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마트라코뿔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마트라코뿔소는 현존하는 코뿔소 중 가장 작은 종으로,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에서 처음 발견되어 학명이 붙여졌다. 몸길이 2~3m, 몸무게 500~800kg이며, 두 개의 뿔과 털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서부, 보르네오, 북부 수마트라코뿔소의 세 아종이 존재하며, 현재 멸종 위기에 놓여 100마리 미만이 생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뿔을 얻기 위한 밀렵과 서식지 파괴가 주요 위협 요인이며,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목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말목 - 인도코뿔소
인도코뿔소는 코에 뿔이 하나 있고, 짙은 회갈색 피부와 피부 주름, 사마귀 모양 돌기가 특징이며, 한때 인도 아대륙 북부에 널리 서식했으나 현재는 인도와 네팔 일부 지역에 분포하며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1814년 기재된 포유류 - 팜파스여우
팜파스여우는 남아메리카 팜파스 지역에 서식하는 개과 동물로,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며 잡식성이고, 모피 획득 및 가축 공격 방지를 위한 인간의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다. - 1814년 기재된 포유류 - 유럽자유꼬리박쥐
유럽자유꼬리박쥐는 개의 얼굴을 닮았으며 곤충을 먹고 절벽이나 건물 틈새에 둥지를 틀고 "찍찍"거리는 소리를 내는 박쥐로,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대상으로 분류되어 있다. - 코뿔소 - 북부흰코뿔소
북부흰코뿔소는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멸종 위기에 놓인 아프리카 코뿔소의 아종으로, 마지막 수컷의 죽음 이후 인공번식, 대리모 출산, 냉동 세포 복원 연구를 통해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코뿔소 - 인도코뿔소
인도코뿔소는 코에 뿔이 하나 있고, 짙은 회갈색 피부와 피부 주름, 사마귀 모양 돌기가 특징이며, 한때 인도 아대륙 북부에 널리 서식했으나 현재는 인도와 네팔 일부 지역에 분포하며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수마트라코뿔소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Dicerorhinus sumatrensis |
명명자 | 피셔, 1814 |
속 | 수마트라코뿔소속 |
종 | 수마트라코뿔소 |
다른 이름 | 털코뿔소 |
로마자 표기 | Sumatran rhinoceros |
멸종위기등급 | CR |
CITES | 부속서 I |
서식지 | 타만 네가라 국립공원 타빈 야생동물 보호구역 구눙 르세르 국립공원 케린치 세블라트 국립공원 부킷 바리산 셀라탄 국립공원 와이 캄바스 국립공원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말목 |
과 | 코뿔소과 |
아종 | |
하위 분류 | D. s. harrissoni 그로브스, 1965 D. s. sumatrensis 피셔, 1814 D. s. lasiotis 버클랜드, 1872 |
형태 | |
키 | 112–145 cm |
몸길이 | 2.36–3.18 m |
어깨높이 | 35–70 cm |
몸무게 | 500–1000 kg |
뿔 길이 | 15–25 cm |
분포 | |
![]() | |
멸종 위기 및 보존 | |
개체수 | 80마리 미만 (추정) |
주요 위협 | 서식지 파괴 및 밀렵 |
기타 | |
각주 | I, II and III (2020년 8월 28일 유효) Dicerorhinus sumatrensis Dicerorhinus sumatrensis Dicerorhinus sumatrensis Order Perissodactyla Dicerorhinus sumatrensis 코뿔소 개체수 수치 수마트라 코뿔소를 구하기 위해 인도네시아는 먼저 그 수를 세기 시작한다 말레이시아 마지막 수마트라 코뿔소 사망 |
2. 분류 및 명칭
최초로 기록된 수마트라코뿔소는 1793년 수마트라 서해안 근처 포트 말보로(Fort Marlborough)에서 약 16km 떨어진 곳에서 사살된 개체이다. 이 동물의 그림과 설명은 런던 왕립학회(Royal Society of London) 회장이었던 자연주의자(naturalist) 조셉 뱅크스(Joseph Banks)에게 보내졌고, 그는 그 해에 이 표본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13] 1814년, 요한 피셔 폰 발트하임(Johann Fischer von Waldheim)에 의해 이 종에 학명이 부여되었다.[14][15]
학명은 *Dicerorhinus sumatrensis*이며, 종소명 *sumatrensis*는 코뿔소가 처음 발견된 인도네시아 섬인 "수마트라의"를 의미한다.[16] 칼 린네(Carl Linnaeus)는 원래 모든 코뿔소를 *Rhinoceros* 속에 분류했으나, 조슈아 브룩스(Joshua Brookes)는 1828년에 두 개의 뿔을 가진 수마트라코뿔소를 *Rhinoceros*와는 다른 속으로 간주하여 *Didermocerus*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후 1841년 콘스탄틴 빌헬름 람베르트 글로거(Constantin Wilhelm Lambert Gloger)는 *Dicerorhinus*라는 이름을 제안했고, 1868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John Edward Gray)는 *Ceratorhinus*라는 이름을 제안했다. 일반적으로 가장 오래된 이름이 사용되지만, 1977년 국제동물명명규약(International Commission on Zoological Nomenclature)의 결정에 따라 현재의 속명은 *Dicerorhinus*로 확립되었다.[20][18] *Dicerorhinus*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두 개의 뿔을 가진 코"를 의미한다.[19]
수마트라코뿔소에는 세 개의 아종(subspecies)이 있다.
아종 | 분포 지역 | 특징 | 현황 |
---|---|---|---|
서부 수마트라코뿔소(*D. s. sumatrensis*)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 75~85마리 생존, 말레이시아 반도에서는 멸종 | |
보르네오코뿔소(*D. s. harrissoni*) | 인도네시아 (보르네오섬 칼리만탄) | 다른 아종보다 몸집이 작음 | 약 15마리 생존, 사바(Sabah)에서는 멸종 |
북부 수마트라코뿔소(*D. s. lasiotis*) | 미얀마 북부 (확인되지 않음) | 다른 아종보다 큼 | 인도, 방글라데시, 부탄에서는 멸종 |
각 아종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해당 아종 문서를 참고하라.
2. 1. 서부 수마트라코뿔소 (''D. s. sumatrensis'')
서부 수마트라코뿔소(western Sumatran rhinoceros)(*D. s. sumatrensis*)는 수마트라섬의 부킷 바리산 셀라탄 국립공원(Bukit Barisan Selatan National Park), 케린치 세블라트 국립공원(Kerinci Seblat National Park), 구눙르저 국립공원(Gunung Leuser National Park) 등 국립공원에 주로 서식하며, 와이 캄바스 국립공원(Way Kambas National Park)에도 소수가 서식한다. 약 75~85마리만 남아 있다.[1] 말레이시아 반도(Peninsular Malaysia)에서는 최근 멸종되었다. 주요 위협은 서식지 감소와 밀렵(poaching)이다. 서부 수마트라코뿔소와 보르네오코뿔소 사이에는 약간의 유전적 차이가 있다.[1]말레이시아 반도의 코뿔소는 한때 *D. s. niger*로 알려졌지만, 나중에 *D. s. sumatrensis*의 동의어로 인식되었다.[20] 현재 수마트라코뿔소보호구역에 세 마리의 수컷과 다섯 마리의 암컷이 사육되고 있으며, 가장 어린 수컷은 2012년 그곳에서 태어났다.[21] 2016년 5월에는 또 다른 암컷 새끼가 태어났다.[22] 보호구역의 두 수컷은 신시내티 동물원과 식물원(Cincinnati Zoo and Botanical Garden)에서 태어났다.[23] 2022년 3월에는 세 번째 암컷 새끼가 태어났다.
2. 2. 보르네오코뿔소 (''D. s. harrissoni'')
'''''D. s. harrissoni'''''는 '''보르네오코뿔소(Bornean rhinoceros)''' 또는 '''동부 수마트라코뿔소'''라고도 불리며, 한때 보르네오 전역에 널리 분포했으나 현재는 약 15마리만 생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8] 알려진 개체군은 동칼리만탄(East Kalimantan)에 서식하며, 최근 사바(Sabah)에서는 멸종되었다.[24] 사라왁(Sarawak)에서의 생존 보고는 확인되지 않았다.[1] 이 아종은 1960년대 보르네오의 동물학과 인류학 연구에 크게 기여한 톰 해리슨(Tom Harrisson)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5] 보르네오 아종은 다른 두 아종에 비해 몸집이 눈에 띄게 작다.[20] 사바의 보르네오 코뿔소 보호구역에 있던 수컷 한 마리는 2019년에, 암컷 두 마리는 각각 2017년과 2019년에 사망했다.[26][27]2. 3. 북부 수마트라코뿔소 (''D. s. lasiotis'')
''D. s. lasiotis''는 '''북부 수마트라코뿔소''' 또는 '''치타공 코뿔소'''로 알려져 있으며, 한때 인도와 방글라데시에 서식했지만, 이들 국가에서는 멸종된 것으로 선언되었다. 미얀마에 소규모 개체군이 여전히 생존해 있을 수 있다는 확인되지 않은 보고가 있지만, 그 나라의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확인이 불가능하다.[1] ''lasiotis''라는 이름은 그리스어 "털이 많은 귀"에서 유래했다. 후속 연구에 따르면 귀털이 다른 수마트라코뿔소보다 길지 않았지만, ''D. s. lasiotis''는 다른 아종보다 크기가 훨씬 컸기 때문에 아종으로 남아 있었다.[20]3. 진화
코뿔소의 조상은 초기 에오세에 다른 기제류에서 처음으로 갈라져 나왔다. 미토콘드리아 DNA 비교에 따르면 현생 코뿔소의 조상은 약 5000만 년 전에 말과의 조상에서 분리되었다.[28][29] 현존하는 코뿔소과는 후기 에오세에 유라시아에서 처음 나타났으며, 현존하는 코뿔소 종의 조상은 마이오세에 시작하여 아시아에서 퍼져나갔다.[30]
현생 코뿔소 종들의 상호 관계는 오랫동안 논란의 대상이었지만, 현대 유전학적 증거는 수마트라코뿔소가 Rhinoceros속에 속하는 아시아의 한 뿔 코뿔소들(인도코뿔소와 자바코뿔소)과 아프리카 코뿔소 종들보다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Rhinoceros''속과 ''Dicerorhinus''속의 분리는 약 1480만 년 전에 일어났으며, 이는 ''Dicerorhinus''속과 ''Rhinoceros''속의 조상과 아프리카 코뿔소의 조상이 분리된 시기인 약 1560만 년 전 직후이다.[38]
형태학적 및 유전적 증거에 따르면, 수마트라코뿔소는 멸종된 털코뿔소(''Coelodonta antiquitatis'')와 ''Stephanorhinus''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마지막 공통 조상의 분리는 약 950만 년 전으로 추정된다.[31][38] 털코뿔소는 중국에서 처음 나타났고, 상부 플라이스토세에는 한국에서 스페인까지 유라시아 대륙 전역에 걸쳐 서식했다. 털코뿔소는 마지막 빙하기가 끝날 무렵인 약 1만 4000년 전에 멸종될 때까지 살아남았다.[32] ''스테파노리누스속'' 종들은 플라이오세 후기부터 플라이스토세까지 유럽에서, 플라이스토세에는 중국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Stephanorhinus kirchbergensis''와 ''Stephanorhinus hemitoechus''의 두 종이 최소 4만 년 전, 그리고 아마 그 이후까지 최종 빙하기까지 살아남았다.[31]
역사적으로 많은 화석 종들이 ''Dicerorhinus''속으로 분류되었지만,[33] 오늘날 이 속에 확실하게 속하는 화석 종은 중국 남부의 초기 플라이스토세에서 발견된 ''Dicerorhinus fusuiensis''와 미얀마의 플라이오세-초기 플라이스토세에서 발견된 ''Dicerorhinus gwebinensis'' 두 종뿐이다.[31] 현생 수마트라코뿔소의 화석은 초기 플라이스토세부터 알려져 있다.[34]
수마트라코뿔소 표본의 완전한 핵 게놈에 대한 PSMC(쌍으로 이루어진 순차적 마르코프 연쇄 몬테카를로) 분석은 개체군 크기의 강한 변동을 시사하며, 중기에서 후기 플라이스토세에 걸쳐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추정되는 최대 유효 개체군 크기는 95만 년 전에 5만 7800마리였으며, 홀로세 초기에 약 500~1300마리로 감소했고, 엠인 간빙기 동안 약간 증가했다. 이는 기후 변화로 인해 코뿔소에게 적합한 서식지가 제한되고, 수달란드의 홍수로 인해 심각한 개체군 변동과 개체군 단편화가 발생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후기 플라이스토세에는 인간에 의한 서식지 변화와 사냥이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35] 이 연구는 멸종된 대륙 개체군의 DNA를 포함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나중에 비판을 받았는데, 이는 전체적인 설명을 제공했을 것이다.[36] 여러 개체의 완전한 미토콘드리아 게놈에 대한 베이지안 스카이라인 플롯은 지난 40만 년 동안 유효 개체군 크기가 4만 마리로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며, 약 2만 5000년 전부터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했음을 시사한다.[37]
Liu et al., 2021에 따른 전체 핵 게놈을 기반으로 한 최근 및 후기 플라이스토세 코뿔소 종 (''Stephanorhinus hemitoechus'' 제외)의 계통도는 다음과 같다:[38]
4. 형태
수마트라 코뿔소는 현생 코뿔소 중 가장 작은 종이다.[109] 성체의 어깨 높이는 약 112cm에서 145cm 정도이고, 몸길이는 약 236cm에서 318cm 정도이며, 무게는 500kg에서 800kg 정도이다.[40][39] 하지만 동물원에 있는 가장 큰 개체는 2000kg까지 나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9]
아프리카 코뿔소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뿔이 있다. 더 큰 뿔은 코뿔이며, 일반적으로 15cm에서 25cm 정도이지만, 가장 긴 기록된 표본은 81cm나 되는 뿔을 가지고 있었다.[40] 뒤쪽 뿔은 훨씬 작아서 보통 10cm 미만이며, 종종 작은 돌기 정도에 불과하다. 앞쪽 뿔이 더 크며, 뒤쪽 뿔은 이마뿔로 알려져 있다.[39] 뿔은 짙은 회색이나 검은색이다. 수컷은 암컷보다 뿔이 더 크지만, 그 외에는 성적 이형이 나타나지 않는다.
두꺼운 피부 주름 두 개가 앞다리 뒤쪽과 뒷다리 앞쪽을 감싸고 있다. 목 주변에도 더 작은 피부 주름이 있다. 피부 자체는 얇아서 10mm에서 16mm 정도이며, 야생에서는 피하 지방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피부는 암회갈색이다.[109] 털은 조밀한(어린 새끼의 경우 가장 조밀함) 것부터 드문 것까지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적갈색이다. 야생에서는 코뿔소가 종종 진흙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털을 관찰하기 어렵다. 그러나 사육 상태에서는 식물을 통과하면서 닳는 일이 적기 때문에 털이 더 많이 자라서 훨씬 더 텁수룩해진다. 귀 주변에 긴 털이 한 덩어리 나 있고, 꼬리 끝에는 털이 뭉쳐 있다. 다른 모든 코뿔소들처럼 시력이 매우 나쁘다.[16][39][40] 몸 전체는 귀까지 포함하여 거칠고 긴 털로 덮여 있다.[111]
5. 생태
수마트라코뿔소는 저지대와 고지대의 2차 열대우림, 늪, 운무림에 서식한다. 특히 덤불이 많고 물가가 가까운 구릉지대를 선호한다.[41] 과거에는 미얀마, 동부 인도, 방글라데시까지 분포했으나, 현재는 수마트라 섬의 부킷 바리산 셀라탄 국립공원, 구눙 루서 국립공원, 와이캄바스 국립공원, 그리고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섬 등 네 곳에서만 서식이 확인된다.[45]
수마트라코뿔소는 대부분 단독 생활을 하지만, 짝짓기 전과 새끼를 기르는 기간에는 함께 생활한다. 수컷은 최대 50km2, 암컷은 10km2에서 15km2 정도의 영역을 가진다.[16] 영역 표시는 발로 땅을 파거나, 묘목을 구부리거나, 배설물을 남기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주로 새벽과 해질녘에 먹이를 먹고, 낮에는 진흙 목욕을 하며 체온을 식히고 휴식을 취한다.[16] 우기에는 고지대로, 서늘한 계절에는 저지대로 이동한다.[16] 진흙 목욕은 체온 유지와 피부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55]
수마트라코뿔소는 잎을 주식으로 하는 초식동물[56]이며, 어린 나무, 잎, 가지, 새싹 등을 먹는다.[39] 하루에 최대 50kg의 먹이를 섭취하며, 대극과(Euphorbiaceae), 꼭두서니과(Rubiaceae), 부처꽃과(Melastomataceae) 식물 등을 먹는다.[71][58] 특히 ''유게니아(Eugenia)''를 가장 많이 섭취한다.[58] 소금 핥는 곳을 통해 미네랄을 섭취하며, 이곳은 사회적 상호작용에도 중요한 장소이다.[71]
수마트라코뿔소는 '삑', '고래', '휘파람' 소리의 세 가지 독특한 소리를 낸다.[59] 이러한 소리는 위험, 성적 준비 상태, 위치 등을 전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59]
암컷은 6~7세, 수컷은 약 10세에 성적으로 성숙하며, 임신 기간은 약 15~16개월이다.[16] 새끼는 보통 40kg에서 60kg로 태어나 15개월 후 이유를 하고, 2~3년 동안 어미와 함께 지낸다.[16] 야생에서의 출산 간격은 4~5년으로 추정된다.[16]
6. 번식
암컷은 6~7세, 수컷은 약 10세에 성적으로 성숙한다. 임신 기간은 약 15~16개월이다. 새끼는 일반적으로 40kg에서 60kg 사이의 무게로 태어나고, 약 15개월 후 이유를 하고 생후 2~3년 동안 어미와 함께 지낸다. 야생에서 이 종의 출산 간격은 4~5년으로 추정되지만, 자연적인 새끼 양육 행동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하다.[16]
수마트라코뿔소의 생식 습성은 사육 상태에서 연구되었다. 성적 관계는 울음소리 증가, 꼬리 치켜들기, 배뇨 및 신체 접촉 증가를 특징으로 하는 구애 기간으로 시작되며, 수컷과 암컷 모두 코를 사용하여 서로의 머리와 생식기를 밀친다. 구애 패턴은 검은코뿔소와 가장 유사하다. 어린 수마트라코뿔소 수컷은 암컷에게 종종 너무 공격적이며, 구애 과정에서 암컷을 다치게 하거나 심지어 죽이기도 한다. 야생에서는 암컷이 지나치게 공격적인 수컷으로부터 도망칠 수 있지만, 더 작은 사육장에서는 그럴 수 없다. 이러한 공격적인 수컷으로부터 도망칠 수 없다는 점이 사육 번식 프로그램의 성공률이 낮은 데 일부 기여할 수 있다.[60][61][82]
암컷이 수컷의 접근을 허용하는 발정 기간 자체는 약 24시간 지속되며, 관찰 결과에 따르면 21일에서 25일 간격으로 반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시내티 동물원의 수마트라코뿔소는 30~50분 동안 교미하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다른 코뿔소와 비슷한 시간이다. 말레이시아의 수마트라코뿔소 보존 센터에서의 관찰 결과는 더 짧은 교미 주기를 보여주었다. 신시내티 동물원에서는 성공적인 임신 사례가 있었고 다른 코뿔소들도 긴 교미 기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긴 발정 기간이 자연적인 행동일 수 있다.[60] 연구자들은 성공적인 수정을 관찰했지만, 2001년 최초의 성공적인 사육 출산이 있을 때까지 여러 가지 이유로 모든 임신이 실패로 끝났다. 신시내티 동물원에서 이러한 실패에 대한 연구 결과, 수마트라코뿔소의 배란은 교미에 의해 유도되며 예측할 수 없는 프로게스테론 수치를 갖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62] 2001년, 2004년, 2007년에 임신한 코뿔소에게 보충 프로게스틴을 제공함으로써 마침내 번식에 성공했다.[80]
2016년에는 인도네시아 서부에서 사육 시설에서 태어난 새끼가 있었는데, 이는 번식 시설에서 다섯 번째 출산에 불과했다.[63] 2022년 3월과 2023년 10월 1일, 그리고 2023년 11월 25일에 수컷 새끼가 수마트라 코뿔소 보호구역(SRS), 와이캄바스 국립공원, 람풍 주, 인도네시아에서 태어났다.[64][65]
3~4년에 한 번 1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수유 기간은 16~17개월이다.[111]
7. 인간과의 관계
수마트라코뿔소는 한때 동남아시아 전역에 널리 퍼져 있었으나, 현재는 100마리도 채 남지 않아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된다.[1][6] 1990년대 초부터 개체 수가 10년마다 50% 이상 감소했으며, 남은 개체들은 대부분 인도네시아의 접근하기 어려운 산악 지역에 흩어져 서식하고 있다.[1]
코뿔소 뿔은 높은 가격에 거래되기 때문에 밀렵의 대상이 되어 왔다.[70] 수 세기 동안의 남획으로 개체 수가 크게 감소했으며, 밀렵꾼들은 창 함정이나 구덩이 함정을 사용한다.[1] 1970년대에는 수마트라 지역 주민들이 코뿔소 뿔을 부적으로 사용하거나, 말린 코뿔소 고기를 설사, 나병, 결핵 치료제로, "코뿔소 기름"을 피부병 치료에 사용하는 등 민간 요법에 활용했다는 기록이 있다.[40][41][71] 코뿔소 뿔이 최음제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중국 전통 의학에서는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된 적이 없다.[70]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뿔소 뿔에 대한 수요가 밀렵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했다.[1] 뿔은 공예품으로 취급되고, 뿔뿐만 아니라 피와 배설물까지 약효가 있다고 믿어지고 있다.[111]
수마트라코뿔소가 서식하는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열대우림은 불법 벌목의 표적이 되고 있다. 자단(merbau), 메란티(meranti), 세마람(semaram)과 같은 희귀 목재는 국제 시장에서 높은 가격에 거래되기 때문에 불법 벌목이 성행하고 있으며, 이는 코뿔소의 서식지를 파괴하는 요인이 된다.[45] 2004년 인도양 지진 이후에는 쓰나미 피해 복구를 명목으로 벌목 허가가 급증하기도 했다.[45]
뿔을 노린 밀렵, 농장으로의 전환이나 도로 건설에 의한 서식지 파괴, 불법적인 목재 채취·조류 채집·어업에 의한 교란 등으로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111] 1975년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워싱턴 조약) 발효 이후 국제적으로 보호받고 있으며,[107] 1989년에는 536~962마리, 1993년에는 356~495마리, 1995년에는 약 300마리로 개체 수가 계속 감소하는 추세이다.[111]
일본에서는 1921년에 덴노지 동물원이 수마트라코뿔소를 23500JPY에 구입한 기록이 남아 있다.[113]
8. 보존
수마트라코뿔소는 한때 동남아시아 전역에 걸쳐 많은 수가 살았지만, 현재는 100마리 미만이 남은 것으로 추정되어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된다.[1][6] 1990년대 초부터 개체 수가 10년마다 50% 이상 감소한 것으로 추산되며, 현재는 소규모로 흩어져 근친교배의 위험이 높다.[1]
주요 감소 원인은 뿔의 높은 시장 가격으로 인한 밀렵이다.[70] 수 세기 동안 과도한 사냥이 이루어졌으며, 코뿔소 뿔은 최음제로 오인되기도 했지만, 실제 중국 전통 의학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70] 그러나 증명되지 않은 약효에 대한 수요가 밀렵을 부추겼다.[1] 또한 서식지인 열대우림이 불법 벌목의 표적이 되면서 서식지 파괴도 심각하다.[45] 2004년 인도양 지진 이후 벌목 허가가 급증하기도 했다.[45] 앨리 효과도 개체 수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72]
보르네오코뿔소는 2015년 사바 주에서 야생 멸종되었고,[73] 말레이시아 본토의 수마트라코뿔소도 2015년 야생 멸종된 것으로 확인되었다.[74] 2016년 동칼리만탄에서 목격되었으나, 곧 사망한 채 발견되었다.[75] 사망 원인은 올무로 인한 감염이었다.[98]
1980년대부터 사육 번식 프로그램이 시도되었으나, 초기에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41] 2004년에는 수라병으로 인해 사육 코뿔소 개체 수가 급감했다.[77][69] 그러나 신시내티 동물원에서 2001년, 2004년, 2007년에 번식에 성공하면서 희망을 보였다.[78][79][80][81] 2012년에는 와이캄바스 국립공원에서 번식에 성공했다.[84]
2016년 이후 말레이시아의 사육 개체는 모두 사망하여 2019년 말레이시아에서 멸종되었다.[93] 인도네시아에서는 와이캄바스 국립공원의 수마트라 코뿔소 보호구역에서 번식이 계속되고 있으며, 2022년과 2023년에 새끼가 태어났다.[95][96][97]
2023년에는 동 칼리만탄에서 포획된 암컷 코뿔소로부터 난자를 채취하여 인공 수정을 시도하는 등 줄기세포 기술을 이용한 복원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99]
일본에서는 1921년에 텐노지 동물원에서 수마트라코뿔소를 구입한 기록이 있다.[113] 2020년부터는 일본에서 코뿔소의 애완 목적 사육이 금지되었다.[114]
9. 한국과의 관계
한국은 수마트라코뿔소의 직접적인 서식지는 아니지만, 멸종 위기에 처한 이 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 1975년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워싱턴 조약, CITES)이 발효된 이후, 1977년부터 코뿔소과는 이 협약의 부속서 I에 등재되어 국제적으로 거래가 엄격히 규제되고 있다.[107]
참조
[1]
IUCN
Dicerorhinus sumatrensis
2021-11-19
[2]
MSW3 Perissodactyla
[3]
서적
The Art of Rhinoceros Horn Carving in China
Christie's Books
[4]
서적
The Golden Peaches of Samarkand: A study of T'ang Exotic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
웹사이트
Rhino population figures
https://www.savether[...]
SaveTheRhino.org
2015-05-16
[6]
학술지
Rhinos in the parks: An island-wide survey of the last wild population of the Sumatran Rhinoceros
[7]
학술지
Will current conservation responses save the Critically Endangered Sumatran rhinoceros Dicerorhinus sumatrensis?
[8]
웹사이트
15 Bornean rhinos discovered in Kalimantan?
https://news.mongaba[...]
Mongabay
2016-07-03
[9]
웹사이트
The last chance for the Sumatran rhinoceros?
http://www.rhinoreso[...]
[10]
뉴스
Rare Sumatran rhino sighted in Indonesian Borneo
https://www.foxnews.[...]
2016-04-24
[11]
뉴스
To rescue Sumatran rhinos, Indonesia starts by counting them first
https://news.mongaba[...]
2019-04-15
[12]
뉴스
The last Sumatran rhino in Malaysia has died and there are less than 80 left in the world
https://www.cnn.com/[...]
2019-11-27
[13]
학술지
Description of the Double Horned Rhinoceros of Sumatra
1793-01-01
[14]
서적
Save the rhinos: EAZA Rhino Campaign 2005/6
European Association of Zoos and Aquaria
2005-01-01
[15]
학술지
Mitochondrial DNA Variability and Conservation Genetics of the Sumatran Rhinoceros
1997-04-01
[16]
서적
Save the rhinos: EAZA Rhino Campaign 2005/6
European Association of Zoos and Aquaria
2005-01-01
[17]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9th ed.
1876-01-01
[18]
학술지
Opinion 1080. Didermocerus Brookes, 1828 (Mammalia) suppressed under the plenary powers
[19]
서적
Greek-English Lexic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
학술지
The taxonomic history of the recent forms of Sumatran Rhinoceros (Dicerorhinus sumatrensis)
http://www.rhinoreso[...]
1984-01-01
[21]
웹사이트
International_Rhino_Foundation#Sumatran_Rhino_Sanctuary
[22]
웹사이트
It's a Girl! Critically Endangered Sumatran Rhino Born at Sanctuary in Indonesia
http://annamiticus.c[...]
2016-07-03
[23]
웹사이트
Critically endangered Sumatran rhino pregnant: conservationists
http://phys.org/news[...]
2016-07-03
[24]
웹사이트
Officials: Sumatran rhino is extinct in the wild in Sabah
https://archive.toda[...]
Mongabay
2016-07-03
[25]
학술지
Description of a new subspecies of Rhinoceros, from Borneo, Didermocerus sumatrensis harrissoni
http://www.rhinoreso[...]
1965-01-01
[26]
웹사이트
Officials: Sumatran rhino is extinct in the wild in Sabah
http://news.mongabay[...]
Mongabay
2015-04-23
[27]
웹사이트
Malaysia's last male Sumatran rhino dies
https://www.cnn.com/[...]
2019-05-28
[28]
학술지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five extant rhinoceros species (Rhinocerotidae, Perissodactyla) based on mitochondrial cytochrome b and 12s rRNA genes
http://doc.rero.ch/r[...]
[29]
학술지
The Complete Mitochondrial DNA Sequence of the Greater Indian Rhinoceros, Rhinoceros unicornis, and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Among Carnivora, Perissodactyla, and Artiodactyla (+ Cetacea)
1996-01-01
[30]
서적
Save the rhinos: EAZA Rhino Campaign 2005/6
European Association of Zoos and Aquaria
2005-01-01
[31]
학술지
Reassessing the phylogeny of Quaternary Eurasian Rhinocerotidae
2023-04-01
[32]
학술지
Extinction chronology of the woolly rhinoceros Coelodonta antiquitatis in the context of late Quaternary megafaunal extinctions in northern Eurasia
http://www.rhinoreso[...]
[33]
학술지
Evolution of the non-Coelodonta dicerorhine lineage in China
2012-01-01
[34]
학술지
First Discovery of Dicerorhinus sumatrensis from Yanjinggou Provides Insights into the Pleistocene Rhinocerotidae of South China
https://onlinelibrar[...]
2021-08-01
[35]
학술지
Genomic analysis of demographic history and ecological niche modeling in the endangered Sumatran Rhinoceros Dicerorhinus sumatrensis
2018-01-01
[36]
논문
The Sumatran rhinoceros was extirpated from mainland East Asia by hunting and habitat loss
2018
[37]
논문
Genetic variation of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sequences of the Sumatran rhinoceros (''Dicerorhinus sumatrensis'')
2018
[38]
논문
Ancient and modern genomes unravel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rhinoceros family
2021
[39]
논문
Dicerorhinus sumatrenis
http://www.science.s[...]
1972
[40]
논문
Dicerorhinus sumatrensis (Fischer), the Sumatran or two-horned rhinoceros: a study of literature
http://www.rhinoreso[...]
1974
[41]
서적
Asian Rhinos –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IUCN,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K
1997
[42]
논문
The status of the Sumatran rhinoceros in north-eastern India
http://www.rhinoreso[...]
1997
[43]
간행물
Distribution and extinction of the rhinoceros in China: review of recent Chinese publications
2006
[44]
논문
Ancient genomes reveal tropical bovid species in the Tibetan Plateau contributed to the prevalence of hunting game until the late Neolithic
2020
[45]
서적
Save the rhinos: EAZA Rhino Campaign 2005/6
European Association of Zoos and Aquaria
2005
[46]
웹사이트
Rhino population at Indonesian reserve drops by 90 percent in 14 years
https://web.archive.[...]
2012-03-18
[47]
웹사이트
Sumatran rhino numbers revised downwards
http://www.savetherh[...]
2012-03-18
[48]
논문
Optimization of novel polymorphic microsatellites in the endangered Sumatran rhinoceros (''Dicerorhinus sumatrensis'')
http://www.rhinoreso[...]
Blackwell Publishing Ltd
2004
[49]
웹사이트
Traces of Sumatran rhino found in Kalimantan
http://www.thejakart[...]
2013-03-29
[50]
웹사이트
Sumatran Rhino Caught on Camera in East Kalimantan
http://www.thejakart[...]
The Jakarta Globe
2014-08-02
[51]
웹사이트
New hope for Sumatran rhino in Borneo
http://wwf.panda.org[...]
2016-03-22
[52]
웹사이트
Every Sumatran rhino has died in Malaysia. Scientists want to bring them back with cloning technology
https://www.cnn.com/[...]
2020-08-18
[53]
웹사이트
Kelahiran Bayi Badak Sumatra Kesekian Kali, Apa yang Menopangnya? - Semua Halaman - National Geographic
https://nationalgeog[...]
2024-01-11
[54]
서적
The rhinoceros in captivity: a list of 2439 rhinoceroses kept from Roman times to 1994
Kugler Publications
1998
[55]
논문
Wallows and wallow utilization of the Sumatran Rhinoceros (''Dicerorhinus Sumatrensis'') in a natural enclosure in Sungai Dusun Wildlife Reserve, Selangor, Malaysia
http://www.rhinoreso[...]
2001
[56]
논문
The mega-folivorous mammals of the rainforest: feeding ecology in nature and in a controlled environment: A contribution to their conservation
http://www.rhinoreso[...]
2013
[57]
논문
Intake, utilization, and composition of browses consumed by the Sumatran rhinoceros (''Dicerorhinus sumatrensis harrissoni'') in captivity in Sabah, Malaysia
http://www.rhinoreso[...]
2006
[58]
논문
The mineral content of food plants of the Sumatran Rhino (''Dicerorhinus sumatrensis'') in Danum Valley, Sabah, Malaysia
http://www.rhinoreso[...]
1993
[59]
논문
Songlike vocalizations from the Sumatran Rhinoceros (''Dicerorhinus sumatrensis'')
http://www.rhinoreso[...]
2003
[60]
논문
Reproductive behaviour of captive Sumatran rhinoceros (''Dicerorhinus sumatrensis'')
http://www.rhinoreso[...]
2005
[61]
논문
Gross Anatomy and Ultrasonographic Images of the Reproductive System of the Sumatran Rhinoceros (''Dicerorhinus sumatrensis'')
https://pdfs.semanti[...]
2002
[62]
논문
Ultrasound and endocrine evaluation of the ovarian cycle and early pregnancy in the Sumatran rhinoceros, ''Dicerorhinus sumatrensis''
http://www.rhinoreso[...]
2001
[63]
뉴스
Sumatran rhino birth hailed as major boost for the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https://www.abc.net.[...]
2021-01-15
[64]
뉴스
'Happy news' as endangered Sumatran rhino, the smallest and hairiest species, is born in Indonesia
https://www.abc.net.[...]
2023-10-12
[65]
뉴스
Mengenali nama-nama badak bercula dua di Taman Nasional Way Kambas
https://lampung.anta[...]
2023-01-20
[66]
웹사이트
Last chance for the Sumatran rhino
http://www.iucn.org/[...]
IUCN
2014-08-02
[67]
웹사이트
Sumatran rhino population plunges, down to 100 animals
http://news.mongabay[...]
News.mongabay.com
2014-08-02
[68]
논문
Helping a species go extinct: the Sumatran Rhino in Borneo
https://www.panthera[...]
1995
[69]
서적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Elephant and Rhino Research Symposium, Vienna, 7–11 June 2001
Scientific Progress Reports
2001
[70]
서적
The Return of the Unicorns; The Natural History and Conservation of the Greater One-Horned Rhinocero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3
[71]
서적
A field study of the Sumatran rhinoceros ''Dicerorhinus sumatrensis'' Fischer, 1814: Ecology and behaviour conservation situation in Sumatra
Juris Druck & Verlag
1979
[72]
웹사이트
reproductive technology and understanding of experimental psychology needed to save a critically endangered rhino
https://wildtech.mon[...]
2016
[73]
웹사이트
Officials: Sumatran rhino is extinct in the wild in Sabah
http://news.mongabay[...]
2015-04-27
[74]
웹사이트
Officials:Sumatran rhino now extinct in Malaysian wild
http://www.freemalay[...]
Free Malaysia Today
2015-08-21
[75]
웹사이트
Sumatran rhino dies weeks after rare sighting
http://www.cnn.com/2[...]
2016-04-08
[76]
서적
The great and small game of India, Burma, and Tibet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1900
[77]
학술지
Trypanosomiasis (surra) in the captive Sumatran rhinoceros (''Dicerorhinus sumatrensis sumatrensis'') in Peninsular Malaysia
http://www.rhinoreso[...]
2006
[78]
웹사이트
Andalas – A Living Legacy
http://www.cincinnat[...]
2007-11-04
[79]
웹사이트
It's a Girl! Cincinnati Zoo's Sumatran Rhino Makes History with Second Calf
http://www.cincinnat[...]
2007-11-04
[80]
학술지
Breeding the Sumatran rhinoceros (''Dicerorhinus sumatrensis'') in captivity: behavioral challenges, hormonal solutions
http://www.rhinoreso[...]
[81]
웹사이트
Meet "Harry" the Sumatran Rhino!
http://www.cincinnat[...]
2007-11-04
[82]
학술지
New hope for Sumatran rhino conservation
http://www.rhinoreso[...]
2006
[83]
뉴스
Come into my mud pool
https://www.latimes.[...]
2011-12-05
[84]
웹사이트
Rare baby Sumatra rhinoceros named a 'gift from God'
http://www.thejakart[...]
2014-08-02
[85]
웹사이트
Do we really want to save the Sumatran rhinoceros? (commentary)
http://www.rhinoreso[...]
2016
[86]
뉴스
US-born endangered Sumatran rhino arrives in ancestral home of Indonesia on mating mission
https://www.usnews.c[...]
Associated Press
2015-11-01
[87]
웹사이트
Only three Sumatran Rhino left in Malaysia
http://www.nst.com.m[...]
2016-08-28
[88]
웹사이트
Puntung euthanised leaves Malaysia with just two Sumatran rhinos
http://m.themalaymai[...]
The Malay Mail Online
2017-06-04
[89]
뉴스
Malaysia's last Sumatran rhino Iman dies, species now extinct in the country
https://www.thestar.[...]
2019-11-23
[90]
웹사이트
Malaysia's last male Sumatran rhino Tam dies
https://www.malaymai[...]
The Malay Mail Online
2019-05-27
[91]
뉴스
Malaysia's last known Sumatran rhino dies
https://www.bbc.com/[...]
2019-11-23
[92]
웹사이트
Last male Sumatran rhino in Malaysia dies
https://www.national[...]
2019-11-24
[93]
뉴스
Sumatran rhinos are extinct in their native Malaysia after last living female dies
https://www.washingt[...]
2019-11-23
[94]
웹사이트
Rare Sumatran rhino calf born in Indonesia
http://phys.org/news[...]
[95]
웹사이트
A story of hope {{!}} Sumatran rhino born {{!}} News
https://www.savether[...]
2022-03-29
[96]
웹사이트
Menteri LHK Sampaikan Kabar Gembira Kelahiran Satu Ekor Badak Sumatera di Taman Nasional Way Kambas
https://ppid.menlhk.[...]
2023-11-27
[97]
뉴스
Bayi badak sumatera lahir di Taman Nasional Way Kambas
https://www.antarane[...]
2023-11-27
[98]
뉴스
Hari Badak Sedunia: Innalillahi Badak Kalimantan
https://betahita.id/[...]
2023-11-27
[99]
뉴스
Boost for Sumatran rhino IVF plan as eggs extracted from Bornean specimen
https://news.mongaba[...]
2023-11-27
[100]
웹사이트
The Littlest Rhino
http://www.asiageogr[...]
2007-12-06
[101]
웹사이트
The Forgotten Rhino
http://www.nhnz.tv/c[...]
2007-12-06
[102]
뉴스
Rhinos alive and well in the final frontier
2006-07-02
[103]
뉴스
Rhino on camera was rare sub-species: wildlife group
2007-04-25
[104]
웹사이트
Asian rhinos
http://www.panda.org[...]
World Wildlife Fund
[105]
뉴스
Endangered pregnant Borneo rhino caught on camera
https://www.telegrap[...]
2010-04-21
[106]
간행물
I, II and III (valid from 28 August 2020)
https://cites.org/si[...]
2020-12-01
[107]
웹사이트
''Dicerorhinus sumatrensis''
https://www.speciesp[...]
UNEP
2020-12-01
[108]
논문
''Dicerorhinus sumatrensis''
https://doi.org/10.2[...]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0-12-01
[109]
논문
''Dicerorhinus sumatrensis''
https://doi.org/10.2[...]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1972
[110]
서적
Order Perissodactyl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111]
서적
スマトラサイ
講談社
2000
[112]
서적
サイ
平凡社
1986
[113]
서적
環境史年表 明治・大正編(1868-1926)
河出書房新社
2003-11-30
[114]
웹사이트
特定動物リスト (動物の愛護と適切な管理)
https://www.env.go.j[...]
2020-12-01
[115]
웹사이트
Dicerorhinus sumatrensis
http://oldredlist.iu[...]
IUCN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