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이코프 문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코프 문화는 기원전 4천년기 북캅카스 지역에 존재했던 청동기 시대 문화로, 쿠라-아락세스 문화, 얌나 문화 등 주변 문화와 교류하며 메소포타미아의 우루크 시대와 동시대에 번성했다. 이 문화는 금속 공예, 특히 금과 은 세공 기술이 발달했으며, 독특한 동물 양식을 예술에 반영했다. 또한, 말 사육과 마차 바퀴 사용, 계단식 농업 등 다양한 특징을 보였다. 마이코프 문화의 기원은 콜키스 지역, 폰토스-카스피 스텝, 이란 고원, 아제르바이잔 등 다양한 지역에서 제기되고 있으며, 얌나야 문화와 관련하여 인도유럽어족의 기원과 연관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유럽의 고고문화 - 쿠쿠테니-트리필랴 문화
    쿠쿠테니-트리필랴 문화는 기원전 5800년에서 3000년 사이에 몰도바,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번성했던 신석기 시대 후기에서 초기 청동기 시대의 문화로, 독특한 정착지와 정교한 도자기, 인형 조각상으로 특징지어지며, 자급자족 농경 사회를 이루었다.
  • 동유럽의 고고문화 - 오리냐크 문화
    오리냐크 문화는 약 4만 8천 년 전부터 1만 5천 년 전까지 유럽과 시베리아에 걸쳐 나타난 초기 상부 구석기 시대 문화로, 석엽기법, 정교한 골각기, 동물 및 비너스 조각상, 동굴 벽화 등 독특한 예술 양식을 특징으로 하며, 크로마뇽인과 그리말디인이 주요 창조자로 여겨지지만 기원과 연대, 다른 지역 문화와의 관계는 논쟁 중이고, 유전학적 연구는 초기 서유라시아인의 이동과 관련 있음을 시사한다.
  • 유럽의 청동기 문화 - 루사티아 문화
    루사티아 문화는 청동기 시대 중기 트슈치니에츠 문화에서 기원하여 철기 시대 유럽 사회 정치적 네트워크에 통합되었으며, 폴란드, 독일, 체코 등 중앙 유럽에 걸쳐 화장 매장, 요새화된 정착지 건설, 경작 농업 등의 특징을 보인다.
  • 유럽의 청동기 문화 - 빌라노바 문화
    빌라노바 문화는 이탈리아 북부에서 기원전 900년경부터 720년경까지 번성했던 철기 시대 문화로, 화장 후 유골을 담은 골호 매장, 기하학적 무늬의 도자기, 청동 유물 등의 특징을 가지며 에트루리아 문명 형성에 영향을 주었고 그리스 문명과 교류하였다.
  • 기원전 제4천년기 - 원시 엘람
    원시 엘람은 기원전 3100년경부터 기원전 2900년경까지 이란 고원에서 발생한 문명과 문자를 지칭하며,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교류하며 발전했고, 농업 잉여물 관리를 위해 이란 최초의 문자 형태인 원시 엘람 문자를 사용했다.
  • 기원전 제4천년기 - 기원전 37세기
    기원전 37세기는 거석기념물 건설 확산, 토큰 사용, 마이코프 문화 시작, 인더스 문명 발전, 나카다 문화 I기 시작, 미노아 문명 시작 등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문명의 발흥과 문화적 변화가 나타난 시기이다.
마이코프 문화
문화 정보
이름마이코프 문화
원어 표기Maykop culture
다른 이름마이코프, 마이코프
지평해당 없음
지역폰토스 스텝
시대청동기 시대
연대기원전 3700년경 - 기원전 3000년경
표지 유적해당 없음
주요 유적해당 없음
이전다르케티-메쇼코
이후얌나 문화, 노보스보보드나야 문화
개요
위치유라시아 스텝
시기기원전 3700년경 – 기원전 3000년경
선행 문화다르케티-메쇼코
후행 문화얌나 문화, 노보스보보드나야 문화
연대기
시기기원전 3700년경 – 기원전 3000년경
특징
관련 문화쿠라-아락세스 문화, 미하이로프카 하층 문화

2. 영역

마이코프 문화(갈색)와 기원전 3000년 전후 유럽 및 코카서스 고고학 문화의 분포


마이코프 문화는 남쪽으로는 거의 동시대의 쿠라-아락세스 문화(기원전 3500~2200년)와 접하고 있었으며, 아르메니아 고원까지 확장되어 마이코프 문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북쪽으로는 얌나 문화와 그 영토와 겹치는 노보티타로프스카야 문화(기원전 3300~2700년)가 있다. 이는 메소포타미아의 후기 우루크 시대와 동시대이다.

쿠반 강은 대부분 구간에서 항해가 가능하며, 아조프 해를 통해 돈 강과 도네츠 강 유역의 얌나 문화 영토로 쉽게 수로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었다. 따라서 마이코프 문화는 우크라이나 중부 지역과의 교역 가능성을 활용하기에 좋은 위치에 있었다.

마이코프 문화 유적에 대한 탄소 연대 측정 결과는 기원전 3950~3650~3610~2980년이다.[5]

2010년, 쿠반 강에서 날치크까지 약 96.56km에 걸쳐 해발 약 1408.18m~약 2414.02m 높이에 위치한 거의 200개의 청동기 시대 유적이 보고되었다. 이들은 모두 "중앙에 타원형 안뜰이 있고 도로로 연결된 동일한 건축 계획에 따라 눈에 띄게 건설되었다."[6]

2. 1. 레일라-테페 문화와의 관계

1980년대 레일라-테페 문화가 발견된 후, 마이코프 문화와의 몇 가지 연관성이 주목되었다.

레일라-테페 문화는 찰코리틱 시대의 고고학적 관심을 끄는 문화이다. 이 문화의 인구는 기원전 4350년부터 4000년까지 중앙 코카서스(현대 아제르바이잔, 아그담구)의 남쪽 경사면에 분포했다. 남 코카서스에서는 서부 조지아의 항아리 매장 문화에서 유사한 암포라 매장이 발견된다.

이 문화는 또한 북 우바이드 시대 유적, 특히 동부 아나톨리아 지역의 정착지와도 관련이 있다. 정착지는 서아시아형으로, 주거지가 밀집되어 있고 진흙 벽돌로 만들어졌으며 연기 배출구가 있다.

레일라-테페가 마이코프 문화의 창시자였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시리아 원정대는 마이코프와 레일라-테페 유물의 유사성을 발견했는데, 이는 기원전 4천년의 고대 도시 텔 카즈네 I을 발굴하는 동안 최근 발견된 유물과 유사했다.[6]

3. 문화

마이코프 문화의 암각화가 새겨진 마이코프 판


북캅카스 지역의 마이코프 문화는 캅카스 남부의 쿠라-아락세스 문화 및 메소포타미아의 우루크 시대와 동시대에 존재했다. 마이코프 쿠르간(고분) 등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당대 기준으로 매우 독특하다. 7,000점 이상의 금제품과 약 1,000점의 은제품이 알려져 있는데, 기원전 4천년기 후반 초기 청동기 시대 세계에서 이처럼 많은 수의 정교한 금은 세공품이 발견된 곳은 없었다.[7]

마이코프인들은 정착 생활을 했으며, 말은 가축 중 매우 적은 비율을 차지했고 주로 돼지와 소를 길렀다. 고고학자들은 독특한 형태의 청동 뺨받이를 발견했는데, 이는 중간에 비틀린 고리가 있는 청동 막대로 구성되어 매듭을 통과하여 굴레, 고삐 끈 및 머리띠에 연결되었다. 뺨받이 가장자리의 홈과 튀어나온 부분은 코와 아랫입술 끈을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9]

세계에서 가장 초기의 마차 바퀴 중 일부가 마이코프 문화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쿠반 지역의 노보코르순스카야 쿠르간에서 발견된 두 개의 통나무 바퀴는 기원전 4천년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0]

마이코프 문화의 사람들은 산에 인공적인 계단식 밭 단지를 건설했는데, 이는 정착 생활, 높은 인구 밀도, 높은 수준의 농업 및 기술적 능력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계단식 밭은 기원전 4천년경에 건설되었으며, 이후 모든 문화에서 농업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마이코프 계단식 밭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 중 하나이지만,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3. 1. 예술



The Maikop culture of the North Caucasus region was a contemporary of the 쿠라-아락세스 문화 in the southern Caucasus and of the 우루크 시대 in Mesopotamia. The artifacts found in the Maikop kurgans (burial mounds) and other Maikop culture kurgans are unique for their time. More than 7,000 gold objects and about 1,000 silver objects are known. In the late 4th millennium BC, such a large number of sophisticated gold and silver works of art were not found anywhere else in the early Bronze Age world.|북캅카스 지역의 마이코프 문화는 캅카스 남부의 쿠라-아락세스 문화 및 메소포타미아의 우루크 시대와 동시대에 존재했다. 마이코프 쿠르간(고분) 등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당대 기준으로 매우 독특하다. 7,000점 이상의 금제품과 약 1,000점의 은제품이 알려져 있는데, 기원전 4천년기 후반 초기 청동기 시대 세계에서 이처럼 많은 수의 정교한 금은 세공품이 발견된 곳은 없었다.영어 [7]

20세기 초, 연구자들은 마이코프 유물에서 나타나는 동물 양식을 주목했다. 이 양식은 후기 고고학 문화들에서 나타나는 동물 양식의 원형으로 여겨진다. 마이코프 동물 양식은 스키타이, 사르마티아, 켈트 동물 양식보다 천 년 이상 앞선다.

마이코프 문화에는 해독되지 않은 암각화도 존재한다.[8]

3. 2. 말 사육

마이코프인들은 정착 생활을 했으며, 가축 중 말은 매우 적은 비율을 차지했고 주로 돼지와 소로 구성되었다.

고고학자들은 독특한 형태의 청동 뺨받이를 발견했는데, 이는 중간에 비틀린 고리가 있는 청동 막대로 구성되어 매듭을 통과하여 굴레, 고삐 끈 및 머리띠에 연결되었다. 뺨받이 가장자리의 홈과 튀어나온 부분은 코와 아랫입술 끈을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9]

세계에서 가장 초기의 마차 바퀴 중 일부가 마이코프 문화 지역에서 발견된다. 쿠반 지역의 노보코르순스카야 쿠르간에서 발견된 두 개의 통나무 바퀴는 기원전 4천년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0]

3. 3. 계단식 농업

산에 인공적인 계단식 밭 단지를 건설한 것은 정착 생활, 높은 인구 밀도, 높은 수준의 농업 및 기술적 능력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계단식 밭은 기원전 4천년경에 건설되었으며, 이후 모든 문화에서 농업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계단식 밭에서 발견된 대부분의 도자기는 마이코프 시대의 것이고, 나머지는 스키타이와 알란 시대의 것이다. 마이코프 계단식 밭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 중 하나이지만,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계단식 밭의 긴 수명(5,000년 이상)은 조경 공학의 전통을 보여준다.

4. 기원



마이코프 문화는 남쪽으로는 거의 동시대의 쿠라-아락세스 문화(기원전 3500~2200년)와 접하고 있었으며, 아르메니아 고원까지 확장되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북쪽에는 얌나야 문화와 그 영역이 겹치는 노보티타로프스카야 문화(기원전 3300~2700년)가 있었다. 이는 메소포타미아의 후기 우루크 시대와 동시대이다.

쿠반 강은 대부분의 구간에서 항해가 가능하여 아조프 해를 통해 돈 강과 도네츠 강 유역의 얌나 문화 영토로 쉽게 수로를 이용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지리적 이점은 마이코프 문화가 우크라이나 중부 지역과의 교역 가능성을 활용하기에 좋은 위치에 있었음을 보여준다.

마이코프 문화의 다양한 유적에 대한 탄소 연대 측정 결과는 기원전 3950~3650~3610~2980년으로 나타났다.[5]

1980년대 레일라-테페 문화가 발견된 후, 마이코프 문화와의 연관성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레일라-테페 문화는 찰코리틱 시대의 고고학적 문화로, 기원전 4350년부터 4000년까지 중앙 코카서스(현대 아제르바이잔, 아그담 구)의 남쪽 경사면에 분포했다. 남 코카서스에서는 서부 조지아의 항아리 매장 문화에서 유사한 암포라 매장이 발견된다. 레일라-테페 문화는 북 우바이드 시대 유적, 특히 동부 아나톨리아 지역의 정착지와도 관련이 있다. 정착지는 서아시아형으로, 주거지가 밀집되어 있고 진흙 벽돌로 만들어졌으며 연기 배출구가 있는 특징을 보인다.

레일라-테페가 마이코프 문화의 창시자였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시리아 원정대는 마이코프와 레일라-테페 유물의 유사성을 발견했는데, 이는 기원전 4천년의 고대 도시 텔 카즈네 I을 발굴하는 동안 최근 발견된 유물과 유사했다.

2010년, 쿠반 강에서 날치크까지 약 96km에 걸쳐 해발 약 1,408~2,414m 높이에 위치한 거의 200개의 청동기 시대 유적이 보고되었다. 이들은 모두 "중앙에 타원형 안뜰이 있고 도로로 연결된 동일한 건축 계획에 따라 눈에 띄게 건설되었다."[6]

4. 1. 콜키스 지역 기원설

다양한 마이코프 문화 집단의 혼합 분석
[11]

Wang (2018)[2]과 David W. Anthony (2019)[3]는 마이코프 문화 집단이 남쪽, 아마도 서부 조지아 (다크베티-메쇼코 문화)에서 온 석기 시대 농부들의 후손이며, 북서캅카스어족의 창시자들을 위한 이상적인 고고학적 후보라고 언급한다.

Wang (2018)은 또한, 조사된 청동기 시대의 마이코프 개인들은 인도유럽어족의 확산과 가장 관련이 있는 고고학적 문화인 얌나야 유전자 풀에 기여할 수 없었다고 지적했다.

같은 연구에서 '스텝 마이코프'(마이코프 문화와 관련된 집단)는 아마도 동아시아 관련 요소가 적었고(약 6.9%), 고대 북유라시아인(AG3, MA1) 및 아메리카 원주민과 관련이 있음을 발견했다.[13]

4. 2. 폰토스-카스피 스텝 기원설

마리야 김부타스쿠르간 가설에서 설명된 장례 관습과 마이코프 문화의 장례 관습은 유사하며, 마이코프 문화가 오늘날 대부분의 인도유럽어의 조상으로 인정받는 얌나야 문화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데이비드 앤소니가 2019년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얌나야 유전체는 동유럽 사냥 채집인(EHG)과 코카서스 사냥 채집인(CHG)의 혼합된 조상을 보여주며, 종종 CHG 조상이 50% 이상을 차지한다. 마이코프 문화(기원전 3600-3000년)는 얌나야 유전적 합성을 만들어낸 CHG의 유력한 출처로 여겨진다.[14]

그러나 더 자세한 연구를 통해 이러한 시나리오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마이코프 DNA는 아나톨리아 농부 조상의 상당히 큰 혼합(30%–40%)을 포함한다. 앤소니는 얌나야 유전자 풀은 아나톨리아 농부 조상이 10-18%에 불과했으며, 그 대부분은 서쪽의 구상 항아리 문화와 후기 쿠쿠테니-트리폴리 문화 집단에서 유래했을 것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마이코프가 얌나야 조상의 절반을 차지하는 CHG의 대부분의 출처가 아니었음을 시사하며, 이는 CHG가 마이코프보다 훨씬 이전에 이미 초원에 존재했기 때문이다.[14]

고대 DNA 증거가 나오기 전인 1987년에 J.P. 맬러리는 고분(barrow)에 대한 증거가 발견되는 곳은 바로 나중에 비인도유럽어 집단의 존재를 보여주는 지역이라고 기술했다.[15]

앤소니는 마이코프 문화 사람들이 오늘날 같은 지역에서 발견되는 북서 코카서스어족의 조상 언어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데 동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문화는 초기 인도유럽인들의 문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앤소니는 기원전 3600년경에 나타난 계층적인 마이코프 문화가 얌나야 이전 및 초기 얌나야 초원 문화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말한다. 얌나야의 야금술은 마이코프 문화에서 양면 몰드, 텅 처리된 단검, 단일 날을 가진 주조된 샤프트 구멍 도끼, 비소 구리를 차용했다. 바퀴 달린 차량은 마이코프를 통해 초원으로 들어왔을 수 있으며, 초원 경제에 혁명을 일으키고 기원전 3300년 이후 얌나야 유목 생활을 가능하게 했다.[14]

4. 3. 이란 고원 기원설

마리야 이바노바에 따르면, 마이코프 문화의 기원은 이란 고원에 있었다.[16] 기원전 5천 년 전 북캅카스 지역의 무덤과 정착지는 북흑해와 서흑해 지역의 동시대 고고학적 유물과 관련된 물질 문화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기원전 4천 년 중반경, 기원이 아직 불분명한 "고등 문화"로 갑자기 대체된 것으로 보인다. 거대한 마이코프 쿠르간의 이름을 딴 이 고고학 문화는 지역적 원형이 없고 발칸-아나톨리아 구리 시대의 전통에 속하지 않는 모든 영역에서 혁신을 보여주었다.[16]

러시아 연구자들이 선호하는 이론은 시리아-아나톨리아 지역에서 시작된 남쪽으로부터의 이주이며, 이는 소위 "우루크 팽창"과 관련하여 자주 언급된다. 그러나 마이코프 문화와 시리아-아나톨리아 지역의 연결에 대해 심각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북캅카스 지역의 외래 유물은 유프라테스강과 티그리스강 상류 또는 메소포타미아의 범람원과의 연결을 보여주지 않고, 오히려 이란 고원 및 중앙아시아 남부와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최근 남서 카스피해 지역의 발굴은 "오리엔트"와 유럽 대륙 사이의 상호 작용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16]

한편, 이미 기원전 4천 년 초에 메소포타미아를 훨씬 넘어선 거대한 상호 작용 영역이 발전했음이 점차 분명해지고 있다. 이러한 발견은 이란과 중앙아시아에서 시작된 혁신이 메소포타미아와는 별개로 시리아-아나톨리아 지역 전체로 확산되었기 때문에 메소포타미아에 부여된 전통적인 중요성을 상대화한다.[16]

4. 4. 아제르바이잔 기원설

최근 아제르바이잔의 아그스타파, 소유그불라크에서 매우 오래된 쿠르간이 발견되었다. 이 쿠르간들은 기원전 4천년 초에 속하며, 레이라테페 문화에 속한다. 이 쿠르간 발굴자들에 따르면, 소유그불라크 쿠르간과 마이코프 쿠르간 사이에는 몇 가지 중요한 유사점이 있다.

2004년 소유그불라크 발견과 이후 발굴을 통해 후기 신석기 시대에 남아 코카서스 지역에서 쿠르간 매장 관습이 잘 정착되었음을 보여주는 상당한 증거가 확보되었다. 레이라테페 문화 부족들은 기원전 4천년 중반 북쪽으로 이동하여 북 코카서스의 마이코프 문화의 발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7]

참조

[1] 논문 The Chronology of the "Maikop Culture" in the North Caucasus: Changing Perspectives https://www.academia[...]
[2] 논문 Ancient human genome-wide data from a 3000-year interval in the Caucasus corresponds with eco-geographic regions 2019-12
[3] 논문 Archaeology, Genetics, and Language in the Steppes: A Comment on Bomhard https://www.academia[...] 2019
[4] 논문 Ancient human genome-wide data from a 3000-year interval in the Caucasus corresponds with eco-geographic regions https://www.research[...] 2016
[5] 웹사이트 Кореневский. Древнейшие земледельцы и скотоводы Предкавказья http://www.dissercat[...] 2020-03-29
[6] 뉴스 Bronze Age Civilization Spotted in Old Photographs http://news.discover[...] Discovery.com 2010-10-12
[7] 논문 Gold and silver in the Maikop culture https://www.academia[...] 2014
[8] 문서 Е.И.Крупновым «О загадочной майкопской надписи // Вопросы истории № 3, М. 1964г
[9] 문서 Мунчаев Р. М. Бронзовые псалии майкопской культуры и проблема возникновения коневодства на Кавказе,«Кавказ и Восточная Европа в древности», М.,1973.
[10] 서적 "The Earliest Wheel Finds, their Archeology and Indo-European Terminology in Time and Space, and Early Migrations around the Caucasus" ARCHAEOLINGUA ALAPÍTVÁNY 2019
[11] 논문 Ancient human genome-wide data from a 3000-year interval in the Caucasus corresponds with eco-geographic regions https://www.research[...] 2016
[12] 논문 Ancient human genome-wide data from a 3000-year interval in the Caucasus corresponds with eco-geographic regions 2019-02-04
[13] 논문 Ancient human genome-wide data from a 3000-year interval in the Caucasus corresponds with eco-geographic regions 2019-02-04
[14] 논문 Archaeology, Genetics, and Language in the Steppes: A Comment on Bomhard https://www.academia[...] 2019
[15] 서적 In Search of the Indo-Europeans Thames and Hudson 1987
[16] 논문 Kaukasus und Orient: Die Entstehung des„Maikop-Phänomens“ im 4. Jahrtausend v.Chr 2012
[17] 문서 Excavations of Soyugbulaq Kurgans http://archaeologyda[...] Azerbaijan Republic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Institute of Archaeology and Ethnography 2008
[18] 서적 In Search of the Indo-Europeans Thames and Hudson 1987
[19] 문서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Maykop Culture"
[20] 뉴스 Bronze Age Civilization Spotted in Old Photographs http://news.discover[...] Associated Free Press (Discovery.com) 2010-1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