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봉산 (강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봉산은 강원도에 위치한 산으로, 낙동정맥에 속하며 백두대간 종주 코스의 일부를 이룬다. 과거에는 낙동강 발원지로 알려졌으며, 매의 형상을 닮아 이름 붙여졌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천연보호림으로 지정되어 주목이 자생하고 있으며, 두문동재에서 시작하는 등산 코스가 있다. 정상에서는 백두대간과 동해 바다를 조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해시의 지리 - 금대봉
금대봉은 강원도 태백시에 있는 상함백산의 봉우리로, 한강의 발원지인 골지천이 발원하고 잣나무 수림과 고산 식물 군락을 이루며 산양 등이 서식한다. - 동해시의 지리 - 함백산
함백산은 태백산맥 중앙에 위치한 해발 1,573m의 산으로, 천연보호림으로 지정되어 주목이 자생하며, 과거에는 대박산 등으로 불렸고, 정상에서 백두대간과 동해 바다를 조망할 수 있다. - 대한민국의 생물권보전지역 - 금대봉
금대봉은 강원도 태백시에 있는 상함백산의 봉우리로, 한강의 발원지인 골지천이 발원하고 잣나무 수림과 고산 식물 군락을 이루며 산양 등이 서식한다. - 대한민국의 생물권보전지역 - 설악산
설악산은 강원특별자치도에 위치하며, 대청봉을 중심으로 내설악, 외설악, 남설악으로 구분되고, 수려한 자연경관과 다양한 등산 코스를 제공하여 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산이다. - 태백산맥 - 금대봉
금대봉은 강원도 태백시에 있는 상함백산의 봉우리로, 한강의 발원지인 골지천이 발원하고 잣나무 수림과 고산 식물 군락을 이루며 산양 등이 서식한다. - 태백산맥 - 설악산
설악산은 강원특별자치도에 위치하며, 대청봉을 중심으로 내설악, 외설악, 남설악으로 구분되고, 수려한 자연경관과 다양한 등산 코스를 제공하여 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산이다.
매봉산 (강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산 정보 | |
이름 | 매봉산 |
한자 | 鷹峰山 |
높이 | 1303 |
위치 |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삼수동 |
산맥 | 태백산맥, 백두대간, 낙동정맥 |
지도 | 대한민국 |
위도 | 37.1250 |
경도 | 128.5750 |
2. 위치
매봉산은 북쪽으로 금대봉, 비단봉, 천의봉과 이어져 있고, 동쪽으로는 태백시와 백병산, 면산, 묘봉으로 연결되는 낙동정맥에 위치한다. 과거 삼척시 하장면 쪽에서 물줄기를 따라 올라가면 가장 높게 보이는 산이었기 때문에 낙동강의 발원지로 알려져 왔다. 남쪽으로는 중함백산이, 서쪽으로는 백운산, 두위봉 등이 보이며, 백두대간 종주 코스의 한 구간을 이룬다.[1]
매봉산은 대한민국 내에 수없이 많다. 강원도 내에서도 여러 개의 매봉산이 존재하고 있다. 다르게 부르던 봉우리들이 바라볼수록 매 같은 형상을 보여 붙여진 이름들이다. 이곳의 매봉산도 원래 '하늘 봉우리'라는 의미로 붙여진 함백산 자락의 천의봉이었지만 낙동강의 발원지로도 흔히 알려져 있다.[1]
매봉산은 천연보호림으로 지정되어 있어 오래된 주목 수백 그루가 자생하고 있다.[2] 특히 함백산 금대봉과 은대봉, 천의봉에는 과거 왕실 건축에 사용하던 소나무인 황장목(黃腸木)이 많이 자라 경복궁 중수 때 벌목되었다고 한다. 엄나무정 부근에는 가을철 두 달가량 삼(麻) 시장이 열려 각지에서 삼을 사러 몰려들었다고 알려져 있다.[1]
두문동재에서 남쪽으로 대간길을 따라 올라가 정상에 이른 뒤 화전버스종점으로 하산하는 데 4시간이 걸리며, 두문동재 터널 입구에서 시작하는 경우에는 1시간이 더 걸린다.[1] 정상에서 내려오는 길 아래로는 죽령터널에 이어 한국에서 두 번째로 긴 정암터널(4,505m)이 지나간다.
[1]
뉴스
설산의 유혹… 춥고 눈내리면 태백으로 떠나야 하는 이유들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13-01-16
3. 전해오는 이야기
낙동강의 발원지에 관해서는 강원도 태백시 황지동에 있는 황지연못을 비롯하여 태백시 함백산 자락의 이곳 천의봉 북동쪽 계곡의 너덜샘, 너덜샘 아래쪽의 용소(龍沼), 태백산 장군봉 아래의 용정(龍井)이라는 주장이 있는데, 태백시에서는 혼란을 막기 위해 황지연못만을 발원지로 인정하고 있다.[1]
『태백의 지명유래』에 의하면 매봉산의 남쪽 자락, 연일 정씨 묘에서 바라보면 매처럼 보인다고 하여 매봉으로 불렀다는 기록이 있다. 풍수에서 닭이 알을 품을 때 독수리가 명당을 노려보고 있어야 한다는 풍수 때문에 매봉으로 하였다는 얘기다. 정씨 집성촌으로 알려져 있어 매봉이라는 지명이 붙였을 것으로 보인다.[1]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강(506.17km)으로 알려져 있는 낙동강의 최상류 지역으로, 이곳 사투리로 '수아밭' 또는 '수화전'이라 불렸던 밭이 있었는데 수아밭이란 수전(水田), 즉 현재의 논을 의미하고, 수화전(水禾田) 역시 벼 ‘화(禾)’자가 들어간 논을 뜻한다. 옛날 이 지역에 풀로 지은 초막(草幕)이라는 촌락과 전나무 군락지였던 전나무배기라 불리는 곳 사이에 넓은 땅이 있었고, 그곳에 논 12마지기가 있어 언제부터인지 자연스럽게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또한 화전(火田) 농사를 많이 하여 화전(火田)이라 하였다가 이곳 지역에 꽃이 많았던 관계로 한자가 ‘花田’으로 하였다가 다시 ‘禾田’으로 변한 것이라는 얘기도 있다.[2]
4. 볼거리
5. 산행 코스
낙동강의 원류 발생지는 이곳에서 가까운 천의봉의 동쪽 계곡에 자리한 너덜계곡으로 공식 인정되었지만, 은대봉의 은대샘에서 태백시 화전동 쪽으로 흘러내리는 황지천(黃池川)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산자락에는 태백광업소와 한국 기차역 중 제일 높은 곳(855m)에 위치한 추전역이 있다. 부근에 정암사, 용연동굴이 있다. 이곳은 눈이 많아 한겨울에는 제설이 안 될 때가 있으므로 산행은 준비를 철저히 하여 가볍게 걷는 게 안전하다.[1][3]
참조
[2]
웹사이트
숲에 ON
http://www.san.go.kr[...]
[3]
뉴스
태백 금대봉~분주령에서 나는 나비다
http://view.asiae.co[...]
아세아경제
2012-05-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