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정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낙동정맥은 백두대간의 태백산에서 시작하여 경상도,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를 거쳐 몰운대에서 끝나는 산줄기이다. 주요 산으로는 주왕산, 가지산, 금정산 등이 있으며, 총 13개 구간으로 나뉜다. 낙동정맥은 다양한 지맥을 분기하며, 강원특별자치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를 지난다. 낙동정맥 주변에는 백암산, 주왕산국립공원, 운문산 등 관광자원과 다양한 식생이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남도의 지리 - 주산안산암질암
주산안산암질암은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에 속하는 화산암류로, 안산암, 조면안산암, 휘석안산암 등으로 구성되어 경상남도, 경상북도, 울산광역시 일대에 분포하며, 퇴적암 지층을 관입하거나 지표로 분출되어 형성되었고, 양산 단층과 관련을 맺으며, 열변질 작용을 받았고, 수직 절리가 발달하여 폭포 지형을 형성하고 건설 자재나 광물 자원으로 활용된다. - 경상남도의 지리 - 합천군의 지질
합천군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편마암, 시대 미상의 화강암 및 섬록암, 중생대 백악기의 경상 누층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상 누층군 내에는 합천배티세일동굴이, 진주층과 칠곡층 내에는 운석 충돌 학설이 제기된 초계분지가 발달해 있고, 지하자원은 빈약하지만 과거 소규모 채취가 있었으며, 하천쟁탈 현상이 나타나고, 역사적으로 지진 피해 기록과 현대적인 지진 활동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 경상북도의 지리 - 경산시의 지질
경산시의 지질은 경상 분지 동남부에 위치한 경산시의 지질학적 특징으로, 백악기 지층이 넓게 분포하며 대구층, 자인층, 채약산 화산암층,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 주산안산암질암 등의 지층과 적제 단층, 고은 단층이 존재하고 보국 코발트 광산과 흥남광산 등의 자원이 있다. - 경상북도의 지리 - 영덕군의 지질
영덕군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암석, 트라이아스기 화성암, 쥐라기 화성암, 경상 누층군, 영해 분지, 단층, 광산 등으로 구성된다. - 한남금북정맥 - 덕숭산
덕숭산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산으로, 수덕사가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사찰로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한남금북정맥 - 속리산
속리산은 충청북도 보은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산으로, 문장대, 천왕봉을 포함한 봉우리들, 법주사를 비롯한 사찰들, 정이품송 등의 명승지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국립공원이다.
| 낙동정맥 | |
|---|---|
| 낙동정맥 정보 | |
| 위치 | 태백산맥 남쪽 |
| 시작점 | 태백산의 매봉산 |
| 끝점 | 부산광역시 다대포동의 몰운대 |
| 길이 | 약 370km |
| 지리 | |
| 최고봉 | 가지산 (1,241m) |
| 주요 산 | 백병산 통고산 주왕산 가지산 영축산 |
| 특징 | |
| 설명 | 태백산맥에서 분기되어 부산 다대포 몰운대까지 이어지는 산줄기 |
2. 주요 산
낙동정맥은 백두대간의 태백산 줄기인 구봉산에서 남쪽으로 갈라져 부산 다대포의 몰운대까지 이어진다.[1] 경상북도의 주왕산, 영천시의 운주산(806m), 경상남도의 가지산 등이 주요 산이다.
2. 1. [[강원특별자치도]]
백두대간의 매봉산에서 분기하여 작은피재, 구봉산(902 m), 국도 제38호선이 통과하는 통리재, 백병산(1259 m), 면산(1245 m), 지방도 제910호선이 통과하는 석개재, 삿갓봉으로 이어진다.2. 2. [[경상북도]]
석개재에서 삿갓봉, 진조산(908 m)을 지나 국도 제36호선이 통과하는 답운치에 이른다. 계속해서 통고산(1067 m)을 지나 덕산지맥이 분기되고, 국도 제88호선이 통과하는 한티재(430 m)를 넘어 검마산(1017 m)에 도달한다. 검마산에서는 금장지맥이 분기된다. 백암산(1004 m)을 지나 지방도 제918호선이 통과하는 창수령을 지나면 맹동산(808 m)이다. 맹동산에서는 화림지맥이 분기된다. 이후 지방도 제911호선이 통과하는 화매재, 국도 제34호선이 통과하는 황장재, 대둔산(900 m), 주왕산(907 m), 주산재, 피나무재, 통점재를 지나 팔공기맥이 분기되는 지점에 이른다. 가사령에서는 비학지맥이 분기된다. 침곡산(725 m), 국도 제31호선이 통과하는 한티재, 운주산(806 m), 지방도 제921호선이 통과하는 이리재, 국도 제28호선이 통과하는 시티재, 어림산(510 m), 마치재, 남사봉(470 m), 만불산(275 m)을 거쳐 사룡산에서 비슬기맥이 분기된다. 숲재, 국도 제20호선이 통과하는 당고개를 지나 백운산(892 m)에 이른다.[1]2. 3. [[경상남도]], [[울산광역시]]
백운산 (892 m) - 고현산 (1034 m) - 운문령 - 가지산 (1241 m, 운문지맥 분기) - 석남령 - 신불산 (1159 m) - 영축산 (1081 m, 영축지맥 분기) - 정족산 (749 m, 남암지맥 분기) - 천성산 (922 m) - (용천지맥 분기) - 군지산 (535 m) - 금정산 (802 m)2. 4. [[부산광역시]]
군지산 - 금정산(802 m) - 산성고개 - 만덕고개 - 백양산(642 m) - 구덕산(562 m) - 몰운대3. 구간
《사람과 산》의 1대간 9정맥 종주지도집은 낙동정맥 전 구간을 13개 구간으로 나누었다. 이 지도집에서는 낙동정맥이 부산광역시 구간을 제외하면 난이도가 높다고 평가하며, 백두대간을 고속도로에 비유한다면 낙동정맥은 2차선 지방도로 정도라고 설명한다. 특히 태백시, 봉화군, 울진군, 영양군 지역, 그중에서도 석개재에서 답운치까지의 24km 구간은 격오지로, 구간 거리가 길고 탈출로가 거의 없다.[1]
3. 1. [[강원특별자치도]] 구간
매봉산(백두대간에서 분기)에서 시작하여 작은피재, 구봉산(902 m), 통리재(국도 제38호선 통과), 백병산(1259 m), 면산(1245 m), 석개재(지방도 제910호선 통과), 삿갓봉으로 이어진다.3. 2. [[경상북도]] 구간
면산 - 석개재 - 삿갓봉 - 진조산(908 m) - 답운치(국도 제36호선 통과) - 통고산(1067 m) - (덕산지맥 분기) - 한티재(430 m, 국도 제88호선 통과) - 검마산(1017 m) - (금장지맥 분기) - 백암산(1004 m) - 창수령(지방도 제918호선 통과) - 맹동산(808 m) - (화림지맥 분기) - 화매재(지방도 제911호선 통과) - 황장재(국도 제34호선 통과) - 대둔산(900 m) - 주왕산(907 m) - 주산재 - 피나무재 - 통점재 - (팔공기맥 분기) - 가사령 - (비학지맥 분기) - 침곡산(725 m) - 한티재 (국도 제31호선) - 운주산(806 m) - 이리재(지방도 제921호선 통과) - 시티재(국도 제28호선 통과) - 어림산(510 m) - 마치재 - 남사봉(470 m) - 만불산(275 m) - 사룡산(비슬기맥 분기) - 숲재 - 당고개(국도 제20호선 통과) - 백운산(892 m)3. 3. [[경상남도]], [[울산광역시]] 구간
백운산(892 m)에서 고현산(1034 m)을 거쳐 운문령으로 이어진 후, 가지산(1241 m, 운문지맥 분기)에 이른다. 가지산에서 석남령을 지나 신불산(1159 m)으로 이어진다. 신불산에서 영축산(1081 m, 영축지맥 분기)을 거쳐 정족산(749 m, 남암지맥 분기)에 이르고, 천성산(922 m)에서 용천지맥이 분기된다. 이후 군지산(535 m)과 금정산(802 m)으로 이어진다.3. 4. [[부산광역시]] 구간
군지산에서 금정산(802 m)을 거쳐 산성고개로 이어진다. 이후 만덕고개를 지나 백양산(642 m)과 구덕산(562 m)을 통과하여 몰운대에서 끝난다.[1]4. 분기 지맥
낙동정맥에서 분기되는 주요 지맥은 다음과 같다.
| 지맥 이름 | 분기점 | 종점 | 길이(km) | 비고 |
|---|---|---|---|---|
| 덕산지맥(德山枝脈) | 영양군 칠보산 남쪽 | 안동시 용상동 법흥교 앞 | 73.1[2] | |
| 일월지맥 | 덕산지맥 | 영양 선바위 | 31.6[3] | 일월산 경유 |
| 금장지맥(金藏枝脈) | 검마산 동측 | 울진군 근남면 망양해수욕장 | 34.6[1][4] | 구주령, 금장산 경유 |
| 칠보지맥(七寶枝脈) | 삼승령 | 평해읍 남대천 하구 | 33.2[5] | 칠보산 경유 |
| 화림지맥(華林枝脈) | 명동산 남측 | 강구항 | 32.7[6] | 국사봉, 화림산 경유 |
| 내연지맥(內延枝脈) | 포항시 기북면 성법리 성법령 서측 | 강구항 남쪽 삼사해상공원 | 38.0[1][7] | 내연산, 동대산 경유 |
| 보현지맥, 팔공기맥 | 가사령 북측 | (보현지맥) - , (팔공기맥) - | (보현지맥) 167.2[1], (팔공기맥) 126.2[1] | 꼭두방재, 보현산 경유, 석심산에서 분리 |
| 구암지맥(九岩枝脈) | 보현/팔공지맥 | 반변천과 길안천 합류점 | 56.5[1][9] | 구암산, 삼자현, 노래산, 약산 경유 |
| 갈라지맥(葛羅枝脈) | 솟재 서측 보현지맥 | 안동시 갈라산 | 49.5[1] | 황학산 경유 |
| 영축지맥(靈鷲枝脈) | 영축산 | 밀양강과 낙동강 합류점 (삼랑진읍) | 43.8[1] | 시살등, 염수봉, 만어산 경유 |
| 남암지맥(南巖枝脈) | 정족산 | 돋질산 | 35.3[1][10] | 남암산, 문수산, 울산광역시 신선산 경유 |

5. 비교
wikitext
『산경표』에 기록되어 있는 낙동정맥의 산 이름은 다음과 같다.[1]
```
최종 검토 결과, 주어진 지시사항 및 허용된 문법을 모두 준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변경 사항은 없습니다.
6. 연구
낙동정맥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6. 1. 자원
백암산, 주왕산국립공원, 내연산, 운문산 등 여러 명산을 지나는 낙동정맥 주변에는 다양한 관광자원이 분포한다. 114개 산지, 377개 호소, 90개 습지, 15개 폭포 등의 경관자원이 확인되었으며, 무제치늪, 화엄늪, 낙동강 하구 3개 습지보호지역, 운문산, 왕피천 2개 생태·경관보전지역, 3개 야생생물보호구역, 신불산, 주왕산, 검마산, 반야골, 금강송 5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등이 있다. 이외에 양산시의 통도사와 부산광역시의 금정사, 범어사, 금정산성 등 역사문화자원이 낙동정맥을 따라 분포한다.[11]6. 2. 식생
낙동정맥은 태백시에서 부산광역시까지 남북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어, 온대 북부에서 난온대까지 식생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태백시 백병산에는 온대 북부 기후대의 거제수나무-신갈나무 군락이 해발 1,000m 이상에서만 나타난다. 부산광역시 구덕산에는 곰솔림이 분포하며, 그 외 지역에는 신갈나무, 소나무, 참나무류 등이 분포한다.[12]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 덕풍마을 남쪽 용소골 지역에는 소나무군집, 박달나무군집, 황철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굴참나무군집의 5가지 식생 유형이 분포한다. 능선부에 분포하는 소나무군집에는 꼬리진달래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수령은 30~115년으로 층위 구조가 형성된 보호 가치가 있는 숲으로 평가받았다.[13] 울진군, 봉화군, 영양군 경계 지역인 애미랑재 지역의 식생은 소나무군집, 소나무-신갈나무군집, 굴참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물박달나무군집, 신갈나무-굴참나무, 일본잎갈나무군집의 7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종 다양성은 낙동정맥의 다른 지역에 비해 낮은 편이다.[14]
영양군 일월면 북동부 칠보산 아래 절구골 지역의 식생은 소나무군락, 낙엽활엽수군락,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며, 종 다양도 지수는 낙동정맥의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5] 울진군 백암산 성시골(선시골, 온정면 선미리) 지역의 식생은 소나무군락, 박달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의 6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박달나무군락은 낙동정맥 구간에서 종 다양도가 높고 희소하여 보호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16]
경상남도 가지산~능동산 능선 구간의 주요 식생은 떡갈나무, 소나무, 신갈나무, 철쭉꽃, 미역줄나무이다. 수령은 30~75년이다.[17]
참조
[1]
서적
1대간 9정맥 GPS 종주지도집
사람과 산
2009-11
[2]
웹사이트
덕산지맥 개념 및 지도
https://bh-mt.tistor[...]
2017-03-28
[3]
논문
네트워크 과학 관점에서 바라본 산줄기 연결망 체계의 구조적 특성과 의미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Sanjulgi (mountain ridge) Network System based on Network Science)
https://www.kgeograp[...]
2018
[4]
웹사이트
금장지맥 개념 및 지도
https://bh-mt.tistor[...]
2018-01-23
[5]
웹사이트
칠보지맥 개념 및 지도
https://bh-mt.tistor[...]
2018-01-22
[6]
웹사이트
화림지맥 개념 및 지도
https://bh-mt.tistor[...]
2018-01-18
[7]
웹사이트
내연지맥 개념 및 지도
https://bh-mt.tistor[...]
2017-10-10
[8]
웹사이트
보현지맥 개념 및 지도
https://bh-mt.tistor[...]
2014-08-06
[9]
웹사이트
구암지맥 개념 및 지도
https://bh-mt.tistor[...]
2020-12-08
[10]
웹사이트
남암지맥 개념 및 지도
https://bh-mt.tistor[...]
2018-01-18
[11]
논문
낙동정맥 보전을 위한 마을기반 자원평가 (Evaluating Village-based Resources for Conserving Nakdong-Jeongmaek)
https://scienceon.ki[...]
2020
[12]
논문
낙동정맥 마루금 일대의 식생구조 특성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in the Ridgeline Area of the Nakdong-Jeongmaek
https://scienceon.ki[...]
2016
[13]
논문
낙동정맥 삼척시 용소골 계곡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Yongso Valley in the Nakdong-jeongmaek, Samcheok-si
https://scienceon.ki[...]
2010
[14]
논문
낙동정맥 애미랑재 지역의 식생구조 분석 (Analysing Vegetation Structure of Aemirang Hill in the Nakdongjeongmaek, Korea)
https://scienceon.ki[...]
2011
[15]
논문
낙동정맥 절구골 지역의 식물군집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Jeolgu Valley in the Nakdong-Jeongmaek
https://scienceon.ki[...]
2012
[16]
논문
낙동정맥 성시골지역의 식생구조 분석 Analyzing Vegetation Structure of Seongsi Valley in the Nakdong-Jeongmaek)
https://scienceon.ki[...]
2011
[17]
논문
낙동정맥 가지산~능동산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Gajisan to Neungdongsan in the Nakdong-jeongmaek
https://scienceon.ki[...]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