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립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립간은 신라에서 지증왕 이전까지 왕을 칭하던 호칭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지증왕 4년(503년)부터 '왕'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마립간의 어원에 대해서는 김대문은 '마립'을 '말뚝'의 방언으로, 화백 회의의 좌석을 의미한다고 보았고, 스에마쓰 야스카즈는 고구려의 최고 집정관 막리지를 어원으로 추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립간 - 지증왕
    지증왕은 신라의 제22대 왕으로, 국가 체제 정비, 순장 금지, 국호 및 왕의 칭호 통일, 주·군·현 제도 정비, 동시전 설치 등을 통해 왕권 강화와 국가 기틀 확립에 기여하고 이사부를 등용하여 우산국을 복속시켜 영토를 확장한 왕이다.
  • 마립간 - 내물 마립간
    김씨 성으로 첫 즉위한 신라 17대 왕 내물 마립간은 재위 기간 동안 주변국들과 외교 및 군사적 충돌을 겪었으며 고구려의 도움으로 왜의 침입을 막아냈고 능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지도자 칭호 - 카이저
    카이저는 로마 황제 칭호 카이사르에서 유래한 독일어 단어로 황제를 의미하며, 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독일 제국 군주의 칭호로 사용되었고, 오스트리아에서는 최고 수준을 나타내는 접두사로, 일본 천황 지칭, 제왕절개의 어원으로도 쓰인다.
  • 지도자 칭호 - 정이대장군
    정이대장군은 에미시 정벌을 위해 임명된 일본 열도 태평양 방면 군 통솔 직책으로, 무사 정권의 시작과 함께 쇼군이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며 일본을 통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왕족 칭호 - 카이저
    카이저는 로마 황제 칭호 카이사르에서 유래한 독일어 단어로 황제를 의미하며, 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독일 제국 군주의 칭호로 사용되었고, 오스트리아에서는 최고 수준을 나타내는 접두사로, 일본 천황 지칭, 제왕절개의 어원으로도 쓰인다.
  • 왕족 칭호 - 차트라파티
    차트라파티는 인도 마라타 제국의 군주들이 사용한 "황제", "왕", "지도자"를 의미하는 칭호로, 시바지 1세가 마라타 제국 건국 시 처음 사용한 이후 그의 후계자들이 계승하였으며, 현재는 우다얀라제 보살레가 칭호를 이어받고 있다.
마립간
개요
훈민정음 표기마립ᄀᆞᆫ
로마자 표기Maripkan
영어Maripgan
정보
유형칭호
사용 국가신라
존속 기간356년 ~ 503년
이전 칭호이사금
다음 칭호
설명신라의 역대 군주 칭호

2. 역대 마립간

신라의 역대 마립간과 재위 기간은 아래 표와 같다.

왕조명대수칭호시호재위 기간기타
김씨 왕조17내물 마립간내물(奈勿), 나밀(那密)356년 ~ 402년각간 말구(末仇)의 아들.
18실성 마립간실성(實聖)402년 ~ 417년이찬 대서지(大西知)의 아들.
19눌지 마립간눌지(訥祗)417년 ~ 458년내물 마립간의 장자.
20자비 마립간자비(慈悲)458년 ~ 479년눌지 마립간의 장자.
21소지 마립간소지(炤知)479년 ~ 500년자비 마립간의 장자.
22지증 마립간지증대왕지대로(智大路), 지도로(智度路 / 智度盧) 또는 지철로(智哲盧)500년 ~ 514년습보 갈문왕의 아들.
23모즉지매금왕(牟卽智寐錦王) 또는 무즉지매금왕(另卽智麻立干)법흥대왕원종(原宗), 모즉지(牟卽智) 또는 무즉지(另卽智)514년 ~ 540년지증 마립간의 아들.



신라에서는 건국 후 오랫동안 "마립간" 호칭을 사용했지만, 《삼국사기》에 따르면 지증왕 때인 503년부터 "왕" 호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1]

2. 1. 김씨 왕조

김씨 왕조는 내물 마립간을 시작으로 법흥왕까지 이어졌다. 각 마립간의 칭호, 휘, 재위 기간, 기타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

칭호재위 기간기타
실성 마립간실성(實聖)402년 ~ 417년이찬 대서지(大西知)의 아들.
자비 마립간자비(慈悲)458년 ~ 479년눌지 마립간의 장자.
소지 마립간소지(炤知)479년 ~ 500년자비 마립간의 장자.
지증 마립간지대로(智大路), 지도로(智度路 / 智度盧) 또는 지철로(智哲盧)500년 ~ 514년습보 갈문왕의 아들.
법흥왕원종(原宗), 모즉지(牟卽智) 또는 무즉지(另卽智)514년 ~ 540년지증 마립간의 아들


2. 1. 1. 내물 마립간

356년 ~ 402년까지 재위한 김씨 왕조 최초의 마립간이다. 휘는 내물(奈勿) 또는 나밀(那密)이며, 각간 말구(末仇)의 아들이다.[1] 중앙 집권 국가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칭호재위 기간기타
내물 마립간내물(奈勿), 나밀(那密)356년 ~ 402년각간 말구(末仇)의 아들.


2. 1. 2. 실성 마립간

402년부터 417년까지 재위한 실성 마립간(實聖麻立干)은 이찬 대서지(大西知)의 아들이다. 실성(實聖)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高句麗중국어와의 외교 관계에서 갈등을 겪었다.

2. 1. 3. 눌지 마립간

눌지 마립간내물 마립간의 장자로, 417년부터 458년까지 재위하였다. 나제동맹을 맺어 백제와 동맹하여 고구려의 남진을 저지하였다.

칭호재위 기간기타
눌지 마립간눌지(訥祗)417년 ~ 458년내물 마립간의 장자


2. 1. 4. 자비 마립간

눌지 마립간의 장자이다. 458년부터 479년까지 재위하였다. 백제와의 관계를 강화하고, 내부적으로 왕권 강화를 추진했다.

2. 1. 5. 소지 마립간

소지 마립간은 자비 마립간의 장자로, 479년부터 500년까지 신라를 다스렸다. 그는 백성들의 생활 안정에 힘썼다.

2. 1. 6. 지증 마립간

지증왕은 습보 갈문왕(習寶)의 아들로, 이름은 지대로(智大路), 지도로(智度路) 또는 지철로(智哲盧)이다. 500년부터 514년까지 신라를 다스렸다.

2. 1. 7. 법흥왕

법흥왕(法興大王중국어)은 원종(原宗), 모즉지(牟卽智) 또는 무즉지(另卽智)라고도 불리며, 지증왕의 아들이다. 514년부터 540년까지 재위하였다. 율령을 반포하고 불교를 공인하여 중앙 집권 국가의 기틀을 완성했다.[1]

칭호재위 기간기타
모즉지매금왕(牟卽智寐錦王) 또는 무즉지매금왕(另卽智麻立干)원종(原宗), 모즉지(牟卽智) 또는 무즉지(另卽智)514년 ~ 540년지증왕의 아들.


3. 어원 및 해석

신라에서는 건국 후 오랫동안 왕을 칭하는 데 "마립간" 호칭을 사용했지만, 《삼국사기》에 따르면, 지증왕 때까지를 "마립간"으로 칭하고, "왕" 호칭 사용은 503년에 시작되었다[1].

'마립간'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학설이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김대문의 해석과 스에마쓰 야스카즈의 해석이 있다.

3. 1. 김대문의 해석

김대문은 "마립"을 "말뚝"을 의미하는 한국어방언으로 보았다. 그는 "마립"이 화백 때 참가자들의 좌석을 나타내는 표목이라고 해석했다. 왕은 화백의 최상석을 차지하므로 그 좌석을 "마립"이라 칭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김대문의 설명은 "마립"이 말뚝 그 자체를 의미하는지, 아니면 왕이 앉는 자리를 가리키는 것인지 명확하지 않다.[1]

3. 2. 스에마쓰 야스카즈의 해석

스에마쓰 야스카즈고구려의 최고 집정관인 막리지를 "마립간"의 원어로 보았다. 그는 "막리"와 "마립" 모두 "마카리"로 읽으며, 《석일본기》에 있는 "상신(마카리다로)"과 "정부인(마카리오리쿠쿠)"의 고훈을 채택하여 "마카리"에는 상(上)·대(大)·정(政) 등의 의미가 있다고 해석했다.[1]

4. 마립간 시대의 정치와 사회

내물 마립간부터 신라 법흥왕까지 신라에서는 왕의 칭호로 '마립간'을 사용하였다. 마립간 시대의 정치와 사회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재위 기간기타
내물 마립간내물(奈勿), 나밀(那密)356년 ~ 402년각간 말구(末仇)의 아들.
실성 마립간실성(實聖)402년 ~ 417년이찬 대서지(大西知)의 아들.
눌지 마립간눌지(訥祗)417년 ~ 458년내물 마립간의 장자.
자비 마립간자비(慈悲)458년 ~ 479년눌지 마립간의 장자.
소지 마립간소지(炤知)479년 ~ 500년자비 마립간의 장자.
지증 마립간지대로(智大路), 지도로(智度路 / 智度盧) 또는 지철로(智哲盧)500년 ~ 514년습보 갈문왕(習寶)의 아들.
모즉지매금왕(牟卽智寐錦王) 또는 무즉지매금왕(另卽智麻立干)원종(原宗), 모즉지(牟卽智) 또는 무즉지(另卽智)514년 ~ 540년지증왕의 아들.


참조

[1] 서적 東アジアにおける仏教の伝来と受容 関西大学東西学術研究所 1989-03
[2] 서적 삼국사기 권3, 〈신라본기〉3, 눌지 마립간 즉위년(417년) 5월조 주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