대는, 부인이 번역 중이던 리처드 커원의 '플로지스톤설'에 대한 이야기, 혹은 실험실에서 남편을 돕는 지적인 여성인 부인의 노련한 화술이었다."[30]

이 기록처럼 마리안은 살롱에서 지적인 대화를 주도하고 자신이 번역한 리처드 커원의 저작(플로지스톤설과 관련된 내용)을 소개하는 등, 남편의 새로운 화학 이론을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4. 프랑스 혁명과 남편의 죽음

1789년에 일어난 프랑스 혁명 이후, 남편 앙투안 라부아지에와 아버지 자크 폴즈가 종사했던 페르메 제네랄(Ferme Générale, 징세 청부업)에 대한 민중의 시선은 가혹해졌다.[31] 1791년에는 징세 청부인의 직책이 폐지되었고, 이들이 시민들에게 징수한 돈을 횡령했다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다.[31]

1793년, 공포 정치가 시작되면서 라부아지에는 페르메 제네랄에서의 두드러진 지위 때문에 프랑스 혁명가들에게 반역자로 낙인 찍혔다. 폴즈의 아버지 자크 폴즈 또한 같은 이유로 체포되었다. 1793년 11월 28일, 라부아지에와 자크 폴즈는 자신들의 무죄를 증명하기 위해 출두했으나[32], 결국 체포되어 포르 리브르에 수감되었다.[1]

수감 기간 동안 마리안은 정기적으로 남편과 아버지를 방문하여 음식을 전달하는 한편, 그들의 석방과 사면을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했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33][1] 그녀는 라부아지에의 고발자이자 전 페르메 제네랄 동료였던 André Dupin de Beaumont|앙드레 뒤팽 드 보몽프랑스어 앞에서 남편의 과학자로서의 업적과 프랑스 국가에 대한 그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석방을 호소했다.[1] 당시 앙투안은 날마다 야위어가는 아내의 건강과 미래를 걱정하는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34]

일설에 따르면, 마리안이 소송관인 앙드레 뒤팽에게 간청하면 남편 앙투안만은 살릴 수 있다는 제안이 있었으나, 마리안은 "라부아지에의 소송을 동료들과 따로 처리하는 일은, 결코 라부아지에가 기뻐할 일이 아닙니다. 라부아지에는 그것을 불명예스럽게 여길 것입니다[35]"라고 말하며 거절했고, 이에 격분한 뒤팽이 제안을 철회했다고 전해진다.[35][36] 다만, 이 일화의 사실 여부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는 의견도 있다.[37]

마리안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1794년 5월 8일, 앙투안 라부아지에와 자크 폴즈는 혁명 재판소에 출두하여 반역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같은 날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38][1]

남편과 아버지의 죽음 이후, 마리안은 깊은 슬픔에 빠졌다. 그녀는 새로운 정부가 자신의 돈과 재산을 몰수하면서 파산 상태가 되었고(나중에 반환되었다), 라부아지에의 모든 노트와 실험 장비도 압수당했다.[1]

5. 남편의 사후 활동

1794년 5월 8일, 공포 정치 시기 프랑스 혁명가들은 페르메 제네랄에서의 활동을 문제 삼아 앙투안 라부아지에와 그녀의 아버지 자크 폴즈를 반역죄로 처형했다.[1][3] 남편과 아버지를 동시에 잃고, 이전에 오빠마저 사망하여[38] 36세에 모든 가족을 잃은 마리안은[38][39] 깊은 슬픔에 빠졌다. 설상가상으로 새로운 정부는 그녀의 재산마저 몰수했고,[40] 1794년 6월 14일에는 마리안 본인마저 체포되어 포르 리브르에 수감되었다.[40]

마리안은 감옥에서 자신의 무죄를 주장하는 편지를 썼고, 이는 받아들여져 같은 해 8월 17일에 석방될 수 있었다.[41] 석방 후에도 재산은 몰수된 상태였기에 하인과 함께 어려운 생활을 이어갔다.[41] 1795년 3월, 여론의 변화로 정부가 징세청부인의 재산을 반환하기로 결정하자,[41] 마리안은 재산 회복을 위한 행동에 나섰다. 특히, 라부아지에의 고발자였던 앙드레 뒤팽 드 보몽(André Dupin de Beaumont)이 자기 변호를 위한 책자를 내자,[41][42] 마리안은 1795년 7월 뒤팽을 고발하는 문서를 직접 작성하여 출판하며 적극적으로 대응했다.[41] 결국 뒤팽은 체포되었고, 마리안은 1796년에 남편의 책, 가구, 실험 장비 등 몰수되었던 동산을 되찾을 수 있었다.[43]

재산을 되찾은 마리안은 다시 살롱을 열어 지식인들과 교류했다. 살롱에는 피에르 시몽 라플라스, 클로드 루이 베르톨레 등 남편과 가까웠던 동료들이 참여했다. 그러나 남편이 위기에 처했을 때 그를 돕지 않았다고 판단한 앙투안 프랑수아 푸르크루아, 루이 베르나르 기통 드 모르보, 장 앙리 아상프라츠 등은 살롱에 초대하지 않으며 단호한 태도를 보였다.[43][44]

마리안은 남편이 생전에 준비하던 논문 모음집 출판 작업에도 착수했다. 앙투안 라부아지에는 감옥에서도 이 책의 교정 작업을 계속했었다.[45] 마리안은 그의 유지를 이어 1796년경부터 편집 작업을 시작했고,[46] 처음에는 공동 연구자였던 아르망 세갱(Armand Séguin)과 함께 했으나 의견 차이로 인해 결국 혼자 작업을 마무리했다.[47] 그녀는 직접 서문을 썼고, 1805년에 남편의 주요 논문들을 모아 Mémoires de Chimie|화학 논집프랑스어이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48][49] 이 책의 초판 서문에는 혁명가들과 남편의 죽음에 책임이 있다고 생각되는 동시대 인물들에 대한 비판이 담겨 있었으나, 최종 출판본에서는 제외되었다. 비록 협력자를 구하지 못해 미완의 상태였고 한정된 사람들에게만 배포되어[50] 당대에 널리 알려지지는 못했지만, 이 책은 화학 분야에서 남편의 업적과 유산을 보존하려는 마리안의 헌신적인 노력을 보여주는 증거로 평가받는다.[51]

5. 1. 럼퍼드 백작과의 재혼과 이혼

모리츠 켈러호벤이 그린 벤저민 톰슨 경, 럼퍼드 백작


첫 남편 앙투안 라부아지에 사후 미망인이 된 마리 앤은 1801년, 자신이 주최하던 살롱에서 군인이자 저명한 물리학자인 벤저민 톰슨(럼퍼드 백작)을 처음 만났다.[54] 벤저민 톰슨은 1753년 미국 식민지 매사추세츠에서 태어나 젊은 시절 하버드 대학교에서 존 윈throp의 강의를 들었으며, 미국 독립 전쟁 당시에는 왕당파로 참전한 경력이 있었다. 이후 바이에른으로 건너가 선제후 카를 테오도르의 부관으로 일하며 군대를 개편하고 빈민 구호소를 설립하는 등 활동했으며, 과학 실험을 지속하여 명성을 얻었다. 1791년에는 신성 로마 제국 백작(Reichsgraf von Rumford) 작위를 받았다.[4]

럼퍼드는 마리 앤을 자주 찾아갔고,[55] 당시 "라부아지에 부인은 매우 유쾌하고 친절하며 성격이 좋다", "지금까지 만난 여성 중 가장 머리가 좋고 지식 수준도 매우 높다"고 높이 평가했다.[55] 마리 앤 역시 럼퍼드가 프랑스에서 연구를 이어가고 싶다는 뜻을 밝히자 "제 저택에 오시면 됩니다. 당신은 실험을 하시고, 저는 기록을 하죠"라고 답하며 호의를 보였다.[54]

두 사람은 1803년 스위스로 함께 여행하는 등 교제를 이어갔고, 1804년 1월 약혼했다.[56] 약혼 당시 마리 앤은 결혼 후에도 전 남편의 성을 사용하여 "라부아지에-드-럼퍼드 부인"으로 불리기를 강력히 주장했다. 이는 당시로서는 이례적인 요구였고 럼퍼드는 이에 불만을 가졌으나, 결국 마리 앤의 주장을 받아들여 결혼 계약서에 명기하게 되었다.[57] 마리 앤은 훗날 "라부아지에의 이름을 절대 버리지 않는 것은 저에게 의무이자, 종교와도 같은 것입니다"라고 말하며 첫 남편에 대한 변함없는 존경과 애정을 드러냈다.[57]

두 사람은 1805년 정식으로 결혼했다.[58] 그러나 이들의 결혼 생활은 성격 차이로 인해 순탄치 않았고 오래가지 못했다.[5] 사교적인 성격의 마리 앤은 자신의 집에서 자주 파티를 열고 사교계의 중심인물로서 활동하기를 즐겼다.[59] 반면, 조용히 자신의 연구에 몰두하기를 원했던 럼퍼드는 이러한 아내의 사교 활동을 못마땅하게 여겼고, 주변 사람들에게 아내에 대한 불만을 자주 토로했다.[60][61] 그는 한 편지에서 마리 앤을 "암컷 드래곤"이라고 칭하며 불편한 감정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기도 했다.[62]

결국 두 사람의 관계는 회복되지 못하고 1808년에 별거에 들어갔으며, 1809년 공식적으로 이혼했다.[63] 마리 앤은 이혼 후에도 평생 첫 번째 남편의 성인 라부아지에를 유지하며 그에 대한 존경심을 지켰다.[5] 럼퍼드는 이혼 후 파리로 이주하여 연구 활동을 계속하다 1814년에 사망하여 오퇴유에 묻혔다.[6]

6. 말년

럼퍼드 백작과 이혼한 후에도 적당한 거리를 두며 교류를 이어갔다. 1814년 럼퍼드가 사망한 뒤,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스스로 '럼퍼드 백작 부인'이라 칭했다[64]

만년에도 살롱을 열어 프랑수아 아라고와 같은 지식인들을 초대하며 교류했다[65]。 스코틀랜드 출신의 과학 저술가 메리 서머빌도 이 살롱에 초대되었는데, 마리안은 서머빌이 라플라스나 아라고 같은 저명한 과학자들의 주목을 받는 것을 질투하기도 했다는 일화가 있다[66]

마리안은 사망하기 직전까지 친구들과 활발히 교류했으며, 1836년 2월 10일 7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67]。 앙투안 라부아지에의 동료였던 인물의 손자인 드랑트의 기록에 따르면, 그녀의 장례식에는 생전 살롱에 참여했던 많은 이들이 모여 성대하게 치러졌다고 한다[67]

7. 업적과 평가

마리안 폴즈 라부아지에는 남편 앙투안 라부아지에의 과학 연구에 깊이 관여하며 단순한 조력자를 넘어 중요한 연구 동반자로서 활동했다. 그녀는 남편의 실험실 작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실험 과정을 돕고, 실험 노트를 상세히 기록했으며, 실험 설계를 스케치하는 역할을 수행했다.[5] 특히, 당대 유명 화가였던 자크 루이 다비드에게 직접 미술을 배운[2] 덕분에 실험 장치를 매우 정확하고 정밀하게 그릴 수 있었는데, 이는 라부아지에의 실험 방법과 결과를 동료 과학자들이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5] 그녀는 또한 라부아지에가 작성한 보고서의 편집자 역할도 맡았다.

thumb

마리 앤이 직접 그린 데생. 오른쪽 인물이 마리 앤 자신이다.


마리안은 뛰어난 어학 능력을 바탕으로 당시 화학계의 주요 논쟁이었던 플로지스톤설을 비판하고 새로운 화학 이론을 정립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그녀는 영어, 라틴어, 프랑스어에 능통하여, 조지프 프리스틀리, 헨리 캐번디시 등 플로지스톤설을 지지하는 주요 학자들의 논문을 프랑스어로 번역하여 라부아지에에게 제공했다.[69] 특히 중요한 업적은 플로지스톤설의 주요 옹호자였던 리처드 키르완의 저서 '플로지스톤과 산의 구성에 관한 에세이'를 번역한 것이다. 마리안은 단순 번역에 그치지 않고, 직접 각주를 달아 키르완의 주장에 나타난 화학적 오류를 지적하고 비판하는 등 적극적으로 참여했다.[7][5] 이 번역 및 비평 작업은 라부아지에가 플로지스톤설의 오류를 확신하고, 연소에 대한 새로운 이론과 산소의 역할을 규명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68] 마리안이 번역하고 비평한 키르완의 책은 1788년 출판되어 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75], 오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와 같은 학자들이 플로지스톤설에 대한 기존 입장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76] 키르완 자신도 결국에는 플로지스톤설을 포기하게 된다.[72]

마리 앤이 제작하여, 『화학 원리』에 게재된 동판화.


또한 마리안은 1789년에 출판된 라부아지에의 기념비적인 저서 『화학 원론』(''Traité Élémentaire de Chimie'')의 출간 과정에도 깊숙이 관여했다. 그녀는 책에 실린 13개의 정교한 동판화를 직접 제작하여 실험 기구와 장치를 상세히 묘사했으며[77], 이 그림들은 실험 과정을 시각적으로 이해하는 데 크게 기여하여 당시에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78] 더불어 실험 과정을 꼼꼼하게 기록하여 연구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프랑스 혁명의 격동기 속에서 남편 앙투안 라부아지에가 단두대에서 처형당하는 비극을 겪은 후에도, 마리안은 그의 과학적 유산을 보존하고 알리는 데 헌신했다. 그녀는 1796년경부터 남편이 생전에 발표했던 논문들을 모아 책으로 출판하는 작업을 시작했다.[46] 초기에는 공동 연구자였던 세갱과 함께 작업했으나 내용에 대한 견해 차이로 결국 혼자 편집 작업을 마무리했다.[47] 마리안은 직접 서문을 작성하여 1805년에 『화학 논집』(''Mémoires de chimie'')이라는 제목으로 책을 출판했다.[48][49] 비록 이 책은 여러 한계로 인해 널리 배포되지는 못했지만[50], 후대에 이르러 마리안의 학문적 역량과 남편에 대한 깊은 애정을 보여주는 증거로 평가받고 있다.[51] 그녀는 또한 남편의 실험 노트와 장비들을 되찾아 보존하는 데 힘썼으며, 이 유물들의 상당수는 현재 미국 코넬 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다.[9]

파리 페르 라셰즈 묘지에 있는 마리안 폴즈 라부아지에의 묘


thumb'' (''Portrait of M. and Mme Lavoisier'') 1788년작 자크 루이 다비드,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맨해튼, 뉴욕)]]

과학 연구 외에도 마리안은 예술적 재능을 발휘하고 활발한 사교 활동을 펼쳤다. 그녀는 화가 자크 루이 다비드에게 미술을 배웠으며[2], 이는 남편의 실험을 기록하고 삽화를 그리는 데 유용했을 뿐만 아니라, 벤자민 프랭클린과 같은 당대의 저명인사들의 초상화를 직접 그리는[87] 등 예술 활동으로 이어졌다. 다만, 프랑스 혁명 과정에서 다비드의 급진적인 정치 행보로 인해 두 사람의 관계는 소원해졌다. 마리안은 결혼 생활 동안 꾸준히 살롱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지식인들과 교류했으며[90], 때로는 살롱에서 플로지스톤설을 풍자하는 연극적인 퍼포먼스를 벌이기도 했다.[88][89]

마리안 폴즈 라부아지에는 젊은 나이에 당대 최고의 화학자였던 앙투안 라부아지에와 결혼하면서 자연스럽게 최첨단 과학의 세계에 발을 들였고, 남편의 연구를 돕기 위해 화학, 어학, 미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스스로 능력을 갈고 닦았다.[80] 그녀는 18세기 프랑스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여성이 과학 분야에서 활동하기 어려웠음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지적 능력과 열정을 보여주었다.[81] 스스로의 능력에 대한 자부심도 있었지만[82], 동시에 주변의 저명한 남성 학자들과 자신을 비교하며 때로는 자신감 부족을 드러내기도 했다.[83] 이는 당시 여성이 주로 남성에게 배우는 입장에 놓여 있었고, 스스로 주체적인 성취를 이루는 데 사회적 제약이 따랐던 시대적 한계와 무관하지 않다.[84] 또한, 여성의 가치가 남편이나 아버지 등 남성의 지위에 의해 평가되던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85], 남편 사후 그의 업적을 기리고 유산을 지키려는 마리안의 노력은 개인적인 헌신을 넘어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했다.[86]

8. 한국의 관점: 마리안 폴즈 라부아지에와 여성 과학자



마리안 폴즈 라부아지에는 젊은 나이에 당대 최고의 화학자였던 앙투안 라부아지에와 결혼하면서 최첨단 화학 지식을 접할 기회를 얻었다.[79] 그녀는 남편의 연구를 돕고 그에게 걸맞은 동반자가 되기 위해 화학뿐만 아니라 어학, 그림 등 다방면에 걸쳐 능력을 키우고자 노력했다.[80] 18세기 프랑스에서 마리안만큼 화학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갖추고 이를 발휘할 수 있었던 여성은 극히 드물었다.[81]

마리안 스스로도 자신의 능력에 대해 어느 정도 자부심을 가졌던 것으로 보이나,[82] 주변의 저명한 남성 과학자들과 자신을 비교하며 "내 주변에 있는, 나보다 훨씬 유능한 사람들—그 사람들과 비교하면 나는 어린애일 뿐이다"와 같이 편지에 적는 등, 화학 분야에서의 성취에 대해 자신감이 부족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83] 연구자 가와시마 게이코는 마리안이 주로 연상의 남성들로부터 배우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스스로 주체적인 연구 성과를 이루는 것에 대한 심리적 장벽이 있었을 수 있으며, 이것이 자신감 부족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을 지적한다.[84]

또한 당시 사회는 여성의 가치를 주로 남편이나 아버지 등 가까운 남성의 지위나 명성에 의존하여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85] 마리안이 남편 앙투안 사후에도 그의 업적을 기리고 『화학원론』의 편집 과정에서 다른 공동 연구자와 의견 대립을 보인 것 역시,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여성으로서 자신의 정체성과 역할을 남편과의 관계 속에서 찾으려 했던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 있다.[86]

그럼에도 마리안은 앙투안과의 결혼 생활 동안부터 노년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살롱을 운영하며 지식인들과의 교류를 이어갔다. 벤자민 프랭클린과도 친분이 있었으며, 직접 그린 그의 초상화를 선물하기도 했다.[87] 남편 생전에는 집에서 플로지스톤설을 부정하는 의미로, 플로지스톤설을 주창한 게오르크 에른스트 슈탈의 저서를 불태우는 퍼포먼스를 열기도 했는데, 이때 마리안은 수녀 복장을 하고 등장하기도 했다.[88][89] 그녀의 사후 추도문을 작성한 정치인이자 역사가 프랑수아 기조는 마리안의 살롱이 단순히 사교나 출세를 위한 모임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명사들이 모여 자유롭게 지성과 대화를 나누는 활기찬 공간이었다고 높이 평가했다.[90] 마리안 폴즈 라부아지에의 삶은 과학 분야에서 여성이 활동하기 어려웠던 시대적 한계 속에서도 지적 활동에 참여하고 기여하고자 했던 노력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scientist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2] 웹사이트 Madame Lavoisier's Translation of Oxygen https://www.bbc.co.u[...] www.bbc.co.uk 2023-04-04
[3] 서적 Lavoisier in the year one: the birth of new science in an age of revolution https://archive.org/[...] W. W. Norton
[4] 서적 The History of Concord: From Its First Grant in 1725 to the Organization of the City Government in 1853 https://archive.org/[...] Benning W. Sanford
[5] 서적 International Women in Science a Biographical Dictionary to 1950. ABC-CLIO
[6] 서적 Memoir of Sir Benjamin Thompson, Count Rumford, with Notices of his Daughter Macmillan and Company
[7] 서적 Women in Their Element: Selected Women's Contributions To The Periodic System World Scientific 2019
[8] 간행물 Mme. Lavisier 2002
[9] 웹사이트 Lavoisier http://rmc.library.c[...] 2013-08-14
[10] 문서 "Catalogue de livres faisant partie de la bibliotheque de feu Madame. Lavoisier, comtesse de Rumford" Chez Galliot, Libraire
[11] 서적 Women, Art and the Politics of Identity in Eighteenth-Century Europe Routledge
[12]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scientist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13] 문서 川島(2015) p.35
[14] 문서 グリモー(1941) p.43
[15] 문서 ラボアジエ(1976) p.ii
[16] 문서 川島(2015) p.36
[17] 문서 ヌルミネン(2016) p.402
[18] 문서 川島(2015) pp.36-37
[19] 문서 グリモー(1941) p.49
[20] 문서 グリモー(1941) p.50
[21] 문서 川島(2015) p.43
[22] 문서 グリモー(1941) p.52
[23] 문서 ヌルミネン(2016) p.404
[24] 문서 中川(2016) p.63
[25] 문서 中川(2016) pp.61-62
[26] 문서 ヌルミネン(2016) p.405
[27] 문서 川島(2015) p.46
[28] 문서 グリモー(1941) p.56
[29] 문서 ヌルミネン(2016) p.407
[30] 문서 川島(2015) p.176
[31] 문서 川島(2015) p.192
[32] 문서 川島(2015) pp.192-193
[33] 문서 川島(2015) p.193
[34] 문서 グリモー(1941) pp.260-261
[35] 문서 グリモー(1941) p.269
[36] 서적 川島(2015) p.194
[37] 서적 川島(2015) p.195
[38] 서적 川島(2015) p.196
[39] 서적 グリモー(1941) p.288
[40] 서적 グリモー(1941) p.289
[41] 서적 川島(2015) p.197
[42] 서적 グリモー(1941) pp.292-293
[43] 서적 川島(2015) p.198
[44] 서적 中川(2016) p.191
[45] 서적 川島(2015) pp.202,204
[46] 서적 島尾(2002) p.24
[47] 서적 川島(2015) pp.203-205
[48] 서적 川島(2015) p.202
[49] 서적 ヌルミネン(2016) p.409
[50] 서적 川島(2015) p.206
[51] 서적 川島(2015) p.207
[52] 서적 ラボアジエ(1976) p.v
[53] 웹사이트 Jacques G. Ruelland Marie-Anne Pierrette Paulze-Lavoisier, comtesse de Rumford (1758-1836):lumière surgie de l'ombre http://www.ruelland.[...]
[54] 서적 川島(2015) p.209
[55] 서적 奥田(1988) p.127
[56] 서적 奥田(1988) pp.132-133
[57] 서적 川島(2015) p.210
[58] 서적 奥田(1988) p.133
[59] 서적 奥田(1988) pp.135-136
[60] 서적 奥田(1988) p.149
[61] 서적 川島(2015) p.215
[62] 서적 川島(2015) p.212
[63] 서적 奥田(1988) pp.149-151
[64] 서적 川島(2015) pp.216,220-221
[65] 서적 川島(2015) p.223
[66] 서적 川島(2015) p.224
[67] 서적 川島(2015) p.234
[68] 서적 ヌルミネン(2016) pp.405-408
[69] 서적 島尾(2002) pp.21-22
[70] 서적 川島(1995) p.163
[71] 서적 川島(1995)
[72] 서적 川島(1995)
[73] 서적 川島(1995)
[74] 서적 川島(1995)
[75] 서적 川島(1995)
[76] 서적 川島(2015)
[77] 서적 ヌルミネン(2016)
[78] 서적 川島(2015)
[79] 서적 川島(2015)
[80] 서적 川島(2015)
[81] 서적 川島(2015)
[82] 서적 川島(2015)
[83] 서적 川島(2015)
[84] 서적 川島(2015)
[85] 서적 川島(2015)
[86] 서적 川島(2015)
[87] 서적 グリーンバーグ(2006)
[88] 서적 川島(2005)
[89] 서적 グリーンバーグ(2006)
[90] 서적 川島(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