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클란탄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란탄주는 말레이시아 반도 동해안 북부에 위치한 주로,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흔적이 있다. 15세기에는 독립된 왕국이었으며, 1909년 영국-시암 조약에 따라 영국령이 되었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태국으로 이관되기도 했다. 1946년 말레이 연합의 일부가 되었고, 1957년 독립, 1963년 말레이시아의 주가 되었다. 1990년 이후 말레이시아 이슬람당(PAS)이 집권하고 있으며, 쌀, 고무, 담배를 중심으로 한 농업 경제가 발달했다. 켈란탄의 문화는 태국 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며, 다양한 전통 예술과 수공예가 존재한다. 주요 관광지로는 시티 카디자 시장, 타만 네가라 국립공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클란탄주 - 행복한 국왕
    "행복한 국왕"은 말레이시아 국가의 일부 가사로, 말레이어 가사를 루미 문자와 자위 문자로 표기하고 국제 음성 기호로 발음을 나타내며, 영어와 한국어로 번역되어 말레이시아의 역사와 문화적 정체성을 반영하고 켈란탄 주의 역사적 유물과 문화, 정치적 중요성을 다룬다.
  • 말레이시아의 주 - 사바주
    사바주는 말레이시아 동말레이시아에 위치한 주로서,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며 복잡한 역사적 배경과 풍부한 생물다양성을 가진 곳이다.
  • 말레이시아의 주 - 사라왁주
    사라왁주는 보르네오섬 북서부에 위치한 말레이시아의 주로, 다양한 문화와 풍부한 천연 자원을 지니고 있으며 한때 브루나이 제국의 영향 아래 사라왁 술탄국으로 시작해 백인 라자 시대를 거쳐 영국의 지배를 받다가 말레이시아 연방에 가입했다.
  • 반도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
    쿠알라룸푸르는 말레이시아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로, 주석 채굴을 위한 중국인 정착지에서 시작되어 영국 식민지 시대를 거쳐 말레이시아 수도가 되었고, 급속한 도시 발전과 함께 동남아시아 주요 도시로 자리매김하며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다.
  • 반도 말레이시아 - 푸트라자야
    푸트라자야는 말레이시아의 계획 도시이자 연방 직할구로서, 행정 중심지 역할, 쿠알라룸푸르 과밀화 해소, 친환경 설계, 독특한 건축물과 공원, 뛰어난 공항 접근성, 활발한 국제 교류를 특징으로 한다.
클란탄주
지도
기본 정보
클란탄의 기
클란탄의 문장
문장
공식 명칭클란탄 다룰 나임
로마자 표기Kelantan Darul Naim
자위 표기کلنتن دار النعيم
별칭체 시티 완 큼방의 주
꽃밭의 낮은 땅
모토신께 귀의하는 클란탄 왕국
국가슬라맛 술탄
로마자 표기Selamat Sultan
위치북위 5도 15분 동경 102도 0분
국가말레이시아
수도코타바루
왕족 거주지쿠방 케리안
행정
정부 형태의회 입헌 군주제
술탄무함마드 5세
주지사모드 나수르딘 다우드 (PN–PAS)
면적
총면적15,040 제곱킬로미터
최대 고도2,181 미터
최고점용 벨라르 산
인구
총인구 (2021년)1,812,300명
인구 밀도120 명/제곱킬로미터
거주민클란탄인/오게 클라테
인구 통계 (2021년)
민족 구성말레이시아 국적: 98.1%
말레이인 및 원주민: 96.6%
중국인: 2.5%
인도인: 0.3%
비말레이시아 국적: 1.9%
언어클란탄 말레이어
테미아어
자하이어
바텍어
탁 바이 태국어
기타 소수 민족 언어
경제
인간 개발 지수 (2022년)0.752 (높음)
GDP (2023년)313억 링깃
1인당 GDP (2023년)16,836 링깃
합계출산율 (2021년)2.7
기타 정보
우편 번호15xxx ~ 18xxx
지역 번호09
ISO 코드MY-03
차량 등록 번호판D
힌두-불교 시대기원전 100년
파타니 왕국 지배1603년
라타나코신 왕국 (시암) 지배1786년 11월
클란탄 술탄국1800년
영국 통치1909년
일본의 말라야 점령1941년 12월 8일
말라야 연방 가입1948년 2월 1일
공식 웹사이트클란탄 주 정부

2. 역사

켈란탄의 역사는 선사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고고학적 증거를 통해 오래전부터 사람이 살았음을 알 수 있다.[7][8] 켈란탄이라는 지명은 말레이어로 카유푸트(cajuput) 또는 습지 티트리(swamp tea tree)를 뜻하는 "gelam hutam"이 변형된 것이라는 설과, "kilatan"(빛나는) 또는 "kolam tanah"(진흙 웅덩이)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6] 켈란탄은 시암(태국)의 영향 아래 있었을 때는 '''칼란탄'''(กลันตันth)으로 불렸다.

17세기 『무비지(武備志)』에 실린 마오쿤(毛昆)의 지도. 15세기 초 정화(鄭和)의 항해 지도를 바탕으로 하며 켈란탄 강 하구(吉蘭丹港)를 보여준다.


초기 켈란탄은 푸난 왕국, 크메르 제국, 참파, 아유타야 왕국 등과 관계를 맺었다.[9][10][48][49] 15세기에는 독립된 왕국(술탄국)으로 발전했으며, (明)나라 역사책인 명사(明史)에는 "급란단"(急蘭丹)으로 기록되어 있다. 1411년경에는 라자 쿠마르라는 이슬람 계통의 통치자가 다스렸으며, 당시 국제적인 무역항으로 번성하였다.

1760년경, 롱 유누스(Long Yunus)가 현재 켈란탄 지역을 통일하여, 테렝가누의 섭정 쿠 타낭 왕사에 의해 켈란탄의 양 디-퍼르투안 무다(Yang di-Pertuan Muda), 즉 부통치자로 즉위했다.[11][12]

1909년 영국-시암 조약에 따라 태국은 켈란탄을 영국에 넘겼고, 켈란탄은 영국 고문을 두게 되었다.[1] 1941년 12월 8일 일본군이 말레이시아 침공을 시작하면서 처음 상륙한 곳이 바로 클란탄이었다.[54] 1943년에 클란탄은 일본에 의해 태국으로 이관되어 태국의 한 주(시랏 말라이)가 되었다.[54] 1945년 8월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전됨에 따라 클란탄은 다시 말레이시아의 영토가 되었다.[54]

켈란탄은 1946년 말레이 연합의 일부가 되었고, 1948년 2월 1일 말레이 연방에 편입되었으며, 다른 말레이 주들과 함께 1957년 8월 31일 독립을 쟁취했다.[1] 1963년 9월 16일, 켈란탄은 말레이시아의 주 중 하나가 되었다.[1]

2. 1. 초기 역사 및 중세

켈란탄의 초기 역사는 명확하지 않지만, 고고학적 증거를 통해 선사 시대부터 인간이 정착했음을 알 수 있다.[7][8]

초기 켈란탄은 푸난 왕국, 크메르 제국, 참파, 아유타야 왕국 등과 관계를 맺었다.[9][10][48][49] 15세기에는 독립된 왕국(술탄국)으로 발전했다. 명사(明史)에는 "급란단"(急蘭丹)으로 기록되어 있다. 1411년경에는 라자 쿠마르라는 이슬람 계통의 통치자가 다스렸으며, 당시 국제적인 무역항으로 번성하였다.

2. 2. 말라카 및 파타니 왕국의 영향

1499년, 켈란탄은 말라카 왕국의 속국이 되었다.[9] 1511년 말라카 함락 이후, 켈란탄은 여러 소규모 부족으로 분열되어 당시 동부 반도의 강력한 말레이 왕국이었던 파타니 왕국에 조공을 바쳤다. 17세기 초, 대부분의 켈란탄 족장들은 파타니 왕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11] 전설적인 여걸 시티 완 쿰반은 1610년부터 1667년까지 켈란탄을 통치했다고 전해진다.[11][12] 1619년, 켈란탄은 무역과 군사적 이익을 위해 파타니 왕국의 라자 빌 여왕 통치 시절 파타니 왕국과 동맹 관계를 맺었다.[13] 1651년 켈란탄의 라자 사크티가 쿠데타를 일으켜 파타니 여왕 라자 쿠닌을 축출하고, 켈란탄 왕자가 파타니 왕국을 통치하게 되면서 켈란탄에 의한 파타니 왕국의 통치가 시작되었다.[14]

2. 3. 켈란탄 술탄국 성립과 발전

1760년경, 파타니 출신 귀족 롱 유누스(Long Yunus)는 현재 켈란탄 지역을 통일하는 데 성공하여, 장인인 테렝가누의 섭정 쿠 타낭 왕사에 의해 켈란탄의 양 디-퍼르투안 무다(Yang di-Pertuan Muda), 즉 부통치자로 즉위했다.[11][12] 1795년 롱 유누스는 테렝가누의 술탄 만수르에 의해 사위인 텅쿠 무하마드에게 계승되었다. 텅쿠 무하마드의 즉위는 롱 유누스의 장남인 롱 무하마드가 테렝가누에 대한 전쟁을 일으키며 반대에 부딪혔다. 1800년, 테렝가누를 지지하는 세력은 패배했고, 롱 무하마드는 술탄 무하마드 1세라는 새로운 칭호로 켈란탄을 통치했다.

술탄 무하마드 1세가 자식 없이 사망하자 왕위 계승자들 사이에 내전이 발생했다. 그의 조카인 롱 세닉 멀루트 메라가 삼촌들과 사촌들을 물리치고 1835년 술탄 무하마드 2세로 즉위했다.

1933년 부르웅 페탈라 행렬(Burung Petala Procession)을 보기 위해 수천 명의 사람들이 코타 바루 거리로 몰려들었다.


술탄 무하마드 2세는 시암과의 느슨한 동맹을 이용하여 1844년 켈란탄 강 동쪽 제방에 새로 세운 요새를 중심으로 현대 켈란탄 주를 형성했는데, 이 요새가 코타바루가 되었다.

2. 4. 영국 식민지 시대

1909년 영국-시암 조약에 따라 태국은 켈란탄, 트렝가누, 케다, 펄리스에 대한 권리를 영국에 넘겼고, 켈란탄은 비연합 말레이 주의 일부가 되어 영국 고문을 두게 되었다.[1]

2. 5. 일본 점령기

1941년 12월 8일 일본군이 말레이시아 침공을 시작하면서 처음 상륙한 곳은 클란탄이었다.[54] 1943년에 클란탄은 일본에 의해 태국으로 이관되어 태국의 한 주(시랏 말라이)가 되었다.[54] 1945년 8월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전됨에 따라 클란탄은 다시 말레이시아의 영토가 되었다.[54]

2. 6. 말레이 연합, 말레이 연방, 그리고 말레이시아

켈란탄은 1946년 말레이 연합의 일부가 되었고, 1948년 2월 1일 말레이 연방에 편입되었으며, 다른 말레이 주들과 함께 1957년 8월 31일 독립을 쟁취했다.[1] 1963년 9월 16일, 켈란탄은 말레이시아의 주 중 하나가 되었다.[1]

2. 7. 현대사

말레이시아 이슬람당(PAS)은 1959년 켈란탄 주에서 처음으로 집권했다. 1977년 11월, 정치적 위기와 거리 폭력 이후 연방 정부는 켈란탄 주에 비상사태를 선포했다.[28] 비상사태 직후 선거가 치러졌고, 말레이시아 통합국민기구(UMNO)가 승리하여 PAS를 집권에서 몰아냈다. 그 후 켈란탄 주는 국민전선(Barisan Nasional, UMNO가 속한 연합 정당)이 1990년 총선까지 통치했고, 이때 PAS가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며 주 의회 의석 39석과 연방 의회 의석 13석을 모두 석권했다. 이러한 성공은 국민연합전선(Angkatan Perpaduan Ummah, APU)이라 불리는 PAS 주도 연합을 통해 달성되었다. 1995년 다음 총선에서도 PAS는 승리했지만, 과반수는 줄었다. 1999년 PAS는 대승을 거두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전 부총리 안와르 이브라힘에 대한 마하티르 모하마드 총리와 다른 중앙 정부 관리들의 처우에 대한 말레이시아 국민들의 분노 때문이었다. 2004년 PAS는 켈란탄 주의 통제권을 거의 잃을 뻔했고, 마하티르의 은퇴 이후 새로운 지도자인 압둘라 아흐마드 바다위의 지휘 아래 국민전선이 전국적으로 압승을 거두면서 1석 차이로 간신히 집권을 유지했다. 그러나 2008년 말레이시아 총선 이후 PAS는 주 의회에서 3분의 2 의석을 넘는 과반수를 획득했다.[28]

3. 지리

클란탄 주는 말레이시아 반도 동해안 북부에 위치하며, 남쪽으로는 파항 주, 남동쪽으로는 트렝가누 주, 서쪽으로는 페락 주, 북쪽과 북서쪽으로는 태국|타이 왕국th 나라티왓 주와 접한다.[15] 넹기리 강, 갈라스 강, 레비르 강, 켈란탄 강은 이 주의 주요 강이다. 켈란탄 강 유역은 비옥한 쌀농사 지역이며, 경재와 고무가 많이 생산되고 열대 과일이 풍부하다.

켈란탄 주는 티티왕사 산맥(Titiwangsa Mountains)으로 인해 수 세기 동안 말레이시아 반도의 다른 지역과 고립되어 있었다. 켈란탄으로 가는 가장 쉬운 방법은 배를 이용해 반도를 따라 항해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켈란탄의 역사는 바다 및 배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오늘날에도 많은 주민들이 바다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3. 1. 기후

켈란탄은 연중 기온이 21°C에서 32°C 사이이며 간헐적으로 비가 내리는 열대 기후를 가지고 있다. 11월부터 1월까지는 동해안 몬순 계절로 우기이다.

3. 2. 환경 문제

일부 전문가들은 클란탄주의 지반 침하가 지하수 과다 추출 때문이며, 이로 인해 홍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고 주장한다.[15]

4. 행정 구역

켈란탄 주는 11개의 자자한(Jajaha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도는 코타바루이다. '자자한'은 말레이어로 '점령지'를 뜻한다.[31] 켈란탄은 과거 여러 작은 영토로 나뉘어 있었으나, 강력한 통치자에 의해 하나의 술탄 통치 하에 통합되었다.[31]

켈란탄 주는 남쪽으로는 파항주, 남동쪽으로는 트렝가누주, 서쪽으로는 페락주, 북쪽과 북서쪽으로는 태국 나라티왓주와 접하고 있다.

4. 1. 군 목록

켈란탄주의 행정구역은 말레이어로 ''자자한''(Jajahan)이라고 불리며, 직역하면 '점령지'(''타나 자자한'')를 뜻한다.[31] 켈란탄은 말레이 반도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분열된 봉건 국가였으며, 여러 작은 지역 통치자들이 존재했다. 하지만 강력한 통치자가 등장하여 이러한 작은 영토들을 정복하였고, 결국 켈란탄은 한 술탄의 통치 아래 통일되었다.[31]

켈란탄주의 행정구역 (''Jajahan'')
번호구역 (Jajahan)하위 행정구역 (Daerah)면적 (km2)인구
1
코타바루 군
(کوتا بهارو|Kota Bharums)
Badang, Beta, Banggu, Kadok, Kemumin, Kota, Kubang Kerian, Ketereh, Limbat, Panji, Pendek, Peringat, Salor, Sering, Pusat Bandar Kota Bharu403km2568,900
2
파시르 마스 군
(ڤاسير مس|Pasir Masms)
Rantau Panjang, Kangkong, Pasir Mas, Gual Periok, Chetok, Alor Pasir, Lemal, Bunut Susu, Kubang Sepat, Kubang Gadong570km2233,400
3
툼팟 군
(تومڤت|Tumpatms)
Jal Besar, Pengkalan Kubor, Sungai Pinang, Tumpat, Terbak, Kebakat, Wakaf Bharu180km2183,100
4
파시르 푸테 군
(ڤاسير ڤوتيه|Pasir Putehms)
Bukit Jawa, Padang Pak Amat, Limbongan, Jeram, Bukit Awang, Bukit Abal, Gong Datok, Semerak423km2137,400
5
바촉 군
(باچوق|Bachokms)
Mahligai, Telong, Gunong, Melawi, Tanjung Pauh, Tawang, Bekelam, Perupok279km2158,900
6
쿠알라 크라이 군
(کوالا کراي|Kuala Kraims)
Mengkebang, Dabong, Olak Jeram2275km2105,900
7
마창 군
(ماچڠ|Machangms)
Labok, Ulu Sat, Temangan, Pangkal Meleret, Pulai Chondong, Panyit526km2112,900
8
타나 메라 군
(تانه ميره|Tanah Merahms)
Bukit Panau, Ulu Kusial, Jedok880km2152,400
9
젤리 군
(جيلي|Jelims)
Jeli, Batu Melintang, Kuala Balah1326km255,600
10
구아 무상 군
(ڬوا موسڠ|Gua Musangms)
Galas, Bertam, Chiku6362km2102,500
11로징
(لوجيڠ|Lojingms)
Betis, Hau, Sigar1817km210,700


5. 정치

말레이시아 이슬람당(PAS)은 1959년 켈란탄 주에서 처음으로 집권했다. 1977년 정치적 위기와 거리 폭력 사태 이후 연방 정부는 켈란탄 주에 비상사태를 선포했고, 이후 말레이시아 통합국민기구(UMNO)가 승리하여 PAS는 집권에서 물러났다. 켈란탄 주는 국민전선(UMNO가 속한 연합 정당)이 1990년 총선까지 통치했다. 1990년 총선에서 PAS는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며 주 의회와 연방 의회 의석을 모두 석권했다. 이는 국민연합전선(APU)이라는 PAS 주도 연합을 통해 달성되었다. 이후 1995년, 1999년 총선에서도 PAS는 승리했다. 2004년 PAS는 압둘라 아흐마드 바다위의 지휘 아래 국민전선이 전국적으로 압승을 거두면서 켈란탄 주의 통제권을 거의 잃을 뻔했지만, 1석 차이로 간신히 집권을 유지했다. 그러나 2008년 말레이시아 총선 이후 PAS는 주 의회에서 3분의 2 의석을 넘는 과반수를 획득했다.

보수적인 말레이 중심지의 일부인 켈란탄은 1990년 이후로 말레이시아 이슬람당(PAS)이 통치해 왔으며, 2022년 선거 이후 PAS가 이끄는 말레이시아 4개 주 중 하나이다. (다른 주는 트렝가누, 케다, 펄리스이다.)

켈란탄 인구의 약 97%는 말레이시아 무슬림이며, 거의 모든 PAS 당원도 말레이시아 무슬림이다. 수년 동안 PAS는 켈란탄에 이슬람법의 엄격한 해석을 적용하려고 시도해왔다.

5. 1. 주 정부 구성 (2023년 기준)

바리산 나시오날공석야당21여당 과반수4140


5. 2. 논쟁적인 정책

말레이시아 이슬람당(PAS)은 켈란탄 주에서 여러 논쟁적인 정책들을 시행해왔다. 이슬람법의 엄격한 해석을 적용하려는 시도와 함께, 다음과 같은 정책들이 대표적이다.

PAS는 이러한 조치들이 이슬람을 증진하고 무슬림 인구 사이의 부도덕한 행위를 종식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이를 국민전선(Barisan Nasional)의 법에 대한 반항 행위이자 말레이 전통 예술에 대한 상당한 손실로 간주한다.[18]

6. 경제

클란탄주는 쌀, 고무, 담배를 중심으로 한 농업 경제가 주를 이룬다. 96km에 달하는 해안선을 따라 어업 또한 중요한 경제 활동으로 자리 잡고 있다. 바틱, 목각 조각, 송켓 직조와 같은 전통 기술을 활용한 수공예 생산도 활발하다. 넓은 삼림 지역에서는 벌목 활동도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해안 섬을 중심으로 관광 산업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여러 호텔과 현대적인 쇼핑몰이 문을 열었다.

주도인 코타바루는 주요 도시 중심지이며, 주 남부 지역을 개발하기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가 계획되어 있다. 시내 중심가의 주요 시장은 관광 명소로 손꼽힌다.

2006년 켈란탄의 1인당 GDP는 7985MYR이었다.[16] 2017년에는 13593MYR으로 말레이시아의 다른 주보다 현저히 낮았다.[17]

말레이시아-태국 국경을 통해 켈란탄 주민과 남부 태국인들은 서로 친척을 방문하거나 소규모 사업을 위한 물품을 운송하며 문화적 유대를 이어가고 있다.

6. 1. 석유 로열티 분쟁

1975년 5월 9일, 켈란탄 주지사 다툭 모하메드 나시르와 페트로나스 회장 텅쿠 라잘레이 함자 사이에 합의가 체결되었다. 이 합의에 따라 켈란탄은 켈란탄 또는 해안 지역에서 발견되는 모든 석유에 대해 매년 5%의 현금을 반기별로 받기로 했다.[25] 그러나 켈란탄이 합의서에 명시된 대로 연방 정부로부터 석유 로열티를 청구할 권리가 있는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연방 헌법 부록 9, 목록 I에 따르면 광물 자원, 광산, 채굴, 석유 및 유전, 석유 제품 등에 대한 권리는 연방 정부에 할당되어 있다. 주 정부는 토지 및 토지 수입에 대한 권한을 가지며, 켈란탄의 영해는 "물로 덮인 토지"의 정의에 포함되어 3해리로 정의된다.[25]

샤드 살림 파루키 명예교수는 석유와 가스 탐사가 켈란탄의 영해를 넘어선 코타바루에서 약 150km 떨어진 곳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켈란탄이 이를 규제하고 보상을 받을 헌법적 권리가 없다고 결론지었다.[25] 또한 켈란탄의 양도가 페트로나스에게 말레이시아 육상 또는 해상의 모든 석유 소유권을 부여한 것은 과장이며, 켈란탄은 말레이시아 해안 밖에 있는 것에 대한 권리가 없기 때문에 합의서가 위헌이라고 주장했다.[25]

1974년 석유법에 따라 켈란탄 주 정부는 중앙 정부로부터 석유 수입 로열티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2009년 중앙 정부는 '보상금' 또는 '왕 에산(Wang Ehsan)'을 제공했지만, 주 정부는 국제사법재판소(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에 소송을 제기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켈란탄 주민 석유 로열티 요구 운동(Gerakan Menuntut Royalti Petroleum Rakyat Kelantan, GMR)과 같은 단체들이 지역 정부를 지지하고 있다.

7. 문화

켈란탄 주는 말레이 문화와 태국 문화가 혼합된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32] 와양 쿨릿, 막 용, 디키르 바랏, 마인 푸테리와 같은 전통 예술과 와우 불란(연날리기), 가싱(팽이치기), 실랏(무술), 토모이(무에타이), 새소리 경연대회 등 다양한 문화 활동이 보존되고 있다. 특히, 막 용은 유네스코에 의해 인정받은 고대 연극 형식으로, 연기, 성악, 기악, 몸짓, 정교한 의상이 결합되어 있으며, 주로 오락이나 치료 의례와 관련된 목적으로 공연된다.[33][34]

송껫, 바틱, 은제품 및 맹쿠앙(mengkuang) 등 수공예품도 유명하며, 칸디스 자원 센터(Kandis Resource Centre)에서는 켈란탄 목각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7. 1. 언어

켈란탄 주의 공용어는 말레이어이며, 표준 말레이어를 따르지만, '''께쩩 끌라떼'''(클란탄팟타니어: Kecek Klate)라고 불리는 클란탄팟타니어(클란탄 말레이어)가 사용된다. 클란탄 말레이어는 표준 말레이어와 큰 차이가 있어 표준어 화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클란탄 말레이어에서는 '클란탄'을 '끌라떼(Klate)'라고 부른다. 'a', 'an' 따위로 끝나는 것을 'e'로 끝내는 경우가 많으며, 대표적으로는 jange(표준어 jangan; 뜻은 '안 된다'), make(표준어 makan, 뜻은 '먹다')가 있다. 표준 말레이어에서는 비교급 다음에 형용사가 오지만, 클란탄팟타니어에서는 형용사 다음에 비교급이 온다.[6]

7. 2. 주민

켈란탄 주 인구의 약 95%는 말레이계이며, 그 외 중국계, 인도계, 태국계, 오랑 아슬리(원주민) 등이 거주한다.[26] 1970년부터 2020년까지의 인구 변화는 아래 표와 같다.

연도인구
1970684,738
1980859,270
19911,181,315
20001,287,367
20101,470,696
20201,792,501



켈란탄 주는 주로 농촌 지역으로, 연날리기 대회, 팽이치기 대회, 새 노래 대회와 같은 말레이시아 전통과 바틱, 송켓, 은세공과 같은 전통 공예를 보존하고 있다. 켈란탄 주의 인종 구성은 말레이계 95.7%, 중국계 3.4%, 인도계 0.3%, 기타 0.6%이다.[26]

켈란탄 주의 여러 민족들은 대체로 조화롭게 공존한다. 예를 들어, 태국계 주민들은 말레이계 주민이나 허가를 내준 PAS 정부로부터 어떠한 반대도 받지 않고 매우 큰 불상을 건설할 허가를 받았다.

7. 2. 1. 말레이계

켈란탄 말레이시아인은 클란탄주의 주요 민족 집단이다. 이들은 표준 말레이어뿐만 아니라 말레이시아의 다른 말레이어 방언과도 구별되는 독특한 문법, 발음 및 수사법을 가진 켈란탄 말레이어를 사용한다.

켈란탄 말레이어는 다른 말레이어 방언과 어느 정도 상호 이해 가능하다. 말레이시아의 다른 지역에서는 영향력이 적은 자위 문자는 여전히 켈란탄에서 말레이어를 쓰고 인쇄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켈란탄의 간판에는 자위 문자와 로마자 모두로 쓰여 있다. 어느 정도 남부 태국어도 사용된다.

켈란탄 인구의 95.7%는 말레이계이며,[2] 말레이시아 헌법에 따라 모든 말레이인은 무슬림이다.[2] 따라서 이슬람교는 이 주에서 가장 큰 종교이다.[2]

7. 2. 2. 태국계

왓 포티비한의 와불상.


켈란탄 주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인 말레이시아 태국인들은 주로 해안 도시인 툼팟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곳에는 주의 200개 정도 되는 불교 사찰 대부분이 있고, 상대적으로 부유한 태국인 마을들이 여러 곳 있다.

켈란탄에서 사용되는 태국어 방언은 말레이시아와 골록 강 건너편에 위치한 나라티왓 주 최남단 해안 도시 탁 바이의 이름을 따서 ''탁 바이'' 방언이라고 한다. ''탁 바이'' 방언은 표준 남부 태국어 및 기타 지역 태국어 방언과 상당히 다르며, 켈란탄 태국인들은 4세기 전 인구 밀도가 낮은 말레이 영토에 정착한 나라티왓 이주민들의 초기 거주지의 후손임이 확실해 보인다.

또한 주 전역에서 수백 개의 태국 사찰인 왓(또는 ''케틱'')에서 불교의 모습을 볼 수 있다. 1980년 이후로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긴 와불상이 툼팟의 왓 포티비한에 있다. 이 사찰은 순례자와 신자들에게 매우 인기가 많다. ''멧타'' 염불은 원래 팔리어 또는 태국어 번역을 사용한다. 톡카티나, 로이 크라통, 사이밧, 송크란과 같은 종교 축제에는 약 1,000명의 방문객이 왓을 방문한다.[1]

7. 2. 3. 중국계

켈란탄주의 중국계 주민들은 자신들을 "시노 캄풍"(시골 중국인) 또는 "시노 반다르"(도시 중국인)라고 부른다. 치나 캄풍(Cina Kampung)이라 불리는 이들은 켈란탄 방언(Kelantanese dialect)을 모국어처럼 유창하게 구사하며, 말레이 문화와 중국 문화가 섞인 독특한 생활 방식을 가지고 있다.[27]

이들은 말레이식 행동과 중국식 행동을 구분한다. 공개적으로는 켈란탄 말레이어를 사용하고, 말레이식 옷을 입으며, 말레이 풍습과 휴일을 지킨다. 반면, 사적인 자리에서는 중국 전통 신앙과 관습을 따른다.[27]

사자춤(lion dance), 용춤(dragon dance)과 같은 중국 문화는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중국 설날(Chinese New Year)에는 사원 축제, 바창(고기 만두), 월병(mooncake) 등 다양한 종교 의식이 행해진다. 결혼식에서는 '박홍', '우앙'(미트볼)을, 장례식에서는 '키암 마이'를 요리하는 풍습이 있다.

켈란탄의 치나 캄풍(Cina Kampung)은 켈란탄 방언(Kelantanese dialect)을 매우 능숙하게 사용하기에, 말레이인과 중국인을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말레이시아 다른 지역의 중국인들과는 다르게, 켈란탄 중국인들은 집에서 결혼식을 올리는 것을 선호한다.

7. 2. 4. 인도계

켈란탄의 인도인들은 가장 작은 민족 집단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영국 통치 시대에 인도인들은 구아무상 지역과 타나메라 주변 고무 농장에서 노동자로 일하기 위해 켈란탄으로 들어왔다.[1]

7. 2. 5. 오랑 아슬리

오랑 아슬리는 대부분 테미아르족으로, 수천 년 동안 켈란탄 주와 페락 주의 숲에 거주해 온 사람들이다. 일부 테미아르족은 자연 환경에 대한 전통적인 신앙과 다른 형태의 애니미즘적 요소들을 유지하고 있다. 켈란탄 주에 거주하는 다른 오랑 아슬리 민족 집단으로는 자하이족, 바텍족, 멘드리크족이 있다.

7. 3. 종교

2020년 기준 클란탄주 인구의 97%는 무슬림이며, 그 외 불교도(2.3%), 기독교인(0.1%), 힌두교도(0.1%) 등이 소수를 차지한다.[28]

종교비율
이슬람교97%
불교2.3%
기독교0.1%
힌두교0.1%
기타/무종교0.4%



2010년 인구 조사 통계에 따르면 중국계 인구의 93.2%는 불교를 믿으며, 무슬림(3.0%), 기독교인(2.8%), 중국 민간 종교(0.6%) 신자들이 상당한 소수를 차지한다. 도교 신자들도 일부 포함될 수 있다.[29] 인도계 인구의 대다수는 힌두교도(76.5%)이며, 무슬림(11.6%), 불교도(6.7%), 기독교인(3.7%)이 상당한 소수를 차지한다. 말레이계가 아닌 부미푸테라 공동체는 대부분 무슬림(39.8%)이며, 무종교인(30.3%)과 기독교인(14.3%)이 상당한 소수를 차지한다. 말레이시아 법에 따라 모든 말레이인은 무슬림으로 간주된다.[30]

8. 요리

켈란탄 요리는 말레이시아 요리의 일부이지만, 독특한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 켈란탄 요리는 다른 어떤 지역보다도 더 많은 코코넛 밀크를 사용하며, 카레는 더욱 풍부하고 크리미하다.

8. 1. 대표 음식

나시 다강은 흰쌀과 갈색 찹쌀을 코코넛 밀크, 다진 양파, 마늘, 메티 등의 향신료와 함께 끓인 요리이다. 보통 생선이나 닭고기 카레, 부드러운 갈색 설탕 삼발(고추장)과 함께 제공된다.[35][36]

나시 크라부는 쌀 샐러드를 뜻하며, 켈란탄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나시 크라부 비아사''(일반), ''푸티''(흰색), ''히탐''(검은색, 실제로는 파란색), ''쿠닝''(노란색) 등이 있으며, 각각 어울리는 전통적인 삼발과 함께 제공된다. 샐러드는 다양한 채소나 식용 잎의 조합일 수 있으며, 빵가루를 입혀 튀긴 생선, ''크로폭 케핑'', 소금에 절인 계란, ''솔록 라다''(다진 생선과 강판 코코넛으로 채운 고추), 절인 마늘 등과 함께 제공된다. 부두라는 소스가 포함되어야 한다.[35][36]

나시 툼팡은 원뿔 모양의 바나나 잎에 싸서 포장된 쌀이다. 오믈렛, 육포, 닭고기 및/또는 새우 카레와 달콤한 그레이비가 들어 있으며, 전통적으로 여행객을 위한 음식이다.[35][36]

아얌 퍼르칙은 달콤한 코코넛 그레이비를 바른 장작불에 구운 닭고기이다. 주요 가족 요리에서 흰쌀밥과 함께 먹으며, 축제 때 제공된다.[35][36]

크로폭은 켈란탄식 크래커이며, 생선, 새우 또는 오징어로 만들 수 있다. 찐 후 또는 삶은 후 얇게 썰어 말려 보관하거나 추가 조리한다.[35][36]

락사 켈란탄은 켈란탄의 락사로, 더 풍부하고 깊은 풍미를 가지고 있다. 주요 재료는 생선 살이다. 락삼은 면이 더 두꺼운 버전이다. 나시 크라부와 비슷한 울람(샐러드)과 함께 소량의 소금과 ''벨라찬''(발효 새우 페이스트)와 함께 제공된다.[35][36]

9. 관광

클란탄주의 주요 관광 명소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Laporan Kiraan Permulaan 2010 http://www.statistic[...] Jabatan Perangkaan Malaysia 2011-01-24
[2] 웹사이트 Population by States and Ethnic Group http://pmr.peneranga[...] Department of Information, Ministry of Communications and Multimedia, Malaysia 2015-02-12
[3] PDF http://studentsrepo.[...] 2022-03-01
[4] 서적 Kuih Dan Manisan Kelantan: Langkah Demi Langkah https://books.google[...]
[5] 웹사이트 Federation of Malaya is inaugurated – Singapore History http://eresources.nl[...]
[6] 웹사이트 Page 84 - Malaysia 2017 http://www.peneranga[...] 2018-08-14
[7] 서적 Sejarah Kertas 1 https://books.google[...] Arah Pendidikan Sdn Bhd
[8] 뉴스 Khazanah sejarah tersembunyi - Kelantan - Sinar Harian http://www.sinarhari[...] 2018-08-15
[9] 서적 They Came to Malaya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2015-01-22
[10] 웹사이트 Sejarah Negeri http://www.peneranga[...] 2018-08-15
[11] 서적 Islam in Malaysia: An Entwined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8-30
[12] 서적 Wanita, politik dan perubahan: pergerakan Kaum Ibu UMNO, Malaysia, 1945-1972 https://books.google[...] Fajar Bakti 1981
[13] 학술지 Moral Order in a Time of Damnation: The "Hikayat Patani" in Historical Context https://www.jstor.or[...] 2009-06-01
[14] 서적 A History of Malaysia https://books.google[...] Red Globe Press 2016-11-11
[15] 웹사이트 Kelantan may be sinking https://www.thestar.[...] 2024-11-18
[16] PDF http://umkeprints.um[...] 2022-03-01
[17] PDF https://www.dosm.gov[...] 2022-03-01
[18] 뉴스 Kelantan Syariah Criminal Code II (1993) 2015-Bahasa Malaysia https://www.academia[...] 2015-02-26
[19] 웹사이트 Analysis of the Kelantan Syariah Criminal Offences Enactment https://sistersinisl[...] 2023-01-01
[20] 뉴스 Report: Kelantan directive on official portraits came from palace https://www.malaysia[...] 2019-04-02
[21] 뉴스 Kelantan now allows official portraits of Agong and Queen https://www.malaysia[...] 2019-04-05
[22] 뉴스 Kelantan PAS: Imposing child marriage blanket ban contravenes religious teachings https://www.thestar.[...] 2018-07-25
[23] 뉴스 Yet another one: 15-year-old girl marries father of two in Tumpat https://www.nst.com.[...] 2018-09-18
[24] 뉴스 Another child bride case https://www.nst.com.[...] 2018-07-22
[25] 웹사이트 Columnists – Opinion | The Star Online http://thestar.com.m[...] 2013-09-27
[26] 웹사이트 Kelantan (State, Malaysia)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Map and Location https://www.citypopu[...] 2022-04-15
[27] 서적 The Peranakan Chinese of Kelantan Asian Academic Press
[28] 웹사이트 202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Malaysia http://www.statistic[...]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2022-06-17
[29] 간행물 Sustaining Unity in Diversity: Exploring the Himpunan Sin Beng Kelantan (HSBK2019) as a Case Study of Ethnic Boundary-making in Contemporary Kelantan University of Malaya
[30] 웹사이트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Malaysia http://www.statistic[...]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2012-06-17
[31] 웹사이트 Workbook: MyCenDash(English) https://tableau.dosm[...] 2022-12-22
[32] 웹사이트 Destinations http://www.tourism.g[...] 2009-08-30
[33] 웹사이트 Mak Yong theatre https://ich.unesco.o[...] 2019-01-01
[34] 웹사이트 Dondang Sayang terima pengiktirafan UNESCO http://www.astroawan[...] astro AWANI 2018-12-25
[35] 학술지 Food and Ethnic identity in the Cham Refugee Community in Malaysia 2020-12-01
[36] 뉴스 Cambodian sausage Tongmo, a hit in Kelantan https://www.nst.com.[...] 2020-11-01
[37] 웹사이트 Siti Khadijah Market https://web.archive.[...] 2014-05-21
[38] 문서 (위키피디아 ms:Kelantan#cite note-20 참조)
[39] 문서 (위키피디아 ms:Kelantan#cite note-21 참조)
[40] 문서 (위키피디아 ms:Kelantan#cite note-22 참조)
[41] 문서 (위키피디아 ms:Kelantan#cite note-23 참조)
[42] 웹사이트 Gunung Stong State Park https://web.archive.[...] 2014-05-21
[43] 문서 (위키피디아 ms:Kelantan#cite note-25 참조)
[44] 문서 (위키피디아 ms:Kelantan#cite note-26 참조)
[45] 웹사이트 Pantai Bisikan Bayu (Beach of Whispering Breeze) https://web.archive.[...] 2014-05-21
[46] 웹사이트 Handicraft Village and Craft Museum https://web.archive.[...] 2014-05-21
[47] 이미지 BI 2.PNG https://www.dosm.gov[...] 2024-05-13
[48] 서적 They Came to Malaya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2015-01-22
[49] 웹사이트 Sejarah Negeri https://web.archive.[...] 2018-08-15
[50] 서적 Islam in Malaysia: An Entwined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8-30
[51] 서적 Wanita, politik dan perubahan: pergerakan Kaum Ibu UMNO, Malaysia, 1945-1972 https://books.google[...] Fajar Bakti 1981
[52] 학술지 Moral Order in a Time of Damnation: The "Hikayat Patani" in Historical Context https://www.jstor.or[...] 2009-06
[53] 서적 A History of Malaysia https://books.google[...] Red Globe Press 2016-11-11
[54] 웹사이트 データベース『世界と日本』日本政治・国際関係データベース「マライ」及「シャン」地方に於ける「タイ」國の領土に關する日本國「タイ」國間條約 https://worldjpn.net[...] 1943-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